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술화행의 개념과 범주에 관한 연구

        김미령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0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category of statement speech act. On this study, I analyzed the character of statement speech act, and established the concept and category of it. The way of establishing the category of statement speech act is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among the similar speech acts on the same position of the conversation. So I compared a number of utterances in the position of preceding and following that have special function,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expressing emotion’, ‘requiring’, ‘response for request’, and ‘response for message’. Therefore, statement speech act’s concept is as follows : statement speech act is the utterances that express speaker’s own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speaker, or the work of the speaker, the object around the speaker at the beginning of the conversation. And statement speech act is different from information 1 speech act, information 2 speech act and request speech act at the beginning of the conversation. Also statement speech act is different from conformity speech act, cynic speech act at the following of the pre-utterance. 이 연구에서는 우리말 대화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진 술화행’에 대해 살피고자 하였다. 이에, 대화에서 실현되는 ‘진술’표현들 을 대상으로 화용론적 관점에서 특성을 분석하여 개념을 정하고, 인접 화 행들과의 구분을 통해 범주를 설정하여, ‘진술화행’에 대한 명확한 규정과 체계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진술화행’의 개념에서는 화용적 특성으 로서의 내용과 기능, 화자의 태도와 의도를 청자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술화행’의 범주에서는 이와 구분이 필요한 인 접 화행들을 선행발화와 후행발화의 위치로 나누어서, 선행발화 위치에 서는 ‘정보 알림’, ‘감정 표출’, ‘요청’ 기능을 하는 화행들과 구분하였고, 후행발화 위치에서는 ‘요구에 대한 반응’, ‘전달에 대한 반응’ 기능을 하는 화행들과 구분하여 ‘진술화행’의 범주를 설정하여 보았다.

      • 한국어 설명화행의 의미와 체계에 관한 연구

        정종수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1 미래문화 Vol.0 No.2

        본고는 진술화행의 하위화행인 설명화행을 정의함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서 특정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설명화행의 하위화행을 세분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설명화행이란, 정보를 쉽고 자세하고 명확하게 알리는 것이다. 설명화행은제보화행(⊂진술화행)의 하위화행이기에 [정보내용]와 [진술화행]의 함축을갖는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서 설명화행은 [용이(容易)방식], [상세(詳細)방식], [명확(明確)방식]라는 함축을 더 갖는다. 본고에서는 설명화행을 [대상] 과 [방식]을 기준으로 정의화행, 묘사화행, 분류화행, 분석화행, 해석화행, 소개화행, 측정화행, 부연화행의 8개 하위화행으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의검증에는 수행동사의 뜻풀이가 화행에 포함되는지를 살펴보는 수행동사 뜻풀이 확인법과 함께 암시적 수행문이 화행의 의미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보는 암시적 수행문 확인법과 명시적 수행문의 간접인용절의 내용이 화행의의미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보는 명시적 수행문 확인법을 사용하였다. This study clarified the meaning of the explaining speech act, which is dealt with in the way of contents development in secondary education. Also, by applying specific criteria to explaining speech acts, it was also subdivided into sub-specified speech acts. The explaining speech act is to inform the information easily and in detail and clearly. The explanatory speech act is a sub-speculation act of the explanatory speech act, which has the implication of [information] and [statement]. The statement speech act is a speech act in which the speaker informs the information or speaks the opinion. The description act has more [easily], [detailedly], [definitely] implications. The explaining speech act was classified into nine sub-speech acts: defining speech act, description speech act, classification speech act, analysis speech act, interpretation speech act, introduction speech act, measurement speech act, introducing speech act, and propaganda speech act based on object and method. The verification of this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y the confirmation of meaning of performative verb and the confirmation of indirect quotations in the use of performative verb. And the appropriate conditions of explaining speech act were revealed by summarizing the previous discussions, and the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explaining speech act and the contests development method of secondary education were conducted.

      • KCI등재

        한·미 의문문 화행에 나타난 성별의 차이에 관한 연구

        임은영 ( Eunyoung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I.S.S.A. (Interrogative-Sentence-Speech-Act) between Korean-American gender. To this end, this paper extracted discourses in the ‘same or similar context’ between Korean-American from the remake works, and then classified all interrogative sentence into four S.As. (Q, S, O, R: Question- speech-act of interrogative-sentence (Q), Statement-speech-act of interrogative- sentence (S), Order-speech-act of interrogative-sentence (O), Response-speech-act of interrogative-sentence (R)). And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merican, in particular,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erican ‘O’. This result implies the possibility of pragmatic failure in the Korean ‘O’ of the Americans learning Korea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of the education on the Korean ‘O’ for Americans learning Korean and the future research tasks.

      • KCI등재

        Speech Act and Prosody Interaction during Listening Comprehension: Evidencefrom an ERP Study

        박명관,조의연,Yeonji Baik,정원일 한국응용언어학회 2022 응용 언어학 Vol.38 No.4

        Recognizing a speech act in fast speech contexts is essential to L2 learners as well as L1 native speakers for their successful communication. English is well known for using a particular type of phonologically-salient intonation accompanying a speech act. Manipulating intonation, we measured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when L2 English learners listened to three types of speech act accompanying matched or mismatched inton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statement with proper, vs. improper question intonation, evoked marginal N400 effects at left anterior regions, Second, the question with proper, vs. improper statement intonation, recorded reduced N600 effects at all regions. Third, the reprimand with proper, vs. improper statement intonation, registered reduced P200 effects at anterior regions, followed by N600 effects at anterior regions. Since the three different speech acts tested evoked distinct ERP components, we interpret these results to indicate that the L2 English learners successfully managed to recognize the three speech acts. In addition, the L2 English learners experienced the least difficulty in processing a question accompanying perceptually the most marked intonation.

      • KCI등재

        한국어 의문문 화행에 관한 통계 연구: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임은영 ( Eunyoung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고는 한국어 의문문 화행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 축적에 기여하고자 한국 드라마와 영화 속 의문문 발화(3,338개)를 분석하였다. 즉 본고는 상황별 화자의 핵심 의도에 따라 8개 화행(Qa, Qp, Sa, Sp, Oa, Op, Ra, Rp)으로 분류한 후, 사회적 변인(성별/친밀도/사회적 지위)에 따라 교차 분석하여 카이제곱(χ2) 검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변인에 따른 한국어 의문문 화행의 실현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전체적으로 있음이 밝혀졌고, 더 나아가 세부적으로는 ‘Qa, Qp, Oa, Op, Ra’에서 사회적 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다시 한 번 더 밝혀졌다. 본고는 ‘Qa, Qp, Oa, Op, Ra’에 대한 심화ㆍ보완된 연구로 기초 자료 축적에 기여할 것을 한국어 교육에 제언한다. This paper analyzed interrogative sentence utterances (3,338) in Korean dramas and movi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basic data for education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 speech act. In other words, this paper classified into 8 speech acts (Qa, Qp, Sa, Sp, Oa, Op, Ra, Rp) according to the speaker’s core intention by situation, and then crosses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gender/intimacy/social status). After analysis, a chi-square (χ2) 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lization pattern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 speech act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overall, and in detail, in ‘Qa, Qp, Oa, Op, Ra.’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basic materials through more in-depth and complementary research on ‘Qa, Qp, Oa, Op, Ra.’

      • KCI등재

        최근 미연방 대법원 판결에 나타난 자유스런 언론의 범위

        신평(Shin, Pyung)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3

        언론의 자유는 건전한 민주사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한 인간의 원만한 인격체계의 구성을 위하여 놀라운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언론의 자유가 가장 치열하게 논의되며 또 그 결과 가장 풍성한 내용을 가지며 폭넓은 보장을 받는 곳은 미국이다. 미국에서의 언론의 자유는 수정헌법 제1조에 관한 연방대법원 판결의 해석을 중심으로 하여왔다. 여기에서 수확된 결과가 조금씩 세계 각국으로 전파되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언론의 자유가 그만큼 소중한 것이면서도 이것이 현실적으로 무제한의 것이 될 수 없음은 우리의 이성이 가리키는 바이다. 그러면 그 제한될 수밖에 없는 영역은 무엇일까? 여기에 관하여 미국 연방대법원의 U. S. v. Xavier Alvarez 판결이 해답을 제공하려고 시도하였는데, 이 논문은 이 판결을 대상으로 하여 자유언론의 범위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이 판결처럼 언론자유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망하며 그 보호의 범위를 획정한 것은 일찍이 없었던 일이다. 그 많은 미국 수정헌법 제1조의 해설서에서건, 또 연방대법원의 오래 된 수정헌법 제1조 해석의 판단에서건 이러한 시도는 이때까지 없었다. 이 뜻에서 연방대법원은 이 사건의 판시로 언론자유에 관한 '법의 발견'을 행했다고 할 수 있다. 이 판결은 문제가 되는 어떤 언론의 내용이 다음의 9가지 범주에 해당하지 않는 한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를 받는다고 하였다. 즉, ① 절박한 무법적 행동(imminent lawless action)의 선동, ② 외설, ③ 명예훼손, ④ 범죄적 행동의 필수요소, ⑤ 도전적인 말(fighting words), ⑥ 아동 포르노그래피, ⑦ 사기, ⑧ 진정한 위협, ⑨ 정부가 방지권한을 가진, 심각하고 절박한 위협의 9가지 예외적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 언론은 어떤 법적 책임으로부터도 면책된다는 것이다. 또 이 사건 판결은, 허위진술이라도 그것이 항상 수정헌법 제1조 보호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위 9가지 범주에 들지 않는데도 이를 제한하는 입법은 수정헌법 제1조에 위반하는 무효의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한국 형법에서는 허위진술 뿐만 아니라 진실한 진술일지라도 공연히 이를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명예훼손의 죄책을 지고, 또 민사상의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된다. 미국의 이 사건 연방대법원 판결이 허위진술의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를 받아 면책된다고 하는 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이루게 된다. 그동안 진실한 사실일 경우 명예훼손의 책임을 지는 것이 과연 헌법상 언론의 자유를 부당하게 침해하는 것이 아니냐 하는 의구심이 일각에서 제기되어 왔다. 이 사건 판결은 진실한 사실조차 공연히 명예훼손의 효과를 가지는 경우 언론자유의 보호영역 밖으로 던져버리는 한국법의 체계에 의문을 가지는 하나의 중요한 계기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진실한 사실도 명예훼손을 성립시킨다는 형법 제307조 제1항의 위헌성 여부에 관하여 곰곰이 사색할 필요가 있다. The freedom of speech has an essential effect to establish a successful democratic nation and in person to ensure a sound entity. Therefore, the freedom is said to be the most precious one of civil rights. As we know, in America the free speech is the most briskly debated and in the result has had the richest contents mainly given by Supreme Court. American notion of the free speech has been delivered worldwide to erect the most important pillars of civilization. Korea is one of its beneficiaries. But our intellect points out that the freedom of speech is not limitless. If so, how should the limit line be drawn? A recent case, U. S. v. Xavier Alvarez by Supreme Court, suggested a groundbreaking categorization. It said that content-based restrictions on speech have been permitted only when confined to 9 historic and traditional categories. Those are ① advocacy intended to incite imminent lawless action, ② obscenity, ③ defamation, ④ speech integral to criminal conduct, ⑤ fighting words, ⑥ child pornography, ⑦ fraud, ⑧ true threats, ⑨ speech presenting some grave and imminent threat the government has the power to prevent. This general categorization has not been presented by any Court's decision or scholars' theories. So it could be said to have a profound meaning. At the same time, the Court said that false statements is not always out of the protection of the First Amendment. They are basically protected by the First Amendment so far as they are not belong to above the 9 categories. Korean Criminal Law §307 ① proclaims that not only false statement but also true statements are to be punished if they defame other person's honors. This statute also becomes the ground of civil damages in Korea. It has often been said that true speech should be immune from criminal or civil responsibility and that the criminal statute is against constitution as long as it regulates true speeches. We may need to contemplate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statute, considering the case, the main topic of this article.

      • KCI등재

        현대법실증주의와 규범성의 문제: 하트의 ‘내적 관점’을 중심으로

        권경휘 한국법철학회 2015 법철학연구 Vol.18 No.1

        H. L. A. Hart introduced the internal point of view into his legal theory in order to overcome the restorative attitude of the classical legal positivism. His argument that in a legal theorist’s explaining the law,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rule must be reflected is quite persuasive and even appealing. However, in explaining the internal point of view, he commits a sort of “speech act fallacy.” That is to say, Hart believes that all statements containing normative expressions such as “I have the duty to …”, “You have the duty to …”, or “He should …” are statements made from the internal point of view, i.e., internal statement. If this fallacy is eliminated from his explanation regarding internal point of view, Hart's argument,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nal point of view in legal theory, would still be quite appealing. 하트는 고전적 법실증주의의 환원적인 태도를 극복하고자 법이론에 내적 관점을 도입하였다. 법이론가(법실증주의자)가 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해당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규칙을 수용하는 태도를 반영해야만 한다는 그의 주장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고 심지어 매력적이기까지 하다. 그러나 내적 관점에 관한 그의 설명은 일종의 “언어행위 오류”를 범하고 있다. 즉, 하트는 “나는 의무를 가지고 있다”, “너는 의무를 가지고 있다”, “그는 꼭 해야만 한다” 등과 같은 표현 양식을 가지고 있는 진술이 내적 관점에서 말하여지는 진술(내적 진술)이라고 본다. 내적 관점에 관한 설명에서 이러한 오류를 제거한다면, 법이론에 있어서 내적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하트의 주장은 여전히 매력적일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부정화행의 개념 정립 연구

        염가경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0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Korean negativity. I will expla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ncept of negation. In Korea, many studies mention negativity when studying other harmonic behaviors, However, the research focusing on negation behavior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negativity in what it is and what it looks like. First, previous studie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gation behavior are explained and analyzed; th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negation behavior is analyzed by discussing the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of the research on negation behavior.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ncept of negativity in this study includes examining negativity-grammatical, negativity-practical, and negativity-negative behaviors, Among them, grammar negativity is the most important. Their relationships are also discussed. After organizing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the concept of a line of negation is presented.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부정화행의 개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다른화행을 연구할 때 부정화행을 함께 논의한 연구는 많으나 부정화행을 중심으로 논의한 연구는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고는 부정화행의 개념은 무엇인지, 그 특징과 성격은어떠한지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국내외 부정화행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부정화행에 관한 연구의 성과와 부족한 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의 부정화행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부정화행 개념의 도출과정은 사전적 부정, 문법적 부정, 화용적 부정, 부정화행으로 이루어지며, 그중에 문법적 부정으로부터 부정화행까지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에, 부정과 부정화행, 부정문과 부정화행의 차이점을 밝혀 이를 통하여 부정화행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