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효 수행 관법에 대한 연구 - 금강삼매경론의 무상관(無相觀)과 삼공(三空)을 중심으로 -

        김영미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100 No.-

        Wonhyo, who attracts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Zen master in Korea, explains contemplating phenomena as the contemplation practice that has but a single taste. This expresses the practice of dhyana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largely classifies the practice of contemplating phenomena before and after the first of the ten bodhisattva bhūmis. He explicates the three voids, that is, the emptiness of self, the emptiness of dharmas, and the emptiness of uniformity as practiced by the practitioner before the ten bodhisattva stages. He also accounts for the three void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 of emptiness is also empty, the emptiness of emptiness is also empty, and that which is emptied is also empty after the first of the ten bodhisattva bhūmis. Wonhyo further subdivides and analyzes in detail the various contemplating phenomena that return to one mind in the six chapters of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n terms of the practitioners' different natures and stages of enlightenment. In order to be helpful to actual practition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signless contemplation of the Signless Dharma chapter and the three voids of the Accessing the Edge of Reality chapter. Signless contemplation is divided into expedient contemplation and unmediated contemplation, where expedient contemplation is expanded to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and enlightenment is accomplished with unmediated contemplation. Signless contemplation is further classified into practice that involves identity, which is a contemplation of generic characteristics, the practice that involves difference,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ity, and authentic contemplation. The practice that involves identity, which is a contemplation of generic characteristics, is one that clarifies the original essence of one mind as it has lost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nd dharmas, but all characteristics. The practice that involves difference,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ity, leads to the edge of reality by specifically controlling the law of loosening one’s grasp on personality and dharmas. Finally, authentic contemplation reaches out to the nature of certitude by stepping outside of the existence/non-existence dichotomy. 한국의 대표적인 성사(聖師)로 주목받는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선(禪)의 실천적 수행을 보여주는 ‘일미관행(⼀味觀⾏)’으로 관법(觀法)을 전체적으로 설명한다. 원효는 수행 관법을 크게 초지(初地) 이전과 이후로 구분한다. 십지(⼗地)의 초지에 들기 이전의 수행자가 닦는 아공 · 법공 · 평등공의 삼공(三空)에 대해 설명한다. 초지 이후에는 공상역공(空相亦空) · 공공역공(空空亦空) · 소공역공(所空亦空)의 삼공(三空)으로설명한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의 육품(六品)에서 일심으로 귀의하는 다양한 관법들을 수행자의 수행 종성과 계위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수행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상법품」의 무상관(無相觀)과 「입실제품」의 삼공(三空)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무상관은 방편관(⽅便觀)과 정관(正觀) 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방편관으로써 무이중도(無⼆中道)를 증회(證會)할 수 있고, 정관(正觀)으로써 일심본각(⼀⼼本覺)에 도달한다. 무상관을 다시 더 세밀하게 동행총상관(同⾏總相觀) · 이행별상관(異⾏別相觀) · 진관(眞觀)으로 구분한다. 동행총상관은 일심의 본체가 심아상(⼼我相) 뿐만 아니라 모든 상을 다 여의었음을 천명(闡明)하는 관이고, 이행별상관은 인집(⼈執)과 법집(法執)을 여의는 법을 구체적으로 다스려서 실제(實際)에 이르게 하며, 진관으로 유무의 견해를 여의어 결정성에 들게 한다.

      • KCI등재

        『금강삼매경론』의 일심과 수행관법

        김영미 ( Kim Young-m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2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의 「무상법품」에서 『대승기신론』과 같은 일심이문의 뜻을 나타내고, 『능가경』의 구절로 뜻을 서로 통하게 한다. 『금강삼매경론』에서 심진여문의 적멸은 실법상(實法相)으로, 심생멸문의 여래장은 일각요의(一覺了義)라고 한다. 본각은 일각으로 사용하고, 일각요의는 일심ㆍ본각ㆍ여래장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원효는 보는 관점에 따라 무이중도와 일각과 일심이라는 용어를 다르게 사용한다. 무이중도는 진제중도와 속제중도가 둘이 아님을 뜻하는 용어이고, 일각은 초지에 이르고 난 후에 시각이 원만하여 본각임을 알아서 ‘시각 즉 본각’이라고 할 때 사용한다. 일심은 공적한 심지에 이르렀을 때 사용한 용어이다. 또한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의 육품에서 일심으로 귀의하기 위해 다양한 관법들을 수행자의 경지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무상법품」에서 무상관(無相觀)을 방편관(方便觀)ㆍ정관(正觀)의 두 가지로 나누는데, 방편관으로는 무이중도를 증회(證會)하고 정관으로 일각에 도달한다. 무상관을 다시 상세하게 同行總相觀ㆍ異行別相觀ㆍ眞觀ㆍ無生觀ㆍ不生觀으로 구분한다. 동행총상관은 일심에서 이문이 형성되는 근거를 보이는 중요한 관으로, 능관(能觀)의 생멸심과 소관(所觀)의 일체심법상을 모두 여의게 되면 일심에 이르게 된다. 이행별상관은 중생들을 위해 초지에 이르는 구체적인 수행방법을 제시하는 관으로, 이집(二執)을 여의게 하여 실제에 증입할 수 있게 한다. 「무생행품」에서 무생선(無生禪)을 설명하고, 「입실제품」에서 존삼(存三)ㆍ수일(守一)ㆍ입여래선(入如來禪)[理觀]을 설명한다. 「진성공품」에서 出世禪[眞禪]인 如來義觀[如來觀]을 설명한다. 적멸한 진제의 경지에만 머물지 않고 무량한 지혜의 용을 밝히는 여래의관으로 여래를 친견할 수 있다. 「여래장품」에서는 상법(常法)의 인으로서 유식심사(唯識尋思)ㆍ여실지(如實智)의 방편관과 진관을 설명한다. Scholars mentioned that there's the content of the two aspects of the one mind of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in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I confirm the foundation of scholars' assertion since there's no specific content regarding it. Wonhyo signified the two aspects of the one mind of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in the Signless Dharma chapter in his Ex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and well versed it into phrases in the Lankavatara-sutra. The calm extinction of the aspect of the mind's true-thusness is the real characteristic of dharmas and Tathagatagarbha of the aspect of the mind's production-and-extinction is the explicit meaning of the one enlightenment. These interpretations are the same as the translation of the two aspects of the one mind of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equally applied as the one enlightenment and the explicit meaning of the one enlightenment as the one mind, original enlightenment, and tathagatagarbha in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It explains contemplations enlightening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one enlightenment, the one mind and the edge of reality etc. in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The signless contempl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contemplation; the expedient contempl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enlighten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and the unmediated contemplation which makes it plausible to attain one enlightenment. If a bodhisattva who perfected his contemplation practice according to the wisdom attained through contemplation practices the signless contemplation, it is transferred into the Dharma of nonduality. Additionally, the practice that involves identity,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generic characteristic, is the significant contemplation which represents the ground creating two aspects with the one mind. People can accomplish the one mind if they eliminate the mind of arising and ceasing that performs contemplation and aII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nd dharmas that are the objects of contemplation. The practice that involves difference,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ity, is the contemplation presenting ways of practicing how to cultivate the edge of reality. The practice that involves difference specifically refers expedients attaining the self, non-self, a conception that the mind can be produced and a conception that the mind can be extinguished etc, removes two types of grasping and enlightens the edge of reality. Contemplation of the thatagatas' meaning elucidates ways to have the honor of a personal and intimate interview with Buddha in terms of contemplation concerning the way to contemplate the calm extinction, that is, the meaning of true-suchness.

      • KCI등재

        초기경전과『청정도론』에 나타난 부정관(不淨觀) 수행 연구

        김지영(金芝暎)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8 No.-

        The purpose of Buddhist practice is to gain the wisdom to observe the five aggregates as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self. Thus, in order to attain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self, Buddhists idealize letting go of attachment to self and the world. Among Buddhist practices, contemplation of impurity(asubba bhāvanā) has been known since the time of the Buddha as a way to let go of greed and desire. The Buddha praised contemplation of impurity as having blessed benefits, encouraged Rahula to contemplation of impurity, and explained the benefits contemplation of impurity of by saying that those who practice what they perceive as impurity are free from sensual desire. However, at the time of the Buddha, several bhikkhus who practiced contemplation of impurity at the time of the Buddha committed suicide, and the contemplation of impurity was replaced by the contemplation of breath(ānāpānasati).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contemplation of impurity is also centered on the harmful effects of contemplation of impurity, and most of the papers have focused on the contemplation of impurity in the Mahayana sutras, so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contemplation of impurity centered on the early Buddhism sutras. Therefor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mplation of impurity in the early Buddhism sutras and the Visuddhimagga , this paper aims to prove that the harmful effects of contemplation of impurity, which led to the suicides of bhikkhus, resulted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templation. Furthermore, this article will examine in detail the benefits and methods of contemplation of impurity, which are to eliminate sensual desires, balance the senses, bring about the fulfillment of selection, and finally observe the impermanence of the body and attain tranquility.

      • KCI등재

        『法界觀門』의 ‘觀’의 機能에 關한 試論

        신규탁(Shin Gyoo-Tag)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8 No.-

        본 논문은 『法界觀門』에 나오는 ‘觀’의 기능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일반적으로 ‘觀’은 화엄종의 수행방법으로 알려져 왔다. 필자도 이 점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자들과 마찬가지 입장이다. 그런데 필자가 보기에는, ??法界觀門??에 나오는 ‘觀‘은 수행의 방법으로서도 역할도 있지만, 동시에 ‘觀’에는 불교의 각종 경전에 나오는 교리를 설명하는 해석적 요소도 있다는 것이다. 『法界觀門』에는 세 종류의 ‘觀’이 제시된다. ‘眞空觀’을 활용하면 반야 계열에의 경전에 나오는 空思想을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理事無?觀’을 활용하면 여래장 계열의 경전에 나오는 아뢰야식 緣起를 해석할 수 있다. 끝으로 ‘周?含容觀’을 활용하면 화엄의 法界緣起를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주변함용관’으로는 앞의 두 ‘觀’을 모두 포괄할 수 있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이상의 입장에서 보면, 『法界觀門』이라는 작품은 궁극적으로는 ‘주변함용관’을 주장하기 위해서 쓰여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주변함용관’의 관법을 이용하지 않고는 華嚴의 ‘法界’를 완전하게 설명할 수가 없다. 이것은 마치 10玄門으로 화엄의 교리를 설명하는 것과도 같은 논리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문자로 표현된 ??화엄경?이란 ‘法界’를 묘사한 것임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法界’란 결국은 인간이 사유하는 활동 가운데 나타나는 일체의 현상이다. 다시 말하면 『화엄경』의 내용은 인간의 사유 활동에 나타나는 세계의 참 모습이다. 우리는 이러한 『화엄경』의 문헌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갖게 되면, 곧 그것이 세계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갖는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세계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갖는다는 것은 그 자체가 바로 실천과 연결된다. 이러한 실천의 구체적인 표현이 보살의 각종 실천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he function of ‘Method of contemplation’ which is from Fajieguanmen". Generally that ‘Method of contemplation’ is the way of The Huayen school"s practical method. The point of my view is the same thought as any other scholars. However the ‘Method of contemplation’ in Fajieguanmen has role of practical way and it has interpretation factor through explain of Buddhism"s several scriptures. There are three types ‘Method of contemplation’ in Fajieguanmen; First, the use of ‘Contemplation on the emptiness’ can interpretate in ?unya from Prajn? Scripture. Second, the use of ‘Contemplation on the noumenon and phenomena are not differnet’ is based ‘Dependent origination of vijn?na’ which follow Tath?gata-garbha Scripture. Finally, the use of ‘Contemplation on the unhinderness’, it can interpretate Dharma-realm in The world of Flower Garland Sutra. Yet, these ‘Method of contemplation’ as previous mention have include all ‘Contemplation on the unhinderness’, the opposition is not equal at all. The point of view as previous mention, the text which is called Fajieguanmen wrote basically for insisting on ‘Contemplation on the unhinderness’. Moreover Dharma-datu of The world of flower garland cannot completely explain without ‘Method of contemplation’ in ‘Contemplation on the unhinderness’. It is the same logic that explain the Flower Garland Sutra through using as like 10 types"Xuan-men(玄門).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e Flower Garland Sutra is the text of Dharma-realm. Eventually the Dharma-realm is the phenomenon that human has private behaviour. Another word, the contents of Flower Garland Sutra is the real figure of the world. If we have righteousness knowledge about Flower Garland Sutra, it is the same we have righteousness knowledge about world. Also having righteousness knowledge about the world is the connecting to practice. These expression of actual practice is the Bodhisattva"s practice.

      • KCI등재

        에바그리우스의 기도에 관한 연구

        유은호(Eun Ho You)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duct a study on the payer of Evagrius of Pontus, A.D 345-399. It is especially focused on proving the fact that Evagrius of Pontus borrowed metaphysical characteristic of Platon, Stoicism and Plotinus which leads to his unique stand alone prayer of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perfection. Means of analysis of the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will entail structure of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perfection which are based on The Mystical Theology of Pseudo-Dionysius. This analysis strives to justify that above mentioned three phase structure was utilized by Evagrius even before Pseudo-Dionysius. Research will be limited to the most important prayer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among the tree On the Thoughts, Reflections and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Evagrius was an iconic person who first systematized contemplation prayer which has monastic life. He created a unique contemplation prayer by grafting biblical ideologies with great philosophies of the era. He did not rest only in theoretical ideas, but lived in the desert of Egypt for 16years where he practiced contemplation prayer and systematized it.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is one of the works that best exemplifies characteristics of Evagrius’ contemplation prayer. In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he shows three structures required to accomplish his contemplation prayer. First, he talks about purification of logismoi of concupiscence, passion and rationality. Secondly, incomplete apatheia and perfect apatheia is discussed. Lastly, pure prayer as a perfect stage is discussed. Eventually, if the stages of purification and apatheia are considered stages that are acquired contemplation, the stage of pure prayer is of infused contempl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duct a study on the payer of Evagrius of Pontus, A.D 345-399. It is especially focused on proving the fact that Evagrius of Pontus borrowed metaphysical characteristic of Platon, Stoicism and Plotinus which leads to his unique stand alone prayer of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perfection. Means of analysis of the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will entail structure of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perfection which are based on The Mystical Theology of Pseudo-Dionysius. This analysis strives to justify that above mentioned three phase structure was utilized by Evagrius even before Pseudo-Dionysius. Research will be limited to the most important prayer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among the tree On the Thoughts, Reflections and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Evagrius was an iconic person who first systematized contemplation prayer which has monastic life. He created a unique contemplation prayer by grafting biblical ideologies with great philosophies of the era. He did not rest only in theoretical ideas, but lived in the desert of Egypt for 16years where he practiced contemplation prayer and systematized it.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is one of the works that best exemplifies characteristics of Evagrius’ contemplation prayer. In Περὶ Προσευχῆς, he shows three structures required to accomplish his contemplation prayer. First, he talks about purification of logismoi of concupiscence, passion and rationality. Secondly, incomplete apatheia and perfect apatheia is discussed. Lastly, pure prayer as a perfect stage is discussed. Eventually, if the stages of purification and apatheia are considered stages that are acquired contemplation, the stage of pure prayer is of infused contemplation.

      • 수행과 의례로서의 관상에 대한 고찰

        김치온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1 무형문화연구 Vol.0 No.4

        According to Āgama, The practice of contemplative meditation has been expanded from six to ten thoughts. Among them, The thought of Buddha has changed from thinking the laws of the Buddha or thinking the ten names of the Tathagata to contemplating the image and virtues of the Tathagata. Subsequently, when the Buddha statue was formed, the object of thought begin by observing the Buddha image in front of it, and progresses to clearly seeing the Buddha's body by contemplating the image. It is said that one reaches nirvana as a result of the thought of Buddha, but it is not constant as it is said that one reaches heaven. In Mahayāna Buddhism, all the Buddhas that appeared by the Samādhi of the thought of Buddha(念佛三昧) were made up by the mind of the practitioner and made it clear that the three worlds are idealistic. In addition, The Samādhi of the thought of Buddha is said to be empty due to the cleanliness of the mind and enters the reality of all laws. Contemplation is included into the ritual, that offerings are made with flowers and lanterns in front of the Buddha statue, and Buddha statue is related to obtaining the Samādhi of the thought of Buddha. In addition, receiving the ten commandments or the pouring water in head(灌頂) during the thought of Buddha in the samādhi, can be considered a step forward. As the Eesoteric Buddhism ideas are established as a means for attaining Budd- hahood, contemplation is becoming the content that leads to actual Siddhi along with the Mudrā and Mantra. In Esoteric Buddhism, contemplation is performed in Homa, which considered one of the representative rituals of real achievement. Furthermore, the practitioner achieves the wisdom and virtue of each Vajrabod- hisattva by contemplating the sixteen Vajrabodhisattvas after achieving the Five- fold meditation through Mudrā and Mantra along with the contempl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contemplation is an important means of practice, a starting point in rituals, and a core content that must not be omitted. 아함경류에 의하면 관상수행은 6념에서 10념으로 염(念)의 대상이 확대되어 왔다. 그 가운데에서도 염불은 불세존이 행한 법을 염하거나 여래의 열 가지 명호를 염하는 것에서 여래의 형상을 관하고 여래의 공덕을 염하는 것으로 변화하여 왔다. 이어서 불상이 조성되자 염불의 대상은 불상을 앞에 두고 관찰하는 것으로 시작하여심상을 관함으로써 분명하게 부처님의 색신을 보게 되는 것으로 나아간다. 염불의결과로 열반에 이른다고는 하나, 천상에 이른다고도 하고 『좌선삼매경』의 경우는초선에 이르기 전의 욕계 선정에 해당한다고 하여 일정하지가 않다. 대승불교에서는 염불삼매에 의해 나타난 모든 부처는 수행자의 마음이 지어낸것으로 삼계가 유심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한 염불삼매는 마음의 청정성으로 공(空)한 상태이며 모든 법의 실상으로 들어간다고 한다. 관상이 의례에 섭입되는 것은 불상 앞에 향화 등촉으로 공양하고 염불삼매를 얻기위해 불상을 관하는 것에서 보여진다. 또한 부처를 관하여 염불삼매 즉 반주삼매 속에서 부처로부터 십선계를 받거나, 관정을 받는 것은 한 걸음 나아간 것이라 할 수 있다. 밀교의 사상(事相)들이 성불을 위한 방편으로 정립되면서 관상은 인계와 진언과 더불어 실지성취로 가는 내용이 되고 있다. 밀교에서 실지성취의 대표적인 의례로 손꼽히는 호마법이 관상으로 이루어지며, 윤단(輪壇)과 오부(五部)의 불보살님들을 관상하고 공양을 올리고는 그 윤단의 불보살님과 하나가 되는 것을 관상하여 불보살의 가지를 도모한다. 더 나아가 유가행자가 관상과 더불어 인계와 진언으로 오상성신관을 성취하고 십육의 금강보살을 관상함으로써 각 금강보살의 지혜와 공덕을 성취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관상은 수행의 중요한 한 방편이며, 의례에서는 시작점이며빠져서는 안되는 핵심 내용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유아의 자연탐구활동과 통합된 명상의 교육적 의미

        임숙희 ( Sookhee Im ),김소향 ( So Hya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유아들의 자연 환경과의 공존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실천을 위한 동기 부여의 방법으로써 명상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명상과 통합된 자연탐구활동을 실시한 후 자연스럽게 전개되는 유아들의 탐구활동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명상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명상과 통합된 유아의 자연탐구활동의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의 자연탐구활동과 통합된 명상의 교육적 의미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 연구로서 명상과 자연탐구활동을 통합시켜 교육을 하고 있는 B유치원의 만 5세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아의 활동사진 및 활동 결과물, 교사의 활동일지, 교사 면담 자료 및 연구자의 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명상과 통합된 자연탐구활동은 보살핌을 위한 자발적인 자연탐구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적용된 명상의 교육적 의미는 유아들이 탐구대상의 생명력에 관심 가지고 주의 깊게 바라보기, 탐구대상의 생명력 느끼고 교감하기, 탐구대상에 대한 선입견 해제하기를 지원한 점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ntemplation to find a proper strategy that encourages nature-friendly thoughts and actions in young children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living together with nature for sustainable future. For this, contemplation was integrated into children’s nature inquiring activities and studied to deduce the educational meaning.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was implemented with the following two questions. First, how is the children’s nature inquiring activities integrated with contemplation? Second, what is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ntemplation integrated in the children’s nature inquiring activities?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class of 5-year-old children attending B kindergarten located in B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hotographs which showed the children’s activities, teacher’s journ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s journ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lf-motivated inquiry to take care of living things emerged from nature inquiring activities. Seco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ntemplation was that contemplation spurred children to have interest in living things, be attentive to them, feel for them, and release their preconceptions about them.

      • KCI등재

        토마스 머튼의 관상과 행동 ― “행동 세계 속에서의 관상”을 중심으로

        권명수(Myung-Su Kw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2

        요즘 기독교세가 약화되고 있다는 염려 속에서 여러 가지 처방들이 수없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아쉬운 점은 이러한 것들 중에 본질적인 이슈인 기독교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신앙의 대상과의 대화, 소통, 관계를 말하는 기도는 그리스도인과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근원적인 주제다. 기도와 행동에 대해 대표적 발언을 한 인물이 20세기의 최고의 영성 가로 인정받고 있는 토마스 머튼이다. 그는 수도원에서, 원자력이 힘을 얻는 과학 기술 시대의 정황 속에서, 기도 생활, 명상, 관상, 관상 생활 등이 세상 사람들에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를 “행동 세계 속에서의 관상” 이란 소논문 속에서 논의하였다. 이러한 머튼의 관상 사상은 그가 수도원 생활을 하면서 발전해갔다. 머튼은 수도원 생활과 저술을 통해 세상과 접촉하면서 관상가는 세상과 단절될 수 없는 관계라는 것을 점점 절감 했다. 머튼에게 있어 세상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관상이다. 왜냐하면, 세상은 자신의 욕망이 반영된 환상 (illusion) 을 실재라고 인식하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왜곡된 실재에 대해 기도, 명상, 관상을 통한 관상 생활은 내재적 하나님에 대한 이해와 자기 자신의 내면에 대한 통찰을 통해 인격 성숙을 가져오게 한다. 이런 자신과 하나님과의 합일을 추구 하면서 세계관의 새로운 전망을 직면하면서 변화로 나아가게 된다. 이를 통해 나, 이웃, 만물, 하나님과의 관계가 상호 연결된다. 그래서 머튼은 수도원이나 혼자서 기도 생활을 깊이 하는 사람들은 혼자만의 세계에서도 이타성을 유지하고 행해야 할 도덕적 의무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는 현대 인간의 하나님과의 합일에 대한 이런 영성적 욕구가 영혼 속에 깊이 뿌리 내려있음을 밝힌다. Nowadays, all kinds of remedies have been suggested for the discontents and dysfunctions of the churches in Korea. However,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discussion on the essential issue of Christianity. Prayer, which means the dialogu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ith, Our Lord, is the primary issue for Christians and the Christian community. Thomas Merton is one of the highest regarded spiritual people of the 20th century whose thought holds together the crucial relationship between prayer and action. In his book Contemplation in a World of Action, Merton examines the meaning of prayer life, solitude, and meditation in the atomic age for people outside the monastery. These theories of Merton continued to develop during his life in the monastery. By living in the monastery and getting in touch with the outside readers of his books, he gradually began to recognize that the contemplative cannot sever ones ties with the world. In Merton’s thought,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world is contemplation because society perceives reality according to an illusion that their desires create. As one continually disciplines oneself through prayer, meditation, and contemplation personal growth and illumination may result. Furthermore, one may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immanent God and insight into one’s own inner world. While one seeks union with God, transformation of oneself may occur by coping with the new view of the world afforded through contemplation. Through this seeking, one may mutually connect to oneself, one’sneighbor, creation, and God. Therefore, Merton asserts that even the people in the monastery or people who practice deep solitary prayer life require an altruistic heart even in an individual world. He makes a clear statement that there is a deep root of spiritual need seeking to be united with God in the soul of modern man.

      • KCI등재후보

        성인 발달장애인의 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김상용(Sangyong Kim)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1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 상담 여부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도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제7차 장애인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 여부는 연구대상의 연령, 규칙적인 식사, 균형 잡힌 식사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자살 생각은 규칙적인 식사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스트레스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인 발달장애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 발달장애인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 발달장애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상담 여부가 매개 역할을 하여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stress on suicide contemplation from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counseling. In doing so, this paper uses mediation analysis based on the 7th Disability Survey Report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20.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unseling rate depended on age, eating habits, and the level of balanced nutrient consumption. Meanwhile, suicide contemplation was only found to be different across eating habits. The level of stress did not differ across focal variables. Second, it is found that stress has a direct effect on suicide contemplation.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higher rate of suicide contemplation. Third, stress directly affects suicide contemplation, and that counseling negatively mediates suicide contemplation.

      • KCI등재

        리처드 백스터의 천상적 관상을 위한 묵상방법에 대한 연구

        오방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5

        Richard Baxter, a representative Puritan theologian and pastor, stands firmly in reformed theology, and surprisingly, he not only melts the methodology of Christian meditation completely within himself and makes it the basis of his spiritual life, but also presents a very specific and systematic teaching of Bible meditation. He uses the functions of consideration, emotion, and imagination to specifically explain how these actually work in meditation and reach a heavenly contemplation. Above all, the apex of Baxter’s meditation is contemplation. His heavenly contemplation is not to say any mystical experience or profound spiritual experience, but to experience the Bible’s events and revelations vividly and taste, realize the truth, feel it in his heart and praise God. Baxter’s meditation method for contemplation has many common points in Christian meditation tradition — scholastic Lexio Divina and Gospel Contemplation — so Baxter can play the role of a good bridge for the dialogue between traditions in a methodological dimension. This thesis will examine Baxter’s pursuit of heavenly contemplation in the reformed tradition and its contribution to the tradition of Christian meditation, that is, what we should hear from Baxter to develop contemplation in the tradition of Christian meditation today. 리차드 백스터는 대표적인 청교도 신학자요 목회자로서 개혁주의 신학에 확고히 서 있으면서, 기독교 묵상의 방법론을 완전히 자신 안에 녹여내어서 구체적 이고 체계적인 말씀묵상에 대한 가르침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숙고, 정서, 상상의 기능들을 사용하여 이것들이 묵상 안에서 어떻게 실제로 작용하여 천상적 관상에 이르게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백스터의 천상적 관상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묵상방법은 이성의 능력을 사용 하는 것인데, 이성의 첫 번째 기능은 말씀에 대해 깨닫고, 가슴으로 그것을 경험하게 해주는 숙고의 역할이다. 이성의 두 번째 기능은 천상적 관상을 향한 믿음의 길을 계속 걸을 수 있게 해주는 식별로서의 이성의 역할이다. 백스터의 정서는 하나 님과의 완전한 일치, 완전한 순종을 나타내 보여주는 표지가 된다. 백스터의 상상은 성서 내용을 생생하게 체험하고 맛보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백스터의 묵상의 정점에는 관상이 있는데, 그의 천상적 관상은 어떤 신비적인 체험이나 심오한 영적 체험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성서의 사건, 계시의 말씀을 현재적으로 생생하게 체험하여 맛보며 하나님을 찬미하는 것이다. 백스터의 관상을 위한 묵상방법은 기독교 묵상 전통 ― 학구적인 렉시오 디비 나와 복음관상 ― 에서의 묵상방법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법론적 차원에서 전통 간의 대화를 위해 백스터는 훌륭한 가교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백스터의 천상적 관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개혁전통 안에 있는 관상에 대한 추구, 그리고 백스터의 묵상방법이 기독교 묵상 전통에 줄 수 있는 기여, 즉기독교 묵상 전통 안에서 오늘 현대 그리스도인들이 관상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백스터로부터 들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를 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