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漢文文化 敎育의 現況과 課題

        송병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8 민족문화논총 Vol.40 No.-

        Latin culture has fundamental influence in the West, and Classical Chinese is the equivalent in east Asia. Classical Chinese culture is the cultural pedestal of East Asia, and had been the dominating culture till the Western penetration. In Korea, Classical Chinese was adopted as independent local culture and evolved into the core of ethnic culture. Numerous words are derived from Chinese classical culture. Material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deeply influenced the details of life. Nowadays, however, Classical Chinese culture is regarded no more than a legacy; we are rather reluctant to enjoy and develop this culture. Ecological factor of Classical Chinese culture uniting nature and man is safely preserved in language,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nd microhistory. We do not rejoice in this ecological heritage of Classical Chinese, though. Classical Chinese culture is organized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Cultural factor is reflected in both current and future curriculums. The textbooks reflect adequate cultural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Still, students are deprived of their opportunity to actually feel and experience the culture. Educating Classical Chinese and its culture is obviously ruined by education system concentrated on entrance exam and education policies based on short-term pragmatism. Today we confront the global environment crisis. Classical Chinese has its traditional ecological culture. We ought to rejoice in this ecological culture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Educating Classical Chinese should follow this path. Latin culture has fundamental influence in the West, and Classical Chinese is the equivalent in east Asia. Classical Chinese culture is the cultural pedestal of East Asia, and had been the dominating culture till the Western penetration. In Korea, Classical Chinese was adopted as independent local culture and evolved into the core of ethnic culture. Numerous words are derived from Chinese classical culture. Material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deeply influenced the details of life. Nowadays, however, Classical Chinese culture is regarded no more than a legacy; we are rather reluctant to enjoy and develop this culture. Ecological factor of Classical Chinese culture uniting nature and man is safely preserved in language,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nd microhistory. We do not rejoice in this ecological heritage of Classical Chinese, though. Classical Chinese culture is organized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Cultural factor is reflected in both current and future curriculums. The textbooks reflect adequate cultural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Still, students are deprived of their opportunity to actually feel and experience the culture. Educating Classical Chinese and its culture is obviously ruined by education system concentrated on entrance exam and education policies based on short-term pragmatism. Today we confront the global environment crisis. Classical Chinese has its traditional ecological culture. We ought to rejoice in this ecological culture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Educating Classical Chinese should follow this path.

      • KCI등재

        한문과 문화 영역의 성격과 교육 방향

        류준경 ( Jun Kyung Ryu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5 No.-

        본 논문은 한문과 문화 영역의 성격과 교육의 방향을 모색한 글이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지금까지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문화 영역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지만, 문화 영역의 구체적 내용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는 문화영역 강화의 방향성은 동의하지만 그 구체적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한문과 문화 영역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언어문화로서의 한문문화를 주목해야 한다. 전통시기 우리의 언어문화는 한문과 민족어의 이중언어체계를 이루고 있었다. 중세적 이중언어체계에서 한문은 높은 위상을 점유하면서 낮은 위상의 민족어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발전하였고, 아울러 현재의 ‘국어문화’는 한문문화와 민족어문화를 통합적으로 계승한 것이었다. 이상의 사실을 고려할 때, 한문과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은 전통시기 이중 언어체계에서의 한문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중요한 교육의 방향으로 삼아야 하며, 동시에 한문문화는 현재 ‘국어문화’의 밑바탕이며, 현재 ‘국어문화’는 민족어문화의 일방적 계승이 아니라 한문문화와 민족어문화의 통합적 계승임이 부각되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현실 언어의 기저로 작용한 한문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언어문화에 대한 바람직한 관점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국어문화’에 대한 다원적 인식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문과 문화 영역교육의 방향은 한문과가 현실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교과이면서 다문화와 융합으로 대표되는 현대사회에 걸맞은 우리의 정체성을 교육하는 교과라는 성격을 보다 뚜렷이 드러나게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future directions for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n secondary school. Although the position of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may have been gradually elevated since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e detailed content of cultural studies remain unchanged. This refl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al sphere, under which the experts agree on the general direction of emphasizing cultural studies but fail to reach an agreement on the specific educational directions and content. In order to find a directional path for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t is important to take notice of the culture of classical Chinese as a language culture. Traditionally, Korea’s language culture was diglossia, consisting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Korean language. In the medieval diglossia, classical Chinese, which was perceived to be more superior to the Korean language, interacted and developed alongside with Korean, so as to result in the present “Korean language culture” which comprehensively inherited both the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language culture. Considering such facts, culture studies in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s position and role within the diglossic and historical context. At the same time, the classical Chinese culture should be emphasized as the basis for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culture,” which did not unilaterally stem from the national language culture but is an integrated successor of both the classical Chinese and the national language culture. Only through such emphasis on the classical Chinese culture, which composes the basis of today’s language, can students gain a wholesome perspective towards the contemporary language culture and furthermore, can form a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culture.” Such a change in direction will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studies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which is closely linked with the everyday language and is a subject that could inform students of our multi-cultural and convergent identities.

      • KCI등재

        漢字 漢文學界, 앞으로의 과제

        申用浩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2 No.-

        우리나라의 한자 한문학계는 韓國漢文學會, 韓國漢文敎育學會,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등 세 학회가 상호 부족한 분야를 보완하면서 솟발처럼 鼎立하여 발전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해결이 되지 않았거나 미진한 점이 많이 남아있다. 본 고는 한문교육에 대한 사회적 필요성이 증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문교육의 위상이 오히려 저하되고 있는 사회 현실을 고려하여 우리 학계가 앞으로 해야 할 과제를 다시 한 번 짚어 보고자 한다. 첫째, 객관적인 연구업적을 통하여 한문과가 도구과목임을 입증하고 이를 만인이 공감시켜 한문과의 위상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진척이 되면 각 학년별 과목별 핵심용어사전도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고,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둘째, 학계가 공인하는 단일한 한문문법 체계를 확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에서 가르치는 한자와 사회에서 사용하는 한자가 일치되어 학생들이 혼란스럽지 않게 하여야 한다. 넷째, 한자문화권인 동북아 3개국이 앞으로는 상호 이해증진과 협력 강화 및 문화적 동질성의 유지를 위하여 새로운 개념을 한자어로 조어할 때에 공동으로 협의하여 정할 수 있도록 협의 기구를 설립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Korean society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s has been developed through complementing the insufficient parts of each other by three academic societies;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Socie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s. However, some unresolved and deficient parts are remained until now. Therefore, this paper will reexamine the future tasks of our Korean Academic societies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underestimat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classical Chinese in spite of the increase of social need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irstly, we need to prove the Classical Chinese as an instrument subject through the objective study achievement and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Classical Chinese through forming the mood of general sympathy. If this kind of study makes headway, the key terms dictionary, suitable for each grade of students,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self-leading study of students greatly. Secondly, The single grammar system of Classical Chinese, authorized by Academic Society should be established. Thirdly, with keeping consistency of Classical Chinese, which teaches in School and uses in reality, the confusion of students should be removed. Fourthly, the three Northeast countries, belong to the circle of classical Chinese culture should establish a joint consultant organization and operate it in order to cooperate in case of creating new words of new concept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mutual understanding, strengthening the collaboration, and keeping the cultural homogeneity.

      • KCI등재

        한자학과 「한문 고전 읽기」 교육

        양원석 ( Yang Won-seok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4 한문교육논집 Vol.62 No.0

        본 연구는 한자학의 명칭과 개념 및 연구 내용과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고, 효과적인 한문 고전 교육을 위해 한자학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2022 개정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신설한 「한문 고전 읽기」 과목에 주목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한문 고전 읽기」 과목을 효과적이고 원활하게 교육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본 연구자는 한문 고전을 연구 대상 텍스트로 삼고 있는 여러 학문 분야의 지식과 연구방법론이 동원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예를 들면, 문학, 사학, 철학, 경학 등 「한문 고전 읽기」 과목을 구성할 때 글감을 제공할 수 있는 분야는 물론이고, 한자학, 문헌학, 디지털인문학 등 한문고전을 이해하거나 교육하는데 필요한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는 분야의 지식과 연구방법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가운데 한자학에 주목하여, 한자학의 연구 내용과 방법을 「한문 고전 읽기」 과목의 교육을 위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즉 한자 자원 에 대한 이해 및 이를 훈고에 활용하기, 한자문화학의 연구방법론을 활용한 ‘한자 문화 이야기’를 구성하고 활용하기 등을 그 방안으로 언급하였으며, 아울러 「한문 고전 읽기」교육 시행시 고려해야 할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적용의 문제에 대한 의견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utilize the titles and concepts & research content and methods of Chinese Graphology for effectiv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but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lassical Chinese Reading」 subject newly established in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s one of the ways to effectively and smoothly educate the newly established 「Classical Chinese Reading」 subject, I emphasized the need to mobilize knowledge and research methodologies in various academic fields that use Classical Chinese as the subject text of research.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utilize knowledge and research methodologies in fields that can provide a material of writing when composing the 「Classical Chinese Reading」 subject, such as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s well as in fields that can provide research methodology, such as Chinese Graphology, Philology, and Digital Humanities. Among them, this paper focused on Chinese Graphology, presented opinions on how thes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could be used for education in the 「Classical Chinese Reading」 subject. It suggested understanding Chinese character resources, using them for advice, and constructing and utilizing the ‘Stories of Chinese script culture’. It also presented opinions on the application of 1,800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 be considered when implementing the 「Classical Chinese Reading」 education.

      • KCI등재

        敎育課程의 變化와 漢文敎育의 正體性 摸索의 方案

        송병렬(Song Pyung Nyul)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本稿는 근대 이후 한국에서의 한문의 위상 변화와 그에 따른 自己 正體性을 어떻게 추구해왔는지를 밝혔다. 또한 敎育課程 編制 變化에 따른 한문과의 위기는 새로운 正體性과 漢文文化의 新談論이 요구되고 있음을 밝혔다. 中世 東아시아에서 한문은 동아시아의 다양한 思想을 담아내는 그릇이었다. 동아시아의 근대는 동아시아의 漢文文化로 형성된 여러 價値와 思想을 밀어내는 것으로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20세기 초에 漢文廢止論으로 漢文文化를 排除하고자 했다. 이에 한문문화는 國漢文體로 대응했다. 또한 1945년 이후 語文政策에서 한글 專用論으로 漢文文化를 排除하고자 했다. 이에 國文學界는 漢文學을 '國文學 속의 漢文學'으로 定義하였다. 이는 한문을 傳統文化 繼承과 東아시아 國家 交流의 주요한 敎科로 槪念 定義하는데 중요한 影響을 미쳤다. 이에 3, 4, 5차 敎育課程에서 漢文은 中學校, 高等學校 모두 必修 敎科가 되었다. 그러나 6차 敎育課程에서 中學校는 選擇 科目, 高等學校는 課程別 必修 科目으로 되었다. 7차, 2007년, 2009년 敎育課程에서는 중학교는 裁量活動 科目, 高等學校는 選擇科目으로 되면서 계속 編制 單位 時數가 줄었다. 大學入試에서도 豫備考査ㆍ本考査, 學力考査를 치르던 시절에는 國語 敎科에 漢文 領域으로 3~10問題 出題되다가, 1990년대 초 6차 敎育課程期中 大學 修學能力試驗 3년 정도 言語 領域에 出題되다가, 이후 漢文 問項이 除外되었다. 2002년 大學修學能力試驗에 제2外國語/漢文으로 出題되면서 僅僅히 命脈을 維持해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현재 漢文 敎科의 位相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 近代 이후 漢文文化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문화적으로 位相 變化를 강요받았다. 그때마다 새로운 談論과 變身으로 漢文文化의 基盤을 유지해왔다. 21세기의 東아시아는 새로운 秩序가 形成되고 있다. 東아시아의 言語와 文字의 普遍性이 다시 漢字 語彙의 側面에서 提起되고 있다. 이는 漢文文化圈의 再形成 되었음을 意味하는 것이다. 따라서 韓國 社會가 漢文文化를 바라보는 視角의 矯正이 필요하다. 이에 漢文文化에 대한 새로운 談論을 要求한다. '漢文文化 新談論'이 大衆化되면 동아시아에서 漢字와 漢字 語彙를 가지고 문화적 보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며, 그에 따라 한자ㆍ한문 교육의 방향도 희망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nunciated the change of the Chinese character's statue since the Modern age, and how has sought self-identity following this. Also, it says the crisis of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following the change of curriculum formation requires the new identity and discussion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East Asia of the middle age, Chinese character was a container that holds various East Asian ideas. The Modern age of East Asia started pushing the ideas and values that formed with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Korea, Chinese character culture was intended to push as 'Chinese character abolition' in the early 20's. In response to this, Chinese character culture coped with it as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And also, since 1945, in the language policy, there was a attempt to push Chinese Classics as a theory of exclusive usage of Hangul. For this, the academia of Korean literature accepted Chinese Classics as Korean literature and defined Chinese Classics into the category of 'Chinese Classics included in Korean literature'. Thi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cept definition of Chinese character as a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a major subject for the exchange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ly, Chinese character had become the required subject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rom the 3rd curriculum to 5th curriculum. However, in the 6th curriculum, it became an optional subject in the middle school and a required subject following each course in the high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in 2007 and 2009, the formation unit hours of Chinse Character consecutively decreased, becoming a discretionary activity in the middle school and an optional subject in the high school. Even,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hile there were preliminary exam, main exam and achievement exam, Chinese character was set from 3 to 10 questions in the Korean subject. And then, in the early 1990's, on the 6 th curriculum term, it was set in the Korean subjec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r 3 years, and it was excluded in the Korean subject. After that, Chinse character barely keeps itself in existence, being set as Chinese character subject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2002. This situation is undermining the statue of the present Chinese character subject. Since the Modern age, Chinese character culture has forced socioculturally the change of the statue in the society of Korea. On all such occasions, it keeps the foundation of Chinse character culture as a new discourse and change. In East Asia in the 21 st century, the new order is being formed. The universality of language and character in East Asia is being brought up in terms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It means the reconstitution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sphere. Therefore, Korean society should have the new vision to see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also, the new discours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is required. If the 'new discours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become popular,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iversality with the Chinese character and its vocabulary will be recognized in East Asia. Following this, the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ill be changed hopefully.

      • KCI등재

        한문(漢文)의 활용(活用)-한문(漢文)과 인성(人性), 한문(漢文)과 문화(文化)영역(領域)의 내용(內容) 요소(要素)와 성취기준(成就基準) 분석

        김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2015년, 국가는 교육과정을 개정, 공시했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경우,한문(한자, 어휘, 문장, 글)에 대한 학습을 ‘이해’로, 한문을 통한 학습을 ‘활용’으로 구분하고, 한문과를 구성하는 2개의 내용 영역으로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용’을 설정했다. 이 글의 핵심 내용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문의 활용’ 영역 가운데, ‘漢文과 人性’, ‘漢文과 文化’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분석한 것이다. 한문 학습을 통한 다양한 활용 가운데,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를 ‘核心 槪念’으로 설정했다. 학년(군) 및 학교 급을 통해서 한문 학습자들이 배우는 학습 내용의 일반 원리가 ‘일반화된 지식’인데, 학습자들이 배워야 할핵심적인 내용 지식인 ‘내용 요소’를 왜 학습해야 하는지의 근거로서 작용한다. ‘내용 요소’를 학습한 뒤,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할, 또는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이 바로 ‘技能’인데, ‘이해와 공감하기’, ‘토의·토론하기’, ‘적용하기’ 등을 강조했다. 한문과 성취기준은 한문과를 통해 학생이 배워야 할 지식과 기능을 의미하며, 수업후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할, 또는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성취기준의 기술 및 구성 방식은 ‘내용 요소 + 기능’이다. 예컨대, 내용 요소인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과 ‘이해와 공감하기’, ‘적용하기’ 등의 기능을 결합하여, “한문 기록에 담긴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내면화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라는 ‘한문과 인성’의 성취기준을 진술했다. 또한, ‘한문과 문화’의 성취기준에서 “~태도를 형성한다.”라는 진술은 기능 가운데 하나인 ‘적용하기’의 連繫·變容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성취기준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방향을 안내하고 한문과 평가 방향 및 기준 설정의 근거로서 작용한다. 거듭되는 문제 제기이지만, ‘인성’과 ‘문화’ 영역의 성취기준은 ‘정의적 태도, 능력’과 관련되는 기준이기 때문에, 교수·학습 및 평가와의 연계·수용 事例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청된다. 그리고 인성, 문화 역량을 교과서에서 수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데, 제재 발굴과 단원 구성이 향후의 핵심 과제일 것이다 In 201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ed the revised curriculum. This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stablished two domains,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 and utilization of classical Chinese, defining learning classical Chinese as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rough classical Chinese as ‘utiliz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 factor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personality and classical Chinese’ and ‘culture and classical Chinese’ at the domain of utilization of classical Chinese in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15. Through the utilization of a variety of learning classical Chinese, it has set up a "Chinese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classical Chinese and personality," "classical Chinese and culture as ``main concept``. Through the year (group) and school-level general principles of learning content that classical Chinese learners learn is ``generalized knowledge``, which acts as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why should learn. After learning ``content elements``, ability to look forward to, or to be able to do is skill, ``understanding and empathy,`` ``discuss and debate,`` ``apply,`` etc. are emphasized. Classical Chinese achievement standards means that the student knowledge and skills which should be learnt from the classical Chinese, indicates an ability to look forward to, or be able to be students after class. Description and composi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tent element + skill. For example, the content element, ``understanding and empathy`` and ``wisdom and spirit of the ancestors`` and ``application`` are combining features such as "to understand wisdom and spirit from classical Chinese text and to internalize valuable thing in the view of current meaning." "Form attitude like something.", this description can be shown as collaboration or change of applic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acts as the basis of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Even though it is continual question, research on combination and application between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is needed to study constantly becaus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domain of ‘personality’ and ‘culture’ is related to ‘affective manner and ability.’ And we should find some ways to accept the personality and power of culture in the textbook, in this procedure, discovering materials and organizing units are key tasks.

      • KCI등재

        漢字文化學 연구 성과를 활용한經書 해석 및 漢字 교육

        양원석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This paper looked into concepts and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examined various interpretations of Chinese classics phrases utilizing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and at the same time proposed opinions of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study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for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Writing subject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emphasizes to understand ancient culture through Chinese characters study and to interpret Chinese characters based on ancient culture by noting cultural elements contained in Chinese characters themselves. For that, in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centering on Chinese characters science, studies are being made by interpreting related fields such as history science, folk science, literature science, etc. Such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nderstanding Chinese ancient culture, interpreting classical literatures including Chinese classics,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etc.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e science are useful in exactly interpreting phrases of Chinese classics. In this paper, some examples are examined centering around The Book of Odes(詩經). For example, it examined the usage in which Chinese characters, etc. such as 朋 containing currency culture of ancient society, and 民 and 臣 implying slave culture, etc. are used in the text of The Book of Odes.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can be also utilized i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Writing subject and cultural education of Korea. At present, the cultural education in Chinese Writing subject is mostly concentrat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culture of the three countries, that is, Korea, China, and Japan. Of course, this method has a large meaning, but Chinese education utilizing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e science may increase mor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lso may be helpful to understanding Chinese ancient culture. 본고에서는 漢字學의 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는 漢字文化學의 개념과 연구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經書 구절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는 경우에 대해 검토하였고, 또 한자문화학의 연구 내용을 한문 교과의 한자 교육 및 문화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중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로 한자문화학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한자문화학은 漢字 自體에 함유하고 있는 문화적 요소에 주목하여, 한자 연구를 통해 古代文化를 이해하고 고대문화에 근거하여 한자를 해석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한자학을 중심으로 하면서 역사학, 민속학, 문헌학 등 관련 분야를 통섭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는 중국고대문화에 대한 이해, 經書 등 고대 문헌의 해석, 한자 교육 등의 다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는 經書 구절을 정확하게 해석하는 데에 유용하다. 본고에서는 『詩經』을 중심으로 그 사례를 살펴보았다. 예를 들면, 고대사회의 화폐 문화를 담고 있는 朋, 노예 문화를 담고 있는 民과 臣, 기물 문화를 담고 있는 豆 등의 한자가 『시경』 경문에서 사용된 용례 및 그것의 해석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는 한문 교과의 한자 교육 및 문화 교육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한문 교과의 문화 교육은 주로 우리의 전통문화 및 한․중․일 한자문화권 국가의 문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물론 이러한 내용은 큰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이에 더하여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한자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면 한자에 대한 이해를 더욱 제고시킬 수 있으며 또한 중국의 고대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투고논문 : 한자문화학(漢字文化學) 연구 성과를 활용한 경서(經書) 해석 및 한자(漢字) 교육

        양원석 ( Won Seok Ya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본고에서는 漢字學의 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는 漢字文化學의 개념과 연구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經書 구절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는 경우에 대해 검토하였고, 또 한자문화학의 연구 내용을 한문 교과의 한자 교육 및 문화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중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로 한자문화학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한자문화학은 漢字自體에 함유하고 있는 문화적 요소에 주목하여, 한자 연구를 통해 古代文化를 이해하고 고대문화에 근거하여 한자를 해석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한자학을 중심으로 하면서 역사학, 민속학, 문헌학 등 관련 분야를 통섭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는 중국고대문화에 대한 이해, 經書 등 고대 문헌의 해석, 한자 교육 등의 다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는 經書 구절을 정확하게 해석하는 데에 유용하다. 본고에서는 『詩經』을 중심으로 그 사례를 살펴보았다. 예를 들면, 고대사회의 화폐 문화를 담고 있는 朋, 노예 문화를 담고 있는 民과 臣, 기물 문화를 담고 있는 豆 등의 한자가 『시경』 경문에서 사용된 용례 및 그것의 해석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는 한문 교과의 한자 교육 및 문화 교육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한문 교과의 문화 교육은 주로 우리의 전통문화 및 한·중·일 한자문화권 국가의 문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물론 이러한 내용은 큰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이에 더하여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한자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면 한자에 대한 이해를 더욱 제고시킬 수 있으며 또한 중국의 고대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looked into concepts and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examined various interpretations of Chinese classics phrases utilizing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and at the same time proposed opinions of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study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for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Writing subject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emphasizes to understand ancient culture through Chinese characters study and to interpret Chinese characters based on ancient culture by noting cultural elements contained in Chinese characters themselves. For that, in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centering on Chinese characters science, studies are being made by interpreting related fields such as history science, folk science, literature science, etc. Such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nderstanding Chinese ancient culture, interpreting classical literatures including Chinese classics,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etc.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e science are useful in exactly interpreting phrases of Chinese classics. In this paper, some examples are examined centering around The Book of Odes(詩經). For example, it examined the usage in which Chinese characters, etc. such as 朋 containing currency culture of ancient society, and 民 and 臣 implying slave culture, etc. are used in the text of The Book of Odes.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can be also utilized i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Writing subject and cultural education of Korea. At present, the cultural education in Chinese Writing subject is mostly concentrat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culture of the three countries, that is, Korea, China, and Japan. Of course, this method has a large meaning, but Chinese education utilizing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e science may increase mor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lso may be helpful to understanding Chinese ancient culture.

      • KCI등재후보

        2009 改定 敎育課程에 따른 中學校 漢文 敎科書의 多文化 敎育에 對한 一見

        이돈석(Donsuk Lee)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8 No.-

        한국에선 2000년대 중반을 전후로 하여 다문화 사회에 대한 논의의 수준이 한층 넓어지고 깊어졌다. 이에 따라 한국 사회에서도 ‘다문화’라는 용어는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되었고 더 나아가 일종의 ‘트렌드’처럼 읽히기도 하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키워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문교육에서 다문화 교육의 목적은 한문 자료 속에 스며있는 문화적 다양성을 가치 있는 자원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며, 타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태도의 형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한문 자료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교육적 요소를 통해 한문 교과의 다문화 교육 현황에 대한 문제점과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논의의 진행은 정규 학교 교육의 운영 지침이 되고 있는 한문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검토하고 한문 교과의 주된 교재인 한문 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다문화 교육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향후 한문 교과에 있어 다문화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Around the Mid-2000s, The range and level for discussion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are wider as well as deeper in our country. Accordingly, the word "Multi-Culture" has became familiar. Moreover, the word regards as the important keyword like a kind of "Trend" in the modern society.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to experience variety of other cultures using the cultural diversity and to get attitudes that can recognize or accommodate the value of other cultures. This thesis intend to inform Situa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ggest on direction of the Education with sources of educational elements of Classical Chinese. This starts with review on the goal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hich is operation guideline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analysis on the content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ough Classical Chinese textbook as a main text book for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n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 KCI등재

        한문교육의 향후 과제

        이명학 ( Myung Hak L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2 No.-

        Most vocabularies which we use ar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ur words are connected with Chinese characters as much as that. Nevertheless, Chinese characters(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shrinking as time goes by. However, this is the time we ought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reorganization of an international order centering on the Far East. According to this, I examined the problem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t each school, and I checked out what is the most preferable about the aspect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uiting to the upcoming period. Moreover, I arranged the place of the discussion about what effort and improvement we need for insuring substantiality of education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