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천주영(Joo-Young Chun),이성민(Seong-Min Lee),홍훈기(Hun-Gi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만큼 교육과정 총론의 철학을 구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마찬 가지로 성취기준이 특정 범주 및 개념 이해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의 성격 및 과정중심평가의 방향과 충돌하므로 다양한 활동과 탐구가 가능 한 성취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5-6학년군 성취기준에서 상위인지가 3-4학년 군보다 오히려 감소했으므로 학년에 따른 인지과정 차원의 체계적인 위계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에 특정 서술어 사용 빈도가 높고 대부분의 서술어가 ‘이해하다’ 인지과정에 속하므로 인지과정의 다변화를 위해 성취기준 서술어 사용의 다양화와 명료화가 필요하다. 넷째, ‘내용+행동’으로만 진술된 현재의 성취기준은 교사가 현장에서 ‘방법’ 측면을 재확인 및 고찰해야 하는 어려움이 생기므로 성취기준 제시 형태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서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 역량을 성취기준에 구체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과학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성취기준 개발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전략이 요구된다.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critical to implementing the philosophy of curriculum, as it has the ability to present the aims and goals of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evalu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focused on specific categories and understanding concepts, lik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is conflicts with the nature of curriculum and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for various activities and exploration. Second, meta-cognition in the 5-6 grade was less that it in 3-4 grade rather. Thus, the systematic stratification of cognitive processes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shall be considered. Third, because the frequency of a particular description is high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most of the descriptions are in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understand’, the diversific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required for diversity the cognitive processes. Fourth, the current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only by the ‘content+action’ form have difficulties requiring teachers to review and consider them in class. Therefore, it shall be reviewed for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 Fifth, the 2015 revise curriculum is a competency -based curriculum, so it needs to be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nclusion, a more precise development strategy is required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future curriculum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Science.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과 핵심역량 하위요소 추출 및 적용

        윤도운(Yun, Doun),고은아(Ko, Eunah),최애란(Choi, Ae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의 하위요소를 선정하고 각 하위요소의 정의를 도출하여 과학 교과서의 활동과 평가 문항을 분석한 예를 제시함으로써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 설계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과학과 핵심역량별 하위요소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2016 현장교원 중심 교육과정 포럼 최종보고서, 과학적 사고력 4편, 과학적 문제 해결력 3편,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4편,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3편의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핵심역량의 하위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선정하였다. 과학적 탐구 능력의 하위요소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8가지 기능으로 하였고, 그 정의는 NGSS에서 제시한 8가지 과학실천의 정의를 인용하였다. 나머지 과학과 핵심역량의 하위요소별 정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과학교육론 단행본, 연구보고서, 과학과 핵심역량의 각 하위요소에 관한 선행 연구 8편을 포함한 여러 문헌의 정의를 비교하여 같은 의미는 하나로 통합하고 새롭게 제시되는 의미는 추가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과학과 핵심역량별 하위요소와 그 정의는 교과서의 활동, 평가문항, 수업 계획에 포함된 활동 등을 분석하여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과 학생들의 학습 기회 및 평가와의 관련성을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알아보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mponents of each of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Science Curriculum, provide examples of applying components of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to analyze activities and assessments in science textbooks, and provide implications on science instruction for improving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We identified components of each of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by examining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and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each of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We also constructed definition of each component of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by comparing and integrating definitions indica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and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each of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would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on how student activities and assessments are related to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by applying components of each of scientific competencies on activities and assessments in science textbooks.

      • KCI등재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학습 내용의 적정성 분석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한제준,권유지,오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3 현장과학교육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equacy of content elements and systems in the earth and universe domain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main stages suchas comparative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In the comparative analysis stage,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e literature review, the adequacy of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analyzed. We established three analytical perspectives such as selection, organization and the quantity and level of educational content by considering NGSS, KSES, TIMSS, and learning progressions. This research showed three results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as follows. First, we figured out learning contents were relocated, reduced, newly introduced, merged and transformed as compared to the 2015 edition. Second, the learning contents were reorganized. Third, the new section titled ‘Earth and Sea’ was introduced reflecting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lines of 2022 revi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orporate feedback from teachers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의 내용 요소와 체계의 적정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는 크게 비교 분석 단계와 문헌 연구 단계로 진행되었다. 비교 분석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 단계에서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선정과 조직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내용의 조직,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이라는 세 가지 분석 관점을 설정하였으며, NGSS, KSES, TIMSS, 학습발달과정 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내용이 이동, 축소, 신설, 병합, 변형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학습 내용이 재조직되었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의거 생태전환교육이 반영되어, ‘지구와 바다’ 단원이 신설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09 개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Ⅱ 교과서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정수연,장정호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by based on their types, units, and publishers. Moreover, we examined the changes in inquiry activities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degree of textbook distribution in the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ovided in each revised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 contained 23% decreased page-number and approximately 8% decreased inquiry activities. It is due to make a relaxation of learning burden of students, whereas to increase the ability of creative scientific inquiry. The inquiry activities of 2015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have increased the types of SA, IP and EX compared to those of the 2009 revised. The result indicated the consistency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hich pursues a variety of student-centered inquiry. There are 22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Life ScienceⅡ in all textbooks. However, in the 2009 revised Life ScienceⅡ, textbooks LS2㉡~LS2㉤ provide not all the 17 examples of inquiry activit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try to restructure their textbooks for enhancing students’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criteria.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을 유형별, 단원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고,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와 비교하여 탐구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활동 예시의 교과서 분포 정도와 탐구활동 유형을 조사했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2009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에 비해 지면 수는 약 23 % 감소되었고, 탐구활동 수는 약 8 % 감소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줄이되 창의적 과학 탐구 능력 등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은 2009 개정과 마찬가지로 ID 유형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09 개정에 비해 SA, IP, EX 유형이 많아졌다. 이는 학생중심의 다양한 탐구 학습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한 것이다. 그러나 ID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2015 개정 생명과학Ⅱ 교과서의 탐구활동이 이전 교육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고 구조화된 탐구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보여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Ⅱ에서 제시하고 있는 탐구활동 예시 22개가 교과서별 탐구활동 유형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모든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다. 반면에 2009 개정 생명과학Ⅱ에서는 탐구활동 예시 17개를 모두 제시하지 못한 교과서가 있으며, 이는 LS2㉡~LS2㉤이다. 생명과학Ⅱ 교과서가 출판사별로 탐구활동의 빈도,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교사는 탐구 수업을 설계할 때 성취기준에 따라 학생들이 탐구활동 유형을 제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 정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 분석

        정명현(Jeong, Myeonghyeon),유인성(You, Insung),민소원(Min, Sowon),홍훈기(Hong, Hun-G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지난 수십 년간 과학의 본성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과학의 본성 반영정도와 그 수준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Abd-El-Khalick et al. (2008)의 과학의 본성 정의를 반영하여 구성된 이정원 외(2016)의 NOSAT(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융합과학 교과서와 2015 개정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의 영역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융합과학과 통합과학 모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과학의 본성 영역은 이론, 관찰추론, 사회문화로 나타났다. 두 교과서 모두에서 암시적인 관점의 서술의 비율이 명시적인 관점의 서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두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을 서로 비교한 결과 각 출판사의 과학의 본성 서술 방향에 따라 과학의 본성의 빈도 및 명시성의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교과서 집필방향에서 명시적인 서술이 더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일부 과학의 본성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 현상을 줄이고 각 과학의 본성 영역이 균형 있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ver the past decades, the importance of the nature of science has been emphasize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degree of reflection and the level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s advancing as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from ‘2009-revised-curriculum’ to ‘2015-revised-curriculum’. The area and level of the NOS in ‘Convergence-science’ of ‘2009-revised-curriculum’ and ‘Integrated-science’ of ‘2015-revised-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the 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 (NOSAT) which Lee Jeong-won et al. (2016) had made reflecting the definition of the NOS by Abd-El-Khalick et al. (2008). As a result of our analysis, the area of the NOS that appeared most in both ‘Convergence-science’ and ‘Integrated-science’ was ‘Theory’, ‘Inference’, and ‘Social and Cultural embeddedness’. In both textbooks of the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implicit point of view was higher than that of explicit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OS in the textbooks, the frequency and the extent of the explicit descriptions of NOS differ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toward the nature of science of which each publisher writ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explicit descriptions in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and to reduce the phenomena that are biased toward the certain area of NOS and balance each area of NOS.

      • KCI등재

        TIMSS 2019의 4학년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김선경,김현경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1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cience domain of TIMSS 2019 and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Twelve subjects are presented in the physical science domain of ​​the TIMSS 2019 4th grade evaluation framework.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science education experts, a total of 12, participated to analyze in which grade thes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Korea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s a results of analyzing whethe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IMSS 2019 evaluation framework and Korean science curriculum are consistent, the subjects pertinent to chemistry like 'chemical changes in everyday life,' 'heat transfer,' and 'electricity and simple electrical circuits' appeared not covered at all until the 4th grade curriculum in Korea. Given that the TIMSS 2019 evaluation framework is an international achievement standard, we are proposing to improve the Korean curriculum as follows: first,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science curriculum, there is a need for science curriculum organized from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connect the content and scope of chemistr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a whole including the Nuri curriculum. Second,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suitability of learning volume and level of learning, it is possible to think of a method to readjust the grade of dealing with related concepts by lowering the difficulty or simplifying the concept.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introducing essential concepts and standard terms into Korea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international trends.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IMSS 2019 초등학교 4학년 과학 평가틀의 물상과학 영역에서는 12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초중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총 12명이 참여하여 이 주제들이 우리나라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느 학년에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TIMSS 2019 평가틀의 성취기준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일치하는지 분석한 결과, TIMSS 2019 물상과학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까지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로 화학과 관련 있는 ‘일상생활에서 화학 변화’, ‘열전도’, ‘전기와 간단한 전기회로’ 내용이 두드러졌다. TIMSS 2019 평가틀이 국제 성취 기준임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누리과정까지 연계하여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화학의 내용과 범위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현재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하는 개선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량 및 학습 수준의 적합성 문제를 고려하면서 난이도를 조정하거나 개념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접근하면서 관련 주제를 다루도록 학년군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국제적인 흐름에 맞게 필수적인 개념 및 표준 용어들을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거나 구성되도록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속 첨단과학기술 내용 분석

        문지영(Jiyeong M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첨단과학기술 반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속에서 첨단과학기술 주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첨단과학기술 주제별 빈도수와 서술 방식을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루어진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첨단과학기술을 정의하고, 각 이슈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첨단과학기술을 6개 그룹과 14개의 주요 이슈로 도출하였다. 첨단과학기술 서술범주는 기초, 원리, 이용, 영향, 직업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분류틀을 바탕으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고등학교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및 선택 과목에 대해 성취기준과 학습 내용을 분석하였고, 첨단과학기술 주제와 관련한 내용을 조사하고 서술된 방식을 분석하여 빈도수를 나타내었다. 결과 첨단과학기술 이슈 중 생태계⋅친환경 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생명 그룹과 기타(공통) 그룹이 두 번째 높았다. 가장 낮은 빈도수로 나타난 것은 정보⋅통신 그룹과 운송⋅로봇 그룹이었다. 과목군 중에는 고등학교 선택 과목에서 가장 언급이 많이 되고 있었으며, 특히 생활과 과학 과목이 8건, 과학사 과목 3건으로 빈도수가 높았다. 첨단과학기술과 관련한 직업 내용은 중학교에서만 다루고 있었다. 구체적인 기술 사례로서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인공지능과 정보 기술 발달로 나타나는 새로운 직업군이 소개되고 있었다. 또한, 서술범주 분석결과 이용, 원리, 사회적 영향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지만, 기초, 직업 서술범주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어, 첨단과학기술 서술방식이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되는 첨단과학기술의 범주가 다양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재해재난 대응책이나 원전의 안전성과 같은 사회인프라 그룹의 주제들은 적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첨단과학기술 분야 내용을 소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주요 첨단과학기술 주제를 명시적으로 드러낼 필요가 있다. 셋째, 구체적인 서술방식이 원리를 이해하거나 조사하는 것에 그치고 있으므로, 실제로 첨단과학기술을 탐구하거나 실험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수업을 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In modern society, which is continuously changing due to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ccelerated the changes in human life. In this study,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reflection of advanced science technology in the future revised curriculum, we investigate how the topic of advanced science technology appear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In this study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were defined base on the findings of the recent science and technology prediction survey and advanced science technology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ourteen major issues depending on their importance. Also,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re classified into five descriptive categories: basic, principle, usage, influence, and profession. The achievement goals and learning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this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middle school science, high school science. Result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ecology/eco friendly group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issue. The topic groups with the lowest frequency were the transportation/robot group and the information/communication group. When examining topic groupings, the high school elective courses were cited the most, particularly life science subjects with 8 cases and science history subjects with 3 cases.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content description category, the proportion of use, principle, and social impact was high, whereas the proportion of basic and profession description categories was small, confirming that the description method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was biased. Conclusions First it is vital to diversify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categories given in curricula and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non-biased contents of diverse sectors of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ose openly major advanced science technology topics. Third, it is required to deliver the class in a manner that may be adjusted in a variety of ways so that students can truly investigate or experiment with the advanced science technology.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검토:

        임유나(Lim Yoo Na),장소영(Jang So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최근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반영하고 학생활동 중심으로 교실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적정화를 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방향으로 중 하나로 삼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2009 와 2015 개정 초,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내용 적정화 정도를 검토해 보았다. 연구 결과, 두 교육과정의 과학과 수업 시수는 동일하게 유지된 한 편, 새 교육과정의 학습 주제 수는 증가하였다. 성취기준의 수는 새 교육과정의 모 든 학년군에서 기존 교육과정에 비해 20% 정도 감소하였으나, 개념(학습요소), 성취 기준 해설, 교수 학습 및 평가의 유의사항, 성취기준의 병합적 조정 등을 고려하여 분석한 교육내용량은 사실상 크게 감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 적정화 는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성취기 준의 개수를 줄여서 될 문제가 아니라, 교육내용이 제시하고 있는 개념적 지식과 수 행해야 하는 탐구활동의 수준 등을 수업 시수와 함께 고려하면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염두에 두고, 철저한 숙고와 보다 더 엄격 한 기준에 따라 핵심개념을 선정하고 교육내용량을 실질적으로 감축할 필요가 있다. As the measures to reflect the core competencies and also to improve the classroom lesson focusing on students activities,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cently notified aimed for the redu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reviewed the degree of reducing the educational content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science for elementary/middle school, revised in 2009 and 2015.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umber of science lesson hours for both curriculums was same while the number of learning topic for the new curriculum was increased. The number of items suggested as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new curriculum was decreased about 20% in every grade group, compared to the existing curriculum. However, the volum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alyzed by considering the concepts, explan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structions of teaching and evaluating, and the combined adjustm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was not largely reduced. Since the redu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s to provide significant learning opportunities to students, the level of research activities and the conceptual knowledge suggested by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number of lesson hours, instead of just reducing the number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lso keeping the education goal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mind, the core concepts should be selected on the basis of more thorough consideration and rigorous standards, and then the volum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actually reduced.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김현경 ( Hyun-kyung Kim ),나지연 ( Jiyeon N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 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이에 초등학교교사 468명과 중학교 교사 4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수의 초·중학교 교사들은 학교 과학교육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들이 적용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것 같은 어려움으로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응답은 각각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 실험 준비 시간의 부족, 과학 교과 역량 함양 방법이나 내용체계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에 교수·학습 자료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의 내용, 교사의 역할, 교사 공동체 형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need for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ur hundred and sixty-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our hundred and twenty-two middle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man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major chang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pplicable in school science education. However, they expected that the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lack of experiment preparation time, and lack of their understanding about how to improve th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and how to use the content system were major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major change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y also thought tha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needed in order to apply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content for teacher training, the role of teachers, and formation of a teacher community.

      • KCI등재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비교

        김현경(Kim Hyunkyung),임희준(Lim Hee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국제비교인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의 평가목표가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항목이 가장 많았던 영역은 생명과학 영역이었다.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목표 중에서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의 구분’, ‘살아남는 자손의 수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전략’, ‘환경 상태에 대한 동물의 반응’,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특징과 그렇지 않은 특징의 구별’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고 있었으며,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내용들도 있었다. 물상 영역의 경우 TIMSS 2019 평가틀의 4학년 평가 목표 중에서 ‘힘과 운동’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것은 없었다. 지구과학 영역의 경우는 ‘날씨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짐’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것은 없었다. 물상과학 영역의 ‘힘과 운동’, 지구과학영역의 ‘날씨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짐’에 대한 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다루지않고 중학교에서부터 다루고 있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 단원의 신설, 새로운 성취기준이 추가됨으로 인하여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TIMSS 4학년 과학 평가틀의 일부 평가 목표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포함되는 변화를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SS 2019 science frameworks for 4th grade and Korea 2009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 It was biological science area that inconsistency between TIMSS 2019 science frameworks and Korea science curriculum was the most. The topics were not included in Korea science curriculum not only elementary level but also middle school level were ‘distinguish groups of animals with backbones from groups of animals without backbones’, ‘identify and describe different strategies that increase the number of offspring that survive’, how different animals respond to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physical science, none of the 4th grade objectives of the TIMSS 2019 assessment framework is addressed in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except or force and exercise . In the case of the earth science, there is nothing that is not covered in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except for weather depends on geographical location . The subjects of strength and movement in the physical science field and weather depends on geographic location in the earth science field were not covered in elementary school but from middle school level. It was found that the consistency between TIMSS science objectives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 was increased as integrated chapters and some new objectiv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2009 revision science curriculum, were added in recent scienc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