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주문화에 기반한 주취범죄 감소방안 구상

        김택수 한국중독범죄학회 2019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9 No.3

        Recently, the public opinion was formed that alcohol-related crimes should be punished strongly after media reports showed that criminals committed violent crimes such as murder while they were drunk, and innocent citizens were victimized by drunk driving accidents. As a result, the relevant laws have been revised, but questions remain as to whether a strong control policy on alcohol-related crimes can reduce it. It is not reasonable to approach the problem of alcohol-related crimes simply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 deviance and needs consideration of socio-cultural factors. This study not only grasped the status of drunk crimes, but also analyzed the importance of alcohol consumption among Koreans based on objective data, and the problems of crime control policy in the past. The analysis shows that crime has not decreased despite the continuous policy of toughening punishment for alcohol-related crimes, and that the fundamental countermeasures is neede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curbing alcohol consumption, which is a cause of crime, may be an effective way to reduce crime, based on the principle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noting that alcohol-related crimes are caused by excessive drinking. As a concrete action plan,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improving drinking culture and transform excessive drinking culture into a healthy drinking culture, and improve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s' drinking behavior to curb alcohol consumption. Also, government policies to improve health and reduce crime, such as banning drinking in public places and strengthening prevention education for teenagers, should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and balanced manner, referring to cases of advanced countries. 최근 들어 언론보도를 통하여 주취상태에서 살인 등 강력범죄가 발생하고 음주운전으로 인하여 무고한 시민이 희생당하는 등의 사건들이 보도되면서 주취범죄를 강력하게 처벌하여야 한다는 국민적 여론이 형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관련법들의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주취범죄에 대한 강력한 통제정책이 주취범죄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많은 의문이 제기된다. 주취범죄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의 일탈로 접근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며 사회문화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단순히 주취범죄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한국인의 알코올 소비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주취상태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높은 범죄들의 특성과 과거에 이루어졌던 처벌강화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르면 주취범죄에 대한 처벌강화의 정책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범죄가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며, 근원적인 대책마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주취범죄가 한국인의 과도한 음주에 기인하며 이는 음주를 관용하는 문화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의 원리에 착안하여 범죄의 원인이 되고 있는 알코올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범죄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서 음주문화의 개선에 초점을 맞춰 과도한 음주문화를 건강한 음주문화로 변화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알코올 소비를 억제하도록 환경적 요소와 개인의 음주행태를 개선시켜야 한다. 또한 선진외국의 사례들을 참조하여 공공장소에서의 음주행위를 금지하고 청소년들에 대한 음주예방교육의 강화 등 건강증진과 범죄감소를 위한 정부정책이 통합적이면서도 균형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주류판매점의 지역적 분포와 음주교통범죄간의 관계

        이재경,정슬기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6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17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rinking environment in the community and the relationship of alcohol outlets and alcohol related traffic crimes in the community, adapting a socio-environmental approach. Methods: A total of 229 regional units in Kore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Indicators of drinking environment included on-premise alcohol outlets, monthly drinking rate, and risky drinking rat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lcohol outlets, drinking rate, and risky drinking on alcohol related traffic crimes in the region. Results: Results showed that on-premise alcohol outlets were identified as a predicting factor for alcohol-related traffic crimes in the region. The number of on-premise alcohol outlets (general restaurants, bars) we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alcohol-related traffic crimes. The influence of general restaurants and bars was stronger in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regions. Conclusion: Study findings showed that social environment that encourages drinking and alcohol availability leads to alcohol problems in the local community.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suggested.

      • KCI등재

        음주로 인한 범죄행위에 대한 강제 치료적 개입방안

        박성수 한국치안행정학회 201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7 No.4

        음주로 인한 사망과 질병, 사고발생 등 젊은 연령층의 음주폐해가 심각한 상황이며, 나아가 범죄 및 사회적 비용은 그 도를 넘어서고 있으며 사회문제화 되었다. 이에 형사사법기관은 음주운전 및 음주관련범죄에 있어 형사적 처벌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사적 처벌만이 음주운전 및 음주관련범죄의 유일한 해결방안이라기 보다는 적절한 치료적 개입 또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음주운전 및 음주관련범죄의 재범률을 보아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처벌만이 능사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무엇보다 다각적인 개입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특히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주취자문제 및 강력범죄에 있어 형사사법단계(경찰, 검찰, 법원, 집행기관 등)에서의 치료적 개입이 중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으로 경찰단계에서 가칭 ‘주취자보호법’(안) 제정하여 상습 주취 소란자 치료보호 프로그램을 확대, 검찰단계에서 음주운전 및 음주관련범죄의 수강명령 및 상담조건부 기소유예제도 도입, 법원단계에서 치료조건부 집행유예(치료명령제) 및 알코올 강제입원제도 도입, 집행단계에서 중범죄자의 치료감호의 확대 및 교도소 알코올 치료프로그램 활성화, 보호관찰소의 수강명령의 전문화 및 지역사회 자원 networking 확대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경찰, 검찰, 법원 등의 단계에서 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강제적 치료명령제나 치료조건부 기소유예 등의 제도도입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우리 실정에 맞도록 제도화 시켜야 할 것이며, 특히 파출소나 지구대에서의 주취자들의 공무집행방해 및 기초질서 위반을 예방하기 위해서 가칭 주취자보호법(안)이 조속히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olicy proposition to facilitate the compulsory treatment by examining on relationship of alcohol, crime, and criminal justice in Korea. Generally, it is believed that alcohol use/abuse leads to explain the link between alcohol use and violent or property crime. Despite rigorous crackdown and strengthened punishment, tendency towards drinking and related crimes are still increasing. It is because the current prevention policy against drinking and related crimes has been focussing solely on punishment without considering its hidden propensity and recidivism. But it may not be useful in guiding public policy and criminal justice policy designed to reduce and prevent crime. Therefore this study try to review and estimate on the existing policy of alcohol-related crime in Korea, and introduce the alternative on prevention policy, such as introduction of treatment in Police Stage, the prosecution's suspension of indictment policy on condition of obligatory counsel or Attendance Center Order, the cure-custody system for mentally disorered offenders, compulsory cure system of drinking offender by court. To facilitate the compulsory treatment, we need to introduction the compulsory treatment system, collaboration efforts improvement of legal-social system, construction of community based drinking center and evaluation of compulsory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