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하전투 서사의 문학지리학적 고찰 -문학지도와 경관, 서사 중심으로-

        권혁래,신춘호,김재웅,이석현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In 1619 March, Chosun·Ming coalition forces and Nuruhachi’s army battled in Simha, Liaoning, China. 8,000 men of 13,000 Chosun army died and 5,000 became prisoners in this battle. We call this, Simha Battle. Choecheok-jeon, Gangro-jeon, Kim Youngchul-jeon were created by setting in this battle. We adopted methodology of Literary Geography as a method, and considered the narratives and meanings of the above works by directly related to space background. First, we examined a process and space of the war by analyzing Chaekjung-ilrok, which Lee Min-hwan who involved in the war left. Second, we explored the way to the scene of Simha Battle and the Puchal plain, the battle field. Based on this, we made the corresponding area that had been remained as historical and imaginary space to a map. This is the map of literature of Simha Battle. We planned to reproduce the atmosphere of literature birthplace, adding landscape photo, GPS coordinates, and the way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text to the map. In the main subject, we separate the journey of Simha Battle into four parts, identify and correct current local term and migration course through text analyzing and field investigation. We also catch the air of space background by moving through the journey of Simha Battle, and consider how this background combined with narratives of Kim Youngchul-jeon, Choecheok-jeon, and Gangro-jeon. This paper will be the example that newly re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narrative through geography study about 17c historical novel. 한국에서는 심하전투, 중국에서는 ‘사르후 전투[薩爾滸之戰]’라 부르는 1619년의 전투에 종사관으로 참전한 이민환은 전투의 전후사를 진중일기 『책중일록』에 기록하였다. 이민환은 환인현의 지리를 잘 모르는 데다 강 이름을 물어 볼 사람도 없어 이곳 육도하(六度河) 상류의 ‘깊은 물’을 심하라고 불렀다. 조선군들은 이곳 심하에서 후금군들과 소규모 전투를 벌였고, 富察 평야에서 8천 명이 전사하고 5천 명이 포로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플롯과 배경으로 하여 조위한은 1621년 <최척전>을, 권칙은 1630년 <강로전>을, 김응원은 1659년 <김영철전>의 원작을 창작하였다. 이 작품들에 대한 문학연구는 주로 작가론, 이본 및 서지적 연구, 작품의 서사적 분석과 주제적 의미 파악, 작품의 공간에 대한 연구 등의 방향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 팀은 ‘텍스트’를 넘어 문학작품을 공간 중심으로 사고하고 시각적 재현 위주로 탐구하는 문학지리학의 방법론을 연구방법으로 채택, 위 작품들의 서사와 의미를 공간 배경과 직접적으로 연관하여 고찰했다. 또한 서사문학, 역사지리학, 문화콘텐츠학의 연구방법론을 융합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심하전투 문학지도(the map of literature of Simha Battle)’를 제작하고, 경관 사진과 GPS 좌표 활용, 텍스트 분석 및 해석 방식을 겸하여 문학 탄생현장의 분위기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2장 ‘심하전투의 문학지도와 경관, 서사’에서는 심하전투의 노정을 전체 공간과 노정, 압록강 도강, 조명 연합군의 합류, 전투의 현장, 포로길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문학 텍스트 및 현장 답사를 통하여 현 지명과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책중일록』에 기록된 지명이 현재 어느 지역인지 비정하였다. 둘째, 심하전투 노정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간 배경의 분위기를 이해하고, 이러한 공간 배경이 <김영철전>, <최척전>, <강로전>의 서사와 어떻게 결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 팀은 심하전투 서사의 현장을 수차례 답사하며 강홍립의 조선군의 노정을 파악하고 富察 평야의 전투 현장에 접근했다. 그리고 강홍립이 출전했던 시기에 맞춰 2014년 3월 말 우모령을 넘어 심하전투의 현장을 답사한 결과, 조선군이 주둔하고 전투하였던 釜山과 富察 평야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었고,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었다. 또 강홍립과 5천 조선병사들이 포로의 신분으로 넘어갔던 嘉哈嶺 고개를 넘으며 『책중일록』 및 소설 속에 기록된 내용을 대비하여 서술하였다. 이러한 현장 답사를 통하여 파악한 정보와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적 공간과 상상의 공간으로 남아 있던 해당지역 및 정보를 지도로 표현하였다. 또한 역사지리학 및 영상기록 콘텐츠의 시각, 문학 연구의 방법을 결합하여 공간과 노정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서사와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문학지리학적 연구를 통해서 공간과 서사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한 사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심하전투 서사의 문학지리학적 고찰 -문학지도와 경관, 서사 중심으로-

        권혁래 ( Hyeo Krae Kwon ),신춘호 ( Chun Ho Shin ),김재웅 ( Jae Woong Kim ),이석현 ( Seok Hyeon Lee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In 1619 March, Chosun·Ming coalition forces and Nuruhachi’s army battled in Simha, Liaoning, China. 8,000 men of 13,000 Chosun army died and 5,000 became prisoners in this battle. We call this, Simha Battle. Choecheok-jeon, Gangro-jeon, Kim Youngchul-jeon were created by setting in this battle. We adopted methodology of Literary Geography as a method, and considered the narratives and meanings of the above works by directly related to space background. First, we examined a process and space of the war by analyzing Chaekjung-ilrok, which Lee Min-hwan who involved in the war left. Second, we explored the way to the scene of Simha Battle and the Puchal plain, the battle field. Based on this, we made the corresponding area that had been remained as historical and imaginary space to a map. This is the map of literature of Simha Battle. We planned to reproduce the atmosphere of literature birthplace, adding landscape photo, GPS coordinates, and the way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text to the map. In the main subject, we separate the journey of Simha Battle into four parts, identify and correct current local term and migration course through text analyzing and field investigation. We also catch the air of space backgroundby moving through the journey of Simha Battle, and consider how this background combined with narratives of Kim Youngchul-jeon, Choecheok-jeon, and Gangro-jeon. This paper will be the example that newly re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narrative through geography study about 17c historical novel.

      • KCI등재

        姜弘立 조선군의 深河전투 참전지리 고찰

        朴現圭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3 No.-

        본 논문은 1619년(광해군 11) 深河전투에 참전했던 姜弘立의 조선군이 나갔던 노정과 공간을 인문지리학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고찰한 것이다. 劉綎의 右翼南路軍은 寬甸에서 나와 「薩爾滸之戰書事」에서 기술한 棟鄂路, 『輿程記』에서 기술한 寬奠路로 따라 후금의 수도 허투알라(赫圖阿拉)로 향해 진격했다. 이 노선은 길이 매우 좁고 험악하여 지나가기가 몹시 힘들었다. 명 군부가 후금의 이목을 속이기 위한 위장전술의 일환으로 유정의 우익남로군을 조선군과 합세하여 멀리 남쪽으로 돌아가게 했다. 姜弘立의 조선군은 창성 소재 군사요충지인 廟洞堡에서 출발하여 압록강을 건너 哵咧泊에 도착했다. 묘동보와 팔렬박은 1943년 수풍댐 건설로 수몰 당했다. 팔렬박부터 亮馬佃까지는 官道溝를 따라 움직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양마전은 寬甸縣 太平哨鎭 일대로 제1차 요동진격 때 명군과 합류한 지점이다. 유정군과 합세한 榛子頭는 태평초진 坦甸子村이다. 진자두에서 북쪽으로 꺾어 감천령에서 동남쪽 2㎞ 떨어진 拜東葛嶺과 환인 경내에서 가장 높은 牛毛嶺을 차례로 넘어갔다. 곧이어 四道河子鄕 大甸子村 남쪽 3㎞ 떨어진 牛毛寨, 四道河子村 二道溝에 소재한 馬家寨를 지나가며 부락들을 분탕질했다. 六道河 상류 黑臥子 부근 龍頭로 추정되는 深河에서 명군의 진격속도를 늦추기 위해 나선 후금 동악부의 주둔방위군과 조우하여 전투를 펼쳤다. 곧이어 鏵尖子鎭 紅塘石村 경내 下大地로 추정되는 富車 들판에서 좌우영이 궤멸당하는 참변을 겪었다. 강홍립과 중영이 올랐던 구라쿠(固拉庫) 언덕은 하대지 남쪽에 소재한 南大山이다. 여기에서 2㎞ 남짓 떨어진 곳이 명 姜應乾의 보병이 몰살한 半截溝이다. 또 북쪽 골짜기가 명군 선발대와 본진이 몰살한 아부달리(阿布達哩) 언덕과 와르카시(瓦爾喀什)이다. 강홍립의 조선군과 별도로 움직인 조선포수 4백 명이 있었다. 조선포수들은 두송의 좌익중로군에 편입되어 출정하다가 기린하다(吉林崖) 아래로 흐르는 蘇子河를 건너다가 궤멸되었다. 기린하다는 현 鐵背山 서쪽 벼랑이다. 이곳에 한때 강홍립, 이민환 등이 붙잡혀 있었던 후금의 또 하나 수도인 자이판(界蕃, 者片)성이 세워졌다. 철배산 남쪽이 명군과 후금군 사이에 최초로 격전을 펼친 사르후(薩爾滸)산이다. This article is a human geographic consideration of the Simha battle, focusing on the route of Joseon troops during the Simha Battle(Shenho Battle; 深河戰役). The Ming troops of Liuting(劉綎) left Kuandian(寬甸) and advanced towards Hetualla(赫圖阿拉), the capital of Later Jin(後金) dynasty(Qing dynasty), along the Donggo route(棟鄂路), described in Sarhuzhi Zhanshushi(「薩爾滸之戰書事) and the Kuan dian route(寬奠路), described in Yuchengji(輿程記. These route were narrow and rough, so it was difficult for the soldiers to pass through. It was a camouflage tactic that the troops of Liuting went around the long way southwards, to disguise the army of Later Jin. The Joseon troops of Gang Hongrip(姜弘立), left Modongbo(廟洞堡) and arrived at Baliebo(哵咧泊) crossing the Yalu River(鴨綠江). Modongbo and Baliebo was submerged by Supung(水豊) Dam in 1943. The troops are presumed to have moved along the Guandao gou from Baliebo to Liangma dian(亮馬佃). Liangma dian, located in the Taiping shao zhen(太平哨鎭), Kuandian xian, is the meeting point of the troops of Joseon and Ming, during the first conquest of Liaodong. The Joseon troops of Gang Hongrip joined with the Ming troops of Liu ting at Zhenzidou, which is Tandianzi cun(坦甸子村), Taiping shao zhen(榛子頭). The troops left Zhenzidou and advanced northwards through Baidong geling(拜東葛嶺), which is 2㎞ south-east of Kanchuan ling(砍川嶺), and Liumao ling(牛毛嶺), which is the highest in Huanren(桓仁). They pillaged at Liumao zhai(3㎞ south of Daodianzi cun(大甸子村), Sidao hezi xiang(四道河子鄕) and Majia zhai(馬家寨)[Erdao gou(二道溝), Sidao hezi cun(四道河子村)], which belonged to Donggo village of Later Jin. The troops fought a battle with the defense forces of Later jin at Simha, presumed to be Longdou(龍頭), which is near Heiwozi, the upper reaches of the Liudao river(六道河). But the left and right military camps of the troops were destroyed at the Buchal field, which is presumed to be Xiadadi(下大地) in Hongtangshi cun(紅塘石村), Huajianzi zhen(鏵尖子鎭). The Gulaku, where the Gang Hongrip and the millde military camp mounted, is the Nanda Mt.(南大山) hill, located south of Xiadadi. The Banjie gou, where the Ming infantrymen of Jiang Yinggan were annihilated, is 2 km south of here. And the northern valley is the Abdari(阿布達哩) hill and Warkasi(瓦爾喀什), where the advance force and headquarter of the Ming army were annihilated. There were 400 artillerymen from Joseon, dispatched separately from the troops of Gang Hongrip. The artillerymen were incorporated in the army of Dusong(杜松) and sent to the battle, only to be destroyed, crossing the Suzi river(蘇子河), running under the Girinhada. The west cliff of the current Tiebei Mountain(鐵背山) is Girinhada(吉林崖), and the Jaifiyan(界蕃城) at the mountainside of Tiebei is where Gang Hongrip and Lee Minhwan(李民寏) were caught prisoners. The sough of Tiebei Mountain is the Sarhu Mountain(薩爾滸山), where the troops of Ming and Later Jin had the first battle.

      • KCI등재후보

        17세기 대북방 전쟁과 조선군의 전술 변화 - 심하전투를 중심으로 -

        최형국 육군군사연구소 2012 군사연구 Vol.- No.13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 of the changes in the military tactics of Joseon army in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process in the war with northern countries.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books of military tactics Muyejebobeonyeoksokjip(武藝諸譜飜譯續集) and Yeonbyeongjinam(練兵指南) published after the Imjin war in 1592,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s in individual soldier's war fighting sty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military tactics.In addition,the limits in the military tactics were addressed through the analys is of Simha battl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books of military actics, in the battle formation and the martial art that a soldier trained, the roles to protectthe cavalry were greatly expanded. Through this,it was identified that the military tactics of Joseon army, which was focused on the infantry because Joseon army had to fight against Japan's army since the Imjin war in 1592, was trans formed to protect the cavalry against the northern countries. In addition,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diversifcation of the military tactics was pursued through the combined tactics of military carts, cavalry and infantry by enforcing the chivalry's fighting power, not the infantry military tactics which was simply focused on artilleryman. 본 논문은 17세기 조선군 전술변화의 양상을 대북방 전쟁 과정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임란 이후 편찬된 병서인 『무예제보번역속집』(武藝諸譜飜譯續集)과『연병지남』(練兵指南)을 구체적으로 살피면서 전술변화에 따른 군사 개개인의 전투방식의 변화까지도 확인하였다. 또한 심하전투의 분석을 통하여 전술적 한계를 짚어 보았다. 특히 병서의 내용 중 진법이나 군사 개개인의 익히는 무예의 경우는 기병을 방어하는 역할이 대폭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임진왜란 이후 일본군을 상대하기 위하여 급속하게 보병 위주로 변화된 조선군의 전술체제가 다시금 대북방 기병전력을 방어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순한 포수 위주의 보병전술이 아닌 살수와 기병전력을 보강하여 거기보(車騎步)통합전을 통한 전술 다양화를 모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강홍립 이야기의 방어기제 연구

        권대광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revealed in the story of Kang Hong-lip, which was establish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Sarhū battle(Simha battle). The study focused on the works <Gangrojeon> and <Kim Young-chul jeon>, which written in the 17~18th century. In this article, the Joseon nobles' anxiety and fearness to created through their relationship with Hugeum(late Jin) were found to be projected onto Kang Hong-lib in the historic event of a Sarhū battle. Kang Hong-lib was appearing as a defeated general, a surrendered general and the barbarian(Oranga) in the epic. When Kang Hong-lip described as a surrendered general and the barbarian, negative perception of the Hugeum from the wars between Joseon are restricted to Kang Hong-lip's individual problems. And it can explained as a product of the neurotic defense mechanism. A Projection on Kang Hong-rip became clarified by 'secret order', which is repeated consistently in <Gangrojeon>. This study estimates the'secret order' story as fiction from repetitive compulsion. This repetitive obsession was revealed in the work and reproduced delusions. This feature was also seen in <Kim Young-chul jeon>, where the same Kang Hong-lip's negative images written. Although there was no direct connection to the progress of the central character's epic in <Kim Young-chuljeon>, the character of Kang Hong-lip' as a surrendered general and the barbarian descrived. It is also related with the repetition compulsion and delusional memory. On the other hand, if the projection in the founding of Kang's character was a transference of the writer, reading Kang Hong-lip's narrative could be explained as a Countertransference for readers of the times. In this regard, the work should be evaluated as a narrative performing healing function, but also the product of a neurotic defense mechanism. 이 글에서는 심하전투를 배경으로 성립된 강홍립 이야기에 드러난 심리적 방어기제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심하전투 당대의 저작이라고 할 수 있는 <강로전>과 <김영철전>을 주된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글에서는 후금과의 관계를 통해 조성된 당대 조선 사대부들의 불안감과 공포가 심하전투라는 역사적 사건을 계기로 강홍립에게 투사되어 있는 흔적을 찾았다. 강홍립은 서사 속에서 패장, 항장, 오랑캐로 표상되고 있었다. 특히 항장과 호국의 일원으로 다뤄지고 있는 지점에서는 심하전투 및 정묘호란 등 후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홍립의 개인의 문제로 국한되는 점을 지적했으며, 이를 신경증적 방어기제의 산물로 보았다. 강홍립 개인에게 집중되는 투사는 ‘밀지설’을 통해 구체화되는데, <강로전>에서는 이 밀지설이 계속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를 반복 강박의 산물로 보고, 이러한 반복적인 강박이 망상적 형태로 서사화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러한 모습은 <김영철전>에서도 잘 볼 수 있었는데, 중심인물의 서사 전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강로전>에서 그려진 강홍립의 항장과 오랑캐의 모습이 서사화되는 것은 망상적 기억이 반복적으로 재생된 결과로 보았다. 한편, 강홍립 이야기의 성립에 있어 투사적 행위가 작가 자신에게는 전이적 행위였다고 볼 수 있다면, 당대 독자들에게는 역전이의 대상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단순히 강홍립 이야기를 신경증적 방어기제의 산물로 보는 입장보다 치유적 기능을 수행한 측면에서 작품이 평가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 KCI등재

        청 건륭제 「薩爾滸之戰書事」 비석과 비문 고찰 -조선군의 참전기록을 중심으로-

        朴現圭 ( Park Hyun Kyu ) 중국사학회 2020 中國史硏究 Vol.0 No.125

        This article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itaph, Sarhuzhi Zhanshushi(薩爾滸之戰書事), which contains the Sarhu(薩爾滸) battle that led to the Ming-Qing transition, and focuses on the battles of Joseon troops. In 1619 (4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Tianming), the Ming dynasty dispatched large forces divided into 4 groups, to attack the Later Jin dynasty (the Qing dynasty). However Nurhachi(努爾哈赤) of Later Jin annihilated the Ming troops, with skilled military tactics of converging attack in the Sarhu and the nearby. Joseon unwillingly took part in the war and dispatched the army led by Gang Hongrip(姜弘立). But the left and right military camps were annihilated and middle military camp surrendered to the enemy. Just before November 1775 (40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Qianlong), the Emperor Qianlong of Qing wrote Sarhuzhi Zhanshushi to honor Nurhachi, the first emperor, for the Sarhu battle. In February 1776 (41th year of the reign), he set up an monument stone and pavilion on the north of Shubei cun(竪碑村), the battlefield of Sarhu. Also in each 1778 (43th year of the reign) and 1783 (48th year of the reign), he wrote the poem which reminded the meaning of Sarhuzhi Zhanshushi. In 1978, the monument stone was moved to Mukden palace(Shenyang Palace; 瀋陽故宮). The Epitaph, Sarhuzhi Zhanshushi was written, based on and modified from the Qingtaizu shilu(『淸太祖實錄』). It is exaggerating the number of Ming troops destroyed by Later Jin, and contains hyperbole that the God wind helped victory of Later Jin. Also the epitaph describes the battle scene of Joseon troops, which cannot be found in Korean records, and even conflicts with it. According to the epitaph, Ming infantrymen of Jiang yingqian(姜應乾) joined with Joseon army in Buchal(富車) war. It is written that, Gang Hongrip first sent a messenger when negotiating for peace, unlike the records of Joseon.

      • KCI등재

        자암(紫巖) 이민환의 문학세계(文學世界) 자암(紫巖) 이민환의 생애(生涯)와 저술(著述)

        장재호 ( Jae Ho Jang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4

        It was a period of turmoil between the late 16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when Ja-am Lee Min-hwan lived. There were major wars includ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Korea. King Gwanghae`s murder of the Queen Dowager and the enthronement of the new king Injo shook the political world upside down. When Later Jin conquered the Fushun area in 1618, the Ming Dynasty asked Chosun to send reinforcements to drive Later Jin out of the area. King Gwanghae refused to dispatch the Chosun troops citing many different realistic reasons. But after a series of Ming`s further requests and the high officials` appeals to support the dispatch, Chosun finally gave in and sent the troops. However, King Gwanghae didn`t change his position against the dispatch to the end. The Chosun troops arrived in Liaodong only to be defeated in the Simha battle and become war prisoners 15 days after they crossed River Aprok. Following Kang Hong-rip as one of his men to the war, Lee Min-hwan recorded everything that took place for about 17 months from the early days of dispatch to the first skirmish, Simha battle and being captured after losing the battle. Published in his Ja-amjip, the Chaekjungilok is the war journal and Chaekjung report of the Chosun troops dispatched to Liaodong. His Jaamjip also describes the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17th century very vividly and serves as valuable historical data to illuminate the political situation under the reign of King Gwanghae in the middle Chosun and the positions and trends of Chosun, Ming, and Later Jin. Jaamjip contains very important data not only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under the reign of King Gwanghae in the middle Chosun, but also about the subtle dynamics of international relations during those days, which makes Jaamjip a personal journal and social heritage of the days at the same time. Especially Lee was forced to leave the office often being caught in the middle of party strife. He was a loyal servant that was worried about the invasion of foreign forces and made an official suggestion to reinforce the guards along the northern border. He was also a public official devoted to saving people who were starving after a bad harvest year after year. In his old days, he was an active writer. Some of the books introduced in the paper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but surely deserve future efforts to find and study them.

      • KCI등재

        문학 : <김영철전>의 등주 시절 스토리텔링

        권혁래 ( Hyeo Krae Kwon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3

        <김영철전>은 17세기 명나라 요녕성을 배경으로, 심하전투의 전쟁포로 출신 김영철(1599-1684)의 일생을 그린, 김응원 원작 소설이다. <김영철전>의 작가 김응원은 1625년부터 1631년까지 7년 간에 걸친 ‘건주 탈출 - 등주 정착 - 등주 탈출’의 긴 공간과 시간을 소략하게 묘사하였다. 작가는 작중 주인공 영철의 인생사를 바탕으로 영철의 등주 정착과 탈출 과정을 서술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시 사행록을 바탕으로 영철의 건주 탈출과 등주 정착 및 탈출을 구상하고 서술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사실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필자는 이 논문에서 작품에 표현된 1625년부터 1631년까지의 ‘김영철의 건주 탈출, 등주에서의 결혼과 정착, 사행선을 통한 탈출 과정’을 좀 더 구체화하고 서사의 개연성을 부여해 스토리텔링함으로써 등주 서사를 좀 더 풍부하게 형상화하였다. 스토리텔링의 핵심은 공간과 시간, 서사의 관계를 긴밀하게 파악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주 및 영원성, 등주 등 주요 공간 및 수천 리에 이르는 이동경로를 구체화하고 시각적 표현을 강화하였다. 필자는 김영철의 노정과 등주에서의 생활, 탈출과정을 구체적으로 논함으로써 작품의 개연성을 평가하고, 작가의 상상력에서 빈약한 부분을 보충하고자 하였다. 또한 노정을 재구하여 지도와 사진으로 시각화하였으며, 공간과 시간의 흐름이 어떻게 서사와 맞아떨어지는지 분석하였다. 디테일이 부족하다는 점은 등주 서사의 한계다. 하지만 현실세계와 개연성에 바탕하여 작품을 기획하고 설계한 작가의 상상력은 교묘하다. 무엇보다 1630년의 정두원의 사행에 맞춰 영철의 등주 탈출을 설정한것은 절묘했다. On a background of Liaoning Province(遼寧省) , Ming, 1619, Kim Youngchul Jeon is a novel writing about Kim Youngchul``s life who was from war prisoner of Simha Battle. Writer gave more shape to ``Kim Youngchul``s Jianzhou(建州) escape, marrying and settlement in Dengzhou(登州), escaping course through ambassador, which was expressed in the work and did storytelling through lending probability to story. Writer of Kim Youngchul Jeon simply described the long time and space, escaping Jianzhou-settlement in Dengzhou-escaping Dengzhou. He might narrated Youngchul``s settlement and escaping course of Dengzhou based on the real life history of main character Youngchul. Writer evaluated the probability of the work and supplied weak part in his imagination through discussing Kim Youngchul``s journey course, life in Dengzhou, and escaping course specifically. Analyzing the journey course, he visualized the course to maps and photos and analyzed how the flow of time and space matches the event. Through these, he did storytelling the way writer of Kim Youngchul Jeon designed and wrote the novel. Writer found out the writer of Kim Youngchul Jeon is special with his imagination to designing and setting the work based on the real fact. Above all, it was great to set Youngchul``s Dengzhou escape with Jung Dowyun``s ambassador. However, there is a limit of Dengzhou narration with shortage in details. So storytelling through improving details and visual materials, writer embodied the time Kim Youngchul settled in Dengzhou more richly.

      • KCI등재

        문학과 문화 : 보상과 리더십의 관점에서 본 <김영철전>

        권혁래 ( Heok Rae Kwo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17세기 역사소설 <김영철전>을 주 텍스트로 하여 명-청 간 전쟁에 휘말린 한 개인의 인생과 정부의 리더십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김영철전>은 주인공 김영철이 1618년 부모와 이별한 후 심하전투에 출전, 전쟁포로가 되어 갖은 고생을 하다가 고국의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귀향한 이야기, 그리고 그 귀향으로 인하여 김영철과 이국땅의 처자들이 서로 평생 한스러워하던 이야기, 김영철이 종군(從軍)으로 인하여 평생 고통스러워하던 이야기를 그린 역사소설이다. 이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김영철의 가족사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17세기 동아시아의 역사 현장 및 정치적 현실의 단면을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조선 정부는 심하전투 때 군사를 모으면서 징집자들에게 군역 면제를 비롯한 삼통(三通)을 약속하였지만, <김영철전>의 주인공 김영철은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했고, 일생 동안 군역의 수고로움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조선정부는 심하전투 때 결사항전하다가 전사한 김응하 장군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충렬록>에 이름을 올려 영웅화하여 숭명반청 이데올로기를 선양하였다. 하지만 전공자(戰功者), 전상자(戰傷者), 전사자(戰死者), 포로(捕虜)된 자들에 대해서 어떠한 보상도 하지 못했고, 그러한 돈이나 정책도 준비하지 못했다. 이에 비해 소설 속의 청 태종 홍타이지(皇太極)는 위기에 처한 김영철을 천하를 얻을 징조라며, 영철이 전에 지은 과오를 용서하고, 비단과 말 두 마리라는 큰 상을 내렸다. 역사적으로 청 정부는 포로들을 팔기군으로 편입하고, 항장들을 비롯하여 이민족 출신자들을 우대하여 건국에 큰 공을 세우게 했고, 그들에게 합당한 보상을 하였다. 청정부는 이러한 정책과 보상의 리더십을 통해 천하를 통일하였고, 조선정부는 파병 군인에 대한 보상을 하지 못함으로써 국정의 토대를 잃었다. 1만여 군인들이 목숨을 잃거나 귀환하지 못함으로써 조선의 국 력은 크게 손상되었고, 1만여 가정에서는 생계를 잇고 가문 이을 남자를 잃었다. <김영철전>은 전시의 상황에서 무능한 국가와 천하를 통일할 국가의 리더십이 어떠한 것인가를 대비적으로 보여준다. 필자는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위정자들이 공허한 이데올로기에 빠지지 않고 국제정세를 잘 살펴 국가의 실리를 챙겨야 함과, 개인의 삶을 보호하고 공적에 대한 합당한 보상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Writer, by making 17c historical novel Kim Young Chul-joen the main text, considered one person’s life who was involved in Ming-Qing war and the government leadership problem in this paper. Kim Youngchul-jeon is a historical novel that main character Kim Youngchul separated with family, participated in Simha Battle, suffered from being war prisoner and returned to the country, followed the army again and get suffered. Through this work, we can meet historical event and aspect of real politics of 17c East Asia that provide a period background of Kim Youngchul family history. Recruiting the army for Simha Battle, Chosun government promised the exemption of military service and people of lower class. However, main character Kim Youngchul didn’t receive any rewards, and couldn’t get out of laborious tasks for the lifetime. Chosun government enhanced the ideology that revere Ming and against Qing by registering General Kim Eungha who died in Simha Battle on Chungryeol-rok promptly and heroizing him. However, the government couldn’t give any reward to people who honored, wounded, died, and prisoned during the war and couldn’t prepare any money or law neither. In contrast, emperor of Qing, Hong Taiji in the novel forgave Youngchul’s mistake in the past and gave a silk and two horses. Historically, Qing government admitted war prisoners to Eight Banners(八旗軍), deserved foreign people well including surrendered generals, made them give a big contributions, and gave proper rewards. Qing government unified the China with these laws and leadership of rewards, however, Chosun government lost the foundation of government affair by not giving a reward to dispatching soldiers. About ten thousand soldiers died or couldn’t return to Chosun, Chosun national power critically damaged and those families lost men who inherit the family. Kim Youngchul-jeon shows incapable nation in the war and what is the leadership of nation who unify the world. Writer brought up the need to take a benefit of the nation, with politicians do not fall in empty ideology and look closely at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need to protect personal lives and give proper reward about accomplishment.

      • KCI등재후보

        낙서 장만의 심하전투 관련 차자(箚子) 연구

        권혁래 ( Kwon Hyeok-rae ) 연민학회 2020 연민학지 Vol.34 No.-

        이 논문에서는 낙서(洛西) 장만(張晩, 1566-1629)의 심하전투 관련 차자(箚子)에 기술된 현실인식 및 주장에 대해 고찰했다. 「논관북민막겸진기무차(論北關民瘼兼陳機務箚)」는 장만이 광해군 즉위년(1608) 8월 16일에 올린, 장편의 ‘함경도 개혁’ 보고서이다. 장만은 함경도 백성들이 겪는 병폐에 대해 따지고 헤아려 개혁책을 찾고, 누르하치로 인한 군사적 위험에 대해 고하고 대비책을 제시했다. 「진기무인청정선수역차(陳機務因請停繕修役箚)」에서는 조정은 후금이 조선을 선공해 도성 깊숙이까지 쳐들어오지 못한다는 점을 백성들에게 알리고 잘못된 소문이 퍼지지 않도록 조처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임금에게 궁궐 공사를 중지해줄 것을 진달했다. 「부체찰사왕관서시진계차(副體察使往關西時陳戒箚)」에서는 심하전투를 앞두고 명 경략 양호와 조선 도원수 강홍립 군중의 관계에 대한 인식과 외교전략을 제시했다. 「논호서답송사의잉진소회차(論胡書答送事宜仍陳所懷箚)」는 심하전투 직후, 누르하치가 보내온 서신에 대한 답서를 준비하라는 광해군의 하문에 대해 장만이올린 차자이다. 장만은 명에 대해서는 ‘사대책’을 제시하고, 후금에 대해서는 ‘미봉책’을, 조선이 취해야 할 정책으로는 ‘자강책’을 제시했다. 장만은 건의·청원·진정 내용의 차자를 통해 광해군과 의미 있는 공적 의사소통을 하는 한편 격정적인 소회와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군주와 정서적 소통을 꾀하였다. 광해군은 장만의 청원을 대부분 수용해 국방을 강화하도록 조처했다. 다만 심하전투 당시 후금과의 군사적 충돌을 피하려 했으며, 포로가 된 강홍립 및 조선장병을 옹호한 점은 장만과 뜻을 달리했다. 궁전 토목공사를 중지해야 한다는 장만의 진달은 한 번도 수용되지 않았다. Nakseo (洛西) Jang Man (張晩, 1566-1629) is a civil servant and general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overcoming the national struggle across three generations: King Seonjo, Gwanghaegun, and Injo. In this paper, attention was paid to the Sentences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 related to Simha Battle (1619), and the reality perceptions and claims described in the work were examined. 「論北關民瘼兼陳機務箚」 is a long-term report titled ‘Hamkyung-do Reform’ written on August 16, 1608. Jang Man was appointed as an observer of Hamgyeong-do and reported to the king about the lives and military issues of the people of Hamgyeong-do. 「陳機務因請停繕修役箚」 is a report that contains the awareness of the situation just before Simha Battle and the defense against the Qing Dynasty. 「論胡書答送事宜仍陳所懷箚」 is a report written by Jang Man after being defeated by Simha War and instructed by Gwanghaegun to prepare an answer to the letter sent by Nurhachi (奴爾哈齊). Through Jang Man's the Sentences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 related to Simha Battle, Gwanghaegun is a monarch who tried to read, hear and communicate various reports, reforms and petitions of Jang 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