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 연구 - EV컨셉카를 중심으로

        박찬웅 ( Park Chan Ung ),안성모 ( Ahn Seong M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플랫폼 변화 이후의 자동차 디자인에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 시 나타나는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자동차 디자인에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 가능성 확대를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플랫폼 변화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을 유형화시킨다. 그리고 유형별로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이 나타난 사례를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은 적용된 패러매트릭 디자인의 내용을 파악하고 알고리즘을 재연함으로써 디자인 유형별로 알고리즘 속성이 적용되었을 때 가지는 적용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한 알고리즘의 속성으로는 ‘면의 방향에 따른 비정형 분할’과 ‘매개변수 값에 따른 변화 값 설정’으로 모든 유형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유형별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그 의미가 변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알고리즘 속성과 유형별 적용의미를 분석하여 적용특성을 디자인 유형별로 도출할 수 있었다. 플랫폼 변화에 따른 유형별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은 다음과 같다. 하드웨어 플랫폼 변화에서 디자인을 통한 주행 효율성 향상 유형은 연속적인 분할을 통한 연쇄성, 디자인을 통한 세그먼트의 재구축 유형은 점진적 변화를 통한 확장성과 축소성, 요소의 흔적화에 따른 디자인 재해석 유형은 범위의 확대를 통한 연결성으로 나타났으며 소프트웨어 플랫폼 변화에 따른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에서 탈 운전자 중심화에 따른 디자인 접근 유형은 운동성을 통한 인지 범위의 확장, 디자인을 통한 정보전달방식의 다양화 유형은 흐름에 따른 시간성으로 플랫폼 변화 이후 자동차 디자인 유형별 패러매트릭 디자인 적용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seek the expansion of a possible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in automotive design by deriving features that show up when a parametric design is applied to an automotive design by type. We organized and classified design changes according car platform changes in order to deriv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parametric design from automotive design. Then we selected and analyzed cases that displayed design typ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latforms. The case study was done by understanding the parametric design applied content used in each case, sorting out the type of design change, and sorting out the meaning of the design application quality applied from each type of design change by reenacting the algorithm of parametric design used in each case. The sorted quality was "atypical division by direction of surface" and "setup of change figure from parameter", and when these sorted qualities are applied to each type, it has a different application meaning. By this, we learnt it has a specific attribute when parametric design is applied in automotive design and saw a difference in application characteristics by the type of design change. The following are the applied functions abstracted by analyzing the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the design change. In a hardware platform change pattern, an efficiency improvement pattern is brought about in a chain of continuous segmentation. The restructure of a segment for design resulted in expandability and reduction through gradual changes. A type of reinterpretation of design resulting from the treatment of a factor was referred to in connection with range enlargement. We also sorted out the types of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change of software platform as: design by decentralization of the operator, approach type as an extension of cognition range by mobility, diversity of information transfer by design to temporality from time pass.

      • KCI등재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파라메트릭 모델링 효용성에 관한 연구 -자동차 패턴 디자인 프로세스 개선을 중심으로-

        서혁준(주저자) ( Hyuk Joon 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9 No.-

        디지털 환경에서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3D 모델링 인터페이스와 3D프린터 기술은 사람의 손으로만 하던 디자인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었다. 이것에서 나아가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등장은 새로운 차원의 조형 방법론을 보여준다. 파라메트릭 디자인 프로세스의 결과물들은 비정형적이고 매우 복잡한 조형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 경향은 점점 다른 분야에 영향을 주었으며 자동차 패턴 디자인의 분야에서도 이러한 조형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 것이 가지는 속성을 명확화 하였다. 또 한편으로 자동차에서의 패턴디자인의 중요성과 기존 프로세스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파라메트릭 디자인 프로세스가 자동차패턴 디자인에서 조형의 다양성, 시간적 효율성, 의사결정의 용이 그리고 논리적 조형 전개의 효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에 따라 개선된 자동차 패턴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향 후 자동차 디자인의 방법론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Design process is evolving continually in the digital environment. 3D modeling interface and 3D printer technology make it efficient to design works then before it has been controled by human hands. Further more appearance of the parametric design using a mathematical algorithm makes a new level of modeling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e parametric design process shows atypical and very complex modeling images. This is influencing to other design field. This kind of modeling images have began to be founded in the automotive pattern design too. In this study, The attribution of the parametric design is found out via cases. In the meantime, it is analyzed that automotive pattern design process has many problems. As the result, it is proved that parametric design process can make variety of modeling result, time efficiency, simplicity of decision-making and logical modeling development. Lastly this research propose improved pattern design process in the automotive design and could find new methodology direction of the automotive design.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자동차 도장설비 Layout 및 운영방안 분석

        하재원 ( Jae Won Ha ) 대한설비관리학회 2003 대한설비관리학회지 Vol.8 No.1

        An automotive manufacturer is constructing a truck manufacturing factory in Korea and now enters the design step for each shop (body shop, paint shop, assembly shop). For the paint shop, manufacturer`s design team has drawn up an initial design for himself. Several facility manufacturers have proposed the paint shop designs based on the team`s initial design and required specifications of each facility. Now the team will analyze the proposed designs of facility manufacturers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esign. The team will select a facility manufacturer from result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a validity of basic facility layout concept and proposed operation policy in the intial design drawn up the team is analyzed using computer simulation technique. A way to improve the problems known from the simulation analysis and improved operation policy are proposed. The developed simulation model can be used in the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initial design and operation concept and also the evaluation of proposed designs made in several facility manufacturers.

      • KCI등재

        내러티브의 원리를 적용한 사이버자동차산업관의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변민주 ( Byun Min-ju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내러티브의 원리를 적용한 사이버자동차산업관의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자동차산업관의 콘텐츠디자인의 가치를 발견하고 전달하기 위함이며, 이 연구를 통해 자동차사이버산업기술박물관의 스토리텔링과 콘텐츠디자인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 과정은 박물관 스토리텔링 연구의 중요성과 함께 콘텐츠디자인으로서의 `산업적 스토리텔링`의 역할을 규명해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이버자동차산업관 구축을 위한 12단계의 영웅서사 과정을 통해서 한국의 자동차산업의 역사를 시놉시스화 했다. 이는 자동차의 역사를 서사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결국은 콘텐츠를 이루는 핵심적인 요소인 서사적 구성과 이미지텔링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작업이다. 내러티브의 원리를 적용한 콘텐츠 구축 과정들은 다른 산업박물관의 산업스토리텔링을 개발할 때,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론으로서, 문화기술 박물관의 콘텐츠를 연구하고 창작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his is Study on content design of Cyber Automotive Industry Museum applying Narrative Princi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nd deliver the value of content design in the Cyber Automotive Industry Museum. Through this study, I have tried to propose a structure of Storytelling in Cyber Automotive Industry Museum. At this stage, I examined the importance of Industry Museum storytelling study along with the role of Industry storytelling in contents design. I especially set up synopsis out of Automotive Industry History by following the process of `12 steps of heroes narration` This work is initially to embody the narration of Automotive Industry History but ultimately to embody storytelling and image telling, the key elements of contents, at the same time. This process building of content applying storytelling is a practical and applicable method when developing storytelling in Another Museum of Industry.

      • KCI등재

        자동차 디자인에서의 Craftsmanship의 가치와 적용 타당성에 관한 연구

        노재승 ( Jae Seung Ro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자동차의 등장 이후, 포디즘으로 대표되는 대량생산 시스템을 거쳐 현재에 이르는 자동차 산업에서, craftsmanship의 역할과 그 가치를 알아보고, 현대의 자동차 산업에서 어떻게 적용 될수 있는지 고찰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이탈리아 카로체리아(Carrozzeria)에서 선보인 자동차들과 현대의 자동차 산업에서의craftsmanship 역할과 적용 사례들을 알아보았으며, 문헌 분석을 통하여, 현대의 공업사회에서 장인정신과 수작업에 대한 견해와 관점들을 분석하였다. 1926년 할리얼이 제너럴 모터스에 미술부서를 설립하면서 시작된 자동차디자인은, 제2차 세계대전후, craftsmanship을 바탕으로 한, 이탈리아의 카로체리아를 중심으로 다양한 자동차들이 제작되었고,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며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들어 적극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 환경의 변화로, 장시간의 숙련된 기술을 통한 수제작을 기반으로 하는craftsmanship은 상대적으로 그 가치가 하락하게 되며 잊혀가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대량생산을 통하여 운송수단의 풍요를 느낀 소비자들과 더불어, 남들과는 다른 차별성, 개성을 중시하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고부가 가치 시장이 성장하면서 craftsmanship은 다시금 주목을 받게 되었다. 최근 날로 경쟁이 심화되어가는 자동차 산업에서, 제품 자체의 물질적인 가치와 더불어 감성적인 만족감까지도 고려하는 디테일 디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것은 본 논문에서 고찰하여본 craftsmanship의 가치와도 그 궤를 같이 한다고 볼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솔루션의 신속 정확함을 융합한 개념의 디자인 접근을 통하여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이미지를 재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craftsmanship in the automotive design. Since the invention of the automobile and continued its growth through the adoption of the mass production system and current fully automated production circumstance. This research also contemplates how the role of craftsmanship could be positioned in the current automotive design. Several iconic cars that had been designed by Italian carrozzerias, conveying the value of craftsmanship and case studies of implementing this value in current car manufacturers have been reviewed with the literature reviews to analyse the diverse views of craftsmanship in social and design research realm. General motor’s Harley Earl has started the automotive design in 1926. After the Second World War, numerous cars had been designed by Italian carrozzerias with their craftsmanship and contributed to the car industry. However, the adoption of CAD in 1990s has brought the new circumstance and led the degradation of craftsmanship which entails hours of hand-driven work. Ironically, this forgotten value of craftsmanship has been revived due to the emerging luxury market as the customers have begun to seek different aspects of products that could conveys unique identity and value. Under the current competitive car market, it is natural to see the importance of detail-design has been emerged among the car companies, as the notion conveys the value of craftsmanship and merging with the strength of digital solution is expected to enhance the brand identity and competiveness.

      • KCI등재

        메타버스 내에서의 자동차 디자인의 지식재산권 보호

        박경신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4

        As the automobile industry is expected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the metaverse,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virtual space, in addition to protecting it in the real world, is becoming important. Moreover, the increase in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nt in the metaverse will inevitably result in legal disputes surrounding the unauthorized use of automotive designs.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protect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automotive designs in the metaverse and proposes measures for their appropriate protection. The amendment of the definition of image design and the scope of execution of an image design under the Korean Design Protection Act is necessary for effectively protecting automotive designs in the metaverse. However, it is also vital to introduce provision-limiting design rights and seeking a balance between the legal interests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Protection of Trade Secret Act and freedom of expression. 자동차 업계가 메타버스로 대표되는 가상공간 활용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순한 교류의 공간을 넘어서 현실 세계와 연결된 경제 활동과 수익 창출이 가능한 메타버스의 특성상 기존의 현실 세계에서의 자동차 제품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와 별개로 가상공간에서의 지식재산권 보호 역시 중요해지고 있다. 게다가 메타버스에서의 콘텐츠 창작 및 유통이 확대되면서 현실에서의 자동차 디자인이 가상공간에서 무단으로 사용됨에 따른 법적 분쟁 역시 증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상에서의 자동차 디자인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 범위 및 한계를 검토하고 적절한 법적 보호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다만 메타버스 내 자동차 디자인의 보호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디자인보호법상 보호범위가 확대되더라도 표현의 자유가 과도하게 제한되지 않도록 디자인권의 효력을 제한하는 규정이 신설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부정경쟁방지법상 규정의 해석에 있어서도 표현의 자유와의 이익형량을 통해 표현의 자유를 보호할 필요성이 중요한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Automotive telematics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quality expectations

        Kim, Dayoung,Kim, Donghee,Oh, Jungsuk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2014 ASIA MARKETING JOURNAL Vol.16 No.3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egmentation of consumers based on their quality expectations toward the automotive telematics service. Hypotheses on utilizing consumers' expectations toward the automotive telematics service for the market segmentation and linking the segments with optimal product designs are formulated. Samples are segmented based on their perceived service quality to the service attributes from various configurations of automotive telematics service. Then,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segmented groups of users is performed to check whether they have qualitatively differing evaluation on the service quality.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proposed segmentation is operational and differing product attributes configuration is desirab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segment. H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umer segment formed based on their expectation toward the telematics service, a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y of the automotive telematics system can be designed and be proposed to the product line designer.

      • KCI등재

        차체 프레스 금형 캠 모듈의 강건 적정제약 설계

        임성준(Seongjune Lim),박민영(Minyoung Park),손대현(Daehyun Son),이대인(Dae In Lee),임현준(Hyunjune Yim)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5 No.11

        프레스 금형의 캠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큰 성형력을 지탱해야 하므로 서로 간에 크고 많은 접촉면을 요구하며, 각 부품의 접촉면은 금형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한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많은 수의 접촉면은 과잉제약을 유발하고, 이는 프레스 작업의 재현성을 감소시켜 제품의 품질 일관성을 저하시킨다. 또, 접촉면들의 위치가 한쪽으로 치우치면 금형 성형면의 간격이 금형 부품의 편차에 민감해져서 요구되는 치수 조건을 만족하기 어려워진다. 본 논문에서는 부품의 수가 많은 더블 캠 모듈을 예시로 하여 기존 프레스 금형 설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강건한 적정제약이 구현되는 설계 개선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공차해석을 통해 개발된 개선안이 성형면의 간격 요건 만족율을 현저히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강건 적정제약 설계는 모든 조립품의 설계에 적용되는 중요한 원리이므로 설계자들이 이를 적용하여 높은 품질을 경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arts that comprise a cam module of a press die require many large contact surfaces with each other because they need to deliver large forming loads for production, and each contact surface has limited area for location due to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press die. Many contact surfaces can lead to over-constrained design, thereby yielding low repeatability among successive operations. Also, contact surfaces distributed over only a small region of a part may increase the sensitivity to part variations, leading to a less-robust design. In this paper, as an example, the existing design of a double cam module with many parts was analyzed to find that it is a highly over-constrained design and suffers from the lack of robustness. An improved design was developed by eliminating all over-constraints and increasing the robustness, which exhibited, via tolerance simulations, substantial improvements of the critical sheet forming clearance. As the general principles of proper-constraint and robust design are applicable to any assembly, it is expected that designers of mechanical components will adopt them to improve product quality at lower cost.

      • Hybrid interface of a two-dimensional cubic Hermite curve oversketch and a three-dimensional spatial oversketch for the conceptual body design of a car

        Nam, Sanghun,Patil, Ashok Kumar,Patil, Shashidhar,Chintalapalli, Harinadha Reddy,Park, Kyoungju,Chai, Youngho SAGE Publications 2013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 Vol.227 No.12

        <P>A spatial modelling system with a new interface which is optimized for automotive design is proposed in the conceptual modelling phase. In the initial sketch stage to set the volume and the ratio of the car, the automotive styling is created using a two-dimensional plane sketch with an accurate input and a designer-friendly interface. The character lines, which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design of the car, are drawn with a curve-based oversketch. The shape of the car is modified using area-based modification. A completed two-dimensional model consists of converting the character lines to a three-dimensional car model. In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oversketch stage, the edge and mesh on the surface are deformed by view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vehicle with various views using a spatial input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Edge-based deformation modifies single or multiple edges while maintaining continuity between the surfaces. A sculpting technique is applied to execute special shapes such as the accent lines and the strake lines. A sketch system which can be used by designers to perform three-dimensional spatial modelling is proposed.</P>

      • KCI등재

        Multidisciplinary Research on the Effect of Various Design Components on CFD Aerodynamics Performance of passenger vehicle

        Kim, Jeong Min(김정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1

        This research aims to deliver designer’s guideline for designing cars having better aerodynamics performance. Major exterior design elements such as fillet application, windshield application, back windshield application, front and backside diffusers, front corner fillet applications were tested and analyzed using CFD tool. Fillets applied on the edges of a basic vehicle model dramatically reduced drag force. Larger fillet reduced drag force even further. But fillet application increased lift force, larger fillet led to bigger lift force. Windshield application led to 38.4% reduction of drag force. It was interesting to observe that just by removing a small frontal volume of the vehicle leading to a great amount of drag force reduction. Applying additional backside windshield improved extra 10.7% lower drag force. Front and back diffuser only led to 2.5% reduction of drag force. For the final optimization, fillets were applied on all the edges including bumper corner fillets. With the final optimization, Cd value dropped to 0.443. There must be good balance between design style and performance to become a good selling car. We hope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ill work as a basic guideline for developing new car models in balance with attractive car styling and high quality aerodynamics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