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강쇠가> 기괴성의 현대적 변화 양상과 의미

        서유석(Seo, You-Seok)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0

        <변강쇠가>는 문학사 혹은 문화사적으로 살펴볼 때, 그 의의가 매우 독특한 작품임에는 틀림없다. <변강쇠가>가 과도한 성묘사를 보여준다 할지라도, 작품이 가지고 있는 미의식은 기괴에 있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작품이 드러내고 있는 기괴성의 발현은 시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판소리가 아닌 창극, 영화와 같은 장르 변화에서도 기괴성의 본질은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기괴란 기본적으로 공포와 웃음의 결합과 같이, 양립할 수 없는 서로 다른 두 가지 미의식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분명히 <변강쇠가>는 이러한 미의식에 기반하여 새로운 미감을 창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대 사회의 문제점을 새로운 방식으로 공박하거나 폭로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근대 이후 <변강쇠가>를 가지고 이루어진 지속적인 변주는 양립할 수 없는 서로 다른 감정의 교묘한 결합이라는 기괴의 본질에서 조금씩 벗어나면서, 과도한 성적 묘사를 웃음으로 치환하여 <변강쇠가>가 가지고 있던 기괴성의 의미에서 벗어나고 있다. 특히 ‘불모(不毛)’의 음녀였던 옹녀는 어머니가 되고, 정절을 지키는 여성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도 있다. 성과 육체가 가지는 의미는 분명 시대에 따라 달리 해석되고 표현되는 것이 분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기괴성이 인간의 육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미의식임도 분명하다. 하지만 <변강쇠가>의 기괴성이 보여주는 문화적 변주 양상의 의미는 성의식에 대한 시대적 의미 변화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그에 따라 작품이 가지고 있는 기괴성의 의미도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or cultural history, studies on Byeongangsoega are certainly significant. Even though Byeongangsoega portrays excessive eroticism, it is clear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work is expressed in grotesque. However, the manifestation of grotesque by Byeongangsoega shows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times, and the essence of the grotesque seems to be increasingly weakening according to changes in genres such as Changgeuk, other than Pansori, and movies. The grotesque basically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and incompatible aesthetic consciousnesses, such as the combination of fear and laughter. Based on such combinations of incompatible emotions, Byeongangsoega could have not only created a new aesthetic sense but also refuted or exposed the problems faced by the society at the time in new ways. However, since the advent of the modern age, continuous variations of Byeongangsoega have gradually strayed from the essence of grotesque, which is an elaborate combination of different and incompatible emotions, and substituted laughter for excessive eroticism, causing a deviation from the meaning of grotesque that originally defined Byeongangsoega. Particularly, the aspect in which Ongnyeo, who was a lewd, “barren” woman, changes to become a mother and a woman maintaining fidelity can also be confirmed. It is obvious that the meanings of sex and body are interpreted differently in different times. Moreover, it is also clear that grotesque is an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is formed based on the human body. However, the meaning of the cultural aspect of the variations shown by the grotesque of Byeongangsoega is focused on changes in the meanings of sexu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times;henc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eanings of the grotesque depicted in the works of Byeongangsoega also change accordingly.

      • KCI등재

        「변강쇠가」에 나타나는 옹녀의 ‘개가’와 ‘몸’

        김미령 ( Miryeo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논문은 여성 서발턴이 실은 말하고 있지만 들리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억압된 구조의 현실 속에서 서발턴이 어떻게 말하고 행동하는지 목소리를 들여다보고 이를 통해 서발턴 여성의 경험과 언어를 좀 더 깊이 이해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변강쇠가」에 나타나는 서발턴 옹녀의 목소리, ‘개가’와 ‘몸’에 집중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첫째, 옹녀의 ‘개가’ 의지는 생존의 문제이자 살아남기 위한 주체적인 몸부림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옹녀가 그녀의 ‘몸’을 스스로 상품화하는 데는 자신의 몸을 통해 코드화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것으로, 이때의 메시지는 당대 지배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낸다는 점에서 「변강쇠가」의 의미를 새롭게 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재현된 문학을 통해 조선 사회 여성의 다양한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조선의 여성들이 차별을 벗어나 정치적 주체로 복원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voice of how subaltern speaks and behaves in the reality of repressed structures, an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and language of women in Westallton, noting that women’s subalterns are actually speaking but not being heard.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voices of the subalternn ong-nyeo, ‘remarriage’ and ‘bodies’, which appear in the Byeongangsoega; and as a result, First, her ‘remarriage’ will was a matter of survival and a repressed wriness to survive. second, that the ong-nyeo was trying to convey a coded message through her own body to commize her “body”, and that the message at this time was renewing the meaning of Byeongangsoega in that it cracks the ruling ideology of the time; this result is that reproduced literature confirms the various voices of women in Korean society, while at the same time confirming that women in Korea can be restored as political entities outside of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 KCI등재

        상부하고 개가하는 여성들의 서사 –〈변강쇠가〉와 〈덴동어미화전가〉를 중심으로

        전기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23 여성문학연구 Vol.59 No.-

        〈변강쇠가〉와 〈덴동어미화전가〉는 여성의 거듭된 상부(喪夫)와 개가(改嫁)의 서사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 함께 논의되어왔다. 본고는 옹녀와 덴동어미의 서사에서 발견되는 차이를 각 인물의 성격 문제로 환원하거나 그 차이의 우열을 나누는 시각을 지양하고, 두 여성인물의 서사를 다각적으로 살피며 비교 연구의 시각을 심화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이 여성들의 이야기가 배치되는 텍스트의 전체 구성을 살펴볼 경우, 〈변강쇠가〉가 이전에도 반복되어 왔으며 앞으로도반복될 옹녀의 개가와 상부의 서사 가운데 강쇠와의 만남을 중심으로 한 부분을떼어내어 조명한다면, 〈덴동어미화전가〉는 화전놀이의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를덴동어미가 해결한다는 맥락 안에 덴동어미의 상부와 개가의 서사를 배치하고있다. 한편 〈변강쇠가〉의 경우 결말에서 옹녀를 외따로 남겨둔 채 그 행방을 묘연하게 처리하는데, 이는 서술자의 논평으로조차 충분히 봉합되지 않는 불편감을 가중시킨다. 이에 반해 〈덴동어미화전가〉는 화전놀이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가 덴동어미의 발화를 통해 해결됨을 드러냄으로써, 모두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공동체 전체의 흥겨움을 고조시키며 마무리된다. 미결의 감각을 남기는 〈변강쇠가〉와 만족스러운 종결의 감각을 남기는 〈덴동어미화전가〉의 차이는, 어떠한공동체에도 포용되지 못하는 옹녀와 고향의 관계망에 연결되어 있는 덴동어미가 처한 조건 간의 차이와도 연관된다. 이로써 〈변강쇠가〉와 〈덴동어미화전가〉 는 공동체의 구성적 성격을 각기 다른 각도로 사유하게끔 추동한다. 공동체의 안과 밖, 그 경계의 폐쇄성과 유동성 사이를 오가도록 만든다는 점에서 두 텍스트는 함께 읽을 때 그 의미망이 보다 확장되는바, 이는 곧 비교 연구의 새로운 의의라고도 볼 수 있다. Byeongangsoega and Dendongeomiwhajeonga are juxtaposed due to their similar narrative involving a female character who experiences the repeated loss of her husband and subsequent involvement with a new partner.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s of Ongnyeo in Byeongangsoega and Dendong-eomi in Dendongeomiwhajeonga, and compares them from a new angle, moving beyond hierarchical evaluations of them and considering more various dimension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women’s relationships with their respective communities shows that the disparities between Ongnyeo and Dendong-eomi do not stem solely from their respective “inclinations” but are closely tied to the “conditions” that contextualize them. Their condition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the aesthetics of the text as well: the aesthetics of discomfort in Byeongangsoega and the aesthetics of harmony in Dendongeomiwhajeonga. It is because these aesthetics are closely linked to whether a female character who experiences the repeated loss of her husband and then remarries—in other words, one who deviates from the social norms of the late Joseon period—is excluded from the community or not. Building upon this analysis, this study seeks to reposition Byeongangsoega and Den dongeomiwhajeonga as significant sites for contemplating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boundary of the community.

      • KCI등재

        공포와 혐오, 환대의 가능성으로 읽어보는 유랑민 서사

        서유석(Seo, You-Seok)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60

        본 연구는 <변강쇠가> 연구의 커다란 두 축으로 파악되는 작품의 ‘기괴성’과 ‘유랑민 서사’라는 관점을 한 자리에 두고, 유랑민 서사가 가지는 기괴성의 의미를 다시 한번 조망해보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변강쇠와 옹녀의 성과 육체가 비정상적인 모습으로 묘사되는 것은, 사실 그들이 정착할 수 없는 유랑민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장승으로 대표되는 당대인들의 유랑민에 대한 적대적 정서는 작품 속에서 당대 <변강쇠가>의 향유층이 유랑민을 바라보는 공포, 혐오라는 시선에 함축되어 있다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작품의 두 주인공은 쫓겨난다. 하지만 이들의 잘못으로 쫓겨난 것이 아니다. 쫓겨난 것은 더럽다고 여겨진다. 정확히는 제자리에 있지 않는 것을 더러운 것, 혹은 문제적인 존재로 본다. 조선후기 다양한 사회 문제로 원래 살던 곳에서 더 이상 살 수 없어 유랑민이 된 존재는 더럽다. 옹녀가 그러하고, 변강쇠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옹녀의 경우 여성이기에 그 더러움은 더 강조된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모든 것이 제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강박을 여성에게 부과하기 때문이다. 박복한 팔자로 쫓겨난 옹녀는 유랑민이기에 더럽다. 더럽다는 것은 혐오의 대상이다. 유랑민은 더러운 존재이기에 혐오의 대상이 된다. 문제는 이 혐오가 공포로 이어질 때다. 혐오가 공포로 이어지는 이유는 혐오의 대상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한다. 유랑민은 낯선 존재이기에 정착민들에게 무지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무지의 대상이었던 옹녀와 변강쇠는 당연히 기괴한 존재가 된다. 정확히 그들은 정착민에게 괴물과 같은 존재가 되는 셈이다. 괴물과 같은 기괴한 존재는 공포로 다가온다. 공포를 기저에 둔 혐오는 혐오 대상의 실체를 밝힐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변강쇠가>에 등장하는 유랑민은 그들의 지난한 삶을 이해받을 수 있기보다는 언제나 정착민들을 위협하는 공포 혹은 혐오의 존재로 남을 수밖에 없다. 작품에 등장하는 장승은 분명 유랑민을 공포와 혐오의 대상으로 파악하는 정착민들을 상징한다. 하지만 장승의 징치가 사적인 복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적인 논의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주목을 요한다. 공적 징벌의 대상이 된 변강쇠와 옹녀는 어떤 의미에서 다시 정착할 수 있는 성원권을 가질 수 있을지도 모르는 대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유랑민이 장소를 더럽히는 존재로서만 사회 안에서 재현될 수 있던 것처럼, 유랑민도 공적 징치의 대상이 될 때, 유랑민의 존재는 향촌사회 정주민들에게 하나의 존재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작품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기괴한 변강쇠의 치상과정은 ‘사람다움’을 회복하기 위한 의례 수행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인간이 의례 수행을 통해 비로소 신성해질 수 있다면, 옹녀의 지난한 강쇠의 치상은 다시 성원권을 얻기 위한 치열한 노력으로 이해해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실패한다. 옹녀는 간 곳을 알 수 없고, 작품은 열린 결말을 맞이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s “Byeongangsoega” from the viewpoints of the work’s mystery and its refugee narrative. Byeongangsoe and Ongnyeo are described as sexually and physically abnormal because they are refugees. Furthermore, the people’s hostile feelings toward refugees, represented by totem poles, is implied in the fear of and disgust toward refugees felt by the class of people enjoying “Byeongangsoega” at the time. The two protagonists in the work are expelled. They are not expelled, however, because of their wrongdoing. What is expelled is regarded as dirty. What is not put in its right place is regarded as dirty or as problematic.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period, people regarded those who became refugees because they could not live in their places any longer due to diverse social problems as dirty. Ongnyeo is considered dirty, and Byeongangsoe is, too. Ongnyeo, as a woman, especially, sees her dirtiness further emphasized. For this reason, under the ideology of the patriarchal system, a compulsion that all things should be put in their right place was imposed on women. Ongnyeo, expelled because of her unlucky destiny, is dirty because she is a refugee. Dirtiness is the target of disgust. Since being a refugee is a dirty existence, he or she becomes the target of disgust. A problem develops when this disgust leads to fear. The reason disgust leads to fear is because it results from ignorance about the target of the disgust. Since being a refugee is an unfamiliar existence, refugees become the target of settlers’ ignorance. Ongnyeo and Byeongangsoe, as targets of ignorance, naturally become mysterious. To be specific, they become like monsters to the settlers. This mysterious, monstrous existence looms as fear. Aversion, accompanied by underlying fear, makes it impossible to determine the real identity of the target of disgust. Thus, refugees in “Byeongangsoega” must continue to be the expression of fear or disgust that constantly threatens the settlers, instead of being understood for their extremely difficult life. The totem poles in the work symbolize the settlers, who obviously see refugees as targets of fear and disgust. However, totem pole penalization is not limited to private revenge; our attention is brought to the fact that such penalization can be conducted through public discussion. Byeongangsoe and Ongnyeo, who become the targets of public punishment, may, in a sense, return to having the membership right to settle back into their original place. As refugees can only exist in a place that defiles society, when they are targets of public penalization, they can expose themselves as settlers in the rural community. The mysterious funeral of Byeongangsoe, in the last stage of the work, is seen as a rite that restores humaneness. As a man can be made sacred through the practice of rituals, Ongnyeo’s sincere funeral rite for Byeongangsoe is seen as a fierce effort to get her membership right back. The effort fails, however. Ongnyeo disappears and cannot be found anywhere, and the work ends with an open conclusion.

      • KCI등재

        공포와 혐오, 환대의 가능성으로 읽어보는 유랑민 서사-<변강쇠가>를 중심으로-

        서유석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60

        본 연구는 <변강쇠가> 연구의 커다란 두 축으로 파악되는 작품의 ‘기괴성’과 ‘유랑민 서사’라는 관점을 한 자리에 두고, 유랑민 서사가 가지는 기괴성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조망해보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변강쇠와 옹녀의 성과 육체가 비정상적인 모습으로 묘사되는 것은, 사실 그들이 정착할 수 없는 유랑민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장승으로 대표되는 당대인들의 유랑민에 대한 적대적 정서는 작품 속에서 당대 <변강쇠가>의 향유층이 유랑민을 바라보는 공포, 혐오라는 시선에 함축되어 있다고 예상하기 때문이다. 작품의 두 주인공은 쫓겨난다. 하지만 이들의 잘못으로 쫓겨난 것이 아니다. 쫓겨난 것은 더럽다고 여겨진다. 정확히는 제자리에 있지 않는 것을 더러운 것, 혹은 문제적인 존재로 본다. 조선후기 다양한 사회 문제로 원래 살던 곳에서 더 이상 살 수 없어 유랑민이 된 존재는 더럽다. 옹녀가 그러하고, 변강쇠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옹녀의 경우 여성이기에 그 더러움은 더 강조된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모든 것이 제자리에 있어야 한다는 강박을 여성에게 부과하기 때문이다. 박복한 팔자로 쫓겨난 옹녀는 유랑민이기에 더럽다. 더럽다는 것은 혐오의 대상이다. 유랑민은 더러운 존재이기에 혐오의 대상이 된다. 문제는 이 혐오가 공포로 이어질 때다. 혐오가 공포로 이어지는 이유는 혐오의 대상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한다. 유랑민은 낯선 존재이기에 정착민들에게 무지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무지의 대상이었던 옹녀와 변강쇠는 당연히 기괴한 존재가 된다. 정확히 그들은 정착민에게 괴물과 같은 존재가 되는 셈이다. 괴물과 같은 기괴한 존재는 공포로 다가온다. 공포를 기저에 둔 혐오는 혐오 대상의 실체를 밝힐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변강쇠가>에 등장하는 유랑민은 그들의 지난한 삶을 이해받을 수 있기보다는 언제나 정착민들을 위협하는 공포 혹은 혐오의 존재로 남을 수밖에 없다. 작품에 등장하는 장승은 분명 유랑민을 공포와 혐오의 대상으로 파악하는 정착민들을 상징한다. 하지만 장승의 징치가 사적인 복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적인 논의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주목을 요한다. 공적 징벌의 대상이 된 변강쇠와 옹녀는 어떤 의미에서 다시 정착할 수 있는 성원권을 가질 수 있을지도 모르는 대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유랑민이 장소를 더럽히는 존재로서만 사회 안에서 재현될 수 있던 것처럼, 유랑민도 공적 징치의 대상이 될 때, 유랑민의 존재는 향촌사회 정주민들에게 하나의 존재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작품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기괴한 변강쇠의 치상과정은 ‘사람다움’을 회복하기 위한 의례 수행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인간이 의례 수행을 통해 비로소 신성해질 수 있다면, 옹녀의 지난한 강쇠의 치상은 다시 성원권을 얻기 위한 치열한 노력으로 이해해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실패한다. 옹녀는 간 곳을 알 수 없고, 작품은 열린 결말을 맞이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s “Byeongangsoega” from the viewpoints of the work’s mystery and its refugee narrative. Byeongangsoe and Ongnyeo are described as sexually and physically abnormal because they are refugees. Furthermore, the people’s hostile feelings toward refugees, represented by totem poles, is implied in the fear of and disgust toward refugees felt by the class of people enjoying “Byeongangsoega” at the time. The two protagonists in the work are expelled. They are not expelled, however, because of their wrongdoing. What is expelled is regarded as dirty. What is not put in its right place is regarded as dirty or as problematic.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period, people regarded those who became refugees because they could not live in their places any longer due to diverse social problems as dirty. Ongnyeo is considered dirty, and Byeongangsoe is, too. Ongnyeo, as a woman, especially, sees her dirtiness further emphasized. For this reason, under the ideology of the patriarchal system, a compulsion that all things should be put in their right place was imposed on women. Ongnyeo, expelled because of her unlucky destiny, is dirty because she is a refugee. Dirtiness is the target of disgust. Since being a refugee is a dirty existence, he or she becomes the target of disgust. A problem develops when this disgust leads to fear. The reason disgust leads to fear is because it results from ignorance about the target of the disgust. Since being a refugee is an unfamiliar existence, refugees become the target of settlers’ ignorance. Ongnyeo and Byeongangsoe, as targets of ignorance, naturally become mysterious. To be specific, they become like monsters to the settlers. This mysterious, monstrous existence looms as fear. Aversion, accompanied by underlying fear, makes it impossible to determine the real identity of the target of disgust. Thus, refugees in “Byeongangsoega” must continue to be the expression of fear or disgust that constantly threatens the settlers, instead of being understood for their extremely difficult life. The totem poles in the work symbolize the settlers, who obviously see refugees as targets of fear and disgust. However, totem pole penalization is not limited to private revenge; our attention is brought to the fact that such penalization can be conducted through public discussion. Byeongangsoe and Ongnyeo, who become the targets of public punishment, may, in a sense, return to having the membership right to settle back into their original place. As refugees can only exist in a place that defiles society, when they are targets of public penalization, they can expose themselves as settlers in the rural community. The mysterious funeral of Byeongangsoe, in the last stage of the work, is seen as a rite that restores humaneness. As a man can be made sacred through the practice of rituals, Ongnyeo’s sincere funeral rite for Byeongangsoe is seen as a fierce effort to get her membership right back. The effort fails, however. Ongnyeo disappears and cannot be found anywhere, and the work ends with an open conclusion.

      • KCI우수등재

        변강쇠가에 나타난 反 烈女담론 성향 - 治喪화소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152 No.-

        <P>It was general to prescribe 『Byeongangsoega』 as the discourse of sexual ethics or the discourse of having reflected life in nomadic people. However, this study regarded it as being able to elicit the motif-consciousness, which had been made more acute, through analyzing Ongnyeo"s thinking or Chisang(performing a funeral service). As a result of mutually comparing Byeongangsoega and the exemplary woman(烈女) discourse in such aspect, both discourses were noted especially a point of accepting with the central case of Chisang. Chisang(治喪) in the exemplary woman discourse is shown in one element of Yeolhaeng(烈行).</P><P> On the other hand, it is changed into motif, which exerts great usefulness in ridiculing or criticizing an idea of Yeol(烈) in 『Byeongangsoega』. Heroines in the biographies of chaste women don"t raise any objection to what Chi sang is a task that will need to endure and accept all the pains and trials. However, despite that Gangsoe asked for faithfulness and suttee, Ongnyeo results in facing big difficulties due to Gangsoe"s curse in the wake of trying to hastily perform a period of mourning by calling men outside in.</P><P> Given saying the curse made by Gangsoe as patriarchal arrogance that the lower-class man imposes to the lower-class woman, it is what suggests that even Ongnyeo, who is an owner of history in demoralization, couldn"t help being limited the width of movement as much as being within the male-dominated structure. However, Ongnyeo didn"t easily satisfy a husband"s request. Without abandoning own slogans such as life of centering on couple, neglect of Bulgyeongibu(不更二夫), and conquest of a sense of sin, which had been insisted in the beginning, Ongnyeo seems as if waiting for the male-dominated thought to be changed.</P><P> What the intention of having aimed to reveal consciousness of lower-class woman. who opposes to the patriarchal authority in high-class man. failed to be fully delivered to readers will result from that the integument in discourse called joke & humor previously captured line of vision.</P>

      • KCI우수등재

        변강쇠가에 나타난 反 烈女담론 성향

        김승호(Kim Seung-Ho)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 No.152

        It was general to prescribe 『Byeongangsoega』 as the discourse of sexual ethics or the discourse of having reflected life in nomadic people. However, this study regarded it as being able to elicit the motif-consciousness, which had been made more acute, through analyzing Ongnyeo's thinking or Chisang(performing a funeral service). As a result of mutually comparing Byeongangsoega and the exemplary woman(烈女) discourse in such aspect, both discourses were noted especially a point of accepting with the central case of Chisang. Chisang(治喪) in the exemplary woman discourse is shown in one element of Yeolhaeng(烈行). On the other hand, it is changed into motif, which exerts great usefulness in ridiculing or criticizing an idea of Yeol(烈) in 『Byeongangsoega』. Heroines in the biographies of chaste women don't raise any objection to what Chi sang is a task that will need to endure and accept all the pains and trials. However, despite that Gangsoe asked for faithfulness and suttee, Ongnyeo results in facing big difficulties due to Gangsoe's curse in the wake of trying to hastily perform a period of mourning by calling men outside in. Given saying the curse made by Gangsoe as patriarchal arrogance that the lower-class man imposes to the lower-class woman, it is what suggests that even Ongnyeo, who is an owner of history in demoralization, couldn't help being limited the width of movement as much as being within the male-dominated structure. However, Ongnyeo didn't easily satisfy a husband's request. Without abandoning own slogans such as life of centering on couple, neglect of Bulgyeongibu(不更二夫), and conquest of a sense of sin, which had been insisted in the beginning, Ongnyeo seems as if waiting for the male-dominated thought to be changed. What the intention of having aimed to reveal consciousness of lower-class woman. who opposes to the patriarchal authority in high-class man. failed to be fully delivered to readers will result from that the integument in discourse called joke & humor previously captured line of vision.

      • KCI등재

        실전 판소리의 재탄생 연구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중심으로-

        이소정 ( Lee Soje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마담 옹(Madame Ong)>이라는 제목으로 그 작품성을 인정받은 국립창극단의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통해 실전판소리가 어떻게 새롭게 재탄생되었는지, 그 과정에 주목하여 이 작품의 텍스트와 음악적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현재에는 실전된 판소리 <변강쇠가>를 각색하여 창극으로 만든 작품이다. 이 과정에서 변강쇠의 치상부분인 후반부의 내용을 삭제하고, 옹녀가 변강쇠를 되찾아오기 위해 장승들과 전쟁을 벌이는 내용을 새롭게 삽입하여 텍스트의 변화를 주었다. 또한 <변강쇠 점 찍고 옹녀>라는 제목에서도 드러나듯, 원작과는 다른 관점으로 변강쇠가 아닌 옹녀를 주인공으로 삼아 그동안 음녀로만 여겨졌던 옹녀를 자신의 운명에 맞서 싸우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인으로 변모시켰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모든 소리가 작창으로 만들어졌는데, 극과 가장 부합되는 소리, 즉 이면에 맞는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창자간의 화음을 넣는 등,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또한 소리를 하는 인물 혹은 등장인물의 심경 변화에 따라 그 소리의 조와 성음이 달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특히 반주음악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는데, 소리북을 여러 개 사용하거나 대중가요에서 왈츠, 클래식, 각도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하는 등 도전적인 시도를 했다. 이러한 시도들은 극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고 사실감 있는 극적표현을 도와주었다. 이렇듯, 창극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고전서사를 차용했지만, 음악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창극에서 벗어난 다양한 변화와 시도들을 통해, 온고지신의 면모를 갖춘 새로운 창극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현대 사회에서 창극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해 준 작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xt and musical characteristic of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a changgeuk (a Korean traditional opera), b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which was performed overseas with the title of < Madame ONG > and recognized its artistic values home and abroad alike, focusing on the process of its rebirth from a lost pansori. A changgeuk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was dramatized from a lost pansori < Byeongangsoega > into a Korean traditional opera. In the process of rebirth of < Byeongangsoega >, the content of latter half, which is the performance of a funeral service for the deceased Byeongangsoe, was deleted, and the contents of Ongnyeo’s fight against jangseungs in order to take back Byeongangsoe was newly inserted, thus creating textual changes. In addition, as the title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presents, Ongnyeo is no longer a conventional lewd woman, but a subjective and independent female who is fighting against fate, different from its original perspective in which the leading character is Byeongangsoe. All the sounds of a changgeuk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were made by the creative technique of traditional Korean songs through various attempts, such as inserting chords between performers in order to present most appropriate songs for the opera, namely proper sounds for the hidden side of the oper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mind of performers or characters, the tone and vocal sound of the song were different. In particular, a changgeuk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attempted a variety of techniques in the accompaniment of music, and used many sound buks or diverse genres such as popular music, waltz, classic and folk songs of every province, thus presenting challenging attempts. These attempts made the opera more abundant and helped it to be expressed realistically and dramatically. As above, the contents of a changgeuk < Byeongangsoe Jeom Jjikgo Ongnyeo > were borrowed from classical narrations, but its musical aspects got off the technique of traditional changgeuk, thus attempting various changes and techniques. In this vein, it presented a novel modality of changgeuk equiping with the characteristic of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thus proposing the directivity and possibility of changgeuk in the present society.

      • KCI등재

        신재효 개작사설의 이질성에 대한 재고(再考)

        이지영 판소리학회 2017 판소리연구 Vol.43 No.-

        Sin Jae-Hyo remade six pansori works; however, we find that there is a lack of consistency in the remade versions. Namchang-Chunhyangga caters to the tastes of the nobility, whereas Byeongangsoega is too obscene and vulgar for the nobility to appreciate. I think it came from Sin’s attributes as a pansori agent; his remade versions adapted to each group of spectators, from the low-ranking officers to the nobles and the rich who could pay for pansori. All Sin’s versions have sexually charged scenes, which are for the male spectators of pansori. However, the grotesque scenes in Byeongangsoega are supposed to have been adapted for low-ranking officers. 이 글은 신재효 개작사설에 존재하는 이질적인 속성을 그의 개작동기를 재설정함으로써 해명하고자 하였다. 1877년부터 1880년 인근 고을 향리가 신재효에게 보낸 편지 및 이 즈음 신재효의 재산 상황을 보면, 그는 단순히 판소리를 애호하여 후원한 것이 아니라 않고 판소리 연행의 기획자이자 중개자로 활동한 듯하다. 그렇다면 신재효 사설의 이질적인 면은 당대에 대가를 지불하고 판소리를 감상하던 다양한 향유층의 취향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신재효는 양반에서부터 군교 및 향리, 요호부민까지 각각의 향유층이 선호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이들의 취향에 부합되는 사설을 만들고자 하였는데, 그 중 <춘향가>는 모든 계층에서 인기를 끌었기에 취향에 따라 판소리 광대의 <남창춘향가>와 창동(唱童)의 <동창춘향가>로 나누어 개작한 것이 아닐까 한다. 신재효의 모든 개작 사설에서 두루 나타나는 성적인 묘사는 당대 판소리를 향유하던 남성 향유층의 취향에 맞춘 것으로 보이지만, <변강쇠가>에 나타난 기괴미는 하급무사 및 군교 등의 취향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性描寫의 傳統 속에서 본 『변강쇠가』의 〈기물타령〉

        이문성(Lee Moon-s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2 No.-

        성묘사의 전통은 상고시대로부터 계승된다. 성기 및 성교의 묘사가 이루어진 사례들은 대체로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성묘사를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만 이해할 수 있는지 의문스럽다. 조선후기 시정예술을 살펴보면 다산과 풍요의 염원을 담은 생산적인 성묘사뿐만 아니라, 호색과 퇴폐의 경향을 띠는 비생산적인 성묘사도 확인된다. 판소리 『변강쇠가』의 경우, 성묘사는 규모와 내용에서 손꼽힌다. 그러나 『변강쇠가』의 성묘사는 다산과 풍요와는 상관이 없다. 『변강쇠가』의 옹녀와 〈기물타령〉은 불모의 성을 의미한다. 이처럼 비생산적이고 호색적인 의미의 성은 조선후기 판소리뿐만 아니라 사설시조와 춘화 등에서도 확인된다. 생산적인 염원과 소비적인 경향의 성묘사는 빛과 그림자처럼 한 쌍을 이루었던 것이다. 이러한 공존현상은 조선후기 시정예술에 한정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 면밀히 새겨야 할 듯하다. The sexual description means the describing of sex organs and sexual intercourses in this article. The tradition of the sexual description continues to do until now from the ancient era. In general, the sexual description is a symbol of the fecundity and the fertility but it is doubtful that the sexual description just means the fecundity and the fertil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xual description means not only the fecundity and the fertility but also the sensuality and the decadence. In a case of Pansori Byeongangsoega, it is wellknown for the sexual description in a scale and a content. This sexual description does not mean the fecundity and the fertility. A main character, Ong-nyeo and a main song, Gimultaryeong in Byeongangsoega symbolize the sterility. As like this, the sexual description of the sensuality and the decadence is found in the poetry and the pornogra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xual description has both kinds of meanings that are a productive desire and a consumptive trend. These kinds of phenomena continue to do until now. Much more researches on the sexual description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