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악을 활용한 한국적 찬송가 만들기: 다양한 비공인 찬송가집과 동월교회 한국 찬송가

        김묘신 세계음악학회 2022 음악과 문화 Vol.- No.46

        This paper examines Koreanized Protestant hymns apply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outh Korea. It first explores the creation of Koreanized hymns through the history of attempts in the early years of Protestantism in Korea and then via hymnbooks published by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churches. Nex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ymnbook published by Dongwol Church, a representative minjung (mass or people) church of the 1970s and 1980s, are discussed in terms of notation, melody, rhythmic patterns, and lyrics. Although efforts to use Korean traditional music as church music—beginning with Rev. KIL Seon-ju and missionary James S. Gal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were not accepted by people of the time, Koreanized hymnbooks have been actively published since the 1980s. Dongwol Church’s Korean Hymnbook, in use for over 20 years in weekly worship, can be highly recognized for its use of jeongga (traditional Korean lyric song)-style hymns which were chosen symbolically as the proper musical genre to express Korean identity. However, despite the composer’s initial musical intentions, the fact that he composed folksong-style and Western music-style hymns with pentatonic scales in addition to jeongga-style hymns reflects his consideration of the musical level of the church members who sang the hymns. The Korean Hymnbook was used as an appropriate cultural tool to represent the spirit of the national, democratic, and communal church sought by Dongwol Church; furthermore, it is a cultural symbol representing the influence of the contemporaneous minjung cultural movement. Based on Minjung theology, the lyrics of the hymns contain autobiographical stories of church members who were the urban poor, their perspectives on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and a human-centered confession of faith. Different from the 1980s, today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changed, and it is now possible to create various types of church music incorpor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genres. In addition, the spirit embedded in lyrics of the Dongwol Church hymns can be employed in singing not only the expression of vertical faith toward God but also the practice of horizontal love toward neighbors in Korean churches with weaker public faith traditions. .

      • KCI등재후보

        교회의 권위로서 합의(consensus ecclesiae)에 대한 칼빈의 이해

        양신혜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7 No.-

        This paper takes as a starting point (1) an argument in the petition of 51 students at the Josoen-theological Seminary (1947), which caused the separ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and (2) Calvin's defence of the canonicity of song of Solomon in his discussion with Castellio (1544). The 51 students grounded their arguments for the authority of the church in the Westminster Confession; likewise, Calvin rooted his assertion of the canonicity of 'Song of Solomon' in the canon-list as a consensus of the church. This method appears to contradict the Reformed tradition in that the Reformed church has denied the consensus of the church because it is a human decision. Instead, the Reformed church has stressed both the fallibility of a human decision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and the divine evidence of the Bible. I make this contradiction the subject of this paper and described how Calvin articulated the consensus of the church. I try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Roman Catholic-church and Calvin by showing how the authority of the church may be valid. Also, I explain that a for the Roman Catholic-church the consensus of the Church is related to the Holy Spirit, which guarantees the authority and infallibility of the church; while for Calvin a consensus, which is based on divine truth, is related to the essence of the church. Here I clarify that for Calvin the unity of the church is based on christology and faith. In the process of making a harmonious consensus, Calvin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humility of both the interpreter and biblical interpretation. Handing down the so formed agreement of the church is the duty of the church, the minister and council. This work guarantees the authority of the agreement, only if they carry out this duty faithfully and reliably. Therefore this authority of the church is not absolute but definite. This authority demands individual acceptance, which derives from biblical interpretation. I show that for Calvin the authority of church is articulated well when the church admits sincere and active engagement in the hermeneutical circle. 본 글은 한국 장로교 분열의 시발점이 되었던 조선신학교 51명 학생이 제출한 진정서에서 그들이 교회의 권위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근거로 성경의 권위를 논증한 것과 칼빈이 카스텔리오와 논쟁에서 정경으로서 아가서의 권위를 교회의 합의인 정경목록에 근거하여 옹호한 것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 방법은 교회의 합의에 토대를 둔 결정이야말로 인간적인 결정이라는 이유로 거부하고, 오히려 성령의 확증과 성경의 신적 본질인 자증성의 결합을 통한 확증에 강조점을 두고 있는 개혁교회의 전통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 바로 이 모순점을 본 글의 주제로 삼아 칼빈이 교회의 권위로서 교회의 합의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칼빈과 로마 카톨릭교회와의 논쟁에서 칼빈이 교회의 합의가 지닌 권위를 어떻게 정당화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칼빈과 로마 카톨릭교회와의 경계의 지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로마 카톨릭교회는 교회의 합의와 성령을 연결시켜 교회의 권위와 무오의 토대를 삼은 반면 칼빈은 ‘신적 교리의 진리’에 근거를 둔 합의를 교회의 본질과 연결시켜 서술함으로써 분명한 경계 짓기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이 경계에서 칼빈은 교회의 합의의 목적으로서 그리스도론적 일치와 믿음의 일치를 강조하고 교회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그가 해석자의 겸손과 공동체의 화합을 우선시하는 성경해석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이렇게 형성된 교회의 합의를 보존하고 유지하는 것이 교회의 임무로 그 임무 자체에 권위가 있으며 이는 교회의 사역자를 통해서 그리고 공의회를 통해서 전수되고 있음을 서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권위는 칼빈에게 있어서 절대적 권위가 아니라 성경해석에 토대를 둔 성령의 증거인 개인의 동의를 요구하는 상대적 권위임을 밝힘으로써 칼빈이 해석학적 순환을 진지하게 그리고 적극적으로 수용한 상태에서 교회의 권위가 그 힘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 KCI등재

        종교개혁전통의 교회력과 성서정과의 채택여부에 관한 연구–루터와 칼빈을 중심으로

        김명실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2

        In spite of an claim that the reformers in the 16th century abolished the church year and the lectionary, there is enough evidence that the reformers observed the church year reflecting the salvation story of Jesus Christ and read the biblical texts selected for a certain day’s preaching.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 liturgical renewal movemen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bbreviated the middle age’s liturgical calendar to recover the biblical tradition in the church year and left the lectionary organized into three-year cycles of readings. Being influenced by the movement, the Protestant churches also developed a common three-year lectionary together as a part of ecumenical movement, and have been popularizing the three-year lectionary. However, some scholars and ministers belonging to the Reformed tradition in Korea have been arguing that the system of liturgical calendar and lectionary was criticized and abandoned by the reformers in the 16th century, insisting that only lectio continua is appropriate for Reformed churches, not lectio selecta based on the church year. Thus, this article examines on whether the reformers, especially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abolished the liturgical calendar and the lectionary,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s why many people have had such a preconceived idea. Although Luther and Calvin had criticized and/or minimized the church year and the lectionary, they didn’t deny the liturgical system itself, but objected to aspects of the liturgical calendar as corrupted, including saint worship and unsuitable biblical tests for the feasts throughout the Middle Ages.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liturgical calendar and the church year in Scottish Church,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references for most Korean Reformed churches. Proving that Church year and the lectionary system was originated from Jewish tradition, it is suggested that to develop the early church’s worship traditions in a way that addresses modern contexts is appropriate to the spirituality of Reformation tradition, and should not be abandoned.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중세 로마 가톨릭이 사용하던 교회력과 그에 기초한 성서정과를 폐기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를 중심으로 한 기본적인 교회력을 준수하였고 그에 맞도록 선택된 성경본문에 따라 설교한 기록된 증거들은 충분하다. 20세기 중반에 시작된 제 2 바티칸 공의회의 예배개혁운동은 성경적 교회력의 회복과 그에 따른 3년 성서정과라는 위대한 예배유산을 남겼다. 이에 영향을 받은 세계 개신교 주류 교단들은 교회연합의 일환으로 3년 단위의 공동성서정과를 만들었고, 현재 활발히 보급 중에 있다. 그러나 개혁전통에 속한 몇 몇 한국의 신학자나 목회자들이 이러한 교회력과 그에 따라 성경본문을 선택해서 설교하는 방식이 16세기 종교개혁자들에게 비판을 받은 실행이라고 문제를 제기해오고 있다. 이들은 종교개혁자들, 특히 칼빈은 교회력과 상관없이 연속적 성경읽기 방식을 통해 설교했기에, 교회력을 반영하는 선택적 성경읽기가 아니라 연속적 성경읽기 방식으로 설교해나가는 것이 개혁전 통에 적합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자들, 특히 루터와 칼빈이 교회력과 그에 따라 선택된 성서정과를 사용했는지의 여부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초기 개혁자들이 비록 중세 교회력과 성서정과를 비판하고 축소하였으나 그것은 교회 력과 성서정과 제도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라, 성인숭배 등으로 오염된 교회력과 절기에 맞지 않게 선택된 성서정과를 비판했던 것이다. 또한 칼빈의 영향을 받은 스코틀랜드 교회가 급진적인 개혁을 단행하며 거의 모든 교회력을 폐지하였으나 자체적으로 개혁적인 예배회복을 통해 교회력을 새롭게 복원하여 실행하고 있음도 밝히고 있다. 스코틀랜드 장로교회는 한국 개혁교회들의 주요한 참고 중 하나이다. 또한 이 논문은 교회력과 성서정과가 중세의 산물이 아니라 유대교 회당 예배의 전통을 계승하며 발전시킨 기독교의 예배전통임을 증명하며, 기독교 초기 부터 형성된 예배전통을 폐기하기 보다는 각 시대정신에 맞게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개혁전통의 참 정신이라고 제안한다.

      • KCI등재

        전통적 교회에서 선교적 교회로

        이길표(Lee, Gil Pyo) 한국선교신학회 2011 선교신학 Vol.28 No.-

        Korean missionaries and Korean diaspora churches are all around the world now. In fact, Korea is widely known as the second-largest missionary sending country in the world, and the country where the biggest church in the world is located. However, although Korean diaspora churches are located in strategic places for world mission, many are reaching out to only Koreans. Of course, they are engaging in various forms of mission. But mission is not their main pursuit. They tend to focus more on internal programs, and differentiate those programs from mission. Missional churches, on the other hand, have a different understanding. They think of the church as having one vocation: participation in the missio Dei—that is, the Triune God’s own mission. In other words, traditional churches have programs, some of which focus on mission; in contrast, missional churches focus mainly on mission and seek to bring all their programs to bear on that task. This study, in which the author commends the latter ecclesiological stance, explores how Korean diaspora churches in North America might be able to move from a traditional stance to a missional one. Utilizing three transformation theories as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working from data from interviews with leaders from ten Korean churches in North America and North American-based Korean missional leaders, plus library research and the records and histories of the churches studied,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authoritarian model of pastoral leadership in first generation Korean diaspora churches in North America militates against the employment of any change process that does not focus first and foremost on senior pastors. Given the support of the senior pastor, the study further recommends a strategy for change that is tailored to the culture of first generation North America Korean churches.

      • KCI등재

        교회와 전통: 교회가 전통이 될 수 있는가?

        문배수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3 성경과신학 Vol.106 No.-

        This Paper discusses whether the church is considered to be a tradition in the history of biblical canon and aims to apply the results of the German debate of the canon to the Korean church. There certainly are some notable differences between German- and Korean-church. For example, German church has experienced religious reformation and is considered as a state religion. Korean church on the contrary, has no such experience but rather divided into numerous denominations with different confession of faith. This article aim to analyze opinions in Germany about the canon by dialectic - by for, against and sum. While German Lutheran theologians are very careful when approaching the European orthodoxy of legitimism in the 16th century, Korean church only tends to see the positive sides of the idea. The church in Korea has great influence in the religious field, so much in fact that it sometimes suppress and control the growth of theology. We as worshippers are ought to listen to the voice of Christ in our churches and this is the mission of theology. Though the Korean church intends to take control and dominate over the theology with overbearing attitude, this proves to be an evidence that the church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as a tradition. We need faith in Christ and Christ only. The church, therefore, needs to open up the path of faith towards Christ, not closing it. 왜 한국교회는 쉽게 굳어질까? 교회는 지금까지 많은 문제에 직면하며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해 왔다. 교회가 모임 자체에 집중하다 보니 교회가 지닌 본질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한국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교회 중심에서 벗어나 그리스도 중심의 신앙으로 바뀌어야 한다. 본 글은 정경과 교회의 관련성을 다루고 있고 정경에 대한 사고는 긴 역사를 가진 교회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진다. 논문은 전통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과연 교회가 전통에 포함될 수 있는가 또는 교회가 전통 자체일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다룬다. 네 부분으로 구성된 논문은 처음 작은 단위로서 전승의 의미와 큰 단위로서 전통의 의미를 구별한다. 그리고 교회사에 나타난 전통에 대한 이해를 나열하며 독일 교회에서 이뤄진 ‘교회와 전통’에 대한 논의를 정, 반, 합의 변증법으로 소개한다. ‘정’의 입장은 전통으로서 교회의 역할을 긍정하는 입장이고, ‘반’의 입장은 그 교회의 역할을 부정적으로 평하는 것이다. 그리고 ‘합’의 입장은 기독교 신앙 안에서 교회에 나름의 역할을 인정해주는 것이다. 끝으로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교회 중심성이 전통이 되어 가는 교회 모습과 관련 있음을 지적하며, 거듭 한국교회는 교회 중심의 신앙에서 그리스도 중심의 신앙으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 ‘교회와 세상’에 관한 소고 - H. U. von Balthasar 신학을 통한 성찰 -

        최민섭(Choi Minseop)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9 누리와 말씀 Vol.46 No.1

        현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교회와 세상’은 때때로 어울릴 수 없는 두 가지의 공간으로 인식된다. 폰 발타살 역시 ‘교회와 세상’은 두 가지 실체인가, 하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없는가라는 질문에서 스스로의 신학을 성찰해간다. 지금의 세상은 마치 교회를 박해하고 있는 듯하고, 교회는 아무 죄도 없이 그런 세상을 버티며 살아가고 있는 듯하다. 지금의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교회의 가치는 점점 사라져가고, 교회 역시 세상 때문에 피곤해 보인다. 하지만 교회는 어느 때고 힘을 읽거나, 사라질 염려 없이 지금까지 굳건히 존재하고 있다. 다만 그 교회가 간직하여 ‘기억’하여야 할 것들에 대한 성찰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 ‘기억’이 잊지 말고 전해야 할 ‘전통’ 또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폰 발타살은 우리에게 중요한 사실을 지적하여 깨닫게 한다. 하느님이 창조 때부터 마주하고 있었던 구원의 대상은 ‘교회’가 아닌, ‘세상’이라는 것이다. 현시대를 사는 사람들이 ‘교회와 세상’을 구분하듯, 폰 발타살 역시 그 구분을 뚜렷이 한다. 하느님의 구원 대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그 나뉨에는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것이 분명히 존재한다. 다름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기억’하여 ‘전통’으로 간직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 ‘기억’과 ‘전통’의 이어짐 없이는 현시대가 내어놓는 발전과 다양한 사고들에 의해 불안할 수밖에 없는 세상과 교회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 때문이다. 자칫 지금의 교회는 교회 그 자체를 위해 설립된 것 같지만, 사실 교회는 세상이 간직해야 할 것들을 위해 마련되었다. 이러한 폰 발타살의 신학적 성찰은 “세상과 함께 하느님의 미래를 마주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는 교회”에 관한 반성이며, 하느님이 이 세상을 창조하여 사랑함은 ‘교회’를 위해서가 아니라, ‘세상’과 우리 모두를 위해서라는 사실을 깨닫기 위한 여정이다. To the people living in this era, it is recognized that ‘the Church and the World’ are two different spaces where cannot get along with, from time to time. Von Balthasar also thinks about seriously through these two questions in his theology; The Church and the World are two different true natures? Is there any possibility to be one? This world seems to persecute the Church; the Church seems to endure such a world without having any sins. To the people who are living in this world, the value of the Church is gradually disappearing, and the Church also seems to be tired because of the world. But the Church exists any time firmly until now, without losing her power and fear to be disappeared. Simply, it is strictly needed the introspection on the things that the Church keeps and ‘remember’. And also the ‘tradition’ that the remembrance should hand down also has important meaning. Based on such a fact, von Balthasar pointed out the important fact or let us realizes that the salvation object from the Creation is not ‘the World’ but ‘the Church. Like the modern people divide “the Church and the World”, von Balthasar also clearly divided it. That is to clarify the object of God. But in that division, there surely exists the thing that cannot share together. That is the fact to ‘remember the life of Jesus Christ and keep it as a ‘tradition’. Without that connection of ‘remembrance’ and ‘tradition’, it is true that the Church and the World should be anxious by the modern world development and its various thoughts. The current Church seems to be established for the Church herself, but the Church is prepared for the things that the World should keep. Such an introspection of von Balthassar is the self-reflection on “The trying Church to face the future of God with the World”. And also it is the journey to realize the fact that God’s Creation and His Love is not for ‘the Church’ but for ‘the World and all of us’.

      • KCI등재

        특집 : 중국교회의 신학과 선교 : 중국 도시 가정교회의 개척과 전망

        안희열 ( Heui Yeol Ah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3 복음과 선교 Vol.23 No.-

        Around 20% of Korean missionaries works in China. It means that China plays an important role for world mission. Recently GDP(Gross Domestic Product) of China gets far ahead of that of Japan.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 economy, China outdoes Japan, and ultimately becomes G2 nation. It makes an estimate that China also will surpass America in economy in 2030.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China brings a great change on mission. It is the general tendency that there are lots of rural house churches in China. However,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China have produced an effect urban house church in China on growing continuously. There are two types of urban house churches in China as follows: (1) traditional house church; (2) contemporary house church. The former is the naturally formed urban house church. It means an independent church that is separated from ``three self`` church of China, and also a peasant and artisan church consisting of immigrant laborers. The latter is the church that Korean missionaries have planted in China after forming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Korea and China in 1992. They have steadily delivered the Gospel to young college students, business men, and able workers, and then have produced a good result.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deal with how Korean missionaries have planted urban house church in China, and also profoundly study the tasks and perspectives that urban house church in China possesses. There are seven steps to plant urban house church in China as follows: (1) focus on human beings instead of building; (2) concentrate on relationship; (3) center on achievement of Chinese language; (4) focus on discipleship and leader training; (5) make the place of giving and serving; (6) concentrate on seminary ministry; (7) make self-supporting church. Meanwhile, there are three tasks to plant urban house church in China. First, be careful not to fall into heresy. Second, prevent house church in China from becoming enormous in scope. Third, build leaders of Paul-type and charge the leaders with their own ministry. Besides what is the perspectives of urban house church in China? First, the lay-centered church will be prosperous. Second, Korean missionaries have to train native leaders as well as their missionary kids. Third, Korean missionaries ought to become itinerant missionary and patrol the urban house church they have planted until now. All leaders of urban house church in China must take the lead in expanding ``Westward Movement`` of the Gospel and will exert themselves to extend the kingdom of God to inland area and a minority race in China.

      • KCI등재

        한국 성공회의 유교 아비투스 -서울주교좌성당 사례를 중심으로-

        채병관 한국종교학회 2020 宗敎硏究 Vol.80 No.2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fucia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When the Anglican Church was introduced to Korean soil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Confucian traditions were like common sense and collective ethics for Koreans. For this reason, while introducing its universal teachings to Korea, the Anglican Church was influenced by the Confucian tradition of Korea. As a result, the Korean Anglican Church not only has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Anglican Church, distinguished from other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but also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found in other Anglican churches in the world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 habitu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eoul Anglican Cathedral of St. Mary and St. Nicholas, this article delineates the features of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today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ts members. In doing so, one can observe how the Confucian traditions of Korean society are accepted and operated within the Anglican Church of Korea. In other words, one can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glican Church, which are distinct from other Anglican churches in the world, along with the fact that Confucian habitus are present in the Korean Anglican Church just like other Korean Protestant churches. 이 글은 종교 사회학적 관점에서 한국 성공회 성당에서 볼 수 있는 유교적 특징을 살펴본다. 19세기 말에 성공회가 한국 땅에 소개되었을 때 한국인에게 유교적 전통은 상식과 기본윤리처럼 작용하고 있었다. 이에 성공회는 성공회만의 보편적인 전례를 소개하면서도 한국의 유교적 전통을 존중하여 받아들였다. 이러한 결과, 한국 성공회는 다른 한국의 개신교회와 구별되는 성공회 성당만의 보편적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유교 아비투스에 영향받아 한국 교회에서만 보이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이 글은 서울주교좌성당에 대한 참여 관찰과 그 구성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오늘날 성공회 성당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국사회의 유교적 전통이 성공회 성당 안에서 어떻게 구별되게 수용되어 작동하고있는지 볼 수 있다. 즉, 한국 성공회 성당에서 유교 아비투스가 다른 한국개신교회에서처럼 동일하게 작동하고 있는 부분과 함께, 그들과 달리 구별되는 성공회 성당만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교회 개혁을 위한 대안: 이머징(Emerging)교회 운동

        양현표 ( Yang Hyun Phyo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3 No.-

        20세기 말엽, 미국 기독교 안에 “이머징교회”란 말이 등장했다. 이 말이 등장한 이후 폭넓은 논쟁과 더불어 20여년이 흘렀다. 그런데 한국 교회에 유입된 이머징교회 운동은 여러 면에서 왜곡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이머징교회운동의 좌측 진영인 이머전트 그룹을 이머징교회 전체로 여기는 오해로 인한 왜곡이다. 이머징교회 운동은 20세기 말엽부터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된다. 프리모던 시대에 중세교회가 출현했고, 모던 시대에 오늘날의 전통적 교회와 구도자 중심의 교회가 발생했다고 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과 더불어 이머징교회 운동이 발생했다. 이머징교회는 모던 세상에서 전성기를 누렸던 전통적인 교회나 구도자중심 교회가 포스트모던 세상 속에서는 더이상 살아남을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한 “젊은 복음주의자”들의 몸부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포스트모던이라는 시대 속에서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는 모든 교회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거대한 우산이 이머징교회 운동이다. 한국사회도 포스트모더니즘을 피할 수 없다. 한국교회도 이러한 상황을 직시하고 인정해야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을 적으로 대할 것이 아니라 복음전파의 도구로 사용해야만 한다. 문화는 항상 복음과 적대적이자 동시에 복음 전파의 토양이었다. 교회는 문화를 사용하고 그 안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따라서 이머징교회가 되어야 한다. 오늘날 교회가 권위를 잃어버리고 신뢰를 잃어버린 중요한 이유는 교회가 이 시대를 읽지 못하기 때문임을 명심하고 포스트모던 사람들을 복음화하기 위해 이머징교회가 되어야 한다. 물론 이머전트그룹은 받아들일 수 없다. 결국 오늘날 한국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는 대안은 이머징교회 운동의 중도 그룹에 위치한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 운동이다.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여전히 스스로의 아성과 만족에 빠져 있으며, 다음 세대를 이해하지 못하고 세속화에 빠져 있는 한국 교회는 진정한 개혁을 필요로 한다. 한국적 종교개혁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머징교회 운동은 그 개혁을 위한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Late in the 20th century, the term “the emerging church” appeared in American Christianity. Since then, for over 20 years, it has been a topic of wide debate. This debate has carried over to the Korean church, where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has been distorted in many ways. This distortion has been caused by the conflation of the Emergent Group (the far left camp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with the whole of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In reality, emerging church movements came out of postmodernity in the late 20th century. It is analogous to the medieval church, which came out of the pre-modern era, and the traditional and seeker-centered churches that came out of the modern era. It came as a response to the struggle of “younger evangelicals” who found that the traditional and seeker-centered churches were no longer able to address the concerns of a postmodern world. Thus,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is a wide umbrella that covers all churches that are trying to find new ways to adapt and survive in the postmodern era. Korean society is not immune to this postmodern era and its influences - a reality that the Korean Church needs to face and acknowledge. History has shown that while culture can often be hostile to the gospel, it is also the soil in which the gospel can be preached. Thus, the Church must use culture to its advantage and for its survival. Korean churches in particular must not regard postmodernity as an enemy of Christianity but as a means of evangelization. In short, the Korean church must become an emerging church. This will address a primary cause of the loss of authority and trust that today’s Korean church has suffered: it’s inability to “read” and adapt to the contemporary postmodern culture. Of course, all Emergent Group positions are unacceptable. An alternative emerging church movement that Korean churches should embrace to overcome this crisis is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a movement that occupies a middle space in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The Korean church is in need of true reform: it is unable to adapt to the changes in culture, stuck in its own desires and self-satisfaction, and susceptible to secularization without an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It is time for the re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The emerging church movement gives a model for this reform.

      • KCI등재

        초기 제주도 개신교 형성사: 이기풍 선교사 이전 현지인 신앙공동체를 중심으로

        박정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Generally, Protestants say that Christian history of Jeju-do began by the mission of Rev. Lee Gee Pung in 1908. However, it had already become a mission field by the Catholic Church in 1899 before Rev. Lee arrived. Furthermore, the faith community of Protestant Church had been in activity in Jeju-do at that time.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is community, which had started in 1904. Then PCK sent Rev. Lee to the island, where he worked with the native islanders. According to records, before mission of PCK, there were two faith communities in Jeju-do. “Ihori Community” started in 1904 was founded by an evangelizing of Kim Jae Won. This community requested that PCK would send a missionary to Jeju-do. Ihori Community became the base camp of missionary work, and paved a way to establish other churches in Jeju-do. “Kumsungri Community,” the second faith community established in 1907 by Cho Bong Ho, showed deep interests in the modernization and education for Jeju-do. Kumsungri Community put the christian faith alongside the patriotic spirit. Two themes in the church history of Jeju-do can be confirmed through these communities. First, the natives conducted the service meeting and they pulled together with missionary, and then churches of Jeju-do were sprung up. This showed the same patterns as the forming context of early Korean churches. Second, these communities of Protestant Church were started during mission work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Leaders of communities, in fact, were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 Church. Also, they had the unquenchable thirst for the modernization of Jeju-do and thought that Protestant Church could answer some religious questions the natives had in mind. So far the oral tradition on Kim Jae Won and the existence of the faith community was presented industriously over the academic circles, but this was rarely recognized in the academic world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Yet, Memories of Life in Korea by Oliver R. Avison keeps the record on Kim Jae Won straight. The contents of the Memories correspond closely with the oral tradition on Kim. The Memories is an excellent source for restructuring the shape and growth of Jeju-do communities. These two communities were joined in 1908. As a result, the distinct feature of Jeju-do churches was formed. That is, since the mission of Rev. Lee Gee Pung, two streams in early Jeju-do Protestant Church were consolidated into one. These streams were one : ‘Mission through the Treatments’ and the other : ‘Mission through Guidelines for Modernization.’ There was a goo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ves and Rev. Lee. Like this, the mission of PCK responded enthusiastically the needs of the natives with joining of the two communities. 일반적으로 한국교회의 교인들은 제주도 기독교의 역사가 1908년 이기풍 목사의 선교로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제주도는 이기풍 목사가 도착하기 전인 1899년 이미 천주교의 공식적인 선교가 이루어진 곳이었다. 더구나 그 시기에 제주도에는 개신교 현지인 신앙공동체가 활동하고 있었다. 한국장로교회는 신앙공동체의 존재를 알고 있었는데, 이 공동체는 1904년에 시작되었다. 그래서 한국장로교회는 이기풍 목사를 그 섬에 보냈으며, 그는 그곳에서 현지인들과 함께 선교활동을 펼쳤다. 기록에 의하면, 한국장로교회의 선교 이전, 제주도에는 두 신앙공동체가 있었다. “이호리 신앙공동체”는 김재원의 전도에 의해 1904년에 시작되었다. 이 공동체는 선교사를 제주도로 보내달라고 한국장로교회에 요청했다. 그리고 이 공동체는 선교사업의 베이스캠프가 되었으며 제주도에서 여러 교회들이 설립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다. 조봉호에 의해 1907년에 설립된 두 번째 “금성리 신앙공동체”는 제주도를 위한 근대화 및 교육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 공동체는 기독교의 신앙을 애국하는 마음으로 연결시켰다. 이들 공동체를 통해 제주도 기독교 역사에서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는 현지인들이 예배모임을 가졌고 그들이 선교사를 요청했으며, 그로 인해 제주도 교회들이 성장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한국에서 초기에 교회들이 형성되는 맥락과 동일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둘째는 개신교 신앙공동체들이 천주교의 선교활동이 진행 중일 때 시작되었는데, 사실상, 신앙공동체의 지도자들은 천주교와 개신교 사이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지도자들은 제주도의 근대화에 대한 간절한 열망이 있었으며, 개신교를 통해 현지인들이 품고 있었던 종교적인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김재원에 대한 구전과 신앙공동체에 대한 존재가 끊임없이 학계에 소개되었다. 그러나 한국교회사 관련 학계에서는 이 사실을 좀처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런데, 에비슨 선교사의 회고록 Memories of Life in Korea에 김재원에 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었다. 회고록의 내용은 김재원에 관한 구전과 거의 일치했다. 에비슨의 회고록이 제주도 신앙공동체의 시작과 성장을 재구성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 셈이다. 이 두 신앙공동체는 1908년에 합류되었다. 그 결과, 초기 제주도 교회의 모습이 형성되었다. 즉 이기풍 목사의 선교활동과 함께, 초기 제주도 개신교의 두 개의 흐름이 하나로 합류되었던 것이다. 이 공동체들의 특성은 한편으로 ‘질병의 치유를 통한 선교’와 다른 한편으로 ‘근대화를 향한 선교’였다. 여기에는 현지인들과 이기풍 목사의 좋은 협력이 있었다. 이와 같이 한국장로교회의 초기 제주도 선교는 두 공동체들의 합류를 통해서 현지인들의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답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