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방귀희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3 미래문화 Vol.0 No.7
1990년대 민주화 운동과 함께 장애인 인권운동이 펼쳐지면서 장애인은 주류 사회문화적 억압에 대항하여 사회적, 정치적 인정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자기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장애인의 정치참여를 위해 장애인계는 선거 시 정당한 투표권 행사를 위한 합당한 조치를 요구하면서 장애인 비례대표를 주장하였다. 그 결과 1996년 15대 국회에 장애인비례대표로 지체장애인 이성재 변호사가 국회에 입성한 후, 현재 21대 국회까지 12명의 장애인비례대표 국회의원을 배출하면서 장애인 정치세력화가 이루어졌다. 장애인국회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고에서는 12명의 장애인비례대표들이 어떻게 탄생하였으며, 어떤 입법 활동을 하였는지 그 내용을 분석하는 정도밖에 소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1996년부터 현재까지 27년 동안 장애인의회정치에 어떤 문화가 형성되었는지 그 변화 정리하면서 앞으로 어떤 장애인비례대표가 요구되는지 그 발전 방향을 탐색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장애인차별을 해소하고 평등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장애인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 의정활동을 통해 입법에 의한 평등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 the movements for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were carried out together with pro-democracy movements of the 1990s, the disabled started expressing their opinions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the social/political recognition by fighting against the sociocultural suppression of the mainstream. For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especially, the world of disabled people demanded the disabled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for the participation in real politics by asking for the appropriate measures for the righteous exercise of a right to vote in elections. As a result, lawyer Lee Seong-Jae with physical disabilities entered the 15th National Assembly as a disabled proportional representative in 1996. After that, total 12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s disabled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have been produced till the current 21st National Assemb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disabled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and the research method was limi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legislative activities of those 12 disabled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hen there is no objective evaluation of parliamentary activities of disabled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evaluating the contribution of parliamentary activities of each disabled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to the development of welfare for the disabled, could be affected by personal political tendency. Thus, this study aims to seek for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disabl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by organizing the footprints of parliamentary political culture of the disabled that started from 1996.
김세림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2 미래문화 Vol.0 No.4
The goal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human happiness and the qualitative growth of society. At this time, ‘the Happiness’ and ‘Quality’ growth are invisible and invisible values. Therefore, they cannot be judged logically. The science that helps us to judge this issue is ‘the Humanities’. The Humanities make human life valuable and enable us to learn fundamental attitudes towards the process and results. In this thesis, the position of the humanities in society will be reviewed, 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humanities will be confirmed. Recently, the cultural industry in Korea has been very successful and has enjoyed economic effects. The reason is that Hallyu content has the specificity of Korea and the universality of the world.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Hallyu, technical support and humanities support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resolve social conflict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values through the humanities. Humanities is a discipline that makes people right and makes society right. 제도와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행복과 사회의 질적 성장을 최종 목표로한다. ‘행복’과 ‘질적’ 성장은 가시화, 수치화 되지 않는 가치이므로 논리로판단할 수 없다. 삶을 가치롭게 만드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근본 자세를갖추게 하는 학문이 바로 인문학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경시(輕視)되는 듯한 인문학의 자리를 공고히 하고자, 문화산업 전반에서 인문학의 위치를점검해보고 개인과 사회 전반에서 인문·사회 분야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재확인하고자 하였다. 근래 대한민국의 문화산업이 성공적인 행보를 달리며 큰 경제적 효과를 누리는 까닭은 한류 콘텐츠가 한국적 특수성과 세계적 보편성을 갖추었다는 특징에서 찾을 수 있다. 지속적인 신한류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적 지원과 동시에 콘텐츠를 창조하고 구현할 수 있는 인간 본연의 인문학적 사유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론적 차원에서도 인문학을 통한 가치관 확립은 필수적이다. 인문학은 바른 인간에 대한 학문이자 사회의 올바른 성장 방향을 제시해주는 학문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한중 문화 글로컬리즘의 실천사례 연구 –<용하형경>과 <극한직업>의 동시제작을 중심으로–
이승희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1 미래문화 Vol.0 No.1
2015년 ‘한중 스토리 공동개발 프로젝트’가 한중 양국의 민관협력 하에개시되었다. ‘원소스멀티유즈(OSMU)’, 즉 우수한 이야기를 공동 개발하여이를 다양한 콘텐츠로 제작하기 위함이었다.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선보인 중국의 <용하형경(龍蝦刑警)>(2018)과 한국의 <극한직업>(2019)은 텍스트 안과 밖 양쪽에서 동아시아 권역의 글로컬리즘 실천이 지니는 현실적애로사항과 함께 한중 문화정치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이에 <극한직업>과<용하형경>을 둘러싼 양국 문화부처의 대처방안, 영화제작 상의 현지화 전략, 관객의 소비양상을 차례대로 분석할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영화시장의 주된 소비층인 한중 밀레니얼의 문화취향 변화추세를 추적함으로써 한중 문화갈등이 초래된 배경을 되짚어보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중 문화연대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In 2015, the “Korea–China Story Joint Development Project” was launched under the cooperation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It was conducted for “One Source Multi Use” to produce varied content based on joint development of remarkable stories. “Lobster Cop” (2018) of China and “Extreme Job” (2019) of Korea, two films produced as part of this project, became the example of the practical challenges faced by glocalism in East Asia and the present status of cultural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China. The development of “Korea–China Story Joint Development Project” was stalled by Hanhanryeong (Embargo of Korean Products in China), and unnecessary argument simmered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tizens over "Lobster Cop" and "Extreme Job" concerning the external aspect of culture. However, the audience i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the millennials, shows cultural similarities. Their tastes deviate from traditional trends and orbits despite differences in their social backgrou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xamine common challenges faced by the two countries’ film industries.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Korea–China alliance for developing the cultural industry in East Asia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Korea–China Story Joint Development Project.”
이창동 소설 「춤」에 나타난 1980년대 한국 사회의 소비 의식 연구
양진호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1 미래문화 Vol.0 No.2
본고는 이창동 소설집 『소지(燒紙)』에 수록된 단편인「춤」을 ‘소비’라는 키워드로 살펴봄으로써 그의 소설적 발화 방식인 ‘이야기’의 의미를 규정하려고 한다. 역사에 대한 당대 문학의 보편적 관점에서 ‘이야기(나카자와 신이치의 신화에 대한 개념과 관련지어)’로 이행하는 그의 소설들은 역사를 관통하는 소외된 자들, 시간으로부터 추방된 자들의 시선으로 사회를바라본다. 한국 사회의 역사와 그 바깥이라는 영역 사이에 놓인 개인들의삶을 발견하고 재현하는 그의 소설에서, ‘이야기’라는 관점은 역사라는 체계안에서 역사 바깥을 사유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역사 안에 포함될 수없는 것들이 역사 안에 섞여 있고, 그것을 역사 속 개인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인식하려는 과정 자체를 이창동이 ‘이야기’라는 형식을 통해 담아내려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창동의 이러한 ‘이야기’적 서술 방식이 담긴 소설들 중 「춤」을 80년대 한국 사회의 욕망 구조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핵심이 되는 ‘소비’의 키워드로 분석하고, 그가 이 기표를 통해 한국 사회의 모순을 발견하는 방식, 그리고 ‘화해의 가능성을 찾아가는 방식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정을 한국 사회의 ’경계‘에 대해 이창동이 사유해나간 과정으로서 바라보려고 한다. This paper tries to define the meaning of 'story', his novel utterance method, by examining the short story 'Dance' contained in Lee Chang-dong's novel collection 『Soji』 as the keyword ‘consumption’. His novels, which move from the universal perspective of contemporary literature on history to 'story' (in relation to Shinichi Nakazawa's concept of myth), look at society through the eyes of the marginalized and those expelled from time through history. In his novels that discover and reproduce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are placed between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and the realms outside it, the perspective of ‘story’ works in a way of thinking outside of history within the system of history. In other words, the things that cannot be included in history are mixed in history, and the process of individuals in history trying to recognize it in their own way is what Chang-Dong Lee tried to capture through the form of ‘story’. In this thesis, among the novels that contain Lee Chang-dong's 'story' narrative style, 'dance' is analyzed as a keyword of 'consumption', which is the key word i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desire in Korean society in the 80s, and he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method of discovering the contradic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e method of 'finding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view this process as a process by which Chang-dong Lee thought about the 'boundary' of Korean society.
김윤지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5 미래문화 Vol.0 No.12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dispute between Korea and China regarding the registr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here it highlights the challenges in distinguishing ownership and 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of the chronological relationship within a society experiencing digital transformation. Additionally, the study proposes future plans for fostering gentlemanly coexistence. To achieve this, we first identified the historical flow and domestic efforts for registration in both countries, grounded in an understanding of the relevant system. Notably, Korea has selected 792 items as potential candidates for registration, whereas China has designated 1,556 items. Secondly,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18,483 video data entries collected using the YouTube search term <cultural dispute>, it was determined that the year during which the cultural dispute, framed as a cultural debate between the two nations, was most prominently featured as a 'title' was 2022. Furthermore, the highest frequency of "comments" occurred in 2021. The cultural disputes reflected in the top 10 keywords illustrate a complex intertwining of history, ethnicity, and culture. Thirdly, based on examining 1,556 Chinese items, we inferred potential future targets of cultural disputes. Among these, the 'Drum Dance' was suggested as a case study in applying for a registration designation and proposed as a model for that future order. Ultimately, the assertion that they are analogous is false; the paper suggests that a more affluent culture can be fostered by honoring and pursuing the variations in their expression while revering humanistic common values.
박배경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5 미래문화 Vol.0 No.12
중국의 플랫폼 기업인 B.A.T(Baidu, Alibaba, Tencent)는 2010년대에 들어 중국을 넘어 시가총액 기준으로 글로벌 10대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2020년대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을 기반으로 4차 산업을 선도해 갈 플랫폼 기업으로의 혁신을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인터넷의 역사와 발전이 상당히 빠른 편에 속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BAT와 같은 세계적인 플랫폼 기업이 거의 없다. 본 보고서는 BAT의 발전의 역사를 고찰하고, CEO 및 기업의 인문학적 경영관 및 문화사업에서의 BAT의 역량 강화 과정 그리고 중국 정부가 취한 적극적 문화육성 정책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로써, 현재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는 한류(Korean wave)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우리가 4차 산업혁명의 글로벌 리더가 되어 소프트파워를 제고시키는 정책 개발과 시행이 필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문화산업과 소프트파워 -한류 영상문화콘텐츠의 가치 재편과 성장을 중심으로
김세아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2 미래문화 Vol.0 No.4
본고는 문화야말로 가장 핵심적인 소프트파워라는 관점에서 문화산업의자장에 위치한 한류 및 K-콘텐츠의 가치 재편과 성장에 주목한 결과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영상문화콘텐츠산업의 현황을 중심으로 변화한 매체 및사회 환경을 분석하면서 지금 우리 콘텐츠가 지닌 소프트파워와 그 전망에대해 진단해보고자 했다. 코로나19 이후 우리 문화콘텐츠 산업은 새로운활황을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문화적 네트워크의 가속화와OTT 서비스의 확산은 한류 영상 콘텐츠에 새로운 경쟁력과 기회를 제공했으며, 이는 ‘3차 한류’라는 이름으로 우리 앞에 도착했다. 이러한 ‘3차 한류’는 한류가 한류를 갱신해나가야 한다는 과제의 다른 이름이기도 할 것이다. 한류를 이루고 있는 요체이자 실현물인 대중문화콘텐츠는 그 특성상다분히 정신적이고도 인문학적인 전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류의 지속 및성장을 위해서 인문학적 성찰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의미다. 진정한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의 인문학과 과학기술의 상보적 대응이 수반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focusing on the value growth of Korean wave(Hallyu) and K-contents, which are located at the cultural industr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culture is the most important soft power. Specifically, I tried to diagnose the soft power of our content and its prospects while analyzing the changed media and social environment focusing on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video culture content industry. After Covid-19, our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experiencing a new boom. The acceleration of digital-based cultural networks and the spread of OTT services provided new competitiveness and opportunities for Hallyu video content, which arrived in front of us in the name of the ‘third Hallyu’. This ‘third Hallyu’ may be another name for the task that the Hallyu must renew the Hallyu. Popular culture contents, which are the essence and realization of the Korean Wave, contain humanistic premise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for the continuation and growth of Hallyu, humanities reflection must be accompanied. For the real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a complementary response between the humanities of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must be accompanied.
이주해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3 미래문화 Vol.0 No.7
1999년 12월 홍콩과 함께 중국에 반환된 마카오는 인종이나 언어, 의식주 등 문화 다방면에 걸쳐 중국 속의 ‘작은 포르투갈’이라는 특수한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이 ‘작은 포르투갈’은 중국으로부터 분리된 채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융화된 복합적인 모습으로 존재한다. 이는 포르투갈과 중국 간의 오랜 동거(同居)로 인해 생겨난 현상인데, 16세기부터 시작된 포르투갈인과 중국인의 동거는 지금까지도 이어지면서 마카오에 매캐니즈(Macanese)라는 독특한 문화를 탄생시켰다. 이 논문에서는 양국의 문화 접촉과 수용, 그 과정에서 탄생한 종교, 인종, 언어 등 각 방면에서 포착되는 문화 혼합 현상에 대해 논하고, 더 나아가 지금도 마카오 땅에서 살고 있는 중국과 포르투갈 혼혈인들의 디아스포라를 연구해본다 Macau, which was returned to China along with Hong Kong in December 1999, has a special identity as 'Little Portugal' in China in many aspects of culture, such as race, language, buildings and food. This ‘Little Portugal’ does not exist independently and separated from China, but is fused with China and revealed in a complex way. This is a phenomenon caused by long-term cohabitation between Portugal and China. The cohabitation between Portuguese and Chinese, which began in the 16th century, has continued to this day, creating a unique culture called Macanese in Macau. In this thesis, I’ll discuss cultural contact and accept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phenomenon of cultural mixing captur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religion, race, and language born in the process, and furthermore, the diaspora of mixed-race people born between China and Portugal that still exists in Macau.
소셜미디어를 통한 공중관계 관리가 지자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완주군 사례를 중심으로
오숙영,나미수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3 미래문화 Vol.0 No.8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조직-공중 관계성과 조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 지자체인 전라북도 완주군의 소셜 미디어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완주군 소셜 미디어 이용자는 지자체의 동향과 정책을 접하기 위한 목적으로 SNS채널(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등)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완주군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충족성, 흥미성, 상호작용성 순으로, 공중-조직 관계성은 유대감, 신뢰성, 커뮤니케이션 균형성, 기여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조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소셜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높을수록 조직-공중 관계성의 유대감과 신뢰성이 향상되고, 커뮤니케이션 균형성을 통한 조직-공중 관계성의 증진은 조직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ublic-organization relationship management through social media on local government’s image. To do end, survey was conducted with 191 social media users of Wanju-gun, the local government fo Jeollabuk-do, and dre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local governments' social media users mainly use their SNS channels(Instagram, Facebook, Kakao Story, Kakao Channel) to access local governments' trends, explanations, and opinions on policies. Secondly, users’ satisfac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s social media was ranked in order of sufficiency, interest and interactivity, And public-organization relationship was ranked in order of bond, reliability, communication balance and contributiveness. Third, the reliability and bond of public-organization relationship were formed, as social media users'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higher, and the improvement of public-organization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balance affected positively on the local government’s image. In this respect, the policy PR using local governments’ social media should be operated in a direc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balance to promote public-organization relationships, with consolidating social media's reliability and bond.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인재교육 방안 – 사회복지교육을 중심으로
강병노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3 미래문화 Vol.0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사회교육에서 메타버스형 교육과정의 컨텐츠를 제안하고 지속가능한 인재육성의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온라인 프로그램 활용 교육과정을 위한 교육 컨텐츠를 개발 및 적용하여 새로운 인재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교육과정에서는 메타버스와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행형으로 메타버스의 공간구성, 아이템 활용, 실제 메타버스와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사회복지관 구축과 안내 동영상 촬영과 소개 등이 구성되었다. 대학교에서 실시한 교육에서 4개의 과제사례를 추출하여 사례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장애인보호작업장의 가치 형상화, VR을 활용한 노인치매 예방 아이디어 창출, 노인 특화 상담실 디자인, 마인크래프트 기반 장애인복지관 건립 등의 컨텐츠를 구현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술과 인간사회를 조화롭게 하는 가치를 내재하는 인재 양성, 기술의 접목으로 잠재력 발굴 및 학습적응력과 학습욕구에 맞는 인재교육, 메타버스형 혁신 기술을 적용하는 창의적 교수법의 일 개발과 교육 등의 인재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tents of a metaverse curriculum in humanities and social education and to explore strategies for fostering sustainable human resources. In this study, a new direction for human resource education was proposed by developing and applying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curriculum using online programs. A cas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extracting four task cases from the education conducted at the university. In this curriculum, a project implementation type using the metaverse and Minecraft consisted of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metaverse, the use of items, the construction of a social welfare center using the metaverse and Minecraft, and the filming and introduction of guide video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ontents such as shaping the value of a workplace for the disabled using Minecraft, creating ideas to prevent dementia in the elderly using VR, designing counseling rooms specialized for the elderly, and building a Minecraft-based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talent education such as cultivating talent with values that harmonize technology and human society, discovering potential through the grafting of technology, talent education that meets learning adaptability and learning needs, and developing and teaching creative teaching methods that apply metaverse innovative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