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실태 및 요구 탐색을 통한 관련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김영걸 ( Kim Young-gull ),우이구 ( Woo Yi-g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보조공학은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 기본적인 서비스로서 장애아동의 기능적인 활동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보조공학 기기와 서비스 관련 제반 업무를 시도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특수교육현장에서는 보조공학 관련 실제 요구를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제공받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각 시도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17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목적 표집하여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하였고 보조공학 관련 서비스를 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조공학 업무 공간, 보조공학 관련 서류는 대부분 갖추고 있었으나 보조공학 전문가와 관련 정보제공 정책을 몇몇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가지지 못하고 있었다. 각 특수교육지원센터마다 보조공학 관련 예산, 보유기기 유형과 수는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었다. 둘째,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담당해야 할 하는 당위성은 아주 높았으며, 보조공학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적절하게 관련 업무를 진행하기 위하여 보조공학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조공학 관련 예상의 편성 및 집행 필요성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환경 조성 측면, 전문성이 확보된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체제 측면, 실제적인 보조공학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 측면, 국가수준의 보조공학 관리 체계 측면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ssistive technology is the basic services among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must be considered for promoting functional activitie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s in charge of all task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for this is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actual need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this study surveyed the 17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are continuously performing the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tasks amo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most of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assistive technology work space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were provided, but the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policy were not provided. For eac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AT budget, the type of equipment and number of devices were different. Second, there was a high degree of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work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It was recognized that an AT specialist was needed to systematically operate assistive technology and to carry out related tasks appropriately. Also, the need for budgeting and execution of AT budget was high. Third, in order to appropriately provide assistive technology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variety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rovide profession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to provide actual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and programs.

      • KCI등재

        직업전문보조공학 센터의 모델 연구 : 보조공학 관련 전문가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이근민,이신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4 장애와 고용 Vol.24 No.2

        For developing a model study of assistive engineering center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job support, this research has conducted intensive interviews with 15 experts who have worked in the field of assistive technology for more than five years. The interviews include limitations and problems from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hich runs a supporting project on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a need for a professional assistive engineering vocational center to solv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Also it includes roles, functions, operating subject, organization, service subject, human resources of a professional assistive engineering vocational centers. From the intensive interview of this research, experts conclud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current assistive engineering device supporting project that is operated for the disabled who are working in the industrial fields, by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practical, evaluative, service providing, qualitative as well as service range and its content aspect. Also, expert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professional assistive engineering vocational center for specialty and information providing in the process of assistive engineering service delivery. Also, for the center’s role and function, providing customized assistive engineering services, research & development of assistive engineering devices and localiz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via experiencing center and exhibition center were suggested. The experts also advised that the main body of operation of such centers should be a separate corporate body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and expansion of service subjects. Based on the research, a need for strengthening the center was advised through initial support of an assistive engineering service curriculum for people who are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expanding of service subjects including university education, secu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expansion of house call service which service provider visits subjects. If the model of professionalized assistive engineering vocational center can be applied in the reality to improve the current assistive engineering devices supporting business, specialists who can increase the potentials will be nurtured, and in the long term, working morale of the disabled will be increased who uses accumulated technology from these specialists and are being applied of these technology as well. Also, positive researches are expected to be continued for this. 본 논문에서는 직업재활 및 취업지원하기 위한 보조공학 센터의 모델 연구를 위해 5년 이상 보조공학과 관련된 전문가 15인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조사 내용으로는 현재 직업을 위한 보조공학기기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직업 전문 보조공학 센터의 필요성과 직업 전문 보조공학 센터 설립 시 역할과 기능, 운영주체 및 체계, 서비스 대상자, 필요한 전문 인력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한 결과 보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 지원 사업이 산업 현장에 있는 근로 장애인들에게 기기의 활용적인 측면, 평가적인 측면, 서비스 지원 및 질적 측면, 서비스 범위 및 내용 측면, 그 외 기타적인 측면에서 한계점과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업전문보조공학센터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이 의견으로 제시하였다. 그 이유로 보조공학서비스 전달과정의 전문성, 정보제공 등 이였다. 또한 그 역할과 기능으로 맞춤보조공학서비스 제공, 보조공학기기 연구개발 및 국산화, 체험장 및 전시장을 통한 정보교류 등이 제시되었다. 운영주체는 별도의 법인 설립을 통한 전문성 강화이며, 서비스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조공학서비스과정을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초기 지원 및 대학 교육을 포함한 대상자 확대, 전문성강화를 위한 전문 인력 확보, 찾아가는 서비스의 영역 확대를 통한 센터의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따라서 현재의 보조공학기기 지원 사업을 개선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문화된 직업전문보조공학센터의 모델이 실제 적용된다면, 잠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문 인력이 양성될 것이고, 장기적으로는 전문가들의 기술 축적을 통해 적용된 대상자이자 사용자인 장애인들의 근로 의욕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관련서비스 운영 및 요구 연구

        김영걸,민강기,도성화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 And identifying the demand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s purpo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result is as follows:Above all, the survey target was one personnel from each of the 201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However, as a result of leaving out 62 centers whose personnels refused to respond or had no experience in the field, 139 centers remained as targets. Result of the survey concluded th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 is highly limited. The professionalism of personnel was not secured and there were not enough plan and budget to the service. And, in order to recognize the factors of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 websites and operating plans in fou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metropolitan area, three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ree in rural area were researched. Eac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centered around rental service promoting assistive technology, acknowledging the needs in assistive technology, student information gathering, student diagnosis, selecting and applying matching equipment, service evaluation and equipment maintenance management.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담당하고 있는 보조공학 지원 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보조공학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조공학 기기와 관련서비스의 제공을 담당하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139개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있는 보조공학 지원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현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지원 서비스 역할이 매우 제한적이며, 보조공학 담당자들의 전문성 확보와 별도의 보조공학 지원 예산과 계획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보조공학 지원 서비스 업무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11개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와 운영계획을 조사하였다. 각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조공학 홍보 및 요구파악, 학생정보수립 및 기초진단, 기기 선정 및 적용, 활용 평가 및 기기 관리의 대여업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보다 체계적인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 서비스 모형의 현장 적용을 통한 지속적인 모형의 수정과 개선 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현장에서의 교육용 보조공학지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체계 구축 방안 연구: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정경희,송병섭 국립특수교육원 2019 특수교육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various support systems presented so far and new support measures to supplement them in order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activation of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s at special education fiel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on 14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assistive technology professionals and the interview content was categorized into the tasks of the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 and the active method. Results: First, the problems of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s at the special education fields were derived from the imbalance between the needs of th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supply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 lack of budget for supporti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 difficulty of storing and disposing of devices, the bias and overlapping benefits of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and the lack of professionalism i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Second, the support system for the activation of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s at special education fields was proposed by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s related agencies, establishment of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all technology support services related agencies, reorganization of legal and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a hub center for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ervices at special education fields, deploying assistive technology professionals at special education fields and securing the professionalism i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Conclusion: In order to activate educational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at special educational fields, integrated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system of a national-level and assistive technology support-related institutional cooperative system will have to be established to suppor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본 연구는 특수교육현장에서의 교육용 보조공학지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그동안 제시된 다양한 지원체계와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 전문가, 보조공학 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면담 내용은 보조공학지원 서비스의 해결과제와 활성방안으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 내용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현장에 나타난 교육용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의 문제점은 수요자의 요구와 보조공학기기 공급의 불균형, 보조공학기기 지원 예산 부족, 보조공학기기의 보관 및 폐기의 어려움, 보조공학지원 혜택의 편중 및 중복 수혜, 특수교육 현장에 나타나는 보조공학서비스 전문성 부족 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교육용 보조공학지원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으로 여러 가지 지원 체계가 도출되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와 유관 기관의 협력 체계 모델 제시, 보조공학지원 관련 전부처의 통합지원 시스템 구축, 보조공학지원 서비스를 위한 거점센터 설립, 법적 제도적 체계의 재정비, 특수교육 현장의 보조공학 전문 인력 배치 및 전문성 확보,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특수교육현장에서의 보조공학지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통합지원 시스템 및 보조공학 전문성이 확보된 관련 기관 협력 체계 구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보조기구센터의 공적급여 연계 현황과 시사점 연구

        이진현(J. H. L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광역 보조기구센터의 공적급여 연계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보조기구센터가 공적급여 사업에서 연계하고 있는 서비스 단계 및 주요 연계 부분들을 파악하였고, 지역사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리사업의 현황과 연계 현황 그리고 각 서비스에 필요한 공급 업체 연계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공적급여는 보조기구 정보제공수준에서의 연계가 가장 많았다. 수리사업은 모든 센터들이 실시하지만 경·정비 수준의 수리를 일반적으로 수행하였고, 지역사회 전문 수리 업체와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정이었다. 공급 업체 연계는 지역별로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문센터에 보다 다양한 보조기구의 확충을 통한 공적급여 정보제공의 질적 향상과 지속적인 공적급여 지원 기관과의 긴밀한 교류가 필요하며, 연계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정책 수립의 근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and analysi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linkage on public benefits in loc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The service steps and the main program parts of public benefits linkage in loc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 was identified, and the present status of associated repair works and contact supplier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in local community was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e most common level of associated status to provide inform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n public benefits. All the centers provided repair service, and it was typically performed to light maintenance. The centers offered with associated professional repair service supplier for high maintenance service. The conne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upplier appeared a lot of regional difference. Henceforth, the centers will be required to distribute more various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t is necessary upgrad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public benefits supporting organizations through its expansion, and it is need to ensure based on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bout linkage.

      • KCI등재

        보조공학평가도구(KAAT)를 활용한 보조공학기기 및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보조기기센터 서비스를 중심으로

        신현욱(H. U. Shin),우영국(Y. K. Woo)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1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보조기기센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장애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보조공학평가도구를 활용한 보조공학기기 및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고, 소비자의 욕구에 기초한 전문적 보조기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보조공학적 접근이 고령 사용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라북도보조기기센터에서 지원받은 보조공학기기의 외형적 측면과 규격의 소비자 체험에 있어서의 만족도는 높게 제시되지만 효과성의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으로서는 보조공학기기 및 서비스의 제공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한 단계 더 전문적이고 맞춤형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고, 보조기기센터의 보조공학 서비스 전반에 걸친 전문가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강화 그리고 평가·환류 과정을 더욱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보조공학기기의 지원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예산의 확충 및 서비스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each service field using assistive technology evaluation tool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with experience using the Jeollabuk-d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analyzed that the assistive technology approach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users. The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external aspects of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supported by the Center and the consumer experience of the standards was high, but the satisfaction of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low. As a future suggestion based on these results, in the provision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a more professional and customized approach is requir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seems necessary to further systemiz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also evaluation and return systems through the varied range of center’s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 KCI등재

        대구지역 장애인의 보조공학 서비스에 대한 수요 조사

        최미나 ( Mina Choi ),이근민 ( Kun Min Rhee ),송병섭 ( Byung Seop S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들 대상으로 보조공학 서비스 에 대한 수요 조사를 실시하고, 그들의 주된 욕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9년 8월 ~ 9월에 걸쳐 총200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113명의 설문지를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구광역시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할 보조공학 서비스 센터가 필요하며, 정보제공, 상담 및 평가, 보조기기 맞춤 제작 및 개조의 업무를 우선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장애인들이 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 지방 자치단체 및 공적급여 등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된 결과는 향후 지역사회 기반 보조공학 서비스가 실시될 경우 사업 규모 책정, 계획 수립, 보조공학 서비스 센터 운영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Daegu city on their demand for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and to identify their primary needs. The survey had carried out from August 2009 to September 2009. And 200 had participated in survey, 113 of availabl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setting up a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which aimed at people with disabilities living in Daegu city was identified. Tasks like information provision, consultation and evaluation, manufacture and modification devices and user training should be performed by assistive technology experts and financi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 public benefit, and health insurance were needed in using assistiv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pected to be used as a groundwork for decision of scale, devisal of plan and management of further community-bas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

      • KCI등재

        AAC 서비스에 대한 보조공학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정경희(Jung, Kyung Hee),허다경(Heo, Da kyung),송병섭(Song, Byung Seop)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8 재활복지 Vol.22 No.1

        본 연구는 AAC 서비스에 대한 보조공학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보고 AAC 서비스의 확대 및 효율적 제공을 위한 실제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국에 있는 보조기구센터 10곳에 소속된 전문가를 중심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총 69명의 보조공학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 사용 및 교육의 경험이 있는 보조공학사들이 더 많았으며, 교육 경로는 ‘학교정규 수업을 통해’가 가장 높았다. 둘째, AAC에 대한 보조공학사들의 이해 및 관심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AAC 사용경험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AAC 사용자 및 제공자를 위한 AAC 정보제공 및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며, 미래에는 AAC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은 물론 공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AAC 기기들이 주를 이룰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AAC 서비스가 센터 현장의 AAC 사용자 및 제공자들을 위한 보다 효율적 지원방향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demands from assistive technology professionals on the service and propose practical methods for AAC service. This study selected subjects who are experts working in 10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and survey was conducted among 69 assistive technology professionals. Results from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many assistive technology professionals learned AAC through school cours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ence of using AAC experience regarding their general awareness of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s on AAC. Third, many responders said that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AAC information and extend supports for AAC users and providers. They added that demands of AAC will grow in the future and engineering-based ACC instruments will take up the most market. This study will enable AAC service to offer basic data to establish more efficient supportive direction for AAC users and providers of the assistive technology center.

      • KCI등재

        특수교육현장에서의 보조공학지원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정경희(G. H. Jeong),박찬영(C. Y. Park),송병섭(B. S. Song)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0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현장에서의 장애학생들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와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특수교육현장에서의 보조공학지원 실태 및 장애학생들의 요구를 살펴보고 이를 보조공학지원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로부터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아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사용 중인 장애학생 학부모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조공학기기 활용에 대한 전체 평균점수는 3.19로 나타났고, 보조공학기기 만족도에 관한 전체 평균점수는 3.06으로 나타났으며, 보조공학기기 효과에 대한 평균점수는 3.78로 나타났다. 또한 보조공학기기의 정보지원 제공자는 특수학급 교사가 가장 많았고, 보조공학기기 제공 기관은 ‘특수교육지원센터’가 가장 많았으며, 보조공학기기 전달방식은 ‘교사가 학생에게 전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둘째, 보조공학지원 문제점은 ‘자녀의 장애유형에 맞는 보조공학기기 미비’가 가장 많았고, 보조공학지원 요구에서는 ‘다양한 최신기기 지원’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sistive Technology(AT) devices utilization statu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and recogni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This study surveyed 101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d experience in using or are currently using AT devices with support from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score about the use of AT devices was 3.19, the overall average score about the satisfaction of AT devices was 3.06, while the average score about the effectiveness of AT devices was 3.78. In addition, information support providers of AT devices had the largest number of special-class teachers, the largest number of AT devices providers were ‘special-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of AT devices was ‘teacher to students.’ Second, the biggest problem of AT support was the lack of AT devices suitable for children"s disability types, while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support of various modern AT devices’ was needed in the special education settings for AT support.

      • KCI등재

        장애인고용 중심 보조공학 서비스 센터 설립 필요성 연구 : 국내·외 장애인 보조공학 관련 서비스 체계 분석 중심으로

        이근민,이진현,이신영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4 장애와 고용 Vol.24 No.1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of a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specializing in employment that can provide efficient service delivery for disability employment, by analyzing how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provid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provided by various agencies supervised by the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local governments. The services seem to be smoothly run and well coordinated within each of the three supervising ministries or local governments, while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provides the most comprehensiv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for disability employment. Yet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various agencies turn out to be not sufficient compared to those provided in othe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France,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Sweden when we look at their service agencies, service procedures, delivery systems. In these countries, though assistive services are separately provided by each ministry, there are channels connecting ministries or agencies that allow for organic and cooperative service operation among them.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Korea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specializing in employment that can coordinate various assistive services provided by various governmental or local governmental agencies and institutions. An analysis of assistive services in the developed countries shows that integrative provision of assistive services across institutional boundaries is more likely than separate provision to lead to a higher disability employment rate, greater cost-effectiveness of welfare investment, lower welfare burden.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establish an assistive technology center as a hub of assistive service that can provide the disabled with one-stop, highquality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본 연구는 국내·외 장애인 고용 관련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비스 전달체계를 분석을 통해 보조공학적 접근을 통한 효율적인 장애인 고용의 서비스 전달을 위한 고용전문보조공학센터 설립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지방 정부의 여러 기관에서 제공되는 보조공학 서비스를 조사하였다. 보조공학 서비스는 각 정부 부처별 또는 지방 정부 내부적으로 비교적 협력과 운영이 잘 되고 있으며, 한국장애인공단은 장애인 고용을 지원하기 위한 보조공학 서비스를 가장 보편적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국내의 고용을 위한 보조공학서비스는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호주, 스웨덴과 같은 선진국들과 비교하여 살펴 보았을때 서비스 기관, 서비스과정, 전달체계들이 여전히 부족한 부분으로 파악되었다. 국외의 경우 각 부처간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를 통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창구들이 있어 유기적인 서비스 운영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통해 한국형 고용전문보조공학센터를 설립할 필요가 있으며, 고용전문보조공학센터의 역할 정립을 통해 부처간 협력이 필요하다. 선진국의 경우 대부분 부처 간 협력하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의 경우 고용률이 높고, 투자비용의 효과성이 나타나고 있으나 부처간 협력이 없는 경우에는 복지 부담률이 높았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고용전문보조공학센터를 서비스의 중심에서 허브역할을 통한 장애인의 입장에서 원스톱시스템을 적용하여 질 높은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