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특성을 반영한 e-Discovery 대응절차

        이신형(Shin-Hyung Lee),이상진(Sangjin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6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6 No.5

        오늘날 많은 국내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해외사업을 확장함에 따라 미국 기업들과의 소송에 직면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e-Discovery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아직 우리나라에 e-Discovery 제도가 확립되지는 않았지만 국내 기업들은 몇몇 대기업들의 소송 사례들을 계기로 e-Discover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대한 대응방법 등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e-Discovery 제도를 우리나라에서 실행할 시 고려해야 할 부분은 크게 세 가지로, 법률 차이, 기업 시스템 차이, 그리고 언어와 기업문화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무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들이 미국소송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들을 도출하여 그것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특화된 e-Discovery 절차와 과정을 제안하려고 한다. Today, many domestic companies often face the lawsuits from the U.S. companies as they expand their business in the U.S. market and it is necessary for the domestic companies to prepare for the e-Discovery process in the systematic manner. Yet, the e-discovery system has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in Korea, however, domestic companies are growing more and more interests in e-Discovery processes and procedures so that they are seeking for the appropriate actions that they should take when facing lawsuits. When adopting the e-Discovery system in Korea, there are three main considerations including the differences in laws and regulations, enterprise system and language and company culture. This study aims to draw the problems for the Korean domestic companies in responding the U.S. lawsuits and to suggest the specialized e-discovery processes and procedures to effectively overcome them.

      • KCI등재

        국제중재에서의 전자증거개시 -전자증거개시를 규율하는 규정의 제정을 중심으로-

        안정혜 한국중재학회 2010 중재연구 Vol.20 No.2

        Electronic discovery refers to the discovery of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producing paper documents and electronic inform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seven groups: massive volume, persistence, dynamic and changeable contents, metadata, environment-dependence, dispersion and searchability. Since these differences make the discovery more expensive and less expeditious,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scope of discovery. Accordingly, a number of arbitration institutions have already introduced rules, guidelines or protocols on electronic discovery. ICDR guidelines take a minimal approach and address only the proper form of electronic document. CIArb Protocol is intended to act as a checklist for discovery of electronic data. CPR Protocol offers four modes of discovery of electronic documents ranging from minimal to extensive among which the parties may choose the way of electronic discovery. IBA Rules on Evidence and ICC Rules are silent on the issue of electronic discovery, however, working parties of the ICC are considering updates to the rules to deal with electronic discovery. It is disputed whether rules, guidelines or protocols on electronic discovery is necessary or appropriate. Although some have suggested that existing rules can make adequate provision for electronic discovery, it is more desirable to prepare new rules, guidelines or protocols to make arbitrators and counsels be familiar with electronic discovery process, to provide an adequate standard for electronic discovery and to limit the time and cost of electronic discovery. Such rules on electronic discovery should include provisions regarding the form of electronic document production, conference between parties regarding electronic discovery, keyword search, bearing the expenses to reduce disputes over electronic discovery.

      • KCI등재후보

        디지털 증거개시제도(E-Discovery)에 관한 고찰

        최득신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9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45

        2007. 6. 1. 형사소송법 일부개정으로 2008. 1. 1.부터 증거개시제도가 전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증거개시제도는 이전의 재판 절차와는 달리, 민사소송의 경우에는 정식 재판이 진행되기 전인 재판준비절차 단계에서 원·피고 상호간, 형사소송의 경우에는 검사와 피고인 또는 변호인 상호간 각자가 소지하고 있는 증거를 동시에 개시(開示)하는 제도이고, 미리 제공하지 않은 증거는 법정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외국,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이 증거개시제도가 활성화되어 있고, 재판 전 이른바 공격방어방법의 일단이 상대방 당사자에게 공개됨으로써 공판정에서의 요행을 바라는 무분별한 공방대신 재판전 화해로 사건이 종결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러한 증거개시제도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미비하고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깊은 논의가 전무한 실정이다. 종래 증거개시제도는 오프라인상의 증거에 국한되어 논의되어 왔으나 최근 모든 범죄수사에 휴대폰, PDA, 노트북, 이메일 등 디지털장비 또는 디지털증거에 관한 압수수색 및 복구분석이 점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어 온라인 및 네트워크상 증거에 대한 증거개시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지털 증거개시제도 또는 전자적 증거개시제도는 미국, 영국 등 서구에서 E-Discovery라는 논제로 관련 논의가 활성화되어 있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우선 전통적인 증거개시제도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디지털 증거와 관련된 증거개시제도, 즉 E-Discovery에 관한 논의의 전제로 최근 실무상 각광받고 있는 디지털포렌식(Digital Forensics)에 관하여 일별한 후 E-Discovery 또는 Discovery(증거개시제도)의 각국 발전방향 및 비교법적 고찰, E-Discovery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인 방안 모색에 관하여 차례로 검토하였다. After partial amendments to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on June 1, 2007, 'Procedure of Discovery' has been in effect on January 1, 2008. According to the newly introduced procedure of discovery, the plaintiff and defendant in civil law suit and the prosecutor and the accused or lawyers in criminal case are to present evidential materials before entering the courtroom and the evidence not provided in advance during the pre-trial stage is inadmissible at court. In the United States where the procedure of discovery has been in the center of discussion for a long time, defense strategies to the opposing party's interrogation are opened to both parties to some extent through the systematic procedure of discovery. Most law case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United States are easily resolved in settlement rather than leading to the time-consuming dispute in which each counsel expects a windfall of winning the case. However in Korea, research pertaining to the procedure of discovery is not yet bound enough to spread the idea, so discussions regarding the procedure of discovery have not been actively taken place to date. According to recent trends in criminal investigation cases, process of evidence - gathering is further expanded into tracing evidence from digital equipment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laptop. By all means, search and seizure in normal course of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and analysis now more focus on obtaining digital evidence such as personal emails. In the United States or England, issues relating to digital evidence have been dealt with in a timely manner thus promoting in-depth research and rapid development and even the field is separately named as 'E-Discovery.' However, in Korea, we have not studied the area in earnest although we are actually on the threshold of presenting so called digital evidence in pre-trial stage, gathered through online and network. In this report, after discussing general practice of discovery and introducing basic concepts of digital forensics, which is invented based upon extensive discussion about E-Discovery and drawing huge attention in practice, future development of procedure of discovery in different trial system of each country will be examined. Lastly, ways to encourage discussion about E-discovery in a manner of Korean court system will be explored.

      • KCI등재

        KOSPI200 옵션시장과 선물시장 간 가격발견 분석

        이우백 ( Woo Baik Lee ),박종원 ( Jong Won Park ) 한국금융학회 2016 금융연구 Vol.30 No.2

        본 논문은 개별 파생상품시장 간 상호 가격발견 기능과 결정요인을 KOSPI200 옵션시장과 선물시장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실증 분석에는 KOSPI200 옵션과 선물의 패리티로부터 유도한 합성선물가격과 실제선물가격으로 구성된 오차수정모형을 활용했다. 양 변수 간 선도. 후행 관계를 측정한 결과 합성선물이 실제선물을 일방적으로 선도하는 표본일의 비율은 전체표본의 57%로 합성선물이 실제선물의 가격발견을 지배적으로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실제선물은 합성선물에 독자적으로 선행하기보다 양방향적 관계에서 환류하는 경향이 강했다. 선도ㆍ후행 관계의 대안적인 지표로 Hasbrouck(1995)의 정보량을 도입하여 측정한 결과에서도 합성선물의 정보량은 66%로 실제선물의 값을 현저히 초과하여 역시 가격발견에서 우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볼 때 양 시장 간의 선도ㆍ후행관계는 결국 합성선물을 구성하는 옵션시장의 정보가 선물시장으로 유입되는 구조이며, 선물시장의 가격발견을 옵션시장이 주도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선물시장에 대한 옵션의 가격발견 주도권을 머니니스와 유동성에 따른 표본으로 구분한 결과에서 선물시장의 가격발견의 대부분을 강하게 주도하는 옵션은 등가격옵션이지만, 외가격과 내가격으로 구성된 비등가격 옵션이 가격발견에 공헌하는 정도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거래비용이 저렴하고 위험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이 집중하는 외가격 옵션에서 가격발견이 관찰된다는 일부 선행연구들의 실증 결과와는 대립된다. 이는 국내 옵션시장에서 외가격을 집중적으로 거래하는 투자주체는 개인투자자이며 이들은 외국인이나 국내 기관투자자에 비해 정보 수준에서 열위에 있으므로 투자손실을 입는다는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거래활동 측면에서도 유동성이 높은 옵션일수록, 가격발견을 주도하는 유동성 외부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e examine price discovery the KOSPI 200 futures and options markets using the intraday data from Feb. 10, 2012 to June 13, 2001, There are many studies on price discovery among the individual derivatives products, however very few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rivatives markets. There are many differential aspects in individual derivatives products and derivatives markets in trading strategy such as index arbitrage, informations types such as individual or market-wide, regulation such as program trading halts, and investor types. These motivate our study. KOSPI 200 futures and options markets are highest ranked markets among all index derivatives markets in the world in terms of trading volume. These markets provide a good opportunity to study price discovery and determinants between derivatives markets. Using the intraday data, we construct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of KOSPI 200 actual futures prices and synthetic futures prices which are induced from option-futures parity. And the lead-lag relationship and ``information share`` of Hasbrouck (1995) are analyzed. We can replicate a synthetic futures position or option position from the put-call-futures parity, and this methodology is model free and is analyzed easily based on market prices. Key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of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synthetic futures and actual futures from VECM shows that synthetic futures price leads dominantly actual futures price, the sample which synthetic futures price lead actual futures price is 57% of total sample, but actual futures price shows an interactive feedback relationship rather than one way leading relationship to synthetic futures price. As an alternative measure we estimate ``information share`` of Hasbrouck (1995), the estimated value of synthetic futures is 66% which is markedly greater than that of actual futures. These results mean that pric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options markets dominate the futures markets and price discovery in the futures market is lagged by the options market. These are very interesting, because that KOSPI 200 futures and options markets have a close market linkage via arbitrage mechanism and have developed a similar growth process. We can think that investors use a forecasting strategy of market directionality using market-wide information in futures market, however investors use a volatility forecasting strategy which include two-way directionality in options market and provide an information for futures price. Consequently options market can have superior to futures market in price discovery. Also investors can synthesize various cash flow positions using options products, these synthetic positions will be helpful for exploring the futures price. We analyze the initiative of options market in price discovery for the subsamples classified by option moneyness.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d effect of options market strongly arise from at-the-money (ATM) options, but the contributions of out-of-the-money (OTM) and in-the-money options are weak. These results are contrary to existing studies on other countries, especially U.S.. Some studies report that price discovery effect of OTM options are significant, however in the KOSPI 200 options market many studies report that individual investors are noise traders who are inferior to foreign and institutional investors in information and have a speculative behaviour and loss from trading of low-cost OTM options. This means that the function of price discovery is activated in ATM options because of the trade participation of informed traders, however the price discovery is inferior in OTM options because of the trading behaviour of noise traders. And these imply that the efficacy of price discovery of options markets will be determined by information ability of investors and trading strategy. Finally, we analyze the initiative of options market in price discovery for the subsamples classified by option liquidity.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liquidity externalities which liquid options are more informative in price discovery. This means that in liquid markets, investors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rading and this raises the market quality and so raise the price discovery.

      • 영국과 미국의 증거수집절차에 관한 연혁적 고찰

        박지원 ( Ji Won Park )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사회과학연구 Vol.14 No.1

        독일의 독립적 증거조사절차나 일본의 증거수집절차의 확충을 위한 최근의 민사소송법 개정에서 모듯이 대륙법계국가에서의 민사소송절차개선에 있어서 최근의 화두는 증거수집절차의 확충이었다. 이에 대하여 영미법계 국가에서는 상대적으로 강력한 증거수집절차가 보장되어 있고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런데 소위 개시절차(discovery)라고 불리는 이러한 영미법계 국가에서의 증거수집절차가 대륙 법계국가의 절차개선에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주는 것은 사실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뿌리 깊은 거부감이 있어왔던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영미의 Discovery절차는 비록 그 연원은 같은 것이었을지라도 현재에는 영국과 미국에서 전혀 다른 절차로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영국이 1998년의 Civil Procedure Rules(CPR1998)를 새로이 시행하면서부터는 더 이상 Discovery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공개와 열람(disclosure and inspection)이라는 형태로 증거수집절차를 전환함으로써 양국에서의 증거수집절차는 전혀 다른 구성을 취하고 있다. 영국의 이러한 접근은 오히려 대륙법계국가의 제도에 근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혹자는 영국의 이러한 완화된 증거수집절차를 soft discovery, 미국의 여전히 강력한 증거수집절차를 hard discovery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미국의 증거수집절차가 많은 대륙법계국가에게 여전히 경계의 대상이 되고 있는 데에 반하여 영국의 완화된 현행 증거수집절차는 일본의 신민사소송법제정과 그 이후의 개정작업에서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우리의 민사소송절차 개선작업에도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따라서 본고에서는 연혁적 고찰을 통하여 영미의 증거수집절차가 어떠한 차이를 지니게 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In the common law civil procedure,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governing procedure is the adversary system, while on the continental side, it is party presentation. These two principles are very similar and based on the same unaccomplishable proposition; all the parties are in the same social or economical status, hence will have an equal ability to discover the evidence in his favor. To make this fallible proposition better, Korean civil procedure has chosen to switch the burden of proof in some cases where only one side can have access to the required evidences. In 2002, Korean civil procedure started to turn its concerns on more direct solu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documentary discovery. In spite of these new trends, most of Korean proceduralists show some aversion to transplant the whole common law discovery scheme. This may be persuasive for the American civil discovery scheme, however may not for the English one. Though U.S. discovery owes its origin to the English tradition, each countries have been developing its own unique scheme for evidence collection, and have different schemes now.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differentiate English discovery from U.S. counterparts through historical analysis on their amendments respectively, and suggest which types of discovery we should consider for the purpose of curing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insufficiency of discovery.

      • KCI등재

        미국 민사소송에서 증거개시의 제한

        변진석(Jinsuk Byun) 미국헌법학회 2018 美國憲法硏究 Vol.29 No.1

        본 논문은 미국의 민사소송제도의 독특한 절차인 증거개시를 증거개시의 한계라는 면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연방민사소송규칙은 당사자들에게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소송관련 정보와 증거를 요청하여 얻을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증거개시가 가능한 한계, 제한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규칙은 보호되는 문제와 작업성과물, 보호명령 대상은 증거개시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증거개시가 과도하게 남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법원, 판사로 하여금 다양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다. 더하여 판사들은 증거개시가 남용되지 않도록 재량권을 가지고 비공식적 증거개시 분쟁의 해결방식사용, 단계적 증거개시, 증거개시 비용분담, 증거개시에 표본조사 도입, 컴퓨터 정보처리 기술의 사용, 증거개시 총비용 설정 등의 조치를 통하여 증거개시가 비례성의 원칙에 의해서 적절한 수준에 머무르도록 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증거개시의 비례성을 위한 이러한 판사의 역할은 미국 민사소송제도의 전통적인 수동적, 중립적 판사의 역할과 차이가 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국의 민사소송에서 판사의 역할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is the limits of discovery in civil litiagtion in the US. First, this paper reviews the privileged matter, work product and the subject of protective order by a court under Rule 26. The Rule 26 also provides various legal authorities to a court to manage discovery and keep it proportional to the litigation itself. Under the authorities, a court can limit the frequencies of discovery activities, sharing discovery costs, scheduling order to limit discovery period, and sanctions against abusive discovery activities. This paper finally, attempts to look into the practical measures that a court can take to keep discovery. A court can set up an informal discovery dispute resolution arrangement, or allow phased discovery, discovery cost sharing between parties, use of sampling or coding techniques, set the limit of discovery expenses to prevent discovery from being abused.

      • KCI등재

        디바이스 간 직접통신 시스템을 위한 부분 정보를 이용한 근거리 디바이스 발견

        여규학(Gyu-hak Yeo),채승엽(Seung-yeob Chae),임민중(Min-joong Rim),강충구(Chung G. Kang),예충일(Choong-il Yeh),안재영(Jae-young Ahn) 한국통신학회 201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8 No.5B

        디바이스 간 직접통신을 할 때 중요한 절차 중 하나는 근거리에 위치한 디바이스들을 발견하는 것이다. 정확한 디바이스 발견을 위해서는 모든 디바이스들이 한 번 이상 발견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디바이스들이 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모든 디바이스들 사이의 거리 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디바이스 발견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모든 디바이스들이 한 번 이상 신호를 전송한다면 디바이스 신호 전송 주기가 너무 길어지거나 디바이스 발견을 위한 자원을 많이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실제적인 요인에 의해서 일부 정보들이 손실될 수 있으며 모든 필요한 정보를 얻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바이스 발견을 위한 자원을 줄이고 발견 정보 손실이 있는 경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일부 정보만을 활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일부 발견 정보만이 있을 때의 발견 확률에 대해서 논한다. One of the important processes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s the discovery of proximate devices. In order to perform precise discovery of devices, the distance information among all the device pairs should be gathered by each device sending a discovery signal in turn and the other devices receiving the signal. However, periodic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by every device might require too long discovery period or too large resource for discovery. Above all, some discovery information might be lost due to several practical reasons and it may take substantial amount of time to obtain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oximate-device-discovery method using partial discovery information in order to reduce the resource for discovery and support the cases in which some discovery information can be lost. We also discuss discovery probabilities with partial discovery information.

      • KCI등재

        미국의 증거개시와 EU 일반개인정보보호법의 충돌에 관한 소고 : 민사소송에서의 증거조사의 범위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조수혜(Cho, Soo-Hye) 경희법학연구소 2021 경희법학 Vol.56 No.3

        증거조사를 법원의 소송행위로 보며 당사자의 증거신청에 대하여 그 채부를 결정하고 증거조사를 실시하는 대륙법계 국가와 달리, 미국의 증거개시(discovery)는 소송 개시 후 변론 전에 당사자들이 주도하여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증거개시절차이다. 전통적으로 대륙법계 국가는 미국의 증거개시가 자국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며, 일부 국가는 증거개시에 자국 소재의 자료제출을 법으로 금지하기도 한다. 증거절차에 대한 대륙법계 국가와 미국 간의 근본적인 시각 차이는 정보사회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시각의 차이와 결합하여 법제 간의 충돌로 이어진다.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유럽연합(EU)은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을 2016년 제정하여 2018년 시행하였다. GDPR 제정 이후 개인정보보호의 범위가 넓어지고 보호정도가 강화됨에 따라, 특히 전자적 저장문서(ESI)에 대한 제출명령의 경우 개인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 개인정보보호법제와의 충돌이 문제되고 있다.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FRCP)에 의한 증거개시는 변론에 앞서 당사자들이 충분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그 범위가 넓게 설정되어 있으나, 최근 비례성원칙 등 이를 제한하는 여러 법리 및 판례들이 확립되고, FRCP도 이를 반영하여 증거개시의 범위를 합리적으로 제한하는 방향으로 최근 개정되었다. 그러나 GDPR 위반을 주장하며 자료제출을 거부한 당사자에 대하여, 미국 연방법원은 FRCP에 의한 자료제출을 강제할 수 있다는 판결을 다수 선고하여 GDPR과의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증거절차와 개인정보에 대한 대륙법계 국가와 미국의 근본적인 시각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결과 발생한 충돌 및 이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는 것은 바람직한 민사재판절차를 위한 증거절차의 범위와 그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개인정보침해와 그 대책 등을 마련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GDPR과 FRCP에 규정된 증거개시절차의 충돌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증거개시제도 중에서도 개인정보보호법제와의 충돌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ESI의 제출명령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우선 FRCP에 규정된 증거개시절차를 대륙법계의 증거절차와 비교하고 법제 간 증거절차의 차이로 인하여 탄생한 헤이그증거협약의 내용 및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개인정보가 담긴 자료의 해외이전에 관한 GDPR의 규정내용 및 증거개시에의 제출방법을 검토한 후, GDPR과 증거개시의 충돌에 대한 미국의 법리와 최근 판례를 분석하여 그 의의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Civil Procedures pursue the accurate application of law to the facts that are proved in the trial, based on the full and fair disclosure. In contrast to the civil law countries, where judges have the exclusive power to take evidences at trial as the exercise of the judicial power, discovery rules of FRCP provide parties with the power to inspect documents and things and permit the broad scope of discovery, even including possibly inadmissible evidences, as long as they are relevant to the case, directly or indirectly. Because of their different approaches to the evidence taking processes, civil law countries forbid the extraterritorial discovery of the U.S., which is perceived as the infringement of the judicial sovereign. Some of the civil law countries express manifest hostility to the cross-border discovery, responding to it with the blocking statute, which criminalizes the production of evidence in the U.S. discovery rules. This fundamental disagreement leads to the collision between civil law countries and the U.S., combined with the different mechanisms to regulate data protection, the substantial rights in the digital age. With regard to the data protection regulation, the European Union(EU) adopted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GDPR) in 2016, which has been applied since 2018, to strenghten individuals’ fundamental rights by protecting natural persons with regard to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nd on the free movement of such data. The strengthened protection of the GDPR implies the conflicts between the data protection of the EU and the broad discovery of the U.S., especially in the production of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ESI), which would contain personal data at a considerable chance. The permissive and broad discovery would violate the GDPR, whereas the recent amendments to the FRCP limited the scope of discovery for the appropriate discovery. Besides, the U.S. federal courts have ordered the production of ESI based on the Aerospatiale case and the Restatement, emphasizing the U.S. interests in its broad discovery processes. This article proceeds in five parts. Following the introduction, the second part describes the fundamental differences in evidence gathering processes between the civil law countries and the U.S.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conflicts between them. It also examines the Hague Evidence Convention, which intended to facilitate obtaining evidence from abroad, despite it was eventually frustrated. The third part investigates the provisions of the GDPR,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er of personal data for the U.S. discovery rules. The fourth part explores the U.S. federal court cases to identify the recent trend in U.S. cases regarding the discovery rules and data protection. Finally, this article argues the necessity of the concrete and manifest principles to comply with data protection regulations, while achieving the appropriate evidence gathering processes for the full and fair trial.

      • KCI등재

        2015년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 개정과 한국형 디스커버리제도에 대한 시사점

        박지원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6 민사소송 Vol.20 No.1

        The new “package” of amendments to the U.S.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hereinafter “FRCP”) took effect on December 1, 2015. The amendments began with a Conference on Civil Litigation held by Rules Committee at the Duke Law School over two day in May, 2010. Though many of the changes are intended to lessen delays from the beginning of litigation by increasing judicial control over case management, the other important development was to limit the scope of discovery. In order to limit ever-increasing discovery costs, the new Rule made wholesale changes to Rule 26(b)(1), which defines the scope of discovery. The new Rule 26(b)(1) limits discovery to that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needs of the case” and provides five illustrative factors for courts to consider: the amount in controversy, the importance of the issues at stake in the action, the parties’ resources, the importance of the discovery in resolving the issues, and whether the burden or expense of the proposed discovery outweighs its likely benefit. On the other hand, the bills to amend Korean Civil Procedure Act(hereinafter “KCPA”) was introduced to the National Assembly which includes new scheme of so-called “Korean Discovery”. The proposed “Korean Discovery” is to allow devices to obtain evidence even before complaint is filed. It also introduced “relavancy” criteria to determine whether to allow pre-action discovery. In my opinion, the proposal seems to have been too ambitious to resolve old evidence-collection issues at once. The drafters of the proposal seems to overlook that the success of pre-action procedure is based on active utilization of post-action procedure. In practice, the only available useful means to collect evidence in KCPA is the order to produce documents, which is scarcely used. Hence the drafter should have more concentrate on post-action procedure than pre-action one. I believe that proportionality of 2015 amendment of FRCP may give us useful insight to propose new provision to outline the scope of evidence collection. Though the trend of amendments of FRCP since 1970s is to limit the scope of discovery, the purpose was always to find a efficient golden ratio. Designing Korean Discovery is also the same journey to find critical point and make clear rules which is essential for achieving a “just, speedy, and inexpensive determination” of civil disputes, though we are trying to expand the scope of discovery. In this sense, I would like to review 2015 Amendment of FRCP and its implication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Evidence Collection scheme.

      • KCI등재

        미국 연방 법제상 디스커버리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에 관한 연구 – 판결로 하는 제재를 중심으로 -

        이준범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4 성균관법학 Vol.36 No.1

        대법원이 2021년 구성한 디스커버리 연구반은 문서제출명령제도를 개편한 한국식 디스커버리 도입을 제안하며 당사자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방안 중 하나로 패소판결을 할 수 있게 하자고 하였다. 이 논문은 미국 연방 민사소송 절차상 디스커버리 제재 법리를 살펴 위 패소판결을 운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검토한다. 이 논문 제II장에서는 미국법상 디스커버리 의무 위반에 관한 제재 법리를 제재인 기각판결(dismissal)과 제재인 인용판결(default judgment)을 중심으로 살핀다. 제III장에서는 위와 같이 소개한 법리가 한국식 디스커버리 제도를 도입하면서 그 위반에 대한 제재로 패소판결을 정하여 운영할 때 주는 시사점을 살핀다. 우선, 판결로 원고를 제재할 때는 종국판결에 해당할 것임을 전제로 청구가 객관적으로나 주관적으로 병합되었으면 어떠한 판결을 하게 될 것인지 살핀다. 판결로 피고를 제재할 때도 마찬가지로 청구가 객관적으로나 주관적으로 병합되었으면 어떻게 종국판결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살핀다. 또한, 어떠한 때 제재인 인용판결을 중간판결로 하는 것이 적절한지 살핀다. 마지막으로 상소가 있었을 때 상소심이 적용할 심리기준을 고려한다. The Supreme Court formed the Discovery Research Group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iscovery Research Group'), and the Discovery Research Group proposed strengthening sanctions against the parties involved by introducing dismissal and default judgment as one of the specific measures when introducing Korean-style discovery.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very sanctions law in the U.S. federal civil litigation focusing on dismissals and default judgments. In Chapter II of this paper, we examine the legal principles of sanctions for violations of discovery obligations under U.S. law, and examples of their operation in U.S. practice, focusing on dismissal and default judgment. Chapter III focuses on the implications of the legal principles introduced above when introducing dismissal and default judgment as a sanction when introducing the Korean-style discovery system. Chapter III also discusses considerations when imposing sanctions by a judgment under Korean civil procedure and the standards for appellate courts in the event of an appe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