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MI와 %Fat에 의한 비만도 평가가 고지혈증 진단에 미치는 영향

        고성경 한국운동생리학 2005 운동과학 Vol.14 No.1

        BMI와 %Fat에 의한 비만도 평가 방법에 따라 고지혈증 진단이 어떻게 변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29-70세의 남성 2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BMI는 2000년 아시아인을 위한 WHO의 평가 기준에 의해 저 체중, 정상체중, 위험체중 및 비만으로 분류하였고 %Fat는 미국스포츠의학회의 분류 기준에 따라 정상체지방, 과체지방 및 비만 Ⅰ, Ⅱ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BMI와 %Fat 사이에는 r=.72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HDL-C와 중성지방을 제외할 경우 %Fat과 혈중지질과의 상관관계가 BMI에 비해 높았다. BMI와 %Fat이 고지혈증 발생에 미치는 정도는 로지스틱 회귀식으로 조사하였는데, BMI에 비해 %Fat가 증가할 때마다 총 콜레스테롤과 HDL-C, 중성지방, LDL-C, TCH/HDL 그리고 LDUHDL이 비정상일 위험도가 더 컸던 것으로 볼 때 %Fat를 이용한 고지혈증의 예측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MI와 %Fat가 정상 범주에 있는 사람에 비해 비만자의 고지혈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였을 때, BMI에 비해 %Fat가 20%이상인 사람은 정상 체지방인 사람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이 비정상적일 가능성미 8.03배였으며, HDL-C는 3.51배, 중성지방은 16.00, LDL-C는 610배, TCH/HDL는 11.68배 그리고 LDL/HDL는 8.27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이 또한 BMI 방법에 비해 %Fat에 의한 고지혈증 진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BMI 방법과 %Fat 방법에 따라 고지혈증의 진단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으며 BMI 방법을 이용할 경우 고지혈증으로 진달될 수 있는 가능성이 %Fat에 비해 낮아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diagnosis of blood lipoprotein differed for according to BMI and %Fat. The BMI was classified according to a evaluation basis of WHO for an Oriental, and %Fa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ACSM's guidelines. Subjects were 20-70 years ol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each four groups according to BMI and %Fat. As a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r=.72) between BMI and %Fat, and lipoprotein's correlation with %Fat is high than BMI in case except HDL-C and Tg. Effects that BMI and %Fat on hyperlipemia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xponential risks of %Fat were higher than BMI in TCH and HDL-C, Tg, LDL-C, TCH/HDL and LDL/HDL. Therefore, estimate of hyperlipemia by %Fat is more effective than BMI method. When it was compared between a person with normal BMI and % Fat and obese person, odds-ratios of %Fat as a hyperlipemia occurrence index were higher than BMI. Therefore, hyperlipemia diagnosis by %Fat is more effective than BMI method. In conclusion, diagnosis results of hyperlipemia according to BMI and %Fat could become different conclusively. In this study it seems that BMI's diagnosis ability on hyperlipidemia is low. Therefore only using of BMI on lipoprotein's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hyperlipidemia are not recommended.

      • KCI등재

        BMI(Body Mass Index)가 소득에 미치는 영향

        하형석 ( Hyung Serk Ha ),임재영 ( Jae Young Lim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2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8 No.2

        개인의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수준, 숙련도, 개인의 능력 등 무수히 많은 요인들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여러 요인들 중에서 특히 체형(Bodily shape)가 소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정확한 인과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체형에 대한 대리변수(Proxy variable)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사용하였으며, BMI가 갖는 내생성을 통제하여 기존의 연구들이 정확히 고찰하지 못한 BMI가 소득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려고 하였으며 이를 위해 Two stage estima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1단계 추정과정에서 식료품 소비자물가지수를 도구변수로 활용하여 BMI를 추정하였고, 이렇게 추정된 BMI를 2단계 추정과정에 사용하여 체형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추정 결과,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소득수준이 낮은 구간에서는 BMI로 표현된 체형이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나, 소득수준이 높은 구간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해본 결과, 여성의 경우에는 BMI가 과소체중 상태(Underweight) 및 과체중 상태(Overweight)에 해당될 경우 모두 정상체중 상태의 사람에 비해 해당소득구간 대비 고소득구간에 포함될 확률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알수 있었던 반면 남성의 경우에는 과소체중 상태의 사람들의 소득수준에 BMI의 음의 영향이 발견되었을 뿐, 과체중 상태에 있는 사람의 경우 음의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남성의 경우보다 여성의 경우 BMI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are so many factors that affect an individual income level, which may include, for instance, level of education, job experiences, and personal abilities. Among them,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recis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bodily shape and income level. We used the Body Mass Index(BMI) as a proxy variable for bodily shape.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endogeneity of BMI, which previous studies had not been able to show precise causal relationships. Two Stage Estimation Method is used to find out the degree of effects of the BMI on the income level. In the first stage, the BMI is estimated by using consumer price index of food and beverages as an instrumental variable, and the estimated BMI is used in the second stage to find out the effect of bodily shape on individual income level. We find that the effect of bodily shape represented by the BMI on the income level was significant in low-income levels. However, such effect was insignificant in high-income levels. We also analysed the results with distinction of gender. In case of women,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higher income levels becomes lower when the individual is either underweight or overweight measured through the BMI. In case of men, on the contrary, the negative effect of bodily shape is significant only when the individual is underweight. The negative effect was not found in the cases of overweight individuals. The results imply that the effect of the BMI on income levels is relatively higher in cases of women than that of men.

      • KCI등재

        아동 · 청소년의 BMI에 따른 식생활습관 및 인식 연구

        이여진(Lee, Yeo-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비만실태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시행한 용역연구과제중 ‘2009 한국 아동·청소년 온라인게임 및 가족여가활동실태조사’ 연구결 과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활용 대상자는 초등학생 2,778명, 중학생 3,385명, 고등학생 3,299명 총 9,462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BMI에 따라 그룹화 하였다. 저녁식사 후 간식 섭취는 18.5>BMI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38.8%, 18.5≤BMI<23.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1.1%, 23.5≤BMI<25.0 그룹은 그렇지 않다고 40.1%, 25≤BMI 그룹 은 그렇지 않다고 37.4%로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다(p=0.001).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지 조사한 결과 BMI 지수 가 높은 그룹 일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시간 등과 같은 시간에 적극성을 조사한 결과 BMI 지 수가 낮은 그룹 일수록 적극적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위사람과의 식사 속도 역시 BMI 지수가 높은 그룹 일수록 식사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 시기에 올바른 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 준다면 보다 건강 하고 윤택한 삶을 영유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청소년기의 올바른 인식과 생활습관을 갖추도록 해주어 보다 건강하 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청소년은 물론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of the relevant factors according to the obesity statu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ervices research studies conducted in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of the '2009 Children and Youth Online Games and Family Activity Survey findings utilizing data. Study, the subjects utilized 9,462 elementary school students 2,778 people, 3,385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3,299 people were enrolled in the study.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BMI of the study subjects. After dinner snack intake 18.5>BMI groups disagree 38.8%, 18.5≤ BMI<23.0 group it was 41.1%, 23.5≤BMI<25.0 group it was 40.1%, 25≤BMI groups disagree 37.4% response was highest(p=0.001). Investigate whether regular exercise every day, results showed that a high BMI index groups do not exercise more. Aggressiveness in time, such as physical education, the survey showed that a low BMI index group more likely to exercise vigorously. BMI index group of people around you and the speed of eating more meals were faster. If you let more to allow time to practice proper education of children and youth, health and enrich lives of the appropriation will be able to Services to live a healthy and happy life than to correct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o do this, there is a need to educate parents, children and youth, as well as.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20, 30대 남성 근로자의 연령 및 BMI에 따른 건강상태

        장현숙,최주희,Jang, Hyun-Sook,Choi, Ju-H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대구 경북지역 20, 30대 남성근로자 224명을 대상으로 BMI에 따른 신체적 특성, 건강상태를 조사하였다. BMI는 20대 $23.67\;kg/m^{2}$, 30대 $23.95\;kg/m^{2}$로 조사대상자 모두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정상 범위인 $18.5{\sim}23\;kg/m^{2}$에서 벗어난 과체중으로 조사되었다. BMI에 따른 신체적 특성은 체중, 이상체중비율, BMI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나타냈다. 그리고 신체둘레 측정 결과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허리/엉덩이 둘레비는 비만군, 과체중군, 정상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허리/엉덩이 둘레는 30대가 20대보다 크게(p<0.01)나타났다. 체구성성분 측정 결과 체지방률{body fat(%)}과 체지방량{body fat(kg)}은 비만군, 과체중군, 정상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BMI가 증가함에 따라 관리요망군과 질환의심군의 비율이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였고, 평균 혈압은 비만군이 정상군 및 과체중군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01)가 있었으며, 공복시 혈당은 30대가 20대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간질환의 유무를 알 수 있는 지표인 SGOT, SGPT 및 $\gamma-GTP$는 BMI별로 보면 비만군은 정상군 및 과체중군보다 높아 유의적인 차이(SGOT, SGPT; p<0.001, $\gamma-GTP$; p<0.01)를 보였으며 비만군의 SGOT는 43.58 U/L로 정상범위에서 벗어났다. $\gamma-GTP$를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34.74 U/L로 정상군에는 속하지만 20대의 28.06 U/L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건강상태와 음주 및 흡연 유무에 따른 생화학적 상태를 살펴보면, 건강상태에 따른 수축기혈압은 관리요망군, 질환의심군, 정상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1)를 보였으며, 확장기혈압, 총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SGOT, SGPT 및 ${\gamma}-GTP$는 정상군 및 관리요망군과 질환의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gamma-GTP$는 음주 근로자가 33.79 U/L, 비음주 근로자가 26.64 U/L로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고, 수축기 혈압과 헤모글로빈은 각각 흡연 근로자가 124.65 mmHg, 15.82 g/dL이고, 비흡연근로자는 120.43 mmHg, 15.38 g/dL로 나타나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p<0.01)를 보였다.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BMI, 이상체중비율(%),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 허리/엉덩이 둘레비, 체지방량, 체지방률(%)이 높으며, 이에 따라 수축기혈압과 확장기혈압, 총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SGOT, SGPT, $\gamma-GTP$ 모두 높아진다(p<0.001, p<0.01,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조사대상자인 20, 30대 남성 근로자 대부분이 과체중에 속하며, 체중이 증가할수록 BMI,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체지방률(%) 등이 증가하고 BMI가 높아질수록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SGOT, SGPT, $\gamma-GTP$ 등의 생화학적 수치들이 높아져 건강상태가 좋지 않게 된다. 음주와 흡연 역시 혈압, $\gamma-GTP$ 등을 높여 건강상태 악화에 한 몫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 30대 남성근로자들의 연령 및 비만도의 증가에 따라 건강상태가 나빠지며 성인병 유병률의 가능성이 높아짐을 인식하고, 이러한 건강 위험요인들을 개선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더불어 규칙적인 운동과 음주, 흡연, 업무 과중, 스트레스와 같은 생활습관 및 불규칙한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age and BMI by interviewing male work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the Daegu Gyeongbuk region. The body measurement was assessed by height, weight, BMI, body circumference (waist, hip), waist-hip ratio and body fat mass. The health status has been analyzed and assessed as normal group, health concerned group and health suspected groups. Weight, percent ideal body weight (PIBW), BMI and body circumference (waist, hip) and waist-hip ratio was proven higher according to the order of obese group, overweight group and normal group. Waist-hip ratio was proved to be higher in the thirties group than the twenties. Body fat mass was higher in the obese, overweight and normal groups. In the concerns of health status, the ratio of health concerned group and health suspected group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MI. Blood pressure (SBP, DBP) was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and overweight groups, and blood glucose was higher in the thirties than in the twenties. SGOT, SGPT, ${\gamma}-GTP$ has been proven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and overweight group, ${\gamma}-GTP$ was higher in the thirties than in the twenties.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of the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heavy weight resulted in heavier BMI, PIBW, body circumference (waist, hip), waist-hip ratio and higher body fat mass. Blood pressure (SBP, DBP), total cholesterol, blood glucose, SGOT, SGPT and ${\gamma}-GTP$ all became higher according to these influences. In conclusion, male workers have to recognize that health status becomes worse and possibilities of chronic disease prevalence rate increases according to aging and the increase of BMI.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prevent chronic diseases.

      • KCI등재

        The Role of Bmi1 in Pilocarpine-induced Status Epilepticus in Mice

        Hae-In Pyeon(편해인),Jia Bak(박지아),Yun-Sik Choi(최윤식) 한국생명과학회 2020 생명과학회지 Vol.30 No.6

        Bmi1은 PcG 단백의 일종으로 PRC를 구성하는 성분이다. Bmi1에 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암세포에서의 역할에 집중되었고, 그 결과 Bmi1은 암세포의 증식과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 Bmi1은 퇴행성 신경계 질환이 있는 뇌에서 발현이 감소되어 있고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과 활성산소 수준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mi1 발현 저하 동물을 이용하여 간질에서 Bmi1의 약물 치료 표적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Bmi1의 발현은 pilocarpine에 의한 경련중첩증 이후 해마의 CA1, CA3 그리고 치상회에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경련 양상을 볼 때 경련중첩증이 유도되는 비율은 Bmi1<SUP>+/+</SUP>와 Bmi1<SUP>+/-</SUP> 생쥐에서 각각 43.14%와 53.57%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사율과 해마의 신경세포 손상에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련중첩증 유도 2개월 후에 나타난 간질 경련의 빈도수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Bmi1<SUP>+/-</SUP> 생쥐에서 약 50% 낮게 나타났다. 반면, 이끼섬유발아는 Bmi1<SUP>+/-</SUP> 생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Bmi1의 발현이 감소할 때 pilocarpine에 의한 경련 유도와 이끼섬유발아가 증가함을 보여준다. B-cell-specific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integration site 1 (Bmi1) is a polycomb group protein and a core component of polycomb repressive complex 1. Initial research into Bmi1 has focused on its role in tumorigenesis, and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proliferation and survival of cancer cells. However, more recent studies have revealed that Bmi1 is downregulated in brains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that it regulates the function of mitochondria and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Bmi1 in pilocarpine-induced seizures in Bmi1-knockout mice. Bmi1 expression transiently increased in the hippocampal CA1 and CA3 and the dentate gyrus following pilocarpine-induced status epilepticus (SE). In terms of seizure behavior, SE induction was 43.14% and 53.57% for Bmi1<SUP>+/+</SUP> and Bmi1<SUP>+/-</SUP> mice,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tality or hippocampal damage between the two groups. Two months after SE induction, the frequency of epileptic seizures in the Bmi1<SUP>+/-</SUP> mice was 50%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mossy fiber outgrowth in the Bmi1<SUP>+/-</SUP> mi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ir wild-type littermates.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reduced Bmi1 activity increases pilocarpine-induced seizure probability and mossy fiber outgrowth.

      • KCI등재

        BMI에 따른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과 요부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이용희,강서정,김광준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4

        [서론] 본 연구는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를 대상으로 BMI와 등속성 근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BMI에 따른 슬관절과 요부관절의 등속성 근력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0명의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BMI 정상집단 24±4.31yr, 164.86±4.98cm, 21.38±1.10kg/m2; BMI가 높은 집단 24±5.37yr, 161.77±7.60cm, 26.24±2.75kg/m2)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등속성 장비(Humac Norm Testing & Rehabilitation System, Cybex, USA)를 이용하여 슬관절과 요부관절의 등속성 근력을 측정하였다. BMI는 임피던스 체성분 분석기(Inbody720, Biospace,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BMI는 슬관절과 요부관절의 체중을 고려한 상대적 근력인 좌·우측 슬관절 굴근 및 신근의 단위체중 당 최대토크, 요부관절 굴근의 단위체중 당 최대토크와 역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348 to -.501, p<.05). BMI에 따른 집단 비교에서는 슬관절과 요부관절의 절대적 근력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며, 모든 상대적 근력에서 BMI가 높은 집단이 BMI가 정상인 집단에 비해 근력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의 BMI는 슬관절과 요부관절의 등속성 근력과 유의한 역 상관관계에 있다. 즉, 성인 여자 프로골프 선수는 외형적으로 체형이 크고 체중이 많이 나가더라도 슬관절 및 요부관절의 등속성 근력은 높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INTRODUCTION]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isokinetic strength of knee and lumbar joint between the normal BMI and the high BMI groups based on body mass index in woman professional golfers. [METHOD] Forty woman professional golfers (the normal BMI group 24.07±4.31yr, 164.86±4.98cm, 21.38±1.10kg/m2; the high BMI group 24.00±5.37yr, 161.77±7.60cm, 26.24±2.75kg/m2)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Isokinetic strength of knee and lumbar joint were measured using an isokinetic dynamometer (Humac Norm Testing & Rehabilitation System, Cybex, USA). BMI was assessed by a body composition analysis equipment (Inbody 720, Biospace, Korea). [RESULTS] BMI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peak torque % body weight of left and right knee flexor, peak torque % body weight of left and right knee extensor, and peak torque % body weight of lumbar flexor (r= -.348 to -.501, p<.05). In the group analyses, the high BMI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s of relative strength items of knee and lumbar than the normal BMI group (p<.05).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groups on absolute strength items of knee and lumba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MI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isokinetic strength of knee and lumbar joint in woman professional golfers. The high BMI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s of isokinetic strength of knee and lumbar joint than the normal BMI group. Further studies utilizing other population and more subjects may confirm these results.

      • KCI등재

        광주ㆍ전남 일부 지역 중학생들의 BMI 수준에 따른 식행동,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 양상에 관한 연구

        최인선(In-Seon Choi),노희경(Hee-Kyong R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중학생 732명을 대상으로 BMI 수준에 따른 식습관, 식행동,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MI 수준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분포는 남학생이 저체중군 27.8%, 정상체중군 45.9%, 과체중군 26.3%이었으며, 여학생은 저체중군이 26.2%, 정상체중군 53.6%, 과체중군 20.2%이었다. 남녀 중학생의 평균 BMI는 각각 20.7±1.0과 20.6±0.2이었다. 점수로 평가한 식습관과 식행동에서 남자중학생은 과체중군이 저체중군에 비해 빨리 먹는 점수가 높으며, 저녁식사의 양과 야식섭취 및 식품선택 시 기호보다 영양을 고려하는 점수는 낮았다. 여자 중학생은 과체중군이과식과 스트레스 시의 음식 섭취와 식품선택 시 가격보다 영양을 고려하는 점수는 높았고, 야식 점수가 낮았다. 조사대상자의 신장은 남자 중학생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과 과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여자 중학생은 그룹 간 차이가 없었으며, 남녀 중학생 모두 실측한 신장보다 더 크기를 원하였다. 조사대장자의 체중은 남녀 중학생 모두 그룹간의 차이가 유의적이었다. 남자 중학생은 과체중군에서만 체중감소를 희망한 반면, 여자 중학생은 과체중군뿐아니라 정상체중군에도 체중의 감소를 희망하였는데, BMI가 클수록 원하는 체중과 실측체중간의 차이가 컸다. 본 연구대상자들의 인지체형은 남녀 중학생 모두 해당 군별 체형에 근접하였으나, 정상체중군에서 인지체형에 대한 왜곡경향이 높았으며, 희망체형과 인지체형의 차이가 과체중군에서 가장 컸다. BMI가 높을수록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과 경험이 높았는데, 남자 중학생은 건강을 위해서, 여자 중학생은 날씬한 외모를 갖고 싶어서가 체중감량의 이유로 가장 많았다. BMI가 클수록 체형만족도가 낮으며, 희망체형과 인지체형간의 차이 값이 컸으나 스트레스는 BMI가 낮을수록 컸다. 또한 희망체중과 체형에서 실측체중 및 인지체형을 뺀 값이 클수록 체형만족도가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 과체중군은 정상체중군과 저체중군에 비해 과식, 스트레스 시의 음식섭취에서 보다 바람직하지 않았으며, 스트레스와 체중조절관심도 및 경험이 더 많아, BMI 수준에 따라 식생활 양상에 차이를 보였는데, 과체중군의 식행동과 태도가 보다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올바른 체형인식과 더불어 체계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perception of body shape, statuses of body weight control by BMI (Body Mass Index) of 732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among under weight (UW), normal weight (NW), and overweight (OW) groups according to BMI levels. In the OW group, female students had low scores in eating at night only, while male students had low scores in eating at night, eating speed, and food selection. All subjects wanted more height than measured. Only male students in the UW group wanted weight loss, whereas female students in the OW and NW groups did. Higher BMI in female students resulted in more weight difference between measured and wanted. All subjects responded properly themselves in perception of body shape but the OW groups showed a big difference between their present weight and wanted weights. Higher BMI in all students corresponded to more interest in concern and experience of weight management. In the male students, the reason for weight management showed high tendency in being healthy, whereas the female students had high tendency in having a slender figure. Higher BMI in all students corresponded to bigger difference between wanted and perceived body shape. In contrast, lower BMI in all students meant more stress. Greater difference between wanted and measured weight and greater difference between wanted and perceived body shape corresponded to less satisfaction in body shape. In conclusion, compared to the NW and UW groups, the OW group had overeating habits highly linked to stress. Also the OW group didn't have desirable eating behaviors and attitudes because of their greater interest in concern and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and stress accumulation, and finally there was difference in food habits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 BMI level.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nutri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cluding correct body image and good dietary habits.

      • KCI등재

        산업장 근로자들의 BMI 변화가 혈청총콜레스테롤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윤석한(Seok-Han Yoon),이명준(Myung-Jun Lee),조영채(Young-Chae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들의 BMI 변화에 따른 혈청총콜레스테롤의 변화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발생비율과의 관련성 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는 2002년부터 20012년까지 11년간 각 연도별로 1회 이상 정기건강검진을 받았던 30∼69세 근로자 28,249명(남자 25,548명, 여자 2,701명)을 대상으로 검진기간을 전기(2002-2005), 중기(2006-2009) 및 후기(2010-2012) 로 구분하여 각 기간별 BMI 구분에 따른 혈청지질의 평균치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준년도(2002)로부터 10년간의 BMI의 변화량 구분별로 혈청총콜레스테롤의 평균변화량을 산출하였으며, 혈청총콜레스테롤 정상자에서의 BMI 구분별 10년간의 고콜레스테롤혈증 발생의 년차별 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서로 다른 3시기(전기; 2002∼2005, 중기; 2006∼2009 및 후 기; 2010∼2012)에서의 평균혈청총콜레스테롤은 BMI가 낮은 군(18.5㎏/㎡미만군)에서 중간군(18.5-25.0㎏/㎡군), 높은 군 (25.0㎏/㎡ 이상군)으로 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고콜레스테롤혈증 발생비율도 BMI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으로 갈수 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위와 같이 10년간의 BMI 변화량에 대한 혈청총콜레스테롤의 평균변화량의 경년적 추이를 볼 때, BMI의 증가는 혈청총콜레스테롤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혈청지질치의 위험 관리를 위해 서는 비만관리에 대한 평가와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otal cholesterol levels (TC) and the incidence of hypercholesterolemia in response to changes in BMI. The subjects included a total of 28,249 industrial workers (25,548 male and 2,701 female) aged 30-69 years old who had received regular medical check-ups at least once per year from 2002 to 2012 (over 11 years). Data from this period were categorized into a first term (2002-2005), middle term (2006-2009), and last term (2010-2012). Then, the average TC was stratified by BMI, which was obtained from the initial examination results of each individual. In addition, average changes in TC were analyzed by stratifying with changes in BMI over 10 years (starting in 2002). The annual occurrence rates of hypercholesterolemia stratified by BMI were further assessed in patients with normal ranges of TC. In all three terms, the average TC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obese group ( 25.0 kg/m2) compared to the low weight group ( 18.5 kg/m2) and the normal weight group (18.5-25.0 kg/m2). Similarly, the group with higher BMI presented elevated rates of hypercholesterolemia compared to the groups with low BMI. In addition, increased BMI over the 10 year period significantly influenced TC.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obesity control may be needed in order to manage the risk of high serum lipid levels.

      • Differences in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adult BMI by sex, age, time period, and region: an individual-based pooled analysis of 40 twin cohorts

        Silventoinen, Karri,Jelenkovic, Aline,Sund, Reijo,Yokoyama, Yoshie,Hur, Yoon-Mi,Cozen, Wendy,Hwang, Amie E,Mack, Thomas M,Honda, Chika,Inui, Fujio,Iwatani, Yoshinori,Watanabe, Mikio,Tomizawa, Rie,Piet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Nutrition 2017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106 No.2

        <P><B>Background:</B> Genes and the environment contribute to variation in adult body mass index [BMI (in kg/m<SUP>2</SUP>)], but factors modifying these variance components are poorly understood.</P><P><B>Objective:</B> We analyzed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BMI between men and women from young adulthood to old age from the 1940s to the 2000s and between cultural-geographic regions representing high (North America and Australia), moderate (Europe), and low (East Asia) prevalence of obesity.</P><P><B>Design:</B> We used genet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BMI in twins ≥20 y of age from 40 cohorts representing 20 countries (140,379 complete twin pairs).</P><P><B>Results:</B> The heritability of BMI decreased from 0.77 (95% CI: 0.77, 0.78) and 0.75 (95% CI: 0.74, 0.75) in men and women 20–29 y of age to 0.57 (95% CI: 0.54, 0.60) and 0.59 (95% CI: 0.53, 0.65) in men 70–79 y of age and women 80 y of age, respectively. The relative influence of unique environmental factors correspondingly increased. Differences in the sets of genes affecting BMI in men and women increased from 20–29 to 60–69 y of age. Mean BMI and variances in BMI increased from the 1940s to the 2000s and were greatest in North America and Australia, followed by Europe and East Asia. However, heritability estimates were largely similar over measurement years and between regions. There was no evid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shared by co-twins affecting BMI.</P><P><B>Conclusions:</B> The heritability of BMI decreased and differences in the sets of genes affecting BMI in men and women increased from young adulthood to old age. The heritability of BMI was largely similar between cultural-geographic regions and measurement years, despite large differences in mean BMI and variances in BMI. Our results show a strong influence of genetic factors on BMI, especially in early adulthood, regardless of the obesity level in the population.</P>

      • KCI등재

        중고등학생들의 개인특성과 BMI의 관련성 연구

        김은엽(Kim, Eun-Yeob),김석환(Kim, Seok-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들의 BMI(Body Mass Index) 그룹에 따른 자신에 대한 인식정도, 학교생활 스트레스정도, 심리적 정도 등 요인과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2010 한국 청소년 건강 실태조사’ 연구결과 데이터 7,187명을 이용하였다. BMI 그룹이 20미만인 저체중그룹, BMI가 20-24인 정상그룹, BMI가 25-29인 과체중그룹, BMI가 30이상인 비만그룹으로 구분하 였다. 흡연을 해본 경험을 조사한 결과 저체중 BMI그룹은 592명 17.2%, 정상체중 BMI 531명 18.4%, 과체중 BMI 108명 21.8%, 비만 BMI 24명 25.8%가 흡연 경험이 있다고 조사되었다(p=0.016). 자신에 대한 만족도는 정상체중 BMI 그룹은 14.24±3.15점, 과체중 BMI 그룹은 13.67±3.13점, 비만 BMI 그룹은 12.84±3.72점으로 정상체중 그룹일수록 자신에 대한 만족도 가 컸다(p=0.005). 학교생활은 저체중 BMI 그룹은 평균 33.57±5.76점, 정상체중 BMI 그룹은 33.45±5.50점, 과체중 BMI 그룹 은 33.12±5.34점, 비만 BMI 그룹은 32.21±7.43점으로 나타났다(p=0.044). 이와 같이 사회적인 부적응 현상까지 발생시키고 있어 청소년 시기에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신체적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함께 정신적 건강도 증대 될 수 있도록 산학관이 유기적인 체계 속에서 관리 및 운영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d the perception, school stress, psychological factors, and association of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in terms of their BMI (Body Mass Index). The '2010 Korea Youth Health Survey 'was used to study data 7187 people.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e underweight group (BMI < 20), normal group (BMI 20 ? 24), overweight group (BMI of 25-29), and obese group (BMI of 30 or higher). The subjects found to have experienced smoking were as follows: underweight BMI group (17.2%), normal weight group (18.4%), overweight group (21.8%), and obese group (25.8%) (p=0.016).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as follows: 14.24 ± 3.15 for the normal weight group, 13.67 ± 3.13 for the overweight, and 12.84 ± 3.72 in the obese group. The normal-weight group ha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p=0.005).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and obese BMI group were at school for an average of 33.57 ± 5.76, 33.45 ± 5.50, 33.12 ± 5.34, and 32.21 ± 7.43 hours per week, respectively (p=0.044).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ocial misfit youths needs to be managed properly and effectively to improv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need to collaborate with programs to achieve this a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