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정경쟁과 불공정경쟁의 경계 - 불공정경쟁법의 철학적 규범적 토대에 관한 연구 -

        나종갑 한국지식재산학회 2019 産業財産權 Vol.- No.59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legal foundation of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The Economic Liberalism the ideology that the commercial trade encourages the fair competition, and it brings the economic prosperity and social wellbeing. The unfair competition harms the social wellbeing. I reviews the four theoies of the demark between fair competition and unfair competition. The first is the Lockean Labor Value Theory; the second is Personality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the personality theory of Hegel and the personality theory of Kolher who develops his own theory based on Hegel’s theory; the third is the Economic Incentive Theory that the traditional common law develops; the last is the justification base on Morality on which the French unfair competition roots. The Lockean Labor Value Theory provides the strong justification of protection from unfair competition. It argues that, based on the natural law theory, the fruit of human labor should be protected from unfair competition such as invasion. The unfair competition of palming off protecting goodwill from invasion and the unfair competition of misappropriation are justified to protect under the Lockean Labor Value Theory. The personality theories of Hegel and Kokher provide the justification to the direct misleading of product source as unfair competition. The incentive theory argues without the protection from free riding the social resources are less productive and resulted in deficiency of social wellbeing in final. The last theory, the justification based on commercial morality and good faith. This theory is very flexible to the changes of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it does not provide a certainty to the traders on the market. Th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demark between fair competition and unfair competition means to be the more necessity of prohibiting unfair competition conducts. The proposed types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of Korea has not be understood on one philosophical normative foundation but plural bases of the foundation as mentioned in this article. 본 논문에서는 불공정경쟁법의 법이념적 기초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자유주의 경제하에서 상업적 거래는 공정경쟁을 조장함으로서경제적 발전과 사회적 이익을 가져온다는 이념을 가지고 있다. 불공정경쟁은 이러한 사회적 이익을 해하는 행위로 인정된다. 불공정경쟁과 공정경쟁을 나누는 기준에 관하여 역사적으로 확립된 네 가지원칙에 대하여 검토해보았다. 그 원칙은 i) 로크의 노동가치이론, ii) 헤겔과 헤겔의 이론에 근거한 쾰러의 개인주의적 권리론, iii) 전통적인 영미법상의 장려설 그리고 iv) 특히 프랑스가 의존했던 도덕적 정의론이다. 네가지 원칙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다. 로크의 노동가치론은 가장 강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자연법에근거하여 인간의 노동이 가져온 가치있는 결과를 무단침입 등 불공정경쟁행위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이론이다. 로크적 이론에 기초하는 것은 goodwill형성에 근거하는 사칭모용행위나 부정취득 법리 등이 이를 근거로 한다. 개인주의적 권리론은 직접사칭에 대하여 정당성을 부여한다. 장려설은 실용주의적 입장에서 불공정경쟁행위로 금지하지 않으면 투자의 유인이 감소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사회적 효용이 감소한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도덕적 정의는 신의성실의 원칙, 공정한 행위 등 추상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불공정경쟁행위에대하여 탄력적인 대응을 할 수 있지만 행위준칙으로서는 구체성이떨어진다. 프랑스 불공정경쟁법은 전통적으로 도덕적 정의에 기반하였다. 불공정경쟁행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불공정행위를 금지해야할 필요성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부정경쟁방지법상의 부정경쟁행위의 유형은 하나의 철학적 규범적 근거에 의한 것이 아니라 본 논문에서 언급한 다양한 근거를 바탕으로이해하여야 한다.

      • KCI등재

        영업비밀보호의 체계 적합성에 관한 고찰

        강명수 한국지식재산학회 2020 産業財産權 Vol.- No.65

        우리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규제와 함께 영업비밀 보호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다. 동법은 1961년 제정 당시에 부정경쟁행위만을 규제하면서 법명을 ‘부정경쟁방지법’으로 하였는데, 1991년 개정에서 영업비밀 보호에 대한 규제를 포함시켰고, 이후 1998년 개정법에서 영업비밀 보호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법명을 현재와 같이 바꾸었다. 영업비밀을 부정경쟁행위적 측면에서 규제하고 따라서 부정경쟁방지법에서 영업비밀 보호를 규정하는 것은 연혁적 이유에 근거한 것으로서, 주요국의 입법례가 참고되었다. 그런데 주요국이 영업비밀을 부정경쟁행위적 측면에 충실하게 입법한 것과 달리 우리법은 같은 법 하에서 규제는 하되, 부정경쟁행위와 구분된 독자적인 형태로 영업비밀을 보호하고 있다. 즉, 독일과 일본은 영업비밀 침해를 부정경쟁행위로 보아 부정경쟁방지법에서 규제하였고, 미국은 처음 불법행위법에 의해 규제를 하다가 영업비밀에 대한 입법을 마련하면서 다만 부정경쟁적 침해행위를 규제하는 형태를 취하였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영업비밀을 부정경쟁방지법 하에서 규율하면서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규제와 영업비밀 보호에 대한 규제를 별도로 하였고, 이후 법 개정시에서도 부정경쟁행위와 영업비밀 보호에 대한 개정이 독자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현재는 손해액 추정 규정 등 일부 규정을 제외하고는 침해요건과 이에 대한 구제수단 등에서 완전히 구분되는 독자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영업비밀을 부정경쟁행위와 같은 법 하에서 규율할 필요가 무엇인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히려 부정경쟁방지법의 행위규제적 특징과 개별 지식재산권에 대한 보충적 성질이 모호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영업비밀에 대한 고유한 규제 법리도 모호해지는 단점이 있다. 연혁적으로는 영업비밀을 부정경쟁행위적 측면에서 규제하는 것이 타당하였지만, 시대 변화에 따라 영업비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영업비밀에 대한 독자적인 입법의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최근 독일이 법 개정은 이를 잘 반영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이제는 영업비밀 보호를 부정경쟁방지법이 아닌 독자적인 입법에 의해 규율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As the title suggests,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has regulations on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s as well as regulations on unfair competition behavior. At the time of enactment in 1961, the law only regulated acts of unfair competition, and the 1991 amendment included regulations on trade secrets. The 1998 amendmentt changed the name of the law as it is now. The regulation of trade secrets in terms of unfair competition behavior and thus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s in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as based on historical reasons, and legislation examples of major countries were referenced. However, unlike major countries that faithfully legislate trade secrets in the aspect of unfair competition, the Korean Act regulates under the same law, but protects trade secrets in a separate form from unfair competition. In other words, Germany and Japan regarded the infringement of trade secrets as an unfair competition act and regulated it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the United States first regulated under the Tort Act and then came up with legislation on trade secrets. On the contrary, Korea regulated trade secrets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separately regulated unfair competition behavior and trade secrets, and later revisions to unfair competition behavior and trade secret protection were made independently. Currently, it represents a completely separate form in terms of infringement requirements and remedies, except for some provisions such as the loss estimation rule, etc. This may raise questions about the need to regulate trade secrets under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this has a problem of obscuring the behavioral regulatory characteristics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the supplemental nature of individua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bove all,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inherent regulatory rules for trade secrets are also ambiguous. Historically, it was reasonable to regulate trade secrets in the aspect of competition, but the importance of trade secrets increased as the times changed, and as a result, the need for independent legislation on trade secrets increased. Germany’s recent legislation about trade secrets seems to reflect this well. Therefore, it would be argued that Korea now needs to regulate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s not by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but by its own legislation.

      • KCI등재

        법률위반과 부정경쟁행위

        박윤석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지식재산연구 Vol.8 No.1

        In Korea Law System, it is not common that a breach of law could be an unfair competition.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Law which restricts types of unfair competition acts does not regulate a breach of law as the unfair competition.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EU countries and US, the breach of law has been recognized as unfair competition. In particular, the breach of law which has been acknowledged as unfair competition by Federal Supreme Court of Germany(BGH) was codified Nr.11, Article 4 in Unfair competition Act of Germany, during 2004 revision of Unfair competition Act. In US case, an unlawful act may constitute unfair competition according to California statue law and a violation of almost any federal, state, or local law may serve as the basis for a claim under California s Unfair Competition Law. Such an unfair competition could be prohibited only by civil code article 750 in korean law system, because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Law has recognised only nine types of acts as unfair competition. So, a breach of law that is not covered by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Law could be an unfair competition based on Civil Code article 750. An illegality of article 750 should be admitted to mark a breach of law as a character of unfair competition. In order to constitute illegality based on Civil Code article 750, we need a standard of the illegality, that unlawful practices should mean a breach of law which regulates market behavior related to interest of participants in market because all unlawful practices would not be accepted as unfair competition. this standard is used in some of EU countries, but they regulate a breach of law as unfair competition based their competition law, not civil law. The Korean Supreme Court judged that an unfair business practice could be unfair competition based on Civil Code article 750, even though they are not covered by unfair competition law. We need to discuss whether a breach of law is a new type of unfair competition act or just one of torts based on Civil Code. 영업주체가 경제활동을 하면서 법률을 위반하는 행위는 충분히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위반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제재를 받는다. 하지만 법률위반 행위가 부정경쟁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위반자는 법적으로 허용될 수 없는 경쟁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 경우에 따라 위반한 법률에 규정된 법적 제재는 상대적으로 경미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외국의 경우 이러한 법률위반을부정경쟁행위의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특히 독일의 경우 판례에 의해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해 오다가 2004년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을 통해 성문화하였다. 우리나라 부정경쟁방지법에서는 부정경쟁행위의 개념을 한정 열거적으로 제한하고 있으므로 법률위반을 통한 부정경쟁행위는 열거된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한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로 인정될 수 없다. 따라서 법률위반을 통한 부정경쟁행위는 현행법상 민법 제750조의 일반불법행위로 인정 될 수밖에 없다. 법률위반행위를 일반 불법행위 또는 특별법상의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요소들이 검토 되어야 한다. 독일의 입법례를 검토하여 보건데, 모든법률위반행위가 부정경쟁행위로서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장참여자의 이익과 관련하여 시장행위(Marktverhalten)를 규제하는 법률을 위반하는 경우에만 인정된다는 점은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의 구성요건 중 하나인 위법성 인정 여부와관련하여 참고할만하다. 현행법상 법률위반을 통한 부정경쟁행위는 사례와 학설이 부족함으로 우리법상 법률위반을 통한 부정경쟁행위를 단순히 일반 불법행위의 영역에 머물게 할 것인지 부정경쟁행위로 포함할 수 있는지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반부정당경쟁법의 개정과 사법적 적용- 인터넷 부정경쟁 행위 유형을 중심으로 -

        국한문,이동원 한국경제법학회 2018 경제법연구 Vol.17 No.3

        The Law of the PRC against Unfair Competi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nti-Unfair Competition Law”) was amended in November of 2017 for the first time since it was enacted in China 24 years ago in 1993. In an environment where the Internet is rapidly spreading, unfair competi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Internet als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se characteristics have a profound effect on existing laws and regulations. In this context, it can be said that the law adapts to the new regulatory environment through the norms that harmoniously coexist with the general provisions and the enumeration provisions of the unfair competition practices in the Internet market. In this paper, we first examine briefly the contents of the Anti-Unfair Competition Law revised at the end of 2017 (Ⅱ), examine the legal status of the Article 2 general clause, Article 6 and Article 14 enumerations, (Ⅲ), “Types of Internet Unfair Competition” (Ⅳ) and judicial regulatory trends (Ⅳ), and then, in the conclusion, The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direction (Ⅴ) will be presented. First of all, in the paper Ⅱ, the Anti-Unfair Competition Law of 2017 clarifies the concept of unfair competition act through the general clause of Article 2 and broadens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to production management activities in market transactions, and consumers. In addition, Article 6 regulates the types of misconceptions and confusions. Article 14 introduces a new type of unfair competition behavior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ndustry so that the enforcement agencies can actively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paper Ⅲ, we clarify the legal basis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general clause in relation to the scope of the unfair competition action on the Internet, and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the market economic order along with the action object. In addition, through the enumeration clause, we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applying the general clause while trying to clarify the status of both by examining the doctrine of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lause and the enumerative clause. Next, the scope and application of the judicial trial are examined, and specific cases are verifie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resent a more desirable legislative direction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amendments to the Anti-Unfair Competition Law. In the paper Ⅳ, we clarify the concept of unfair competition on the internet, classify the type as goodwill damages and business secret infringement, and summarize the necessity of legal regulation on them. 1993년 중국에서 「中华人民共和国反不正当竞争法」 (이하 “반부정당경쟁법”이라 한다)이 제정된 지 20 여년 만에 2017년 11월 처음으로 개정되었다. 인터넷이 급속한 확산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인터넷과 관련된 부정경쟁 행위 역시 과학기술 시대의 특징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기존 법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터넷 시장에서의 부정경쟁 행위에 대한 일반 조항과 열거 조항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규범을 통하여 새로운 규제 환경에 법률이 적응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2017년 말에 개정된 중국 반부정당경쟁법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고(Ⅱ), 법 제2조 일반 조항과 제6조 및 제14조의 열거 조항의 법적 지위 및 그 관계를 고찰해보고, 사법 당국의 입장 변화와 판결의 흐름을 통하여 그 적용 가능성과 범위를 살펴보고(Ⅲ), “인터넷 부정경쟁 행위”의 각 유형과 이에 관한 사법적 규제 동향(Ⅳ)을 고찰한 뒤 결론 부분에서는 바람직한 적용과 해석 방향(Ⅴ)을 제시해보기로 한다. 우선 논문 Ⅱ에서는 2017년의 반부정당경쟁법은 제2조의 일반 조항을 통하여 부정경쟁 행위의 개념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그 적용 범위를 시장거래에 있어서의 생산경영활동 전반으로 넓히는 한편 손해의 객체에 다른 사업자 및 소비자를 포함시킴으로써 보호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제6조에서는 오인과 혼동행위의 유형을 조정하고 있으며, 제14조에서는 인터넷 산업 발전에 따른 부정경쟁 행위 유형을 신설하여 환경 변화에 집행기관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논문 Ⅲ에서는 인터넷 부정경쟁 행위의 적용 범위와 관련하여, 일반 조항의 개정을 통하여 그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는 한편, 행위 객체와 함께 시장 경제 질서의 의의를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열거 조항을 통하여 일반 조항의 적용상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한편, 일반 조항과 열거 조항의 관계에 관한 학설을 고찰함으로써 양자의 지위를 명확히 하려 하였다. 다음으로 사법적 재판에서의 적용 범위와 적용 경로를 고찰하고,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고 있다. 또한, 반부정당경쟁법의 개정 내용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좀 더 바람직한 입법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논문 Ⅳ에서는 인터넷상의 부정경쟁 행위에 대하여 그 개념을 좀 더 명확히 함과 동시에 그 유형을 영업권 손해, 영업비밀 침해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에 대한 법적 규제의 필요성에 대하여 정리한다.

      • KCI등재

        인터넷시대 부정경쟁방지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劉文杰 ( Liu Wen-jie ),諸慧琴 ( Zhu Hui-qin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43 No.4

        부정경쟁행위가 인터넷환경의 전반에 만연되면서 인터넷 부정경쟁이 형성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연구대상을 한정하여 부정경쟁행위를 전통형과 신형 두 부류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구체적인 표현형식을 소개하고, 부정경쟁 행위의 피해, 인터넷 부정경쟁행위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부정경쟁행위의 법률제도의 미비점을 분석한 후, 최종 부정경쟁방지 법이 인터넷 시대에 적용 시 나타나는 어려움을 분석한다. 해외의 반부정행위의 실천상황을 소개하고 성문법과 실천법 차원에서 미국의 인터넷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법률제도와 독일·일본의 부정경쟁방지법의 관련 규정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인터넷 부정경쟁행위의 법제도의 부족한 점을 분석하였으며, 각각 주체의 적용범위확대, 관련 법률의 개정 및 구체적인 인터넷 부정행위에 대한 규제라는 세 가지 큰 측면에서 중국 인터넷 부정경쟁행위의 법을 보완하였다. 그 중에서도 세부사항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일반 조항은 원칙적인 규정에 속하며, 부정경쟁행위의 인정에 대해서는 상세한 해석을 제공하지 않아 지나치게 추상적이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 일반 조항이 열거된 입법모델을 선택하고 있다. 인터넷 자기단속 조례의 수립하여 시장이 능동적으로 인터넷상의 부정경쟁행위를 억제하도록 한다. 규제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 제시를 통해 연구의 실천적 의의를 갖는다. Unfair competition has spread to the whole network era and formed the network unfair competition. Firstly, the article defines the research object, divides the unfair competition into two types, traditional and new, introduces their specific manifestations respectively, reveals the harm of the network unfair competition,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unfair competition, and analyzes the deficiencies of China’s legal system to regulate the network unfair competition. Then, it analyzes the disadvantages of the “Anti-Unfair Competition Law” applied to the network market, introduces the judicial practice of the country in regulating foreign anti-unfair acts, introduces the legal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 regulating network unfair competition acts from the perspective of statute law and case law, and introduces some relevant provisions of the “Anti-Unfair Competition Law” of Germany and Japan. The fourth part of this article is the core content, which analyzes the deficiencies of China’s legal system to regulate the network unfair competition behavior, and perfects China’s legal system to regulate the network unfair competition behavior from three major aspects: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main body, amending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regulating specific network unfair behavior. Among them, opinions are also put forward from some minor aspects. For example, the general provisions are principled provisions, which do not provide a more detailed explan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unfair competition acts. These provisions are too abstract and have no pertinence. At present, many countries choose the legislative mode listed in the general provisions, and in the anti-unfair laws, specifying some harmful and typical unfair competition acts can improve the judicial efficiency.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self-restraint treaty, the mobilize initiative of the market, to resist acts of unfair competition on the network. In addition, specific suggestions on regulation are put forward to strengthen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article.

      • KCI등재후보

        독일 부정경쟁방지법이 우리 법제에 주는 시사점

        김완태(Kim Wan-Tae),류승훈(Ryu Seunghu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圓光法學 Vol.37 No.2

        우리나라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은 자유경제질서의 핵심 기반인 경쟁이 불법행위 없이 시장참가자를 보호하면서 정의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규율해야 한다. 따라서 동법은 시장참가자의 경제행위 자유와 소비자의 선택 자유 및 결정의 자유를 훼손하지 않기 위해 장식적으로 기능하는 법 대신 시장경제질서 규율을 기반으로 시장참가자를 보호하는 실질적인 법률로 기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부정경쟁방지법의 분석을 토대로 도출한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의 입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시장경제의 구조적 부정경쟁과 거래의 부정경쟁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정경쟁방지법의 일반규정인 기업의 주의의무에 관한 규정과 소비자 보호에 대한 규정, 법률효과로서 다양한 청구권과 형벌규정 및 벌금규정을 도입하여 시장참가자의 속성을 가진 소비자도 보호해야 한다. 둘째로, 기업이 시장참가자를 대상으로 하는 영업행위에 있어서 주의의무를 해태하고, 시장참가자에게 근본적 영향을 미치는 부정경쟁행위가 발생할 경우 부정경쟁행위라는 근본적인 영향으로부터 시장참가자를 신속하게 보호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부정경쟁방지법의 일반적 규정(제4a조 공격적 영업행위, 제5조 오인유발 영업행위, 제5a조 부작위에 의한 오인유발, 제6조 비교 광고, 제7조 부당한 방법으로 괴롭힘: 이하 부당한 방법으로 부담을 주는 행위) 도입, 법률효과 규정(제8조 제거와 부작위, 제8a조 유럽지침 2019/1150 위반시 청구권자, 제8b 질 높은 경제단체의 리스트, 제8c조 청구의 남용관철 금지: 책임, 제9조 손해배상, 제10조 이윤환수, 제11조 시효)에 의한 소비자단체의 청구권 인정과 부칙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로, 소비자보호를 위해 경쟁자, 경제인단체, 소비자단체, 상공회의소 등의 청구권의 적용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로, 부정경쟁행위 근절을 위해 효과적이지 못한 과태료 규정의 개정보다는 손해배상이나 금지명령을 강화하면서 형벌규정과 벌금규정을 강화하여 부정경쟁행위에 대해 더 이상 관용이 없음을 보여줘야 한다. 마지막으로,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은 어떠한 경우가 부정경쟁행위의 구성요건에 속하는지를 보다 더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해서 부정경쟁방지법의 구성요건 내용을 면밀히 살펴보고 이를 명확하게 적용하여 관련 법률의 구성요건을 보다 구체화해야 한다. The Law to Prevent Unfair Competition and Protect Trade Secrets in Korea (KoUWG)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competition can be justified as the core of the free economic order, while market participants are protected without illegal activity. Therefore, the law provides for the prevention of actual unfair competition and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s in order to protect market participants on the basis of a market economy discipline, instead of a decorative function that does not impair the freedom of choice of market participa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prevent unfair competition and structural unfair competition in the Korean market economy, it is necessary to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general obligation of the Germa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 introduction of regulations is also intended to protect consumer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arket participants. Second, if an entity fails to comply with its obligation to conduct business activities targeting market participants and unfair competitive practices arise that have a fundamental impact on market participants, market participants should be protected from the fundamental effects of unfair competition. For this purpose, the right to claims of consumer groups as well as various claims and regulations through the legal consequences of Articles 8 to 11 and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Act against Unfair Competition according to Articles 4a to 7 and the appendix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irdly, the various claims of competitors, trade associations, consumer associations, chambers of commerce or the chamber of crafts must be extended to consumer protection. Fourth, it needs to show that there is no tolerance for unfair competitive practices by strengthening penal and administrative fines while strengthening injunctions rather than revising the penalty payments, which are not effective in eliminating unfair competitive practices. Finally, in order to define even more clearly which cases represent unfair competitive behavior,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and expressly apply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of the German Competition Prohibition Act. The factual requirements of the law should be further refined.

      • 중국 반부정당경쟁법 일반조항의 의미 및 사례

        전정현(Jung-Hyon (Jamie) Jun) 세창출판사 2015 창작과 권리 Vol.- No.78

        In the Chapter Two (titled “Unfair Competition”) of Unfair Competition Act in PRC (hereunder ‘the Act’), there are eleven provisions in that specify the actions that are regarded as unfair competition. At the same time the article 2 in the Chapter One of the Act (General Rules), stipulates the basic principles of fair competition and general meaning of unfair competition, (so-called an umbrella provision). There is an academic controversy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cle 2 of the Act (i.e. the general provision) and the eleven specific provisions in the Act. One views that the umbrella provision can be independently applied without applying other specific provisions and therefore any action that violates the umbrella provision can be recognized as an unfair competition, even though it is not specified in the specific provisions in the Act. Some scholars are against such view. However, courts in the PRC have the former view, namely that the general provision can be an independently applied. Such opinion of PRC courts is understandable. As the economy of PRC grows rapidly, new forms of unfair competition actions continue to emerge. Accordingly, PRC courts widely apply the general provision in the Act in order to widen the narrowly defined scope of unfair completion actions in the Chapter Two of the Act. This article aims to help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court precedents of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Act, and comprehend the significance of it. This article first covers the meaning of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Act. Second it focuses on the recent court cases in which the general provision was applied with regard to unfair competition actions.

      • KCI등재

        연구논문 :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에 관한 주요 법적 쟁점 연구

        문선영 ( Sun Young Moon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6 과학기술법연구 Vol.22 No.1

        2013. 7. 30. 법률 제11963호로 개정된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부정경쟁방지법)은 새롭고 다양한 유형의 부정경쟁행위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부정경쟁행위에 관한 일반적 보충적 조항을 신설하였다. 개정 전 부정경쟁방지법은 제2조 제1호 가 내지 자목에 걸쳐 부정경쟁행위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열거하고 있었으나, 현실에서 규율이 필요한 모든 부정경쟁행위를 포섭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동법은 부정경쟁행위의 여러 유형을 보다 탄력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일반조항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그밖에 타인의 상당한 투자나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 등을 공정한 상거래 관행이나 경쟁질서에 반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영업을 위하여 무단으로 사용함으로써 타인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동법 제2조 제1호 차목으로 신설하게 된 것이다. 위 조항의 신설에 의하여 부정경쟁행위의 구체적 유형에 해당되지 않아 그동안 판례를 통해 민법상 불법행위 법리에 의해 규율할 수밖에 없었던 부정한 경쟁행위를 비로소 부정경쟁방지법상의 부정경쟁행위 일반유형으로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조항은 일반적, 추상적인 기술에 의하여 과연 차목에 해당하는 부정경쟁행위가 무엇인지 실무상 예측가능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고있어 동 조항의 적용에 보다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으며, 다른 부정경쟁행위나 지식재산법률 등 다른 법률과의 관계가 어떠한 것인지도 문제가 되는 등 여러 가지 법적 쟁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위 조항은 2014. 1. 31.부터 시행되어 현재 2년이 지나고 있고 동조항을 적용한 사례들도 어느 정도 축적되어 있는 바, 본고에서는 부정경쟁행위 일반조항의 의의와 요건을 살피고 앞서 제기된 여러 쟁점을 중심으로 그간의 관련 판례들을 함께 검토함으로써 위 조항의 적절한 운용방안에 대하여 차례로 살펴보기로 한다. The General Clause and Supplemental Clause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mended by Act No. 11963, Jul. 30, 2013, was established to adequately deal with new type of various unfair competition. Before amendment,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had specified the type of unfair competition in 9 Subparagraph of Article 2, Paragraph 1(from Subparagraph Ga to Subparagraph Ja). Nevertheless, there was limit to regulate all kind of unfair competition. So it was needed to make the new general clause that is more flexible to deal with various kind of unfair competition. Therefore the Subparagraph Cha(Subparagraph ⒥) was newly added and it is included as one of the unfair competition acts that ``Any other acts of infringing on other persons`` economic interests by using the outcomes, etc. achieved by them through substantial investment or efforts, for one``s own business without permission, in a manner contrary to fair commercial practices or competition order`` Application of Subparagraph Cha contributed to regulate the various type of unfair competition that was not defined in past Article 2, Paragraph 1. Traditionally, the case law categorized undefined type of unfair competition as matter of Tort, which Civil Law applies. But the establishment of Subparagraph Cha mad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o be directly applied to manage the problem of undefined unfair competition activities. Despite the function of Subparagraph Cha, there is a remaining obstacle that comprehensive and abstract definition in Subparagraph Cha is not adequate to predict what kind of specific activities will be unfair competition of Subparagraph Cha. Thus more caution was needed to apply the Subparagraph Cha in legal practice. This issue raises necessity to explore the fundamental of General Clause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 Scope and limitation. After this exploration, it is possible to discuss how Subparagraph Cha can be used properly, following the purpose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refore, this paper will research the related cases and cover the issues raised above.

      • KCI등재

        불공정경쟁법의 기원과 법원리의 형성

        나종갑 한국정보법학회 2019 정보법학 Vol.23 No.1

        We have a short history of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However, the western world has a long history of the unfair competition. It began when the commercial trade happens.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unfair competition will bring a hint of the study of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The history of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consists of two prongs at large. The one is the civil law system including the French system and the German system and the other is the common law system. After French revolution in 1789, France has developed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based on political liberalism and various unfair competition case law by the court’s decisions in which the court interprets the torts of civil law and develops the theory of unfair competition. In Germany, Formalism dominated late nineteen century, therefore its concept, nothing provide and nothing prohibited, impeded the development of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because no explicit provision existed for unfair competition. Later, under influence of French unfair competition concept, Germany developed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English law of unfair competition has been developed in the penumbra of the legal concept of palming off. The U.S. based on common law unfair competition law has a narrow view of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until 1910s when in INS v. AP the U.S. Supreme Court interpreted the misappropriation case as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However, the Supreme Court’s holding of INS v. AP was not universally accepted in the U.S. courts. In 1964, the Uniform Deceptive Trade Practices Act of 1964, as amended 1966, was adapted to uniformize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of each states. The unfair competition action for deceptive trade practices or ‘‘palming off’’ developed from the common law action for unfair competition, a modernist term of common law torts. The unfair competition law of Korea adapted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 is very similar to the U.S. ‘s Uniform Deceptive Trade Practices Act of 1964, as amended 1966 which dealt with misleading identification of business and goods and false and deceptive advertising. The study of the U.S. system of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will help to interpretate the Korean Law of unfair competition 우리나라의 불공정경쟁법의 역사는 짧다. 그러나 서양에서 불공정경쟁법의 형성 역 사는 오래되었다. 상거래가 존재하는 때부터 불공정경쟁의 역사가 존재하였다고 할 수 있다. 불공정경쟁법의 형성역사에 대한 고찰은 우리 부정경쟁방지법의 올바른 이 해에 도움이 된다. 근대적인 불공정경쟁법은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대륙법계와 palming off를 중심으 로 한 영미법계가 존재한다. 대륙법계는 프랑스계와 독일법계가 나누어진다. 프랑스 는 1789년 프랑스 혁명이후에 자유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민법의 불법행위를 바탕으로 법원의 판결에 의하여 다양한 불공정경쟁행위를 형성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불 공정경쟁법을 발전시켰다. 독일은 법실증주의로도 알려진 형식주의에 따라 상표법에 규정되지 않은 행위는 규제되지 않는다는 사상에 따라 명시적 법규정이 없었던 불공정경쟁법이 상대적으로 늦게 발전하였으나,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부정경쟁방지법을 제정하여 독자적으로 발전시켰다. 영국은 사칭모용행위라고 알려진 palming off를 불공정경쟁행위로 인정 하여 불공정경쟁법의 영역을 확장하지 않았다. 영국의 영향을 받은 미국도 1910년대 이전까지 불공정경쟁법은 palming off에 머물러 있었다. INS v. AP 사건에서 부정취득 사용을 불공정경쟁행위로 인정하였지만, 부정취득사용도 불공정경쟁행위로서 보편적 으로 수용된 것은 아니었다. 1962년 미국은 각 주의 불공정경쟁법을 통일하기 위하여 통일불공정경쟁법을 마련한다. 통일불공정경쟁법상 불공정경쟁행위는 출처에 대한 오인혼동을 가져오는 부정경쟁행위와 기망적 허위광고에 의한 부정경쟁행위로 나누 어 볼 수 있는데, 해방후 제정되어 시행된 우리 부정경쟁방지법은 미국의 통일불공정 경쟁법과 그 내용이 유사하다. 따라서 미국 불공정경쟁법의 연구는 우리법해석에 도 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부정경쟁방지법의 본질론과 무임승차 행위의 한계­ - 한 우산속 바람꽃, 너도바람꽃, 나도바람꽃­ -

        나종갑 한국지식재산학회 2017 産業財産權 Vol.- No.53

        부정경쟁법은 상사불법행위이다. 부정경쟁법은 다양한 부정경쟁행위가 하나의 부정경쟁법이라는 하나의 개념 아래 포섭되어 있어 우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부정경쟁법은 민법상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개별적이고 특별법의 관계에 있다. 부정경쟁법을 이해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특징과 허위의 사실을 바탕으로 하는 사칭혼동행위로부터 시작되어, 사회 경제발전에 따라 새롭게 나타난 경쟁 영업의 파괴적 기생행위를 부정경쟁법이라는 하나의 법체계를 하에 지속적으로 추가하여 현재에 이르럿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우리나라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1호 차목은 “그 밖에 타인의 상당한 투자나 노력으로 만들어진 성과 등을 공정한 상거래 관행이나 경쟁질서에 반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영업을 위하여 무단으로 사용함으로써 타인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네이버 사건(대법원ᅠ2010.8.25.선고ᅠ2008마1541결정)에서 인정된 부정취득을 부정경쟁행위로 입법화 한 것이다. 그러나 네이버 사건은 부정취득행위 사건이라기 보다는 사칭혼동행위에 의한 goodwill의 침해행위의 성격이 강한 사건이다. 부정취득행위는 미국연방대법원의 INS v. AP 사건(248 U.S. 215 (1918))에 의하여 부정경쟁행위의 하나로 인정되었다. 부정취득행위는 경쟁자가 이룩한 성과나 결과를 직접적으로 취득하는 행위를 의미하는데, 네이버 사건에서는 경쟁자가 이룩한 goodwill에 대한 침해를 함으로서 사칭혼동행위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즉 부정취득행위가 아닌 사칭혼동행위라고 보아야 한다. 네이버 사건 판결에 따라 부정취득행위로 입법화한 차목은 본질적으로 해석상의 어려움을 발생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1심 법원에서는 차목을 일반조항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최근 서울고등법원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이전과는 달리 차목의 적용을 제한하는 판결을 하고 있다. 차목은 일반조항이 아니라 부정취득조항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물론 근본적으로는 입법에 의하여 차목을 명확히 부정취득조항으로 규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is a law of commercial torts. The unfair competition is an umbrella term that consists of various unfair tread practices. Thus it may be called as the Umbrella Act.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is a concrete and special to the torts of the Civil Law. To understand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Law of Unfair Competition was originated from the palming off and confusion based on false or misrepresentation of facts. The art. 2. 1. Cha of the Unfair Competition Act of Korea(hereinafter “Cha of the Unfair Competition Act”) provides as a unfair competition that “Any other acts of infringing on other persons' economic interests by using the outcomes, etc. achieved by them through substantial investment or efforts, for one’s own business without permission, in a manner contrary to fair commercial practices or competition order.” This provision is adapted a ruling of misappropriation recognized from the Korea Supreme case called as Naver Case (decided on Aug. 25, 2010, case # 2008da1541). However, the Naver Case is not a misappropriation case but a palming off and confusion cases. The misappropriation was recognized by the US Federal Supreme Court in 1918 on INS v. AP case (248 U.S. 215 (1918)). The misappropriation is defined that a competitor directly takes the outcomes, etc. achieved by other competitors. In the Naver case, however, a competitor infringes goodwill achieved by Never and substitutes one brand of goods/service for Naver without authorization. Thus, the Naver case is a confusion case, not a misappropriation case. The Cha of the Unfair Competition Act of Korea which adapts a ruling of the Naver case makes several issues of its interpretation.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s interprets the Cha as a general provision of unfair competition. Recently, however, the Seoul High Court and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limit an application of the Cha. The Cha should be interpreted as misappropriation not a general provision of the unfair competition. Fundamentally, it is imperative that the Cha is clearly amended as a misappropriation pro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