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어 고유명사 파생어휘 연구 : 인명(anthroponyme)과 지명(toponyme) 파생을 중심으로

        전재연 한국프랑스학회 2009 한국프랑스학논집 Vol.68 No.-

        Les objectifs de ce travail consistent à examiner et classer les mots dérivés du nom propre (anthroponyme et toponyme), sur le plan lexico- sémantique. Les noms de personnages connus ou historiques (comme des personnages politiques, des écrivains, des philosophes, ou des artistes célèbres, etc.) sont susceptibles à servir de base de dérivation, tandis que le toponyme (comme les noms de pays, de villes et d'autres endroits géographiques) peut presque toujours être la base de dérivation. La dérivation du nom propre est très productive, à la différence de ce qu'on pense normalement de cette question, en ce sens qu'on peut, en fait, trouver de nombreux dérivés, en particulier suffixaux, de noms propres. Les patronymes produisent des verbes et des adjectifs représentant le ou les caratéristiques des référents (les personnages connus et importants énumérés ci-dessus), par tous les moyens de dérivation : suffixation, composition + transformation, et dérivation sémantique (sans aucun processus de transformation). Les suffixes qui servent à dériver des substantifs et des adjectifs à partir du patronyme sont sémantiquement corrélés à leurs propres valeurs. On peut dériver des noms ou adjectifs d'habitants (des gentilés) et des termes geopolitiques en-iser, -isation à partir de la base de toponyme. Les premiers peuvent être dérivés par nombreux suffixes (en particulier -ien, -ais, -ois dans l'ordre supérieur en nombre), mais ces suffixes n'exercent aucune différence interprétative sur eux. Les autres dérivés de toponymes examinés dans cette étude sont, pour la plupart, “repérés dans la presse contemporaine et relèvent du champ sémantique de «violence» ou de «guerre»”, comme le fait remarquer Tolédano & Candel(2002). Ces termes peuvent être suffixés de -iser (-ifier), -isation(-ification) pour se situer dans le domaine historico- politique, avec des extensions dans les domaines culturels et sociaux. Par conséquent, les dérivés de toponymes en -isation(-ification) sont des résultantes de diverses composantes tant politique, économique, sociale, culturelle que religieuse qui règnent un pays ou une région. Ce travail parvient aux résultats suivants : - Le nom propre peut participer, comme les autres termes lexicaux, à la dérivation, et cela montre qu'il a autant de productivité lexicale que les autres catégories. - Par hypothèse, les noms propres n'ont pas de sens à eux seul, mais leurs dérivés ont bien des sens qui sont corrélés à leur base de dérivation, c'est-à-dire le référent des noms propres. -On peut constater, selon l'hypothèse générale sur la dérivation nominale(p.e. Rodriguez(1999)) qu'il y a diverses relations sémantiques entre la base et le dérivé, que ce dernier soit le nom commun ou le nom propre, et que le sens des dérivés est prédictible à partir de leur construction morphologique.

      • 2 etait une fois un petit caporal… Ou La traduction des noms propres dans Le roman de Walter Hasenclever: Die Rechtlosen

        ( Colette Laplace ) 한국통역번역학회 2011 FORUM Vol.9 No.1

        This paper was first presented at a seminar on "The translation of proper names in travel literature". On the basis of a case study of the translation of well-known anthroponyms and toponyms in Walter Hasenclever`s "Exilliteratur" novel "Die Rechtlosen", we show that proper names cannot be translated systematically by commonly accepted linguistic equivalences. On the contrary, as the names themselves often carry strong connotations in the source text and are therefore essential to its underlying meaning, they must first be submitted to a process of interpretation. Their rendering will, therefore, always have a discursive equivalence, even if it may look at first sight like a linguistic equivalence.

      • Norme, pragmatisme et frustration: La traduction des noms propres dans Le documentaire de voyage

        ( Anne-lise Weidman ) 한국통역번역학회 2011 FORUM Vol.9 No.1

        This paper was first presented at a seminar on "The translation of proper names in travel literature". On the basis of a case study of the translation of well-known anthroponyms and toponyms in Walter Hasenclever`s "Exilliteratur" novel "Die Rechtlosen", we show that proper names cannot be translated systematically by commonly accepted linguistic equivalences. On the contrary, as the names themselves often carry strong connotations in the source text and are therefore essential to its underlying meaning, they must first be submitted to a process of interpretation. Their rendering will, therefore, always have a discursive equivalence, even if it may look at first sight like a linguistic equivalence.

      • KCI등재후보

        독어의 고유명사에 대한 연구

        정수정 ( Jeong Su Jeong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08 독일어문화권연구 Vol.17 No.-

        In dieser Arbeit wurde versucht, eine Klassifikation von deutschen Eigennnamen vorzustellen und diese unter morphosyntaktischem und semantischem Aspekt zu untersuchen. Außerdem wurde angestrebt, die Methoden zu erfassen, wie die Eigennamen von einer Ausgangssprache in eine Zielsprache ubersetzt werden konnen. Ein Eigenname ist ein Sprachzeichen, das der Unterscheidung des Namentragers von anderen dient, die ihm in gewisser Weise nahe stehen. Der Eigenname macht somit den Namentrager zu etwas Einmaligem und Individuellem. Bei der Klassifizierung sowie bei der Beschreibung der einzelnen Klassen von Eigennamen stoßt man nicht selten auf Schwierigkeiten, wobei ein Problem darin besteht, standhaltbare Kriterien dafur zu erstellen. Traditionellerweise wurden Eigennamen in drei Gruppen untergliedert, und zwar Antonymen, Toponymen und sonstigen Eigennamen. Was die Semantik der Eigennamen angeht, so wurden zwei kontroverse Ansichten vertreten, je nachdem, ob ein Eigenname eine Bedeutung hat. Nach Mill hat ein Eigenname keine Bedeutung. Er sei ein bedeutungsleeres Etikett, das keine Eigenschaften des Objekts mitbezeichnet. Dagegen vertritt Jesperson den Standpunkt, dass ein Eigenname ein Maximum an Bedeutung hat. Nach Hansack steht ein Eigenname nicht fur einen Gegestand, sondern eine Informationsmenge uber einen Gegenstand. Die Bedeutung ist bei Hansack nunmehr die Gesamtheit dessen, was uber ein Wort indiziert wird. Die Ubersetzung von Eigennamen kann durch die pragmatischen, kulturellen und textuellen Faktoren bestimmt. Als Grundprinzip dafur gilt, dass man beim Ubersetzen der Eigennamen auf textuelle pragmatische Adaquatheit in der Zielsprache hin uberpruft. Eigennamen konnen beim Ubersetzen mithilfe einer Modifizierung sowie einer expliziten Erklarung erganzt werden.

      • KCI등재

        한국 도로명의 명명 유연성 연구 - 구심적 도로명과 인명 도로명을 중심으로 -

        김순배 한국지명학회 2016 지명학 Vol.25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governmentality of the named source and the types and features of the centripetal, anthroponym street names intrinsic to new street names which were named under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street name address system in 2014. In order to realize the research purpose, I have investigated the official data of over 16,000 street names that have obtained from the Address Policy Section in Ministry of the Interior. As a result, I could arrang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its context of Korean address system and street naming around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Moreover, the types and features of the centripetal street names has been analyzed targeting not only numerical street names, alphabetical street names, cardinal points street names, identity and ideological street names, historical street names, and compound street names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ity, but also pure Korean street names, English street names, and economical street name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And finally, I explained the distribution and trait of the 416 anthroponym street names by designation, region, and gender, which are representing the national and regional identity, nationalism, and ruling ideology. The anthroponym street names form 0.26% of total street names, hence, I identified that traditional naming taboo still subsists in the Korean society. Also, there are the about 3 anthroponym street names commemorating the living figures. Meanwhile, I found out that the around 142 real-name street names and around 274 posthumous-epithet and pen-name street names by designation, that the number of anthroponym street names is higher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by region. As well, I confirmed that the about 23 female anthroponym street names capture only about 6% of total antroponym street names by gender. Through this fact, I could identify that severe gender discrimination still continues to exist in Korean place-naming until now. 본 논문의 목적은 2014년 시행된 한국의 새 도로명주소 제도와 그 결과 전국적으로 명명된 도로명을 사례로 명명 유연성의 통치성적 특성과 구심적 도로명의 유형을 살펴보고, 나아가 인명 도로명의 젠더적 명명 특성과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행정자치부 주소정책과에서 입수한 공적 자료들에 수록된 약 16만 여건의 도로명 자료를 중심으로 통치성 강화를 위한 구심적 도로명과 인명 도로명의 명명 특성 및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주소 제도 및 도로명 명명의 역사적 전개와 그 맥락을 통치성 개념을 중심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어 구심적 도로명을 통치성 개념(숫자 도로명, 가나다 도로명, 방위 도로명, 정체성 및 이념적 도로명, 역사 도로명, 합성 도로명)과 동일시 개념(고유어 도로명, 영어 도로명, 경제 도로명)으로 나누어 그 유형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지역) 정체성과 민족주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재현하고 있는 약 416건의 인명 도로명을 추출하여 이들의 칭호별, 지역별, 젠더별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명 도로명은 전체 도로명 중 0.26%만이 해당되어 피휘 사상이 현재까지 존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생존 인물을 기념하는 인명 도로명도 약 3건 발견되었다. 칭호별로는 본명 도로명이 약 142건, 시호 도로명이 약 274건이 분포하였고, 지역별로는 광주광역시와 전남에서 인명 도로명이 높게 나타났다. 젠더별로는 여성 인명 도로명이 약 23건으로 전체 인명 도로명 중 약 6%만을 차지하고 있어 심각한 남녀 차별을 보이고 있다. [핵심어] 도로명, 명명 유연성, 통치성, 동일시, 구심적 도로명, 인명 도로명.

      • KCI등재

        Корейские фамилии как объект антропоним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데포냔 한국슬라브어학회 2012 슬라브어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한국의 성씨를 연구한다. 한국어에는 고유의 인명체계가 있는데, 이는 러시아어의인명체계와 상당 부분 차이가 있다. 이는 두 언어가 서로 다른 문화에서 발전해 온 서로 다른 구조의언어이기 때문이다.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인명 형태에는 유형적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 학생들이러시아의 인명체계(이름-부칭-성)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야기되며, 종종 이러한 차이가언어간 장벽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국인에게 러시아어를 가르칠 때, 언어간의 차이를 극복하고모국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어에 대한 사전 이해뿐 아니라 학생들의 모국어를 고려한특수한 교수법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이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첫 번째 시도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어의인명체계이고, 그 구성요소 중 하나인 한국의 성씨를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성씨의 형성 역사를 추적하고, 성씨와 한국의 역사, 경제, 정치, 문화의 연관성을 밝힌다. 2. 성씨의 음성학적,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한다. 3. 러시아어의 관점에서 한국의 성씨를 고찰한다. 인명학적 측면에서의 한국의 성씨 연구는 향후 러시아 원어민 교사들이 한국 인명 형태를 심도 있게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가 모국어인 학생에게 러시아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학생의 모국어를고려한 러시아어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

        Culture, Literature : Strategic use of social media IDs: critical perspectives on identity and interaction

        ( Snobra Rizwa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4 비교문화연구 Vol.36 No.-

        This study attempts to give a review of social media users’ choice of a particular name for the sake of signaling identity cues and interaction with the others. The social media names could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traditional/cultural anthroponyms, nicknames and fictitious IDs etc. Out of these categories, it is the phenomenon of choice and construction of fictitious socialmedia IDs by Pakistani social media users which has been reviewed and scrutinizedin this particular article. This study examined fictitious IDs of Pakistani socialmedia users fro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System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s and demonstrates how nationalistic, ethnic and religious identitiesare negotiated, constructed,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by the social media users through a particular ID choice.

      • KCI등재

        한불번역 인명 번역 연구

        ( Guillaume Jeanmair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8 프랑스어문교육 Vol.27 No.-

        번역에서 고유명사는 일반적으로 간과하기 쉬운 주제이다. 많은 사람들이 고유명사는 명사처럼 특별한 의미가 없고, 그것은 기술적이기보다는 지시적이며, 무엇보다도 식별적 기능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고유명사의 영불 번역 연구에 관심을 가졌던 미셸 발라르는 고유명사학의 세 분류인 인명(인명), 지명(지명), 문화적 지시대상을 포괄하여 고유명사의 기능해 대해 논했지만, 본 연구는 인명에 한정하여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우선, 우리는 문화권이 다른 독자들에게 전달이 어려운 한국의 성과 이름의 특수성, 즉 성과 이름에 담긴 함의, 사회적 위치, 돌림자 문제를 놓고 생각해보았다. 대체로 우리는 인명이 지시적인 기능을 주요하게 가질 때 이를 존중하여 번역하지 말고 그대로 옮기는 것reporter을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한국 인명의 경우, 라틴문자로 음가를 전사하지 않고는 옮기는 번역 ‘report’ 이 불가능한데, 문제는 라틴문자로 옮기는 체계에 통일된 합의가 없고 불안정하다는 것이다. 이는 B. 주아노(2000)가 지적했듯이, 일본문학이나 중국문학을 비롯한 다른 언어권 인명 번역에서는 없는 일이고 한국어 번역에만 나타나는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동일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형태로 표기되고 있는 인명표기법의 예들을 다루었다. 한글의 외국어 표기가 한국문화의 확산에 걸림돌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번역자들이 관계 기관과 공식적으로 합의하여 단일한 표기안을 내놓는 것이 급선무다. 다음으로, 앞의 경우와는 달리 전사의 방법이 충분치 않을 때, 번역자들은 다른 전략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한국어를 모르는 독자들을 위해 인명의 의미와 맥락을 명시화하거나 말장난 등을 살리기 위해서 주나 보충정보(incrémentialisation)를 다는 방법을 쓸 수 있다. 역사적, 전설적 인물들의 이름(도덕적 품격이나 전형적인 성격이 담겨 있거나 작가가 특별히 부여한 수사학적인 환칭antonomases에 해당하는)을 번역하기 위해서 번역자들은 자주 프랑스 독자들에게 주나 토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밖에 없다. 도달어 독자들에게 환칭과 같은 것들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방법 외에 미쉘 발라르가 이야기하는 그들에게 “보다 친숙한 어떤 문화지시대상 쪽으로의 옮김”이 있다. 이는 텍스트에 담긴 한국 고유의 성격과 이국성, 문화적 지시대상들을 지워버릴 우려가 있긴 하다. 마지막으로, 산스크리트어나 중국어에서 파생된 상당한 인명들의 경우, 가장 많이 채택되는 번역 방법은 근원, 다시 말해 산스크리트어나 중국어 어원으로 회귀하는 것이다.

      • Cybercrime as a Discourse of Interpretations: the Semantics of Speech Silence vs Psychological Motivation for Actual Trouble

        Matveev, Vitaliy,Eduardivna, Nykytchenko Olena,Stefanova, Nataliia,Khrypko, Svitlana,Ishchuk, Alla,PASKO, Katerina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Network S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 Vol.21 No.8

        The article studies the discourse and a legal uncertainty of the popular and generally understandable concept of cybercrime. The authors reveal the doctrinal approaches to the definition of cybercrime, cyberspace, computer crime.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legal acts and legislation of Ukraine in fighting cybercrime is carried out. The conclusion is made about the need to improve national legislation and establish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develop the tools for countering cybercrime and minimizing its negative outcomes. The phenomenon of nicknames is studied as a semantic source, which potentially generates a number of threats and troubles - the crisis of traditional anthroponymic culture, identity crisis, hidden sociality, and indefinite institutionalization, incognito style, a range of manifestations of loneliness - from voluntary solitude to traumatic isolation and forced detachment. The core idea is that it is the phenomenon of incognito and hidden name (nickname and other alternatives) that is the motivational stimulus for the fact of information trouble or cr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