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와 일본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절 종성 산출 차이 연구

        장향실 ( Hyang Sil Ch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본고는 한국어 음절 종성에 대한 일본어와 중국어권 화자의 산출 차이에 대해고찰하였다. 중국어권 학습자와 일본어권 학습자는 공통적으로 한국어의 종성 ‘ㄱ, ㄷ, ㅂ’ 등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학습자의 모국어인 중국어 및 일본어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음절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목을 요하는 것은 두 언어권 학습자의 발음 산출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대개 음절 종성을 탈락시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일본어권학습자들은 음절 종성을 후행 음절의 초성으로 재음절화하여 발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한국어의 CVC 음절을 가지는 단어에 대해 일본어권 학습자는 CV.CV로 산출하는 데 비해 중국어권 학습자는 CV로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기존의 음운론 연구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목표어 음절 종성 발음은 목표어의 음절종성이 가진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하지만 한국어의 같은 종성 자음에 대해 두 언어권 학습자가 달리 산출한다는 것은, 그 원인이 학습자 모어의 음절구조 및 음절화 원리에서 비롯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특징 및 음절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히 두 언어가 모두 기본적으로 CV 음절 구조를 가지는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출 결과가 나오는 원인에 대해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일본어권 학습자가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V로 산출하는 이유는 그들이 한국어의 음절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 廷와 발음 ん로 대응하는 데서 비롯되는것으로 파악된다. 일본어권 화자는 한국어의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이나 발음으로 대응시키는데, 이들은 CV-Q.CV, CV-N.CV의 구조로만 나타나야 하는 음절 구조 제약을 가진다. 이 때문에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CV구조로 발화하는 것이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종성 탈락은 그들이 하나의 형태소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여 음절화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나의 형태소(문자)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기 때문에 한국어를 인식할 때에도 음절 단위로 표기되는 한국어의 표기에 많이 견인되어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different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that are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and Japanese who are learning Korean samely pronounce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incorrect especially, syllable final consonant ㄱ, ㄷ, ㅂ. The inaccuracy results from the difference in syllable structure among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Other study on Korean phonology regard the error of foreign learners`` pronounce as being due to the nature of syllable-final consonant of target language. But different output of syllable-final consonant in Korea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shows that the causes of error result from the syllable structure of foreigners`` mother tongue. By the way, it is different that the output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learners are generally apt to eliminate syllable-final consonant of Korean. But the Japanese learners usually resyllabicate the consonant in coda as the next initial consonant. It means that the Chinese learners pronounce the word which is CVC syllable structure like CV syllable structure word. But the Japanese pronounced like CV.CV structure word. The reason for the Japanese learners output as CV.CV structure in pronounce CVC structure word is that the Japanese learners unconsciously regarded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s Japanese ``廷`` or ``ん``. As result, the Japanese learners outputs as CV-Q.CV CV-N.CV structure. But the Chinese learners`` eliminating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re resul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which is the certain syllable boundary. The Chinese learners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ir syllable structure.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duced by foreign learners, especially Janpanese and Chinese learners. The foreign learners`` error are caused by the syllable structure of their mother tongue.

      • KCI등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종성 유음 /ㄹ/ 발음 오류 분석

        최경복(Choe Kyeong-Bok),송지영(Song Jee-Young),박시균(Park See-Gyoon) 우리말학회 2021 우리말연구 Vol.64 No.-

        이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종성 유음 /ㄹ/ 발음 오류를 분석하고 그 분석을 통하여 종성 유음 /ㄹ/ 발음의 교수 방법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종성 유음 /ㄹ/ 발음 환경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떤 발음 오류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5가지 유형의 종성 유음 /ㄹ/ 발음 분석 실험을 진행하였다. 초급·중급·고급 각각 500개의 실험 단어 중에서 초급이 81%, 중급이 68.2% 고급 27.6%의 오류율을 보였다. 실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오류를 보인 유형은 종성 유음+종성 유음 유형이다. 이 유형의 오류율은 초급이 91%, 중급이 87%, 고급이 42%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많은 오류를 보인 유형은 어말 종성 유음 유형이다. 이 유형은 초급이 90%, 중급이 86%, 고급이 29%의 오류율을 보였다. 가장 낮은 오류를 보인 유형은 종성 유음+후행 모음 유형이다. 초급이 66%, 중급이 36%, 고급이 17%였다. 초급 학습자들이 중급·고급으로 갈수록 연음 규칙에 익숙해져서 오류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발음 오류를 분석한 결과 모든 실험 유형에서 초급과 중급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급 과정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종성 유음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중급 과정에서도 오류가 수정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종성 유음 /ㄹ/ 발음 교육을 진행한다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종성 유음 /ㄹ/을 정확하게 익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s in pronunciation of the syllable-final liquid /ㄹ/ b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design a teaching method for the proper pronunciation of the syllable-final /ㄹ/ based on the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what kind of pronunciation errors Vietnamese Korean learners made in the pronunciation of the syllable-final /ㄹ/, five types of syllable-final /ㄹ/ sounds were analyzed in our experiment. Upon the 500 experimental words, the error rate of the syllable-final /ㄹ/ for the beginners group was 81%, 68.2% for the intermediate group, and 27.6% for the advanced group.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the type being mispronounced most frequently was syllable-final liquid /ㄹ/ + syllable-final liquid /ㄹ/. The error rate of this type was 91% for the beginners, 87% for the intermediate, and 42% for the advanced. The next most-frequent type of mispronunciation was sole syllable-final liquid /ㄹ/. This type had an error rate of 90% for the beginners, 86% for the intermediate and 29% for the advanced. The type with the lowest error rate was syllable-final liquid /ㄹ/ + syllable-initial vowel. Th error rate was 66% for the beginners, 36% for the intermediate, and 17% for the advanced. Our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eginners and the intermediate groups in all types. This outcome seems to show that the errors might not be corrected easily up to intermediate level unless systematic and continuous speech training for Korean final liquid /ㄹ/ is provided to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through the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s.

      • KCI등재

        한국어 음절말 자음군 발음 오류 양상과 특성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안성민 이중언어학회 2023 이중언어학 Vol.91 No.-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by examining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pronunciation errors in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s. The error rate by consonant-cluster was ‘ㄾ’ (65.9%), ‘ㄿ’ (65.5%), ‘ㄼ’ (64.9%), ‘ㄺ’ (54.0%), ‘ㄻ’ (47.7%), ‘ㄳ’ (42.2%), ‘ㄵ’ (24.6%), ‘ㅄ’ (5.6%); there were many pronunciation errors in the consonant cluster including ‘ㄹ’. More errors occurred when a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 preceded a consonant than a vowel,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rror patterns. Pronunciation error rates when the trailing element was a consonant did not differ between levels 2 and 3,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only in level 4. By grammatical category, the pronunciation error rates of nominal was lower than that of verbal, and in terms of vocabulary difficulty, beginner-level vocabulary was lower than intermediate-level vocabulary. Vocabularies for selecting the first consonant were lower than the vocabularies for selecting the second consonant by loca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 In level 2, there were many error types in the pronunciation of the second consonant, but in level 3, there was more attempt to pronounce the first consonant even with a pronunciation error. Pronunciation error rates involving trailing vowe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levels, regardless of grammatical category or vocabulary difficult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was high for the vocabulary that selected the second consonant. Level 2 showed an error of omitting a consonant even when accompanied by a trailing vowel, while level 3 showed failed attempts to pronounce both consonants. In level 4, as the success rate for articulation of the preceding consonant increased, the pronunciation error rate decreased. 본 연구는 베트남어 한국어 학습자의 음절말 자음군 발음 오류의 양상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발음 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자음군별 오류율은 'ㄾ'(65.9%), 'ㄿ'(65.5%), 'ㄼ'(64.9%), 'ㄺ'(54.0%), 'ㄺ'(54.0%), 'ㄻ ' (47.7%), 'ㄳ' (42.2%), 'ㄵ' (24.6%), 'ㅄ' (5.6%); 'ㄹ'자음을 포함한 자음군에서 발음 오류가 많았다. 음절말 자음군에 후행하는 요소가 모음일 때보다 자음일 때 더 많은 오류가 발생하였고, 오류 양상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후행 요소가 자음일 때의 발음 오류율은 2급과 3급에서 차이가 없었고, 4급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휘 난이도는 초급 어휘의 발음 오류율이 중급 어휘의 발음 오류율보다 낮았다. 선택된 자음의 위치에 따른 발음 오류율은 첫 번째 자음 선택 어휘가 두 번째 자음 선택 어휘보다 낮았다. 2급에서는 두 번째 자음의 발음 오류 유형이 많았으나, 3급에서는 발음 오류가 있어더라도 첫 번째 자음을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후행하는 요소가 모음일 때의 발음 오류율은 문법 범주나 어휘 난이도와 상관없이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선택한 자음의 위치에 따라 두 번째 자음을 선택한 어휘의 발음 오류율이 높았다. 2급의 경우 모음이 후행할 때도 자음을 생략하는 오류를 보였고, 3급에서는 두 자음을 모두 발음하지 못하는 오류를 보였다. 4급에서는 선행 자음의 조음 성공률이 높아지면서 발음 오류율도 낮아졌다.

      • KCI등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음절말 자음군 발음 분석

        안성민 이중언어학회 2024 이중언어학 Vol.95 No.-

        This study presents a new perspective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 pronunciation among Mongolian learners. Unlike previous research which focused primarily on the influence of the mother tongue, this study meticulously analyzes the impact of linguistic internal factors such as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 part of speech information, and lexical difficulty on pronunciation errors. The study found that the error rate for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s among Mongolian learners is 23.3%, with a notably higher error rate in environments following a consonant. This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consonant elision poses a significant challenge. The analysis of proficiency levels revealed a clear distinction in error patterns between beginners and intermediate-advanced learners, indicating that the transition from beginner to intermediate level is a crucial juncture for pronunciation correction. The influence of part of speech information and lexical difficulty was particularly pronounced among intermediate-advanced learners, underscoring the need for a clear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part of speech-specific pronunciation rules and lexical difficulty in pronuncia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hold educational value applicable to learners from diverse linguistic backgrounds. 이 연구는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절말 자음군 발음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어 발음 교육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기존 연구가 주로 모어의 영향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이 연구는 선택된 자음의 위치, 품사 정보, 어휘 난이도와 같은 언어 내적 요인들이 발음 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세심하게 분석한다. 연구 결과, 몽골인 학습자들의 음절말 자음군 발음 오류율은 23.3%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음을 따르는 환경에서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음 탈락 과정이 상당한 도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숙달도별 분석은 초급자와 중고급자 간의 발음 오류 패턴에서 명확한 차이를 드러내냈는데 이는 초급에서 중급으로의 전환 시기가 발음 교정에 있어 중요한 시점임을 나타낸다. 품사 정보와 어휘 난이도의 영향은 특히 중고급 학습자들에게 두드러졌다. 이는 발음 교육에서 품사별 발음 규칙과 어휘 난이도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발음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며,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에게 적용 가능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언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종성에 대한 음향청취 음성학적 오류분석

        양순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어 교육 Vol.17 No.3

        This study is an error analysis of the Chinese learner’s language. Using auditory judgement and acoustic materials, I analyzed the phonetic value of the Korean syllable final consonants. Learners used omission or replacement strategy in order to syllable final consonants. Syllable final unvoiced consonants was replaced by correspondent nasals or explosives. If the syllable final consonants are /n, ŋ/, proceeding vowels are changed the phonetic value. In the learner’s language, every syllable has similar duration. A large percentage of errors was due to the interlingual transfer. We should include the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in the contrastive analysis and teach the shortening the vowel of the closed syllable.

      • KCI등재

        음소결합제약을 통한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ㄴ/, /ㅇ/ 종성 오류 예측

        장향실(Chang, Hyangsil)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yllable error types of Chinese Learners through the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I put a limit on the syllables that have syllable-final consonants /n/, /ŋ/.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CAH). According to CAH, If Korean syllable structure is not same to Chinese syllable structure, Chinese learners product errors in syllable pronunciation. Based on this hypothesis, I pick out syllable error types that are likely to be occurred by Chinese learners. First, I surveyed blank types of syllable by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in Chinese. And then I studied syllable error types of Chinese learners that occurred due to blank types of syllable. But These are not all syllable error types. Pronunciation errors occur in syllable that have vowels which is not in chinese like /ㅗ/, /ㅓ/. This case doesn"t have anything to do with phoneme combination constraints. But this syllable type is also taught in same category; syllable-final consonant /n/, /ŋ/ errors of Chinese learners.

      • KCI등재

        연음규칙 적용에 따른 오류 분석

        양순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어 교육 Vol.18 No.3

        This study is an error analysis of the Chinese learner's language. Using auditory judgement and acoustic materials, I analyzed the phonetic value of the learner’s pronunciation and compared with standard Korean. Learners well recognized liaison rule but did some types of error without realizing. The error types of liaison are following 1) There is lengthening of consonants. Lengthened consonants are recognized fortis or geminate according to the underlying form. 2) Nasals are omitted and adjacent vowels are nasalized. 3) Some consonants are replaced with others especially /s/̉, /s/, /ɾ/. 4) Final consonants of noun are occasionally omitted. The reason of errors are explained by L1 transfer or universal fact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