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드라마의 조선족 재현

        한희정,신정아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2

        Chosun-joks were represented in 23 Korean Dramas Between 2002 and 2018. We analyzed their roles and characters in each drama in order to question the representation of Chosun-jok in Korea. Results indicated that representations of Chosun-joks in Korea vary by gender. Female Chosun-joks were most often represented as strong and warm characters during the early 2000s and later they were most often represented as passive characters such as caring workers sacrificed in patriarchy. However, in dramas after 2010, female Chosun-joks were sometimes represented as professional or caring workers who revealed their thoughts and opinions. On the other hand, representations of male Chosun-joks in 2010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reproduced as the image in the movie The Yellow Sea(2010). The representation of male Chosun-joks in crime dramas is more brutal and violent, including characters like murder contractors, psychotic serial killers, illegal human traffickers, human organ traffickers and child kidnappers. Male Chosun-joks were also often represented as objects of deportation or outlaws. The reasoning behind their relocating to Korea, their assimilation into Korean socie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Koreans tend to be tied to making money. Though affirmative characters in dramas have emerged, negative images are stronger and more prevalent. The racial representations of Chosun-joks in Korean dramas are problematic because fictional stories and media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audience perceptions of reality. 국내에서 조선족이 등장한 드라마는 2002년부터 2018년 말까지 총 23편이다. 본 논문은 각 인물의 역할과 캐릭터를 분석하여 한국 드라마에서의 조선족 재현을 문제시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 미디어에서의 조선족 재현 추이는 젠더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드라마에서는 조선족 여성 캐릭터들은 전문직 종사자로 그려지거나 당당하게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밝히는 역할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반면 남성 조선족 재현은 2010년 영화 <황해>의 이미지가 지속적으로 반복 재생산되고 있다. 특히 OCN의 범죄물에서 남성 조선족의 역할은 살인청부업자,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범, 불법인체거래업자, 장기밀매범, 아동납치범 등 더욱 잔혹하고 폭력적으로 재현되었다. 둘째, 조선족은 드라마에서 흉악범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프레임 바깥으로 추방되거나 법의 심판을 받는 대상으로 그려진다. 이들이 한국에 오게 된 배경이나 한국 사회의 적응 과정, 한국인과의 관계 맺기는 대부분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부각되는 경향이 강했다. 이는 젠더 간의 차이와 상관없이 조선족 재현의 주요 특징으로 드러났다. 조선족 남성의 경우 잔혹한 범죄를 계획하고, 실행에 옮긴 후 한국 사회에서 절대 있어서는 안 될 악의 축으로 묘사되었다. 조선족 여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남성 범죄와 비슷한 납치, 장기밀매, 성매매, 살인 등의 죄를 저지른 후 죽음을 택하거나 처벌을 받는 형태로 프레임에서 사라지거나 추방당하는 방식을 보이면서 부정적 이미지가 더욱 세밀하게 강화되는 반면 조선족 체류 인구의 증가와 한국 사회 적응에 성공하는 긍정적인 캐릭터가 등장하기도 한다. 드라마의 조선족에 대한 인종주의적 재현이 “문제시”되어야 하는 이유는 허구로 시작된 이야기가 현실을 견인하면서 수용자들의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재한 조선족 혐오표현과 타자화 연구: 영화 〈청년경찰〉과 〈범죄도시〉를 중심으로

        음영철(Yeongcheol Eum),김정헌(Jeongheon Kim),노동욱(Dongwook Noh)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1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57

        Chosun-jok (Chinese with Korean heritage) are depicted as strangers and not Koreans in movies released after 2010. Moreover, they are stigmatized as criminals in South Korean society and are being subjected to otherization. Chosun-jok in movies are normally portrayed as a criminal group, and hate speech to them is socially accepted. Using two previous movies, Midnight Runners and The Outlaws, this study reveals that hate speech against Chosun-jok is caused by the desire to solidify the hierarchical status of Koreans in the process of shifting Korean society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analyzes and presents the meaning, context, and ripple effect of hate speech found in these two movies. Furthermore, this study discusses that these expressions are ultimately the product of the distorted nationalism in the consciousness of Koreans and the manifestation of economic superiority. Both Midnight Runners and The Outlaws are Korean films released in 2017 and describe how the Korean police force stops a criminal organization of Chosun-jok. The issues of these two movies are that they establishes a dichotomous structure of “pure Korean police force vs. corrupted Chosun-jok criminals” and “strong Chosun-jok villains vs. stronger Korean heroes.” They strengthen the stereotype of “Chosun-jok=criminals” and the dichotomous conflict composition of “Koreans vs. Chosun-jok” by depicting Chosun-jok as vicious criminals completely different from virtuous Koreans. This study explores Chosun-jok appearing in Korean mov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hate speech scenes of Midnight Runners and The Outlaws.

      • KCI등재

        한국 드라마의 조선족 재현에 대한 재한 조선족의 수용과 인식

        한희정,신정아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보 Vol.18 No.1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 by examining how Chosun-jok characters are represented in TV dramas from 2002 to the present. Based on the analysis of nineteen drama series from June 2002 to June 2018. it is seen that the Chosun-jok were exclusively represented in the context of violent crimes and deteriorating economic conditions. Especially all Chosun-jok men have been repeatedly represented as criminal characters such as brutal organized crime members. human traffickers. organ traffickers. and contract killers. which is especially problematic because they are being represented as killing people or committing heinous crimes without any contribution to the narrative. Except for heroines of two dramas in the 2000s. the Chosun-jok women are mainly represented in dramas as housewives. restaurant employees. or illegal immigrants. Ten Chosun-jok interview participants criticized the biased representations in dramas and dramas’ producers and script writers who obsessed with the appearance of Chosun-jok as subalterns in the past. And also they resist against such negative representations in drama. Meanwhile they are tend to resign themselves to their fate in the fact that the Korean-Chinese have become objects of hatred from the object of past ignorance. When Korean society starts to be concerned about the ethics of others, such violent representations would be considered ethically. 본 연구는 한국 TV 드라마의 조선족 재현에 대해 재한 조선족들은 어떻게 수용하고있는지 해석하고자 한다. 2002년부터 2018년 4월까지 종영한 19편의 드라마를 분석한결과, 조선족 남성은 모두 잔혹한 조직 폭력배, 인신매매, 장기밀매, 살인청부 등 범죄캐릭터로 반복 재현되는 양상을 띠었다. 한편 조선족 여성은 2000년대 <그대를 알고부터>와 <열아홉 순정>의 주인공 역할을 제외하면, 다소 예외적인 드라마도 있지만, 가정부, 식당아줌마, 불법체류자, 신분위장자, 보이스피싱 등의 범죄자로 재현되었다. 그러나 조선족 여성은 남성 재현과 달리 비록 불안한 신분이라 하더라도 성실하고 당찬 모습으로 재현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조선족 인터뷰 참여자 10명은 초기의 경제적 약자로서의 조선족 이미지에 집착하는 드라마 재현을 비판하고 저항의 목소리를 냈다. 한편, 한국 사회에서 정착 초기, 무시의 대상에서 혐오의 대상이 되었음을 인식하고 있는조선족들은 드라마의 부정적 재현에 대해 체념하고 포기하는 경향도 보였다. 특히 지속적인 남성 조선족에 대한 폭력적 재현은 인종주의적 차별의 표현으로서 윤리적 차원의문제 제기가 필요한 상황이다.

      • KCI등재

        『조선어문』 제재 수록 양상 연구 - 극문학 제재 현황을 중심으로 -

        윤금선 한국극예술학회 2014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45

        This research examines tendency of how the dramas are included on Chosun-Eomun which is Korean textbook of Chosun-jok and its learning activit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investigating how the drama is learned in Korean education of Chosun-jok. The revised edition of Chosun-Eomun in 2007 is analyzed in the research, and textbooks of every grade are aimed.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two ways. The first one describes a character of Chosun-Eomun and types of the dramas on the book, and the next one actual situation in the text book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textbook. Chosun-Eomun, unitary textbook of the national education has been changed as the information-oriented age has arrived in 21st Century. Especially, It is interesting that revised edition of Chosun-Eomun in 2007 refers to ‘The Standard of Literary Education of Chosun’ and 7th Curriculum Period of Korea. The dramas is divided into national play, foreign play, and Chinese play. National play is composed of plays, broadcast plays, musicals, operas. In the case of plays in textbook, it can be seen that several chapters borrow scripts and questions from textbooks of Korea. This is because they followed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Musical plays such as broadcast plays, musicals, operas are major works which are written by Chosun-jok or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number of these plays is only one of each genre. British and American dramas account for most of foreign plays, and they occupy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whole of scripts. It is distinguishing feature that most of foreign plays are included in selective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조선족의 국어교육 교재인 『조선어문』을 대상으로 극문학 제재 수록 양상 및 학습 활동을 고찰였다. 실제 분석에서는 극문학의 성격상 1. 민족극, 2. 해외극, 3. 기타 중국극 등 유형별로 고찰하였다. 분석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첫째, 일종의 예비고찰로서 『조선어문』 교재의 특징에 대해 살피고 극문학 제재의 유형을 정리하였으며, 둘째, 위의 교재의 특징 및 제재의 유형을 토대로 『조선어문』의 극문학 내용 및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2007년에 조선족의 조선어 교육 과정인 <조선어문과정표준>이 개정되었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변화된 사회 환경과 조선어 교육의 현실을 반영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제7차 국어교육과정을 참고로 하여 편찬되었다. 이에 따라 민족교육의 단일 교재인 『조선어문』도 새로운 교육과정을 반영하며 개편되었다. 극문학 수록 양상 및 학습 활동을 보면, 1. 민족극은 장르상 희곡, 방송극, 뮤지컬, 가극 등으로 대별된다. 희곡의 경우, 국내 국어 교과서 극본과 학습 문제를 그대로 차용한 단원들이 보이는데, 이는 한국의 7차 교육과정과의 영향 관계를 보여준다. 2. 방송극, 뮤지컬 및 가극 등의 음악극은 각각 1편씩 소수에 불과한데 각각 조선족, 한국, 북한 등에서 창작된 대표작을 수록하고 있다. 학습 활동은 장르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3. 해외극 및 중국극의 경우, 해외극은 전체 극본 유형 중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으며, 영미 희곡이 지배적이다. 또한 감상 위주의 ‘선택 과정’ 교과서에서 다루어지고 있어 감상을 위한 간단한 학습 활동만을 보인다.

      • KCI등재

        일하는 엄마의 조선족이모 고용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손여경 ( Yeo Kyoung Son ),이송이 ( Song Yi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2

        본 연구는 맞벌이 가정의 일하는 엄마가 입주가사 도우미인 조선족이모를 고용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로서, 연구결과를 통해 조선족이모의 고용과 관련한 서비스 및 정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한 인터넷 육아까페를 선정하여 조선족이모 관련 게시글 451건에 대한 질적분석과 조선족이모 고용경험을 가진 2인의 일하는 엄마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일하는 엄마가 조선족이모를 고용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하는 엄마가 조선족이모 고용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어려움의 범주는 근무조건, 육아, 가사, 생활방식에 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어려움으로는 비싼 임금, 부당한 임금인상, 휴무 및 보너스와 같은 추가비용 부담, 그리고 정부차원의 관리나 대책의 부재를 지적하였다. 육아와 관련해서는 엄마보다 조선족이모를 더 잘 따르는 현상(조선족 이모와의 애착), 조선족이모의 아동양육지식 및 기술 부족, 조선족이모의 말투를 배우게 되는 언어습득 문제, 부적절한 양육태도, 큰 아이에 대한 차별적인 대우가 일하는 엄마를 힘들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의 범주에서는 조선족이모의 위생관념 부족, 우리와 다른 음식문화의 차이, 가사활동 수행방법에 대한 견해와 생활문화의 차이로 인한 갈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선족이모의 생활방식과 관련하여 일하는 엄마들은 장시간의 TV시청, 잦은 전화통화, 다른 집과 비교하기, 일방적인 약속 불이행, 갑작스러운 지인의 방문, 가족 흉보기, 남녀차별, 무례한 태도, 불안한 사생활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rame of reference for family policy related to Chosun-jok(Korean-Chinese) female domestic worker employment by investigat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hosun-jok female domestic workers, from the perspective of working mothers.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451 opinions from an internet bulletin board focused on the topic of nurturing, and interviews with two working mothers. The results, show that working mothers recognized problems regarding the in working conditions, child rearing, housework, and lifestyle of Chosun-jok female domestic workers. First, working conditions were categorized into high wages, improper wage increases, additional expenses and absence of policy related to Chosun-jok female domestic worker employment. Second, child rearing was categorized into children`s preference of Chosun-jok female domestic workers to mothers, bush-league childcare skills, linguistic habits, the inept way of bringing up children and discrimination between children, and the housework was categorized into sanitation problem, different cooking, discord of domestic chores and the lack of housekeeping skills. Finally, the lifestyle of Chosun-jok female domestic workers was categorized into excessive TV watching, making too many telephone calls, making comparisons with other families, breaking promises, inviting relatives or neighbors to the home, speaking ill of family members, sexual discrimination, rude behavior, and unhealthy personal habits.

      • 거제도지역 아동의 보건위생 및 체력측정 연구 : BMI지수에 의한 중국 연변지역 조선족 아동과의 비교 Comparative Study with Ethnic Korean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y BMI Index

        남은우 高神大學校 保健科學硏究所 1995 보건과학연구소보 Vol.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of Korean and Chosun-jok elementary children. To accurately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Yanbian Area in China and Kojae in Korean during the period of June 15 to 16 in 1995. This survey was performed by using two survey methods. The first was the parents' survey metod. It asked structured questions about their children. The second method focused on the actual health of the children. It used the collection of children's physical records in school. Guided by the school teachres, each chil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to their parents. We used to analyze the data (666 questionnaires were incomplete and were not used in the analysis). Each questionnaire matched the data of their physical record: Body Weight, Body Height, Chest-Circumstance, Eyesight, Dental Health. Using the data, we compared the BMI(Body Mass Index) the Koreans and Chosun-Jok, the general physique of Chosun-Jok is inferior to that of Korean regardless of age and sex. Meanwhile, the average physical constitution of Korean compared the Chosun-Jok (i.e. eyesight and dental hygiene), revealed that the physical constitution of Chonsun-Jok is superior to that of Korean without concern of age and sex. Average BMI of Chonsun-Jok is lower than that of Koreans. But, it seemed that most of the students in both groups maintain an adequate health level. In the case of children from 10 to 12 years old, females are superior to males through all data contained of the body weight, the chest circumstance, and the body height. It seems that females and males have a different maximum growth age. Most of the parents preferred a good physique as a good health condition for their children. The physique of each child was affected with some variables, including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parent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student's physique in Korea is superior to that of Chonsun-Jok in China. But, Koreans are inferior to Ethnic Koreans in China in the students' physical constitution. In conclusion, we consider Chosun-Jok in China to maintain an adequate health level in their physique and physique costitution.

      • KCI등재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 현황과 방법

        박경용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1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Chosun-jok) diaspora is an useful method for recor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adaptation, the oral history of Korean-Chinese’s everyday lives. And it is history, culture contents and the text for analysis. Focused on Korean articles and books, there have been very poor only 16 books of life histories and 5 articles on this part until now. But it is much significant and worthwhile that these studies lead to more research about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in the future. I would propose 'the more inclusive oral life history’ as an alternative plan for up-grad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For this, we must inclusively contain the concerning oral tradition, oral testimony, life narrative and the oral history of everyday lives in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And then we must make up-grade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in the field of oral history. It is necessary for us to adopt different strategies according to two unlike diaspora types so as to study the oral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diaspora. The case of the first diaspora about Korean-Chinese in original regions should be all focused on oral tradition, oral testimony, life narrative and oral culture history of everyday lives. But another case of the second diaspora about Korean-Chinese in re-migration regions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ves in new migration regions than oral tradition and oral testimony. We can conserve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and make up for Korean history through recording of the oral life history about Korean-Chinese diaspora. We can make good use of it to education and culture tourism storytelling and for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broadcasting and movie, drama, literature, museum etc.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는 조선족의 이주와 적응, 생활사를 기록하고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방법론이자 역사문화콘텐츠이며 분석을 위한 텍스트다. 중국 조선족은 이미 초기 이주세대가 대부분 자연 사멸함으로써 이주와 적응, 생활사의 많은 기억이 소멸되어 안타까운 실정이다. 한국과 중국에서 한국어로 간행된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16권의 생애사와 5편의 논문이 산출된 정도여서 우선 양적으로 대단히 빈약하다. 하지만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의 단초를 열어주었다는 점에서는 그 가치와 의의가 적지 않다.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연구의 한 가지 대안으로 이른바 ‘포괄적 구술생애사’를 제시한다. 이는 구술생애사를 구전 및 구술증언 등과 더불어 구술사의 한 가지 단순한 분야로 간주하는 기존의 입장을 넘어서는 것을 의미한다. ‘포괄적 구술생애사’는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구전 및 구술증언, 생애담, 구술생활사 등을 모두 포괄함으로써 구술사 영역 내의 위상을 격상시키는 것이다.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는 디아스포라 유형에 따라 연구 전략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즉 동북3성의 본거지 조선족과 이곳을 떠나 중국 내외로 재이주한 조선족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의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이주 시기와 동기, 과정뿐만 아니라 연령층이 상이하고 이주지의 생활조건들이 달라 이주와 적응, 생활사의 양상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본거지 조선족 구술생애사는 구전과 구술증언, 생애담을 비롯하여 이주와 적응, 생활사 중심으로 접근한다. 반면 재이주지 조선족 구술생애사는 생애주기에 따른 생애담과 이주과정 외에 재이주사회에 정착, 적응하는 과정의 생활양상 위주로 접근한다. 필자는 우선 동북3성 각처의 ‘조선족 100인 디아스포라 구술생애사 기록’을 제안한다. 연구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 내 관련 연구기관이나 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사회에서 조선족으로 살아가기 : 동포모니터링단 <강강숲래> 활동 및 단원 인터뷰를 중심으로

        신정아,한희정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3

        본 논문은 조선족 미디어 모니터링단인 <강강숲래>에 참여하는 조선족 단원들의 인터뷰 자료와 관련 담론을 분석하여 조선족으로 살아가는 경험과 미디어교육으로 인한 정체성 변화를 논하고자 했다. <강강숲래>는 미디어 교육과 모니터링 실습을 통해 한국 미디어들의 조선족 재현에 심각성을 인식한 조선족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기구이다. 한국의 미디어 전문가와 시민단체인 동북아평화연대가 모니터링단의 구성과 발족을 지 원했고, 현재 자문위원과 후원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2015년 11월에 발족된 이후, 조 선족이 한국 미디어의 조선족 보도, 재현 문제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 구는 단원 심층인터뷰, 모니터링단 브로셔, 활동일지, SNS 단체 채팅방 대화 내용, 동 포신문의 단원 글을 텍스트로 하여 차마즈(Char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constructing grounded theory)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조선족은 일상 대화, 정책, 제도, 미디어 등 한 국사회 전반에 스며있는 ‘조선족포비아’에 의해 조선족임을 밝히지 못하는 정체성 혼동 을 겪게 된다. 중국동포 미디어 모니터링단 활동에 대한 귀납적 연구를 통해 중국동포 의 미디어 모니터링 활동은 한국사회에서 주체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동포모니터링단의 활동은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인 이주민들 이 건강하게 뿌리내리기 위해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들 을 뒷받침해 주었다. Since its establishment on November, 2015, the Media Monitoring Group for Korean Chinese has monitored TV programs and articles of newspapers. Moreover, it has discussed Chosun-Joks' representation or ways of reporting on media. This study examines ways in which Chosun-joks have changed their identities through the monitoring activities.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members of the monitoring group. Furthermore, we compiled monitoring diaries, group conversations in social networking sites with chat rooms, and writings of Korean Chinese newspapers. Charmaz's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was employed to analyze the texts. The results reveled that the monitoring activities of Korean Chinese have contributed to their lives in Korea, thereby helping them construct their subjective identities. Thus, media literacy education such as the monitoring activities of Korean Chinese is needed in Korea, as existing advanced studies have asserted.

      • KCI등재

        한 조선족 향촌의사의 생애와 중국 농촌 의료제도

        박경용(Bak, Gyung-Yo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1

        본고를 통해서는 한평생 마을 위생소를 운영해오면서 촌민들의 건강을 돌봐온 한 조선족 향촌의사의 삶을 통해 중국 농촌 의료제도의 존재 양상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농촌 의료제도는 사회주의 농촌 집체화와 더불어 이른바 ‘농촌합작의료’에 의해 유지되어 나왔다. ‘농민의 위생소’ 혹은 ‘농민의사’라는 말처럼, 촌위생소와 향촌의사는 농촌 주민들의 건강을 지키는 보루가 되어 왔다. 그렇지만 개혁개방 정책으로 농촌경제의 패러다임이 집체화에서 개체호로 전환되면서부터는 기층민의 사회주의 의료복지 시스템이었던 농촌합작의료제도도 차츰 와해되어 갔다. 국가의 지원이 없는 상태에서 촌위생소는 자연 폐쇄되거나 본고의 사례처럼, 촌위생소 운영체계도 변화가 생겨나 개별 운영체제로 재편되어 나갔다. 하지만 농촌의료 환경의 열악성에 대한 문제 제기와 당국의 사회보장 정책의 일환으로 1990년대 들어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농촌 위생소는 개혁개방 정책에 의한 자유경제 시스템으로의 사회변화를 수용하면서 사회주의 전통이 지속되는 가운데 공공성과 개인 차원의 영리적 성격이 혼재한다. 따라서 촌위생소의 의료공간은 사회주의의 공동성, 집단성과 사적이윤추구의 자본제적 경제논리가 만나는 접점으로 남아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rural medical system and its change in China by the narrative approach of Mr. P’s life, born in 1939 year as Chosun-jok(Chinese Korean) and being engaged in a village doctor through life. Chinese rural medicine have been supported by rural co-operative medicine system based on rural combination of socialism. Village health stations and village doctors, being each said as ‘health stations for peasant’ and ‘doctors of peasant’, had been constructed as a fort for their health and medicine. But rural co-operative medicine system had been gradually destructed by paradigm change from socialist combination to private operation in rural economic system after ‘the open-door and renovation policy’ in the 1980’s. As a result, rural residents had been suffered pain as for as bad medical conditions without support of central government. Therefore there have been driven forward the reconstruction of village health stations and village doctors by various forms. Now, village health stations contain both not only qualities of the communistic system but also of liberal economic system of private proper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