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함의된 "초월성"의 교육학적 시사점: 칸트의 "선험적 이념"을 중심으로

        홍윤경 ( Yun Kyung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칸트의 ``선험적 이념``에 비추어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들어있는 ``초월성``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에 있다. 플라톤의 이데아는 감각경험을 초월한 순수사고를 통하여 파악되는 인식대상이라는 점에서 ``초월성``을 띤다. 칸트의 ``선험적 이념``은 감각경험을 초월한 이성의 개념으로서, 상이한 지식들 간의 체계적 일관성을 요구하는``조건들의 총체성``의 이념이다. ``선험적 이념``은 ``직관``과 ``지성``의 결합물로서의 지식이 우연적 집합체가 아닌 ``조건들의 총체``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조건들에 관한 지속적인 탐구를 가능케 하는 ``규제적 원리``로 활용된다. 이 의미의 선험적 이념은 감각경험을 초월한 것이면서도 탐구의 원리로서 지식의 획득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적 조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선험적 이념의 초월성에 비추어 보면, 플라톤의 이데아도 이 의미의 규제적 원리로 해석될 수 있다. 대화편「유티프론」에 나타나듯이 ``경신의 이데아``는 경신에 부합하는 행위나 사건 등을 참된 의미의 ``경신``으로 만들어 주는 조건들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도록 하는 ``규제적 원리``로 작용한다. 플라톤의 이데아는 초감각성을 띠지만, 이것은 경험과 무관한 추상적이고 허구적인 관념이 아니라, 탐구를 지속시키는 인식주체 안의 ``규제적 원리``로 해석될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cendental" implied in Plato``s theory of Ideas. Idea, in the Platonic sense, is on the one hand, the supreme knowledge acquired through the process of education for "Philosopher-King". On the other hand, it has "the Transcendental" in it, which is grasped not by sensory experience but by pure thought. "The transcendental Idea" in the Kantian sense, is the concept of "reason" as the knowing faculty which goes beyond the limits of sensory experience. "The transcendental Idea" has the regulative rule which urges us to complete "the totality of conditions" by proceeding from one condition to another. It is necessary as the principle of enquiry for conceiving the Idea of "the Unconditiond" as the "totolity of of conditions". In the light of "transcendental" implied in the "Transcendental Ideas", Platonic sense of Idea is to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regulative use. In one of Plato``s dialogues, "Eutyphro", "Idea of holiness" is used as the regulative principle which makes us inquire "the condition" of individual act or event. The character of Platonic Idea transcending the sense world, is not the abstract or fictional concept but regulative principle in the knowing subject.

      • KCI등재

        Rethinking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이대희,노현숙 한국경영법률학회 2013 經營法律 Vol.23 No.2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which has been widely applied to all the intellectual property, refers to a copyright protection standard that ideas themselves are not protected, but only expressions with creativity are protected by copyright. However, dividing the border between ideas and expressions is not always simple, having various problems and limitations, in that the border between ideas and expressions is constantly changing and sometimes the traditional idea-expression dichotomy seems to be broken or inappropriate to be applied in certain copyrighted works. Now, more comprehensive and delicate approach in applying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is necessary for more appropriate copyright protec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definition of ideas and expression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and then reviews changing aspects of the idea and expression separation, that is, the changing border line between ideas and express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This article also reviews the specific applications of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in Korean cases where the courts made decisions under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the necessity of rethinking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standard for more appropriate copyright protection and redefining copyrightable and un-copyrightable elements in the copyrighted works. 아이디어 표현 이분법(Idea-expression Dichotomy)이란 아이디어 자체만으로는 저작권으로 보호될 수 없고 창의성을 가진 표현만이 저작권으로 보호된다는 저작권보호의 원칙이다. 그러나 아이디어와 표현의 경계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때때로 아이디어와 표현의 전통적인 원칙이 깨어지기도 하며, 일부 저작물에 대해서는 아이디어 표현 이분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등 아이디어와 표현을 이분하는 것이 항상 쉽지만은 않고 아이디어와 표현을 이분함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과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다 적절한 저작권 보호를 위해서는 아이디어 표현 이분법 적용에서의 보다 포괄적이고도 면밀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이 글에서는 아이디어와 표현의 정의, 아이디어 표현 이분법의 함축적인 의의를 살펴보고, 아이디어와 표현의 변화 양상, 즉 아이디어와 표현의 경계의 변화와 아이디어 표현 이분법의 한계를 고찰한다. 또한, 한국 판결들에서의 아이디어 표현 이분법의 구체적인 적용양상을 살펴보고, 아이디어 표현 이분법 기준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시하면서, 저작물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요소와 보호받지 못하는 요소의 구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고 본다. 전통적인 아이디어와 표현 이분법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아이디어와 표현의 경계에 있는 보호받을만한 아이디어와 표현의 보호여부 결정에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아이디어 또한 저작권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개인의 아이디어 제안과 채택에 대한 연구: LMX, TMX, 그리고 혁신지원풍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손건강,오원경,김민수 한국기업경영학회 2015 기업경영연구 Vol.22 No.5

        Innovation in organizations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and is essential for prosperity and growth. Innovation is commonly characterized as a process that composed two broad stages: idea generation and idea implementation (Clegg, Unsworth, Epitropaki, & Parker, 2002; West, 2002). Idea generation, the first stage of the process, involves behaviors producing ideas regarding improving or modifying organizational products, policies, or procedures by employees in organization(Amabile, 1988). The Idea implementation which is the second stage of the process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the ideas generated by employees are successfully adopted by the organization (Amabile, 1988; Clegg, Unsworth, Epitropaki, & Parker, 2002; West, 2002). Prior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has focused on the production of novel and useful ideas for innovation than idea implementation in organizations. However,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the implementation of such ideas can be of great value to the organization, thus considering the idea implementation as an important process (Birkinshaw et al., 2008). Based on earlier research, there were inconsistent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 generation and idea implementation. Therefore, this study verifies this relationship. Although members generate a lot of ideas for organization’ innovation, all ideas doesn’t accept or implement by the organization (Choi & Chang, 2009). In the view of social-political process, the relationship with team leader and other members and support climate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s are crucial factor for implementing their ideas. If their ideas don’t get agreement and support from team leader and other members, the ideas would not converted into successful innovative performance.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LMX, TMX, and support climate for innovation between member’s idea generation and implementation. To test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from 228 members and 49 teams in domestic companies. Questionnaire consists of two version: the idea implementation for leaders and the rest variables for members separately. The result of the hypotheses about idea generation and idea implementation showed that members’ idea generation influenced idea implementation. Also there are moderation hypotheses indicated that TMX in individual leve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 generation and idea implementation. But, LMX was not significant. Lastly, supportive climate for innovation in team leve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 generation and idea implementation. In this study, we distinguished the concept and foun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idea generation and idea implementation. Also, we verify the importance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with others in innovative process. That is, we found that team member exchange and team’ climate was important for idea implementation. In these points, our research has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Team leaders should realize their role of exchange relationship among team members for innovative performance. And the support, the will, and rewards of organization for innovation have also crucial. 조직 내 혁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 혁신과정에 대해 다룬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혁신과정의 두 단계인 아이디어 제안과 아이디어 채택 단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개인의 아이디어 제안이 아이디어 채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다음으로 개인의 아이디어 제안과 채택 간의 관계에 있어 개인의 사회적 교환관계, 즉 리더와의 교환관계와 팀 구성원들과의 교환관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팀의 혁신지원풍토의 효과까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하반기에 설문지 응답법을 통해 이루어졌고, 최종적으로 49개 팀, 228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아이디어 제안은 아이디어 채택에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갖는다. 둘째, 아이디어 제안과 아이디어 채택 간 관계에서 LMX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MX는 아이디어 제안과 아이디어 채택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팀의 혁신지원풍토 또한 개인의 아이디어 제안과 아이디어 채택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용상황 관찰이 신제품 아이디어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익,이상진,김근배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2

        Currently, Korean companies are diverting their direction to maximize individual andorganizational creativity. This experiment focuses on how to develop creative ideas for new productsby using observation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ity development. The idea generation method in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ctually helps product developers and marketing managers anddecides whether or not to create a new successful product based on which idea generation methodis selected and actively used and operated.In the case of this experiment, we measured the quality of ideas and the willingness topay for ideas with high potential for commercia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ccordingto the independent variables (whether observation and suggestion of example idea). As a result ofthe experiment, the quality of the idea of the group who learned the observation was higher thanthat of the non-use (control group) in the same observation situation, and it was surveyed by thehigh intention to pay. Also, in the same observational situation, the group with no example ideawas higher in the quality of the idea compared to the group that received the example idea. Observationresults in more empathy as subjects encounter more information and stimuli from watching videos,and develop creativity as they experience complex cognitive processes. The group presented withthe idea leads to a limited process of thinking compared to the group that does not. Because thegroup receiving example idea has less active exploration process for problem solving and simplificationof cognitive process, the quality level of ideas is lower and the price of willingness to pay is lowerthan the group without example idea. Observing the usage is positive for the generation of ideas,Example idea presentation has been shown to negatively affect idea creation. Interaction effect between observation and presentation of example ideas did not appear to affect idea quality. Observationsactivate the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but hinder the presentation of example ideas.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idea generation creates ideas by alternating generation andexploration. The creation phase usually takes place in short-term memory, where a given task isunderstood, the problem is defined, and the clues are combined to direct the idea. In the searchingphase, specific solutions are found by combining information stored in long-term memory based onproblem definitions and clues. The group that observes the usage situation before the idea creationhas more clues to the idea creation through observation, and as a result, the long-term memory isexplored more extensively in the exploration stage. For hypothesis setting, we used SIAM(Searchfor Ideas in Associative Memory) model of cognitive psychology. SIAM describes idea generation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hases of knowledge activation and idea generation. In theknowledge activation phase, we define a problem using the search cues obtained from the outsideand search for solutions in long-term memory using the search cues. The wider the exploration oflong-term memory, the more creative solutions can be found. Therefore, ideas are created alternatelyusing search cues in short-term memory and searching for solutions in long-term memory. In otherwords, through observation of usage situation, the subject gets more clues, and withdraws them fromthe long-term memory through the prominence effect through more searching and generating process.On the other hand, providing an example idea is the functional fixation phenomenon, which limits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exploring ideas. This allows the group that came up with the ideaafter observing usage situation to generate better ideas. On the other hand, the group that encountersthe example idea before the idea is settled on the illustrated idea, which hinders wider explorationat the generating and exploration stage. These results did not change even after controlling a... 현대 기업들은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있다. 본 실험은 마케팅 신제품 개발 분야에서 관찰을 활용한 창의적 신제품 아이디어 개발방법에 초점을두고 있다. 신제품 개발에 있어 효율적 아이디어 창출방법을 활용한다면 제품 개발자와 마케팅 현업 담당자에게실무적인 도움을 주어 결과적으로 히트하는 상품이 나오게 된다.본 연구의 실험과제는 치과 치료기구 개선 아이디어이며 총 4개의 그룹에게 창의적 아이디어를 창출하도록하였다. 독립변수는 사용상황 관찰 유무와 예시 아이디어 제시 여부이고 종속변수로는 창의적 산출물 수준을측정할 수 있는 아이디어의 질과 지불의사 가격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사용상황을 관찰한 집단에서 창출한아이디어가 그렇지 않은 집단 대비 아이디어의 질이 높았으며 지불의사 가격은 26.7% 높았다. 또한 예시 아이디어가 제공되지 않은 집단의 아이디어가 제공된 집단보다 아이디어의 질이 높았으며 지불의사가격은 20.8%높았다. 사용상황 관찰은 현저성 효과를 통해 아이디어의 창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반면에 예시 아이디어제시는 고착화 현상으로 이어져 아이디어 창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찰과 예시아이디어 제시와의 상호작용 효과는 아이디어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인지적 관점에 따르면, 아이디어 창출은 생성과 탐색을 번갈아 한다. 생성단계는 주로 단기 기억에서 일어나며 주어진 과제를 이해하고 문제를 정의하고 단서들을 조합하여 아이디어 방향을 정한다. 탐색단계에서는문제정의와 단서를 기반으로 장기기억에 저장된 정보들을 조합하여 구체적 해결방법을 찾아내게 된다. 이해결과정에서 외부 인출단서의 종류와 양에 따라 장기기억에서 인출되는 정보탐색 과정이 활성화 되거나방해를 받게 된다.본 실험에서 사용상황 관찰을 하는 경우, 지불의사 가격이 26.7% 높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밝혔다. 마케팅 문헌조사에서 그동안 관찰의 중요성과 유용성은 인지하고 있었으나, 관찰이 어떻게 창의적아이디어에 영향을 주는지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검증한 논문이 적었다는 의미에서 본 실험은 이론적 중요성과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정성조사(FGI: Focus Group Interview)로만 활용되었던 관찰방법을 현업에서 잘 활용하면 고객 니즈에 대한 신제품 반영으로 신제품 개발과정에 도움을 주거나 기존 제품의 개선에크게 도움이 된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으로 활용, 적용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북한 정치사상교양에 대한 연구

        김난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과학연구 Vol.0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North Korea has dealt with domestic and foreign changes in order to sustain the socialist political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considers how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own ruling ideology, and correspondently what happened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political idea education. Setting up a government, North Korea advocated Marxism- Leninism. However, North Korea established Juche Idea in order to insure in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with old Soviet Union and China. After Juche Idea has been elevated to Yuil Idea, the idea of uniqueness and top priority. it became an absolute idea dominating the whole North Korea. Due to the fall of old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an socialist nations and the death of Kim Ilsung, a political unrest in North Korea has been growing. A variety of slogans have been appeared so as to find a way out of the difficulties, but any of them did not lead to fundamental changes or substitute Juche Idea. Political ideal education is thought-remolding project based on Juche Idea, producing communist people peculiar to North Korea who are armed with Juche Idea and revolutional awareness and are loyal to Supreme leader and the ruling Workers Party. Political Idea edu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sustenance of North Korea political system and the smooth transition into father-to-son power succession by controlling North Korean ideologically. Political idea education is a most essential mechanism supporting North Korea regime, and continues to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North Korea education system. The analysis of political idea education of North Korea will help grasp a urgent problem, a social atmosphere, or a desirable human type. Furthermore we can find a way to understand their sense of values and view of the world formed by political idea education. 본 연구는 북한이 사회주의 정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내외 정세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여 왔는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데올로기의 발전과정과 그에 따른 정치사상교양의 목표와 내용의 변화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북한은 정권 수립 당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정치이념으로 내세웠으나, 구소련과 중국과의 관계에서 자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주체사상을 정립하였다. 이후 주체사상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고 당의 유일사상으로 격상되면서, 주체사상은 북한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절대적 사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구소련의 해체와 동구권 사회주의국가의 몰락, 그리고 김일성의 사망으로 정치적 불안감이 고조되었던 시기에는 다양한 슬로건이 등장하였으나, 이것이 주체사상의 근본적인 변화나 대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북한의 정치사상교양은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상개조사업으로서, 투철한 혁명의식과 주체사상으로 무장하고 당과 수령에 무조건 충성하고 복종하는 북한 특유의 공산주의적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사상교양은 북한주민들을 사상적으로 통제하여 북한 정치체제의 유지와 가부장적 권력세습체제의 정착에 기여한다. 정치사상교양은 북한체제를 지탱해주는 가장 핵심적인 기제이며, 앞으로도 북한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북한의 정치사상교양의 분석은 북한의 당면과제, 사회적 분위기, 혹은 북한이 지향하는 인간상의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치사상교양을 통해 형성된 북한 주민들의 가치관과 세계관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광고의 시각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기초 연구

        김대욱 ( Kim Daewook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0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3 No.3

        times, it was considered sacred or it was treated as a product of geniuses. Since research on creative ideas is based on complex humans, the research has not advanced easily. Therefore, the researchers divided the research areas of this creativity into 4P and divided the research by field. Currently, some achievements are being made. 4p is divided into research on creative people (Person), creative product (Product), creative process (process), and creative environment (the creative place).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f the idea process that creates creative products by studying the creative processor, one of the categories of 4p. Creativity is a very ambiguous and difficult concept, and it is difficult to prove easily, and the research on it has not been carried out in various and faithful manners so that its attribute works as a complex factor rather than a single factor. However, with the recent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creativity is again emerging as a hot topic. The idea-making method used in advertising begins mainly based on language. Typical ideas are brainstorming, brainwriting, and Gordon’s and Scamper’s Checklist Method, most of which are based on languages.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faithfully look at various views on this idea-making method. Currently, most ways in coming up with ideas provide suitable methods for conceiving linguistic ideas, so its application was not easy in the field of vision. In general, ideas are practiced linguistically, and verbal ideas are visually substituted in the final stage. However, since most advertisements provide both language and visual messages,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m organically. When using such an idea, the vision is often used as an auxiliary tool of language. So,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dea that various idea methods were also needed for the idea of visual ideas. Idea proposals through visual thinking will fill the limitations of linguistic ideas and can be approached with various ideas. This study intends to do a basic study for the idea method for visualization of advertisement photos.

      • 아이디어 제공과 부정경쟁행위

        나종갑(Na, Jong Khab)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18 법학평론 Vol.8 No.-

        최근 특허청은 아이디어제공에 대하여 부정경쟁법에 의한 보호 법안을 제시하였다. 타인의 아이디어를 부정하게 탈취하는 것에 대하여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하겠다는 취지이다. 부정경쟁법은 다양한 상사불법행위를 부정경쟁법이란 체계 속에 모아 놓은 것이다. 17세기 허위의 사실로 소비자를 기망하는 사칭혼동행위로부터 시작된 부정경쟁행위는 21세기가 시작될 무렵에는 유럽의 비등록디자인보호제도인 노예적 모방의 미국버전인 트레이드 드레스나 인터넷의 등장과 더불어 시작된 사이버 스쿼팅(Cyber squatting)을 포함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제는 아이디어 제공을 보호하기 위한 시도가 시작되었다. 아이디어는 영업비밀이나 특허로 보호되지만, 영업비밀이나 특허의 대상이 아닌 경우에도 일반 민사법의 원리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장경제의 발전으로 인하여 경쟁이 심화되면서 아이디어 탈취는 공정경쟁을 위협하기 시작되었다. 아이디어 거래는 애로우의 정보의 역설(Arrow’s Information Paradox)이 적용된다. “정보의 가치는 구입자가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 알려지지 않고, 그리고 정보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그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그 정보에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이미 취득한 것이 된다.” 따라서 아이디어를 보호하지 않으면, 아이디어의 확산은 어렵게 된다. 기술발전은 어렵게 되고, 결국 사회적 효용감소로 나타날 것이다. 특허나 영업비밀로 보호되지 않는 아이디어의 확산을 위해서는 아이디어 제공과 탈취를 부정경쟁법에 의하여 보호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아이디어 제공과 탈취에 있어서 해당 아이디어에 대하여 어떤 법적 보호를 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주목할 만한 연구가 쌓여 있지 않다. 아이디어는 계약에 의하여 제공된 경우뿐만 아니라 계약이 없이 제공된 경우에도 부정경쟁행위가 성립될 수 있다. 다만, 아이디어의 탈취가 부정경쟁행위로 보호받기 위해서는 경제적 가치평가를 위해 참신성이 존재하여야 한다. 본 글에서는 미국에서의 아이디어 보호 법리를 고찰하여 본 다음 특허청이 제안한 아이디어 보호조항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Recentl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hereinafter “KIPO”) proposed an act to protect idea submission between competitors. This means that the proposed act will protect other competitors from extorting an idea.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s an umbrella act of dishonest or fraudulent rivalry in trade and commerce. Unfair competition begun with deceiving the customers with the misrepresentation of facts in 17th century. Now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cludes the trade dress protection, the US version of the slavish imitation in the European continent and cyber squatting appearing at the advent of the internet at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etc. With the growth of economic activities, unfair competitions increase. An idea would be protected as a patent or a trade secret. However, it also would be protected by the general principle of civil law. As the development of market economics makes competition stronger, the extortion of idea would endanger fair trade practice. Arrow’s Information Paradox applies to idea trades. “Its value for the purchaser is not known until he has the information, but then he has in effect acquired it without cost.” Then if the possession of an idea is not protected, an idea will not proliferate in the public. This means that technology will not be advanced and the social value will not increase. To proliferate an idea not protected by patents or trade secrets,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 idea trade according to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how to legally protect an idea submission and a extortion of idea in trade. An idea submission case will be protected by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both when it is submitted under a contract and without a contract. To protect an idea submission by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 idea must be novel bring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idea. In this paper, I review the US cases of an idea submission and examine the proposed act to protect ideas by KIPO.

      • KCI등재

        브레인스토밍에서 아이디어의 창출기법 활용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진,이민영,황근호,최훈주,김근배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

        Unlike the past, Korean companies have become the market leader who take advantage of their core competence throughout the creative innovation activity. Over the past few years, Korean companies tend to imitate the advanced country's know-how related to the products and services, technologies so fast. For the creative innovation, Korean companies must develop how to create the creative idea everyday. And then we should learn the creative thinking methods how to invade into Korean company'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ut so many Korean companies think the creative thinking is very particularly special talent. In fact, it can be developed to learn or discipline. In order for Korean companies to escape from the pace of slow growth, they must lead the market as a leader in the world market through innovation. To this end, Korean companies must learn creative ways to connect their ideas to new products and train them to their employees. An important brainstorming method of operation in this study is can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ystematic approach. And the ideation technique is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combines the main two creative methods. and then we will finds the implic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sult which a little different three brainstorming operation. Each experiment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 creativity. and we explored the idea generation method in three structures. Three are cases in which ideas are created when brainstorming is used, when individuals are separately worked on, then gathered back into groups to brainstorm and individually. We used the idea generation technique which S.I.T(Systematic Inventive Thinking). It developed Osborn's checklist method, Second method is Assumptive questions CREATOR. The final method is combined with S.I.T and Assumptive questions CREATOR. Of course, the final method has the most questions. A given problem is to derive to the participant the idea of improving customer complaints at a coffee sho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methods were used as a supplementary mean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brainstorming and hybrid brainstorming. and then applied to individual tasks without brainstorm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ree major methods. The three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reating the individual idea with brainstorming 2) Creating the individual idea with hybrid brainstorming 3) Creating the individual idea without brainstorming . And The idea generation technique is as follows 1) non-use 2) using S.I.T 3) Assumptive questions CREATORS 4) combined two technique: S.I.T + Assumptive questions CREATORS. In this study, the method of brainstorming is applied from the institutional viewpoint, and the idea generation technique is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approach.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mbines two representative trends of creativity research. The use of idea-making techniques in all three methods was likely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reativity than non-use idea-making techniques. In addition, the more questions asked in the idea generation technique, the greater the number of ideas and creative ideas.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ideas. What should be noted here is the number of questions. The number of questions used in S.I.T is 5, the number of questions used in the Assumptive questions CREATORS is 7 and the number of questions used in the S.I.T + Assumptive questions CREATORS was 11. The more the number of questions, it brings to the more creative idea. There is a strong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questions in the question and more ideas and creative ideas. This study confirms how creativity is influenced by brainstorming methods and idea creation techniques. It is possible to find implications, meanings in te... 한국 기업이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혁신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선도자로 시장을 주도하여야한다. 이를 위해 한국 기업은 개인의 아이디어를 신제품으로 연결시키는 창의적 방법을 습득하고 이를 종업원에게 훈련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브레인스토밍에서 아이디어 창출기법이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아이디어 창출기법은 오스본의 체크리스트 법을 발전시킨 S.I.T (Systematic Inventive Thinking, 체계적 발명사고)와 가정질문 CREATOR, S.I.T와 가정질문 CREATORS를합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주제는 스타벅스 커피전문점의 고객들의 불만사항을 개선하는 아이디어 제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디어 창출방법을 3가지의 구조 안에서 탐색하였다. 3가지는 브레인스토밍을 하면서아이디어를 창출한 경우, 개인이 별도로 작업한 후에 다시 그룹으로 모여 브레인스토밍(하이브리드 브레인스토밍)하는 경우, 개인별로 아이디어를 창출한 경우이다. 창의적 발상법이 브레인스토밍과 하이브리드 브레인스토밍에서 유효한 것을 확인한 후, 이를 브레인스토밍을 하지 않는 개인 과업에도 적용해 보았는데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3가지 경우에서 모두 아이디어 창출기법을 활용하였을 경우가 아이디어 창출기법을 활용하지않았을 때보다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이디어 창출기법에 사용한 질문의문항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 많은 양의 아이디어와 창의적 아이디어를 창출되었다. 추가적 분석을 통해아이디어의 양과 질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브레인스토밍의 운영방법은 제도론적인 관점에서, 아이디어 창출기법 활용은 인지적 접근이라는 관점에서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성 연구의 대표적 두 가지 흐름을 결합시켰다는 데 의의가있다. 연구의 결론은 효율적 브레인스토밍 운영과 다양한 아이디어 창출기법 활용이 신제품 개발에 있어서창의적이고 성공적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상관관계

        부승찬 ( Seung Chan Boo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상관관계를 통치이데올로기의 대체, 양립, 그리고 하위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체사상의 체계화 과정과 유사하게 선군사상도 선군이라는 단순한 개념에서 출발하여 사상체계로까지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선군사상 출현 이전의 통치담론들이 일시적으로 등장했다가 사라진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선군사상이 선군이라는 단순한 용어에서 출발하여 ``선군혁명령도``(1999), ``선군정치``(2000), ``선군사상``(2003), 그리고 ``선군사상교양``(2004∼)으로 심화 발전됨으로써 사상적 이론화가 시도되고는 있지만, 주체사상처럼 전일적 체계화를 이루지도, 독립적이고 배타적인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존재하지는 않는 듯하다. 즉 선군사상은 주체사상에 기초하고 있으며, 주체사상의 기본원리들을 전면적으로 구현하는 주체사상의 하위담론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선군사상이 통치이데올로기로서의 논리적 구조의 취약성과 유일성의 결여에도 불구하고 보편성의 추구를 통해 인민대중들에게 설득력을 제공하고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 정도 실천이데올로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로 볼 때 주체사상이 순수 이데올로기로 격상되고, 선군사상이 실천이데올로기로 발전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이 이러한 경로를 택하게 된다면 그것은 김정일과 그의 후계자인 김정은의 몫이 될 것이다. 통치이데올로기의 창시권과 해석권은 북한의 지도자와 그의 후계자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Juche and Songun (Military-first) idea in light of replacement, coexistence, and subordinate discourse. Similar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Juche idea, the Songun idea has developed from a simple concept into political ideology in North Korea. This, mainly differentiates the Songun idea from the other short-lived governance discourse theories. Although the Songun idea has developed and materialized from an simple idea, into an applied policies such as "Songun-revolutionary leadership"(1999). "Songun-politics(2000), "Songun idea"(2003), and "Nationwide education campaign of Songun idea"(since 2004), it has not achieved the concrete status as Juche idea. In short, Songun will not develop into such degree of Juche idea because the basis of Songun idea lies in the principles of Juche ides, making it nothing more than a subordinate discourse of Juche idea. The Songun idea has continued to function as a practical ideology in despite of insufficiency logic in its structure and lack of distinctiveness because of its ubiquity, to the people of North Korea, the Songun idea effectively persuades people into its much needed participants. Looking at the correlation of Juche and Songun idea from such perspective, one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in change of roles between Juche and Songun idea, Juche turning into a purely ideological form and Songun filling the role of practical ideology. If North Korea takes a such a route, it will purely be based on the decision of Kim Jong-Il and his heir Kim Jong-Un, since the privilege of interpreting and administrating such political ideology lies in the hands of Kim-Jong Il and his son.

      • 북한 정치사상교양에 대한 연구

        김난희(Kim Nan-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江原人文論叢 Vol.19 No.-

        본 연구는 북한이 사회주의 정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내외 정세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여 왔는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데올로기의 발전과정과 그에 따른 정치사상교양의 목표와 내용의 변화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북한은 정권 수립 당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정치이념으로 내세웠으나, 구소련과 중국과의 관계에서 자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주체사상을 정립하였다. 이후 주체사상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고 당의 유일사상으로 격상되면서, 주체사상은 북한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절대적 사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구소련의 해체와 동구권 사회주의국가의 몰락, 그리고 김일성의 사망으로 정치적 불안감이 고조되었던 시기에는 다양한 슬로건이 등장하였으나, 이것이 주체사상의 근본적인 변화나 대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북한의 정치사상교양은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상개조사업으로서, 투철한 혁명의식과 주체사상으로 무장하고 당과 수령에 무조건 충성하고 복종하는 북한 특유의 공산주의적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사상교양은 북한주민들을 사상적으로 통제하여 북한 정치체제의 유지와 가부장적 권력세습체제의 정착에 기여한다. 정치사상교양은 북한 체제를 지탱해주는 가장 핵심적인 기제이며, 앞으로도 북한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북한의 정치사상교양의 분석은 북한의 당면과제, 사회적 분위기, 혹은 북한이 지향하는 인간상의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치사상교양을 통해 형성된 북한 주민들의 가치관과 세계관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North Korea has dealt with domestic and foreign changes in order to sustain the socialist political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considers how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own ruling ideology, and correspondently what happened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political idea education. Setting up a government, North Korea advocated Marxism-Leninism. However, North Korea established Juche Idea in order to insure in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with old Soviet Union and China. After Juche Idea has been elevated to Yuil Idea, the idea of uniqueness and top priority. it became an absolute idea dominating the whole North Korea. Due to the fall of old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an socialist nations and the death of Kim Ilsung, a political unrest in North Korea has been growing. A variety of slogans have been appeared so as to find a way out of the difficulties, but any of them did not lead to fundamental changes or substitute Juche Idea. Political ideal education is thought-remolding project based on Juche Idea, producing communist people peculiar to North Korea who are armed with Juche Idea and revolutional awareness and are loyal to Supreme leader and the ruling Workers Party. Political Idea edu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sustenance of North Korea political system and the smooth transition into father-to-son power succession by controlling North Korean ideologically. Political idea education is a most essential mechanism supporting North Korea regime, and continues to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North Korea education system. The analysis of political idea education of North Korea will help grasp a urgent problem, a social atmosphere, or a desirable human type. Furthermore we can find a way to understand their sense of values and view of the world formed by political idea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