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항의례의 국가화와 계승 담론의 정치

        정호기(Jung Ho-Gi) 비판사회학회 2007 경제와 사회 Vol.- No.76

        1990년대 중반부터 한국에서는 이전과 다른 기원과 배경을 가진 사건들을 기억하는 의례들이 생겨났다. 이 글은 그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높은 위상을 갖는 5ㆍ18민중항쟁의 추모의례를 하나의 문화 구조로 보고, 이것의 작동과 효과를 분석했다. 구체적인 고찰 내용은 저항의례의 국가화에 따른 공간과 주체의 변화 및 효과, 그리고 계승 담론을 둘러싼 정치이다. 이 연구는 현장조사의 관찰법에 의거하여 수집한 사진, 조사 기록, 문자 및 신문 자료 등을 분석하여 이루어졌다. 망월묘역에서의 저항의례는 마당극과 극장이 융화된 공간성에 기반을 두어 진행되었다. 반면, 5ㆍ18묘지에서의 국가화된 추모의례는 여느 국가의례와 구별되지 않는 형식과 내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확연한 단절을 보여주었다. 추모의례의 국가화는 정부의 관례, 일반 시민에 대한 통제, 행사의 진행을 위한 동원의 원칙에 따라 참여 주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하여 저항의례에서 자발적 참여 주체였던 시민과 학생의 수는 현저하게 줄었다. 기념식을 전후하여 의제화된 5ㆍ18민중항쟁 계승 정신은 국가에 의해 전유된 담론, 통제 및 억압된 담론, 지역을 매개로 협상된 담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것들은 대립, 타협 또는 이해관계로 특정화된 정치적 행위의 담론이다. Since the mid-1990s, new ceremonies and rituals have come into being that have different types of origins and backgrounds than those of preceding ones. Among these, the memorial ceremonies to commemorate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re the largest in scale and have the highest status. The uprising took place in Gwangju, Korea, back in 1980. This paper views the memorial ceremonies to mark the uprising as constituting a cultural structure and analyzes the cultural structure’s functions and effects. More specifically, the paper examines how the nationalization of a ceremony that marks a resistance ceremony changes and influences who holds the ceremony where and who participates in it. It also takes a close look at politics centering on discussions of who inherits the spirit of the resistance. This study analyzes newspaper contents, text, investigative records and photographs collected from on-site observations. The memorial ceremony as a resistance ritual at Mangwol Cemetery employed a space that comb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heaters and Madanggeuk, traditional Korean outdoor theaters. Meanwhile, the nationalized memorial ceremony held at the May 18 Cemetery was no different from the typical national ceremonies of any average nation in form and content, revealing a clear discrepancy. The nationalization of the memorial ceremony brought about considerable changes to the participants as the government’s conventions, principles for mobilizing participants and control of participants were applied. As a result, many fewer civilians and students, who were voluntary participants in the resistance ritual, participated in the nationalized ceremony. Discussions of the spirit of the uprising taking place before and after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memorial ceremony are appropriated, controled and suppressed by the state, as well as negotiated through regions. The discourses form relationships of confrontation, compromise or understanding to be used as discourses regarding political a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nges and effects brought about by the nationalization of a resistance ritual and engage in a broad range of discussions to produce a solution.

      • KCI등재

        판소리 역대 명창을 위한 기념의례의 변천과 의미

        송미경(Song, Mi-Kyoung)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6

        본 논문에서는 판소리 역대 명창을 위한 기념의례의 변천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1963년에 있었던 ‘국악명인합동추모제’는 과거 전통 사회의 신청 또는 재인청에서 주도했던 선생안제의 맥을 잇는 것이었으며, 비록 이 기념의례는 일회성의 행사에 그쳤으나 여기에 참여했던 박초월 명창이 개인적으로 그것을 계승하였다. 기념의례의 방식이 거의 동일하고 기념대상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선생안제는 ‘국악명인합동추모제’의 연원이 되며, 기념물이 그대로 이전되었고 기념주체 간의 연계가 발견된다는 점에서 ‘국악명인명창위령제’는 그 후대적 계승이 된다. 이러한 기념의례를 통해 판소리 공동체는 역대 판소리 명창에 대한 집단적 기억, 문화적 기억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의례의 성격에 따라 기념대상이 선대 국악인 전반으로 확장되어 있었으나, 그 중심을 차지했던 것은 역대 판소리 명창들이었다. 기념의례는 역사적 사건 또는 주요한 인물들을 현재로 소환하여 기림으로써 그에 대한 역사를 지속적으로 전승한다. 표면적으로는 판소리 역대 명창을 위한 ‘추모의 장(場)’임이 강조되나, 그 이면에는 분명한 의도와 목적이 있다. 판소리 공동체는 이들 기념의례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유지하는 한편, 판소리 문화를 보존하여 세대 간 지식 전승의 대상으로 삼고자 했다. 판소리 역대 명창들의 내력을 통해 판소리 공동체 자신만이 아니라 외부의 인정, 사회적 인정을 받고자 하는 의도도 있었다. 이것이 판소리 역대 명창을 위한 기념의례에서 찾을 수 있는 공통의 목적과 의의라 할 수 있다. 물론 이들 기념의례에는 각각의 목적과 의의가 내재하며, 저마다 그 강조점에도 조금씩 차이가 있다. 선생안제의 경우 집단 기억의 공유 및 정체성의 확인, 외부로부터의 인정을 중시하였다. 선생안제는 신청 또는 재인청의 종교적 기능을 보여준다. 또 판소리 연행집단을 포함한 신청 또는 재인청 조직원들의 신분적 처지를 고려할 때, 선생안제에는 그들이 계승해온 예술적 성과를 위안과 자부의 대상으로 삼으며 이를 은근히 과시하고자 하는 욕구도 담겨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국악명인합동추모제’의 경우 1964년 판소리 춘향가의 무형문화재 지정에 영향을 미쳤다. 또 ‘국악명인합동추모제’를 위해 마련된 역대 판소리 명창들의 명단은 판소리 문화의 뿌리와 전통을 입증하는 의미가 있었다. ‘국악명인명창위령제’는 박초월 명창 ‘개인’이 기념주체가 되었던 의례이다. 박초월 명창은 ‘국악명인명창위령제’를 조상에 대한 제사와 동일시했으며, 이는 기념의례가 거행된 기념일이나 기념공간에서도 드러난다.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s of, and changes in, the memorial ceremony for the honorary mention of Pansori. The “Joint Memorial Servic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n 1963 was a link to a pro-templar system led by the application or re-recognition of traditional society. Although the memorial ceremony was only a one-off event, Park Chowol succeeded it. Through these memorial rituals, the Pansori community sought to build a collective memory and a cultural memory of the Pansori master singers of many generation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rituals, the memorial was extended to all traditional Korean classical musicians. Commemorative rituals continue to be passed on through history as a result of summoning historical events or major figures. This is a common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ceremony for the memorial service of Pansori. Of course, each of these memorial rituals has its own purpose and significance, and each has its own emphasis. In the case of Seonsaengan-je, sharing of collective memory, confirmation of identity, and recognition from the outside were emphasized. Seonsaengan-je presents the religious function of the Sincheong or Jaeincheong. Additionally, it should have included the desire to show off the artistic achievements that they inherited in the Seonsaengan-je of patriotism as a subject of comfort and pride. In the case of the “Joint Memorial Servic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nfluenced th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by Pansori Chunhyangga in 1964. The names of previous Pansori priests for this ceremony were intended to prove the roots and traditions of Pansori cultur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master honorary ceremony” was a ceremony in which the “personal” of the master singer, Park Chowol. She was honored with a memorial service for the ancestors of the deceased, which was also revealed in the anniversary or memorial space where the ceremony was held.

      • KCI등재

        한국개신교 추모예식에 대한 예전적 제언

        Ahn Deok Weon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theological, and liturgical aspects of Chumo Yesik, memorial ceremonies i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o present alternative and exemplary services. The ceremony conducted by Yi Muyong, a member of Ch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on his mother's anniversary is the oldest Korean Protestant Church memorial ceremony on historical record. Since then, most Korean denominations have incorporated Chumo Yesik, or memorial ceremonies in their worship books, revising and supplementing content over time. The Korean culture of family-centered memorial is a meaningful topic within inculturation,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noteworthy developments in its practice throughout its Christian history, and the question remains as to whether patriarchal ceremonies premised on large families are suitable for modern society. Previous studies on memorial ceremonies mainly introduced and emphasized their value,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eremonies’ historical and theological significance. For example, churches and denominations would hold memorial ceremonies on anniversaries or holidays, and scholarship has identified ideas embedded in these practices such as the harmony and faith of family members, the emptiness of life, and hope for heaven without notable differentiation of their meaning among practitioners. However, the ceremonies’ reflection of patriarchal society in their narrow strictures and the practical misunderstandings invited by exclusive or too-rigid language may fall short of complementing the cosmic and universal church. All Saints’ Day, as a created tradition honoring the martyrs of the early church, provides a theological and liturgical perspective on memorial ceremonies.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orporate important theological themes such as the remembering of the dead, comfort and hope in God, and hospitality for the communit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family members or church member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e perception of these practices as universal church ceremonies needs to be fostered. Preachers should take a pastoral approach and proclaim the gospel through the ceremonies. Once these efforts are in place, memorial ceremonies that are both timely and harmonious with the nature of worship can be achieved and spread throughout the Korean church. 이 논문은 한국개신교 추모예식을 역사적, 신학적, 예전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정동제일감리교회의 성도 이무영이 그의 모친의 기일에 드렸던 예식(1897)이 가장 오래된 한국개신교회 추모예식의 역사적 자료다. 이후 대부분의 교단들이 추모예식을 예배예식서에 포함하였고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해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가족 중심의 추모문화는 예전토착화의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나 이후 주목할 만한 발전이 부족했고 대가족을 전제로 한 가부장적 예식이 현대사회에 적합한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추모예식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추모예식이 갖고 있는 역사적, 신학적 의미에 주목하며 주로 그 가치를 소개했다. 교회와 교단들이 제시하는 추모예식의 사례들은 고인의 기일이나 명절에 드리는 것들인데 가족 구성원의 화합과 믿음의 계승, 인생의 덧없음과 천국의 소망들이 담겨있고 내용상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다만 우주적, 보편적 교회보다 가정만을 대상으로 한 편협성과 가부장적 사회를 반영한 경직성이 아쉽고, 차별적이거나 배타적인 표현도 발견된다. 초대교회에서 순교자를 기리던 전통이 생겨나고 만성절로 정착한 사례는 추모예식에 신학적, 예전적 안목을 제공한다. 죽음의 직면, 공동의 기억, 위로와 소망, 환대와 같은 중요한 신학적 주제를 담아내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가족구성원 혹은 교회에 속한 교우들의 능동적인 참여도 고려해야 한다. 보편적 교회의 예식이라는 인식의 확대도 필요하다. 설교에 있어서 복음의 선포와 함께 목양적 접근도 요구된다. 더욱 시의적절하고 예배의 본질에도 부합하는 추모예식이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보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 의례’ 관련 문헌 자료의 전승 양상-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을 중심으로-

        이광우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This thesis contemplates the bibliographic data related to the memorial rituals handed down in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for UNESCO World Heritage. Seowon in the mid-16C was emerged as an alternative venue for government and academics. However, the noble classes that led the Seowon operation under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during the Joseon Era had the main focal points in the ritual ceremonies for ‘johyeon (尊賢)’ rather than the academic studies. Through the Seowon ritual ceremonies, the noble classes were able to pronounce that they are the political and academic successors of the religious service personnel in the rural village communities, and through this process, they sustained and maintained their social status thereof. In the meantime, it is feasible to build up the solidarity between the noble classes that shared the political factions and academic factions and confirm the order with the ritual ceremonies in Seowon. In this aspect, Seowon has handed down with a number of records related to ritual ceremonies, but the studies on Seowon have not attracted a great attention as such studies were focused on politics, social and economic affairs, education and so forth. Therefore, the records related to the ritual ceremonies for primarily 9 Seowons designated as th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for UNESCO World Heritage are classified for each type as in literature collections, Seowon journals, ancient documents, and publications. These data have the record on Seowon ceremony related rules and styles, purpose, name list of attendees in the ritual, and operation status. Looking for each contents again with respect to the ritual ceremony related data, thos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holgiryu(笏記類) that contained the rules, styles and rituals of the regular ritual ceremony, such as, shrine or the like, data related to special ritual ceremonies, such as, saeak-rye(賜額禮), chije-rye(致祭禮), chuhyang-rye(追享禮), hwanan-rye(還安禮) and others, written ritual writings and ritual writings listed mainly on literature collections, and the name lists of ceremony officers, such as, dedication officer and administrator, general almyoja and attendees to the ritual ceremonies. The Seowon ritual data is the most impeccable foundation to show that the Seowon culture originated from China has naturally ascended to the culture of Korea through the Joseon Dynasty era. In addition, it may be facilitat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restructuring the ancient transformation of the Seowon memorial ceremony that has been transforming to turning into contemporary period. 이 논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에 전승되고 있는 祭禮관련 문헌 자료를 살펴 본 것이다. 16세기 중반 서원은 官學의 대안처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조선 시대 동안 정치・사회적 변화 속에 서원 운영을 주도하던 사대부 계층은 講學보다 ‘尊賢’을 위한 제례에 주안점을 두었다. 서원 제례를 통해 사대부 계층은 향촌사회에서 祭享人의 정치・학문적 계승자임을 천명할 수 있었고, 이를 매개로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확보・유지해 나갔다. 한편으로 서원 제례로서 당색과 학파를 공유하던 사대부 세력 간에 결속력을 다지고, 질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관계로 서원에는 제례 관련 기록이 다수 전승되어 있으나, 그간 서원 연구가 정치・사회・경제・교육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우선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으로 지정된 9개 서원의 제례 관련 기록을 文集類, 書院誌, 古文書・成冊類와 같이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들 자료에는 서원 제례와 관련된 규식, 목적과 취지, 제례 참석자 명단, 운영 실태가 기록되어 있다. 제례 관련 자료를 다시 내용별로 살펴보면 크게 享祀 등 정기 의례의 규식과 祝을 담고 있는 笏記類, 賜額禮・致祭禮・追享禮・還安禮 등의 특수 의례 관련 자료, 주로 문집류에 수록된 祝文類와 祭文, 獻官 및 執事와 같은 祭官과 일반 謁廟者 및 제례 참석자를 기록한 명부류로 구분된다. 서원 제례 자료는 중국에서 유래한 서원 문화가 조선 시기를 거쳐 자연스레 우리의 것으로 승화되었음을 보여주는 가장 명백한 근거이다. 또한 현대로 접어들면서 변형되어 가고 있는 서원 제례의 옛 전승 양식을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전거로 활용할 수 있다.

      • 공자제를 통한 경학원과 사문회의 교류 - 공자이천사백년추원기념제(孔子二千四百年追遠記念祭)를 중심으로

        정세현 ( Sehyon Jeong ) 우리한문학회 2016 漢文學報 Vol.35 No.-

        經學院과 斯文會는 근대기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유교기관으로 잡지의 발행과 유교강연회 등 여러 가지 유사한 점이 있지만 공자의 학덕을 기리는 석전제를 거행했다는 중요한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특히 석전제의 장소가 조선왕조와 에도막부를 대표하는 교육기관인 옛 성균관의 대성전, 쇼헤이자카학문소(昌平坂學問所)의 유시마 성당(湯島聖堂)이었는데 이를 통해 한일의 유교교육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석전제를 계승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경학원과 사문회의 석전제는 석전의례 뿐 아니라 기관의 임직원 및 초빙 강사의 강연회, 전시, 다과회 등으로 이어졌고 석전에서는 기관의 관계자는 물론 황실, 정치가, 학교의 교원, 학생, 경찰 등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참가했다. 경학원의 석전제에는 사문회의 관계자가 참가하고 강연을 했고, 사문회의 공자제전에서는 경학원의 직원이 자주 참가했다. 본고에서는 메이지유신 이후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던 유시마성당의 공자제가 부활하게 된 원인과 공자제를 통한 경학원과 사문회와의 교류, 특히 1922년 공자추원기념제의 배경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Kyeonghakwon and Sibunkai are most famous Confucian institutions that represent Korea and Japan in modern times. Both of institution had many similarities such as the issue of magazines, Confucian lectures and Confucian ceremony.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place of Confucian ceremony was DeaseongJeon of Syeongkyunkwan and Yusimaseido of Syoheizakagakumonzo which is representative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Edo shogunate. After held the Confucian ceremony of Kyeonghakwon and Sibunkai that continued Confucian lecture or exhibition and reception. Not only the officials of the institution but also the politicians, teachers of the school, students, police, ordinary people participated Confucian ceremony. In case of Sibunkai many of ordinary people worshipped after the ceremony and participated lectures and exhibi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restoration of Confucian ceremony in Yushima Seido, which was temporarily discontinue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and the exchange of the Kyeonghakwon and Sibunkai through the Confucian ceremony, especially focus on 2400th Memorial ceremony of Confucious in 1922.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 의례’ 관련 문헌 자료의 전승 양상-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을 중심으로-

        이광우 ( Yi Gwang-woo )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이 논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에 전승되고 있는 祭禮관련 문헌 자료를 살펴 본 것이다. 16세기 중반 서원은 官學의 대안처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조선 시대 동안 정치·사회적 변화 속에 서원 운영을 주도하던 사대부 계층은 講學보다 ‘尊賢’을 위한 제례에 주안점을 두었다. 서원 제례를 통해 사대부 계층은 향촌사회에서 祭享人의 정치·학문적 계승자임을 천명할 수 있었고, 이를 매개로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확보·유지해 나갔다. 한편으로 서원 제례로서 당색과 학파를 공유하던 사대부 세력 간에 결속력을 다지고, 질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관계로 서원에는 제례 관련 기록이 다수 전승되어 있으나, 그간 서원 연구가 정치·사회·경제·교육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우선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으로 지정된 9개 서원의 제례 관련 기록을 文集類, 書院誌, 古文書·成冊類와 같이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들 자료에는 서원 제례와 관련된 규식, 목적과 취지, 제례 참석자 명단, 운영 실태가 기록되어 있다. 제례 관련 자료를 다시 내용별로 살펴보면 크게 享祀 등 정기 의례의 규식과 祝을 담고 있는 笏記類, 賜額禮·致祭禮·追享禮·還安禮 등의 특수 의례 관련 자료, 주로 문집류에 수록된 祝文類와 祭文, 獻官 및 執事와 같은 祭官과 일반 謁廟者 및 제례 참석자를 기록한 명부류로 구분된다. 서원 제례 자료는 중국에서 유래한 서원문화가 조선 시기를 거쳐 자연스레 우리의 것으로 승화되었음을 보여주는 가장 명백한 근거이다. 또한 현대로 접어들면서 변형되어 가고 있는 서원 제례의 옛 전승양식을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전거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thesis contemplates the bibliographic data related to the memorial rituals handed down in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for UNESCO World Heritage. Seowon in the mid-16C was emerged as an alternative venue for government and academics. However, the noble classes that led the Seowon operation under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during the Joseon Era had the main focal points in the ritual ceremonies for ‘johyeon (尊賢)’ rather than the academic studies. Through the Seowon ritual ceremonies, the noble classes were able to pronounce that they are the political and academic successors of the religious service personnel in the rural village communities, and through this process, they sustained and maintained their social status thereof. In the meantime, it is feasible to build up the solidarity between the noble classes that shared the political factions and academic factions and confirm the order with the ritual ceremonies in Seowon. In this aspect, Seowon has handed down with a number of records related to ritual ceremonies, but the studies on Seowon have not attracted a great attention as such studies were focused on politics, social and economic affairs, education and so forth. Therefore, the records related to the ritual ceremonies for primarily 9 Seowons designated as th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for UNESCO World Heritage are classified for each type as in literature collections, Seowon journals, ancient documents, and publications. These data have the record on Seowon ceremony related rules and styles, purpose, name list of attendees in the ritual, and operation status. Looking for each contents again with respect to the ritual ceremony related data, thos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holgiryu(笏記類) that contained the rules, styles and rituals of the regular ritual ceremony, such as, shrine or the like, data related to special ritual ceremonies, such as, saeak-rye(賜額禮), chije-rye (致祭禮), chuhyang-rye(追享禮), hwanan-rye(還安禮) and others, written ritual writings and ritual writings listed mainly on literature collections, and the name lists of ceremony officers, such as, dedication officer and administrator, general almyoja and attendees to the ritual ceremonies. The Seowon ritual data is the most impeccable foundation to show that the Seowon culture originated from China has naturally ascended to the culture of Korea through the Joseon Dynasty era. In addition, it may be facilitat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restructuring the ancient transformation of the Seowon memorial ceremony that has been transforming to turning into contemporary period.

      • KCI등재

        성호 이익(星湖 李瀷)의 「제식(祭式)」을 통해 본 실용적 제례관

        도민재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100 No.-

        This paper is based on the analysis of Sungho Lee-Ik's Jesik and the consideration of his practical ceremonial point of view. Lee-Ik argued for the need for Seoingarye for the ordinary people, as the Zhu-Xi`s Family Rituals are a ritual for the nobility. He acknowledged that the Zhu-Xi`s Family Rituals was a standard for practice, but he criticized the view that other people see Zhu-Xi`s Family Rituals as an absolute standard. So, based on the Zhu-Xi`s Family Rituals, he established a practical rite suitable for the reality of Choson Dynasty. Jesik is a book that refers to the ancient rite and the custom of the rite based on the Zhu-Xi`s Family Rituals, and summarizes practical Ancestor-memorial ceremony. He believed rhat it`s more important to do your best with the real economic situation to Ancestor-memorial ceremony. So, He suggested that the ordinary people should only held Ancestor-memorial ceremony to their parents or only their grandparents. As such, his studies reflect the practicality of a scholar. 본 논문은 성호 이익의 제례에 관한 저술인 「제식(祭式)」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제례의 행례 과정에서 이익이 추구했던 예의 정신과 실용적인 의례관을 고찰한 것이다. 이익은 『가례』가 사대부를 대상으로 하는 의례이므로, 서인들을 위한 ‘서인가례(庶人家禮)’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익은 『가례』가 의례 실천의 기준이 된다는 점은 인정했지만, 이를 의례의 절대적인 기준으로 보려는 당시의 관점은 비판했다. 이에 『가례』를 기준으로 하면서도 『가례』에 얽매이지 않고, 당시 조선의 현실에 알맞은 실용적인 의례의 정립을 추구했다. 「제식」은 『가례』를 기준으로 고례와 시속을 참고했으며, 나름대로 근거를 가지고 실용적인 제사의례를 정리한 저술이다. 서인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사대부가에서 사당을 설치하여 지내는 시제(時祭)와 선조제 등은 제외하고 기제⋅묘제⋅참례만을 다루었다. 이익은 제례는 정성을 다하여 조상과 감응(感應)하는데 그 이치가 있으므로, 현실의 경제적인 상황에 맞추어 정성을 다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서인의 경우에는 관직이 있으면 2대를 제사 지내고, 관직이 없으면 고비만 제사 지내도 무방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특히 제찬의 품수와 종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증하여 제시했는데, 이는 제찬의 준비가 경제력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이처럼 이익의 예학에는 실용성을 추구하는 실학자로서의 면모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 KCI등재

        유가족 돌봄의 기독교 화장예식

        최한성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4

        Ecclesiastes 7:2 says, “It is better to go to the house of mourning than to go to the house of feasting, for death is the destiny of everyone...” Everyone dies. This is a word given to bear in mind. It is very meaningful to attend a funeral to remember the deceased and comfort the bereaved family. A Christian funeral is a ceremony to entrust the deceased to God, comfort the bereaved family, and proclaim resurrection. In order for these meanings to be conveyed and carried out well, the understanding of funeral rites is essential. The fact that the deceased passed away and that we can no longer see the deceased is a grief that is difficult for the bereaved family to accept. Above all, it is the moment when the body of the deceased becomes a handful of ashes as the most difficult moment for the bereaved family during the funeral process. The moment a casket enters the crematorium, all participants in the ceremony, including the bereaved family, weep. The cremation ceremony will vary depending on the sermon of the preacher, but it is usually less than 10 minutes. The cremation ceremony has no choice but to be shorter in religious facilities prepared in front of the crematorium. However, it takes two hours for the deceased to become a handful of ashes. The cremation is a difficult time for the bereaved family to accept spiritually and mentally. The bereaved family cannot be left unattended during the two hours during which cremation takes place. That’s why it is necessary for the bereaved family to take care of liturgical care during the cremation time. Of course, even after the funeral, care for the bereaved family is necessary. In this paper, three things were liturgically suggested for the care of the bereaved family at the cremation ceremony. The three are Holy Communion, memory sharing, and intercession. Through Holy Communion The bereaved family has the hope of resurrection by eating and drinking Jesus Christ who was resurrected from the dead. Memory sharing of the deceased plays a role in recalling good memories of the deceased while a casket is in the crematorium and transferring emotions to joy and gratitude instead of sadness through memory sharing. Lastly, intercessory prayer comforts the bereaved family and enables them to pray to give thanks and glory to Go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making a liturgical care for the bereaved family well done at the cremation ceremony.

      • KCI등재

        儒敎 祭禮의 構造와 意味 : 忌祭를 중심으로

        도민재 동양철학연구회 2005 東洋哲學硏究 Vol.42 No.-

        본 연구는 전통의례의 현대화를 위한 기초적인 작업의 일환으로, 유교제례의 구조와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유교의 제례에는 죽음을 삶과의 단절이 아닌 삶의 연장선상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유교적 생사관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례는 돌아가신 조상을 마치 살아계신 조상을 모시는 것과 같은 마음과 형식을 갖추어서 지내는 것이며,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경건한 마음가짐과 정성을 가장 중시한다. 이에 제례는 죽음 이후에도 조상과 자손들을 이어주는 하나의 문화적 장치가 된다고 하겠다. 제례의 절차는 재계를 통하여 돌아가신 조상과 교감하는데서 시작하여, 조상이 실제로 계신 것과 같이 생각하고 술과 음식을 대접하는 과정을 거쳐, 마지막으로 제사음식을 친족 및 이웃과 나누어 먹으면서 마친다. 특히 마지막에 서로 나누어 먹는 제사음식은 혈연 및 이웃이 서로 화합하게 하는 매개물이 된다. 제례는 조상에 대한 추모의 의식을 통하여, 인간사회에서 요구되는 윤리적, 사회적, 교육적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제례는 단순히 신을 섬기는 종교적 행위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사회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동양사회의 문화를 이끌어 온 문화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This is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Confucian Ancestor-memorial Ceremonies as a part of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ceremonies. There is a Confucian view of life and death, reflecting that the life is not ceased from the death but lengthen even after the death in Confucian Ancestor-memorial Ceremonies. In the ceremonies, therefore, it is regarded as important for us to have to wait upon our dead ancestors as live ones with all our heart. The ceremony also has become a device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ants even after the ancestors' death. The procedure of the ceremony is as follows. Beginning to rapport with the dead ancestors through purification, thinking them alive and treating with wine and food, it finally ends in sharing the ceremonial food between children, relatives and neighbors. Especially the food shared at the end of it is a medium of the harmony among the neighbors as well as the kinsfolk. The ancestor-memorial Ceremony carries out the ethical, social and educational role being required in human society with the memorial ritual for the dead ancestors. In conclusion, the ceremony is not only a religious function serving God but also a kind of cultural activity having led the Eastern society with a various social roles.

      • KCI등재

        상제례(喪祭禮)의 기원과 복장(複葬)

        關根英行(Sekine Hideyuki)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6 아시아문화연구 Vol.11 No.-

        In Korea, wherein has been advocated the suzerainty of Confucianism, a number of studies have focused on the meaning of funeral rites and ancestor-memorial ceremonies. However, most of those studies are no more than an interpretation of a Confucianism text. Furthermore, they have rarely been conducted using a symbolic anthropological approach.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origin of funeral rites and ancestor-memorial ceremonies in dual burial services of primitive societies. It also attempts to show not only the symbolism of dual burial service but also that the symbolism has been carried through to current funeral rites and ancestor-memorial ceremonies via mortuary practice in ancient China. Dual burial services are found in equatorial regions such as Central America. Southeastern Asia, and the southern part of China. It is surmised that the dual burial service around the Yellow River Valley, the birthplace of Confucianism, was brought about by the migration of people who had resided in the Changjiang Valley. A typical dual burial service is performed as follows: When a person dies, a burial service is performed and the body is buried. This is called the "first burial." After the flesh has decayed, the body is disinterred. The body is buried again, and a funeral service is performed. This part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burial." In the "first burial" stage, the body is not considered either alive or completely dead. The soul is unstable and between this world and the world of the dead. The deceased is an existence that is against the ordinary order and is impure. Therefore, the person is an object of fearfulness. On the other hand, the deceased in the" second burial" stage is an existence that has adjusted to the ordinary order and is now purified. Thus, the person is an object of profitability or benefit. All the processes of physical phenomenon referring to the flesh decaying or bone being purified are symbolized and recognized as a purification process of the soul. The mortuary practices of Confucianism are the product formulated in a symbolical way. It is claimed that funeral rites correspond to the first burial of the dual burial service. The process of physical purification is transferred into symbolic purification. Ancestor-memorial ceremonies correspond to the second burial. The familiarity and profitability arising from the second burial are carried through to ancestor-memorial ceremo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