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초반 반천도교운동에 나타난 ‘사회주의 그룹’의 활동과 인식

        최보민 역사학연구소 2018 역사연구 Vol.- No.34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Anti-Chundogyo Movement in the early 1930s with focus on its launch and significance, which began with “leadership problem of Joseon movement” published in The New Humanity in 1932. That article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group of Tokyo department of Young Men’s Party of the Chundogyo, the specialist group devoted to discoursive production within the Chundogyo’s New faction. In that article, the group of Tokyo department of Young Men’s Party of the Chundogyo moved to criticize the socialist group. The group of Tokyo department of Young Men’s Party of the Chundogyo,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of socialist group, criticized the socialist group as an incompetent and deceptive group in a discoursive strategy to expand the hegemony of Chundogyo’s New faction. The socialist group countered the criticism of the group of Tokyo department of Young Men’s Party of the Chundogyo by publishing articles, and in this process, an incident arose in which Yu Jin-Hui, the publisher of the magazine Shingyedan, was attacked physically. The Yu Jin-Hui violence incident prompted the socialist group to form Chundogyo-identity exposure criticism association that would lead Anti-Chundogyo Movement. In addition, through the magazine, they launched the discoursive struggle to criticize Chundogyo. The socialist group’s criticism of Chundogyo focused on exposing the theoretic defects of Chundogyo and its deceptive aspects. In this process, however, different positions emerged within the socialist group. One group claimed to lead the Anti-Chundogyo Movement as ‘Th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while the other group emphasized the popular movement in which diverse forces could participate. These two groups were divided over their Anti-Chundogyo Movement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causes of the problem and their response measures. Eventually, the Anti-Chundogyo Movement in the early 1930s was a prism that showed the different positions of the socialist group that launched activities in legal area. 이 논문은 1930년대 초반 반천도교운동의 전개와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1930년대 초반 반천도교운동의 시작은 1932년 『신인간』에 발표된 「조선운동과 영도문제」를 통해 시작됐다. 이 글은 천도교 신파 내에서 담론 생산에 주력했던 전문가 집단인 ‘천도교청년당 동경부’ 그룹의 입장이 반영된 글이었다. 천도교청년당 동경부그룹은 이 글을 통해 사회주의 세력 비판을 전개했다. ‘천도교청년당 동경부’ 그룹의 사회주의 세력 비판은 사회주의 세력을 무능하고 기만적인 세력으로 묘사함으로써 천도교 신파의 헤게모니를 확대시키려고 했던 담론 전략이 내포된 것이었다. 사회주의 세력은 이런 천도교청년당 동경부 그룹의 비판에 역비판하는 글을 발표했고, 이과정에서 잡지 『신계단』의 발행인 유진희가 폭행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유진희 폭행사건을 기점으로 사회주의 세력은 반천도교운동을 이끌 천도교정체폭로비판회를 결성했다. 그리고 잡지를 통해 천도교를 비판하는 담론투쟁을 전개했다. 사회주의 세력의 천도교 비판은 천도교 세력의 이론적 결함과 기만적 성질을 드러내는데 집중됐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사회주의 세력 사이에 서로 다른 인식이 나타났다. 한 쪽은 ‘프롤레타리아문화운동’으로써 반천도교운동을 이끌고자 했던 세력이었고, 다른 쪽은 다양한 세력이 참여하는 ‘대중적 운동’을 강조한 세력이었다. 이 두 세력은 반천도교운동을 둘러싼 문제의 원인과 대응방식에서 다양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런 점에서 1930년대 초반 반천도교운동은 합법공간에서 활동하던 사회주의 세력 사이의 인식 차이를 보여주는 프리즘이었다.

      • KCI등재

        식민지시기 근대소설의 발흥과 천도교 매체의 역할

        유석환 ( Seok Hwan Yu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3 No.-

        이 글은 식민지시기 근대소설의 사회적 제도화 과정에서 천도교의 역할을 살펴본 논문이다. 이때 소설의 사회적 제도화란 근대적인 소설 관념의 형성뿐만 아니라 소설텍스트의 안정적인 생산과 재생산까지 고려한 개념이다. 식민지 조선은 교육 및 언론제도 등 소설텍스트 생성의 사회적 조건들이 열악했음에도 다른 국가들에게 비해 소설이 빠르게 정착했다. 그 이유를 천도교에서 찾았다. 대개의 경우 한국의 근대소설 발생사와 관련하여 종교의 역할은 기독교에 한정되어 사유되어 왔다. 표준어의 확산이나 근대적인 정신의 고취 등이 기독교의 주요 공헌이었다. 기독교의 공헌이 정신적 차원에 있었다면, 천도교의 공헌은 물질적 차원에서 찾아야 한다. 무엇보다 천도교는 자신의 매체를 통해 소설가들에게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직접적인 기회를 제공했다. 천도교는 타종교와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근대문학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며 자신의 매체에 그것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근대소설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어떤 의미에서 천도교는 소설 제도화 과정에서 일종의 패트론과 같은 역할을 맡았다. 이것이 식민지 조선 사회에서 소설이 빠르게 정착할 수 있는 동력 중 하나가 되었고, 물질적·제도적 차원에서 다른 국가와 구별되는 한국 근대소설사의 독특한 특징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ole of Chundogyo(天道敎) in connection with social institutionalization of novel in colonial Korea. The concept of social institutionalization of novel means not only formation of idea of modern novel but also stable production of novel text. Although social condition-education institution, communication institution, etc.-for production of novel text is poor in colonial Korea, novel institutionalized quickly compared with other nations. I think it`s because of the role of Chundogyo. Usually, we think religion in connection with the rise of novel is Christianity. We mostly think that Christianity contributed to diffuse standard language or to inspire modern consciousness. The contribution of Christianity for rising of novel is ideal, while the contribution of Chundogyo is material. Chundogyo gave novelist material help and support, for example writer`s fee and so on, through their own periodicals-Mansebo(萬歲報), Gaebyuk(開闢), Byeolgungon(別乾坤), Hesung(慧星), Cheilsun(第一線), etc. Chundogyo ruled such a patron in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novel. This is a reason that novel institutionalized quickly compared with other nations in colonial Korea. In other words, the role of vernacular religion of Chundogyo is uniqu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social institutionalization of novel in distinction from cases of other nations.

      • KCI등재

        1920년대 천도교 신파의 "민족 자치" 구상

        적용서 ( Yong Seo Jeo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동방학지 Vol.157 No.-

        이 논문은 1920년대 천도교 신파에 서 전개한 자치운동을 천도교 종교논리와 관련해 검토하였다. 천도교인의 대부분과 실질적으로 천도교단의 주도 권을 장악한 신파세력은 일제와 타협 협력하는 가운데 청년당을 통한 천도 교 중심의 독자적인 활동을 중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자치운동을 추진하였다. 천도교 신파세력이 1920년대 중반 이후 이러한 활동을 전개한 것은 그들 의 민족 인식과 관련이 있다. 천도교 지도자들은 민족주의를 ``리이주의(利已主義)의 대결정(大結晶)``으로 보았으며, 민족과 민족을 대립케 하는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따라서 천도교세력은 기존의 민족주의를 대신한 ``범인간(汎人間) 민족주의(民族主義)``를 주장하였다. 따라서 당시의 제국주의 질서와 ``민족국가``단위의 세계질서를 비판하면서 ``세계일가주의(世界一家主義)``를 주장하였다. 세계평화의 완성을 위해서는 민족주의를 넘어선 국제주의와 인류주의 적 관점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었다. 하지만 당장 이 관점에서 민족문제를 해 결하자고 주장하지는 않았다. ``세계일가(世界一家)``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각 민족이 세계에 통할만한 지식·도덕·사상 등을 지녀야 했기 때문에 민족의 생활장도 와 문화를 항상·발전시키는 위한 민족개벽(民族開闢)이 우선 과제였다. 이러한 인식하에 ``조선민족(朝鮮民族) 자치(自治)``가 합리화되었다. 조선민족이 당만한 현실을 무시하고 일본민족과 조산민족을 동일하게 취급 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었다. 즉 세계일 가라는 궁극적 목표가 전제되었지만 그 단계적 발전과정과 당시 한국사회의 조건이 고려되면서 세계일가에 참 여하기 위한 당면한 현실 목표로서 일본의 통치 아래에서의 조선민족 자치가 설정된 것이었다. 천도교 신파세력이 구상한 ``조선민 족 자치`` 의 구체적 실현 형태는 영국과 캐나다, 호주 등 영연방 국가들 간의 관계였다. ``연방국가``는 ``세계일가``, ``세계연방(世界聯邦)``으로 나가는 과도기였다. 천도교 신파세력은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조선과 일본의 ``분리``를 추구한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민족 자치``는 천도교 고유의 종교적 목표인 ``세계일가``를 향 해 가는 주제적 실천과정이었다. 그리 고 이것은 세계보편을 자향하는 종교 논리와 민족본위가 국가를 전제로 하 지 않는다는 정치논리가 상호 결합된 것이었다. The majority of Chundogyo (天道敎) followers and the new faction (新派), who held a substantial initiative over the Chundogyo church, stressed its own activities through the Youth party (靑年黨)and opted fo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The Self-governing Movement (自i台運動) was promoted on the basis of its own beliefs, The new faction perceived that nationalism was the cxystallization of egoism and a principal factor of conflicts between nations. Thus, the Chundogyo group asserted the idea of Pan-humankind Nationalism (汎人問的民族主異) as an alternative form of nationalism, The Chundogyo group, therefore, asserted a concept of unity of all the states (世界一家主義), It also criticized the nation states throughout the world and an omnipresent imperial world order. The perspectives of universal humankind and cosmopolitanism were the necessary conditions in order to overcome nationalism and to achiev world peace. Dissemination of the common knowledge and ideas of morality throughout each national group considered the completion of Segyeilga (世界一家). Improving the nation`s standard of living and more developed cultural aspects would only be achieved by implementing Minjokgaebyuk (民族開闢) as a priority. The leaders of the group adopted the perception of Minjokgaebyuk and Self-governing by the Choson Nation (朝鮮民族自治) When the ultimate goal, Segyeilga, determined as the premise, was considered a precondi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belief in a phased developmental course at that time, it was a feasible alternative action under Japanese occupation. The conception of Self-governing by the Choson Nation (朝鮮民族自治) was mapped out according to the British Commonwealth model, which included Great Britain, Canada, and Australia. The Commonwealth was regarded a transitional period to achieve Segyeilga and Minjokgaebyuk as a final stage. It was an attempt by the new faction to separate Choson and Japan. Self-government by the Choson Nation was a process of independent practice in order to fUlfill the inherent religious purpose of Segyeilga. In addition, the concept was the combination of religious reasoning on the base of the orientation of cosmopolitan universalism and a part of political beliefs that the existence of state was not a precondition of the nation.

      • KCI등재

        1920년대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 결성과 그 의미

        손숙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2 No.-

        As a result, this research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revealing action of catholic dealing with youth movement and its’ lower part, women movement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 in early 1920s. Also,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meanings of youth movement and women’s movement in history of Catholic movement.This research aims to study meaning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of colonial era by defining organize and activities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through records descended in Unyang Catholic church. We could identify a purpose and activities of community Catholic women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member who run the organization specifically by this research.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found in 1923 for growth of Catholic, and shared activities with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A women’s movement developed by groups that characterized by ‘new women’, ‘madam’ in 1920 was co-worked with youth movement, and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also identical with this stream. Organize of Catholic women association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showing intersection of women’s movement and young men movement in 1920s. In late 1920’s to early 1930’s, Korean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separated into middle aged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took charge of guide boys and girls. This shows that Catholic organization corresponded with division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s youth movement to boy movement. The reason why Unyang, which is not a metropolitan, could have organizations like Catholic women association and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was that there were a lot of faith community since early accommodation of Catholic. And another reason was that there were powerful influences of Chundogyo, which preoccupied women movement and youth movement in Unyang. In this social mood, Catholic also dealt with this mood by organizing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women association. 이 연구는 식민지기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활동을 언양성당에서 전승되는 기록물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이 시기 언양지역의 가톨릭부인회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가톨릭부인회 조직의 목적과 활동 및 이것을 운영한 구성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언양천주공교부인회’는 1923년 천주교의 발전을 목적으로 결성되었으며 ‘언양지방천주공교청년회’와 연동되어 전개되었다. 1920년대 초반 ‘신여성’ ‘신여자’ ‘부인’으로 표상되는 집단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성운동과 ‘부인’단체의 결성은 당시 청년운동과 연동되어 전개되는데,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도 이러한 흐름과 같이 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은 1920년대 여성운동과 청년운동의 교착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1920년대 말 1930년대 초 즈음 한국 가톨릭부인회는 중년부인회와 여자청년회로 분화되고, 여자청년회 단체는 그 하부에 있던 ‘소년소녀’를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것은 여자청년회의 하부에 소년소녀 단체가 조직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개신교와 천도교 계열의 청년운동에서 소년운동이 분화해 나가는데 대해 적극적으로 조응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도회지가 아닌 주변부 지역인 언양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청년회와 부인회 등 평신도 조직들이 빨리 결성된 배경에는 언양지역이 천주교 수용초기부터 이후 이어져 온 많은 신앙공동체의 형성과 함께 부인운동과 청년운동을 선점한 천도교의 영향력이 강했던 지역사회 분위기도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천주교에서도 청년회, 부인회를 조직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듯 언양의 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의미를 살펴보는 이 연구는 1920년대 초반 개신교와 천도교의 청년운동과 이것의 하부운동으로 전개된 부인운동을 의식한 가톨릭의 조응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1920∼30년대 청년운동과 여성운동 나아가 가톨릭 운동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종교계의 국채보상운동 참여 양상과 성격

        이승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4

        국채보상운동 당시 주요 언론사에서는 의연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과 금액을 일일이 기재하였기 때문에 어느 지역에서 어떤 사람들이 의연금을 냈는지 대부분 파악할 수 있다. 본고는 종교를 단위로 한 의연 사례에 주목하였다. 사찰 혹은 교회 혹은 교인 집단 단위로 의연을 하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종교와 관련한 것으로 표기하여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한 사례이다. 본고에서는 불교·천주교·개신교·천도교를 대상으로 각 교단의 입장과 교인의 참여 양상을 검토하였는데, 각각 상이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가장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종교는 불교였다. 불교는 교계 중앙조직에서 공식적으로 의연 참여를 결의하였고, 이에 영향을 받아 전국 승려의 1/5 정도가 의연에 참여하였다. 천도교단은 일간지 만세보 를 통해 국채보상운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의연금 내역을 소개함으로 운동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반면 교단 차원에서의 ‘거액 의연’을 거론하며 교인들의 의연 참여는 제한하여 천도교인의 국채보상운동 참여 사례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천주교와 개신교 교단은 국채보상운동에 대해 다소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외국인 선교사가 주도하는 가운데 통감부의 정교분리 방침을 수용하고 있었던 정황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천주교와 장로교·감리교 등 세력이 큰 교단의 경우 국채보상운동에 대해 특별한 의견 표명을 하지 않았다. 교단의 소극적인 태도는 교인들의 참여에 영향을 주어 참여율은 높지 않다. 각 교단이 보인 태도와 대응 양상은 각 교단이 처한 현실적 여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아직 근대적 조직화를 이루지 못하고 사회적 위상도 낮았던 불교의 경우 ‘국민으로서의 의무’ 수행에 적극 나선 반면, 외국인 선교사의 영향력 아래 비교적 안정된 교세를 갖추고 있는 천주교·개신교 교단은 비정치화 노선을 추구하며 보수적으로 대응했다. 이러한 차이는 개신교 내 교파간의 차이에서도 확인된다. 한국 사회에 일찍부터 진출하여 안정적인 교세를 이루고 있던 장로교·감리교와 소수 교파인 영국성공회·대한기독교회를 비교할 수 있다. 교세가 큰 장로교·감리교는 다소 보수적인 입장에서 교단을 운영한 반면, 소수 교파의 경우 한국인의 특색이나 사회적 정서에 맞춰 적극적 포교를 시행하고 있었으므로, 한국인의 국채보상운동에 대해 크게 호응했다.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rticipation patterns of religious figures, including clergy and lay believers, during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of 1907. It delves into the attitudes and positions of various denominations—Buddhism, Protestantism, Catholicism, and Chundogyo— towards the movement. Furthermore, it compiles instances of actual participation by clergy and laypeople to examine the impact of these interactions. Each denomination exhibited slightly different attitudes. Buddhism resolved to officially participate through its central organization, with about 20% of monks nationwide actively engaging. Chundogyo, through its daily newspaper “Mansaebo,” actively propagated the movement but limited personal donations from its believers, resulting in fewer participation instances among its followers. Catholic and Protestant denominations showed somewhat lukewarm attitudes. Influenced by foreign missionaries leading the denominations and adhering to the policy of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by the Governor-General’s office, these denominations, especially the larger ones like Catholicism, Presbyterianism, and Methodism, did not express special opinions regarding the movement. This passive stance of the denominations impacte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ir followers, which was not high. The study confirms that the attitude of the denomina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level of clergy and believers. It also established that the stance of each denomin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ir real-world conditions. The Buddhist community, yet to achieve moder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low in social standing, participated actively. In contrast, the Catholic and Protestant denominations,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missionaries and enjoying relatively stable religious power, adopted a conservative approach, aligning with a non-political stance. This difference was also evident within the Protestant sects. While the established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showed a conservative position, minority sects like the Anglican Church of England actively evangelized, aligning with the social sentiments of Koreans, leading to greater responsiveness towards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among these smaller sects.

      • KCI등재후보

        1930년대 초 천도교신파의 정세인식과 조직강화

        정용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5 No.2

        The new and old faction of Chundogyo underwent another divergence in April 1932,slightly over a year after their merging in December 1930. After the split, while the oldfaction of Chundogyo devoted itself to religious activities conforming to the body ofChundogyo traditions, the new faction openly denounced Shingan-hoe and sought togain the upper hand in the social movement of the time. With this in mind, it expandedsectoral movements and started to actively engage in a peasant movement, labormovement and youth movement. The new faction of Chundogyo believed that themission of peasant and labor movements was to organize and train peasants andworkers.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a mere class movement, the social movementwas therefore raised to an inclusive level where it aimed to embrace preoccupations and demands from different strata of society. At the same time, leaders of the new faction valued the role of a single vanguard party, namely the Chundogyo Youth Party, in leading the various sectoral movements and acting as a ‘national control tower’. For this purpose, the new faction of Chundogyo sought to organize sectoral groups under the Chundogyo Youth Party with a view to keeping them under control. As evidence of this policy, the Chosun Agrarian Organization was kept directly under the Party, the Chosun Labor Organization was founded, and the Chundogyo Youth Group was renewed. In response to the socialists’ attacks, leaders of the new faction also advocated the ‘Chosun movement leadership’, based on social activities such as the Youth Party’s sectoral movements, as well as a strong centralized organizational structure.

      • KCI등재

        1930년대 천도교세력의 정치운동론과 시중회 참여

        정용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8

        As Japanese Imperialism enforced a rural restriction policy and strengthened the censorship of thought in the 1930’s, a new faction of Chundogyo readjusted the organization’s overall course of activities. The new faction decided to draw back from the political movement to concentrate its efforts on nonpolitical movements such as ones related to daily life and culture. The main facet of Chundogyo and the youth party reorganized centrally and justified their withdrawal from the political movement by emphasizing their devotion to religion. The Chundogyo described the circumstances at that time as an “unusual period” and rationalized this recognition by emphasizing the prime priority of ascetic practice. The ideas of Sungsinssangjun and Gyojungilchi性身雙全ㆍ敎政一致, which stated that edification of the human mental state as well as reformation of the social system through religion should be carried out to reform actual society and construct a new society, were reinterpreted as the idea of Gyojujungjong敎主政從, which means that religion is the main leading and that politics are secondary to incidental. The Chundogyo minimized the meaning of politics to “stabilization of life.” According to the idea of Gyojujungjong敎主政從, the meanings of Sungsinssangjun and Gyojungilchi性身雙全ㆍ敎政一致 were reduced to the establishment of religious devotion and Hangsansurip恒産樹立, which is the establishment of fixed property or stable income. In other words,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Bogukanmin Podeokcheonha Gwangjechangseng輔國安民 布德天下 廣濟蒼生” (“Support the country to comfort the people; Preach the message of Heavenly God to the world; Save the people all over the world”) was abandoned and th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movement that had been interconnected with the previous positive political movement were eliminated. While recognition of the actual situation grew and logic for social participation changed, the Chundogyo made efforts to accomplish two simultaneous goals: reinforcing religious features an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potential political movements. As regards the former, the youth party converted the movement policy, focusing more on training and ascetic practice in the religious body rather than on external activities based on the actions of each department. With respect to the former, the Chundogyo positively participated in Sijunghoe, which was established in 1934. In summary, the Chundogyo took efforts to achieve the dual goals of reinforcing the religious features and seeking the foundation for potential political movements in relation to the change in the circumstances of the early 1930’s. 1930년대 일제가 농촌통제정책을 추진하고 사상통제를 강화하자 천도교 신파세력은 활동의 방향을 전체적으로 재조정하였다. 이들은 정치운동에서 물러서 생활운동ㆍ문화운동 등 비정치적운동으로 활동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천도교단과 청년당의 조직을 중앙집중화된 형태로 재정비하여 내부 결속을 다지고, 천도교 신앙의 확립을 강조해 정치운동에서의 후퇴를 정당화하려고 하였다. 천도교세력은 당시의 상황을 ‘비상한 시기’로 파악하고, ‘修道第一主義’의 강조를 통하여 합리화하였다. 또한 현실사회를 개혁하고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정신교화는 물론 제반 사회제도의 개혁이 필요하다는 ‘性身雙全ㆍ敎政一致’의 논리를 ‘敎主政從’으로 새롭게 해석하였고, 정치의 의미를 물질적 ‘생활안정’으로 축소 해석하였다. 그리고 교주정종론에 따라 성신쌍전ㆍ교정일치의 의미는 主인 종교적인 신앙 확립과 從인 항산수립의 문제로 귀결되었다. 즉 ‘輔國安民 布德天下 廣濟蒼生’의 실천적 의의가 포기됨으로써 기왕의 적극적 정치활동과 맞물려 있던 ‘민족운동적 성격’이 제거된 것이다. 이와 같은 현실인식과 현실참여 논리의 변화 속에서 천도교세력은 종교색채 강화와 잠재적 정치활동 기반 모색이라는 이중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전자와 관련해서 청년당은 운동노선을 전환하여 부문운동을 중심으로 한 대외활동보다는 교단내적인 수련ㆍ수양활동에 치중하였다. 그리고 후자와 관련해서는 1934년에 설립된 시중회에 적극 참여하였다. 즉 천도교세력은 1930년대 전반의 정세변화와 관련해 종교색채의 강화와 잠재적 정치활동을 위한 기반 모색이라는 이중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 KCI등재

        천도교의 ‘교정일치’론과 현실 참여

        정용서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7 No.3

        Since the defeat of the Tonghak(東學) Peasant Uprising, known as Kabo Peasants' War of 1894, Chundogyo(天道敎) rapidly reorganized under Son Byeonghee(孫秉熙) and altered the direction of activities in cultural enlightenment. As parts of transformation, the name Tonghak had changed to Chundogyo and formulated a series of religious creeds called Innaecheon(人乃天). The ideal of Innaecheon-ism was to build a heaven on earth(地上天國). Heaven on earth proposed a better society for the majority of humble people who live in the contemporary period. The perceptions on the Innaecheonjui and heaven on earth provided an ideological condition in which authorizing the Chundogyo group the right to participate in political and societal conflicts. Without a doubt, the perception defined not only psychological edification of human kind in new order system, but also it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ungsinssangjun(性身雙全)․Gyojungilchi(敎政一致) which contained broader range of transformations of social institutions in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s. According to the value of Sungsinssangjun․Gyojungilchi, the Chundogyo group acquired in justification of participate in the 3.1 Movement and explained it as an excuse for some political reforms.

      • KCI등재

        1920년대 천도교 신파의 ‘민족 자치’ 구상

        정용서(Jeong, Yong-Se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동방학지 Vol.157 No.-

        이 논문은 1920년대 천도교 신파에서 전개한 자치운동을 천도교 종교논 리와 관련해 검토하였다. 천도교인의 대부분과 실질적으로 천도교단의 주도 권을 장악한 신파세력은 일제와 타협 협력하는 가운데 청년당을 통한 천도교 중심의 독자적인 활동을 중시하였 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자치운동을 추진하였다. 천도교 신파세력이 1920년대 중반 이후 이러한 활동을 전개한 것은 그들의 민족 인식과 관련이 있다. 천도교 지도자들은 민족주의를 ‘利己主義의 大結晶’으로 보았으며, 민족과 민족을 대립케 하는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었 다. 따라서 천도교세력은 기존의 민족 주의를 대신한 ‘汎人間的 民族主義’를 주장하였다. 따라서 당시의 제국주의 질서와 ‘민족국가’ 단위의 세계질서를 비판하면서 ‘世界一家主義’를 주장하 였다. 세계평화의 완성을 위해서는 민족주의를 넘어선 국제주의와 인류주의적 관점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었다. 하지만 당장 이 관점에서 민족문제를 해결하자고 주장하지는 않았다. ‘世界一 家’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각 민족이 세계에 통할만한 지식 도덕 사상 등을 지녀야 했기 때문에 민족의 생활정도와 문화를 향상 발전시키는 위한 民族 開闢이 우선 과제였다. 이러한 인식하에 ‘朝鮮民族 自治’가 합리화되었다. 조선민족이 당면한 현실을 무시하고 일본민족과 조선민족을 동일하게 취급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었다. 즉 세계일 가라는 궁극적 목표가 전제되었지만그 단계적 발전과정과 당시 한국사회의 조건이 고려되면서 세계일가에 참여하기 위한 당면한 현실 목표로서 일본의 통치 아래에서의 ‘조선민족 자치’ 가 설정된 것이었다. 천도교 신파세력이 구상한 ‘조선민족 자치’의 구체적 실현 형태는 영국과 캐나다, 호주 등 영연방 국가들 간의 관계였다. ‘연방국가’는 ‘세계일가’, ‘世 界聯邦’으로 나가는 과도기였다. 천도교 신파세력은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조선과 일본의 ‘분리’를 추구한 것이었 다. 따라서 ‘조선민족 자치’는 천도교 고유의 종교적 목표인 ‘세계일가’를 향해 가는 주체적 실천과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세계보편을 지향하는 종교 논리와 민족본위가 국가를 전제로 하지 않는다는 정치논리가 상호 결합된 것이었다. The majority of Chundogyo (天道敎) followers and the new faction (新派), who held a substantial initiative over the Chundogyo church, stressed its own activities through the Youth party (靑年黨) and opted fo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The Self-governing Movement (自治運動) was promoted on the basis of its own beliefs. The new faction perceived that nationalism was the crystallization of egoism and a principal factor of conflicts between nations. Thus, the Chundogyo group asserted the idea of Pan-humankind Nationalism (汎人間的 民族主義) as an alternative form of nationalism. The Chundogyo group, therefore, asserted a concept of unity of all the states (世界一家主義). It also criticized the nation states throughout the world and an omnipresent imperial world order. The perspectives of universal humankind and cosmopolitanism were the necessary conditions in order to overcome nationalism and to achieve world peace. Dissemination of the common knowledge and ideas of morality throughout each national group considered the completion of Segyeilga (世界一家). Improving the nation s standard of living and more developed cultural aspects would only be achieved by implementing Minjokgaebyuk (民族開闢) as a priority. The leaders of the group adopted the perception of Minjokgaebyuk and Self-governing by the Choson Nation (朝鮮民族 自治). When the ultimate goal, Segyeilga, determined as the premise, was considered a precondi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belief in a phased developmental course at that time, it was a feasible alternative action under Japanese occupation. The conception of Self-governing by the Choson Nation (朝鮮民族 自治) was mapped out according to the British Commonwealth model, which included Great Britain, Canada, and Australia. The Commonwealth was regarded a transitional period to achieve Segyeilga and Minjokgaebyuk as a final stage. It was an attempt by the new faction to separate Choson and Japan. Self-government by the Choson Nation was a process of independent practice in order to fulfill the inherent religious purpose of Segyeilga. In addition, the concept was the combination of religious reasoning on the base of the orientation of cosmopolitan universalism and a part of political beliefs that the existence of state was not a precondition of the nation.

      • KCI등재

        기당(幾堂) 현상윤(玄相允) 선생(先生) 전집(全集) 출간(出刊) 기념(紀念) 기당(幾堂) 현상윤(玄相允) 선생(先生)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현상윤과 3.1운동

        김기승 ( Gi Seung Kim ) 한국공자학회 2008 공자학 Vol.15 No.-

        Hyun Sang-Yoon, a teacher in Bosung School, was one of the key persons in the March First Movement. However the historical studies on his independence movement have not done much. The historical studies of the March First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were focused on the thirty three representatives, who signed the manifesto. Hyun Sang-Yoon was not the one of the thirty three representatives. His mission was one of the second leader group, who planned and led the March First Movement from behind. This study deals with his real role in the Mrch First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He gave aid to the Korean students in Tokyo, who declared the Korean independence at 8th, February in 1919. Their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ha influence on the March First Movement in their homeland. He was the first man, who met Son Gye-Baek, a messenger of Korean students in Tokyo, and communicated the fact to the Chundogyo leaders such as Choi Rin, Kwon Dong-Jin, Oh Se-Chang and Son Byung-Hee.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planned and led by the religious leaders. Chundogyo, Christianity and Buddism were the big and influential organization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se three powerful religious group joined one another for the Korean independence declaration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Hyun Sang-Yoon and Choi Nam-Sun communicated the Chundogyo leaders` plan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o the Lee Seung Hoon, who was the influential leader of the Korean Christianity. By Hyun and Choi`s truly patriotic mediati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Chundogyo leaders and the Christianity leaders was possible. Hyun Sang-Yoon wrote his memorie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46. His momories are vivid and real, so they have important historical value. The official records by Japanese colonialism do not say the facts which Korean independence leaders did not want to open to public for the fulfillment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ir friends` safe. This means that his memories have the importance as the historical evidence on the March First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