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종업원-조직 간 사회적 교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노윤,설현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employee perceptions of favorable job conditions affect affective commitment. The survey data are collected from 454employees in twelve organization, representing bank, distribution, gam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favorableness of job condition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ffective commitment. And intrinsic job condition exerted a significantly stronger influence on affective commitment than the other job conditions. Second, intrinsic, extrinsic and social job conditions were related to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social job conditions had a weaker influence o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an the other job conditions. Third,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was found to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Forth,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avorable job conditions and affective commitment. The effects of both intrinsic and social job conditions on affective commitment were partially mediated, and the effect of social job condition on affective commitment was fully mediated by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e results suggest that favorable job conditions can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strengthening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nd organization, and be important antecedent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his study makes two important contribution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 to explain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e mechanisms through that the favorableness of job conditions influences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is study helps managers to understand the role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formulate the development strategy of affective commitment. Managers should foster favorable job conditions in terms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to develop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the quality of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 determine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해 조사하는것이다. 454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직무환경의 호의성은 사회적 교환관계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교환관계도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교환관계는 직무환경의 호의성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교환관계는 내재적 직무환경과 사회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부분 매개하고, 외재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세 가지직무환경의 호의성 모두가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재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정서적 몰입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교환관계에 대해서도 세가지 직무환경의 호의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과정에서 사회적 교환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직무환경의 호의성이 종업원-조직 간 사회적 교환관계형성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가 이론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제공하는 함의를 논의한다.

      • KCI등재

        구매자-공급자간의 사회적 자본이 공급사슬의 교환 프로세스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안나현(Na hyun Ahn),박상선(Sang sun Park) 한국생산관리학회 2016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27 No.1

        본 연구는 공급사슬의 구매자-공급자 관계의 사회적 산물인 사회적 자본이 이들 간에 일어나는 교환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프로세스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경제조직에서는 더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가 한국의 사회적 경제조직 내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사회적 자본이 공급사슬의 교환 프로세스의 동력으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며, 둘째, 공급사슬의 교환 프로세스의 구성요소가 공급사슬성과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의 세 가지 차원(인지자본, 관계자본, 구조자본)과 공급사슬 교환 프로세스의 두 가지 차원(자원교환, 관계교환), 그리고 공급사슬성과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PLS 구조방정식모형을 수립하고, 100개의 한국의 사회적경제조직의 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자본과 구조적 자본은 두 가지 교환 프로세스를 촉진한다는 연구가설을 지지하였다. 반면 관계적 자본은 관계교환을 촉진하지만 자원교환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교환은 공급사슬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자원교환의 영향에 대해서는 입증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급사슬 내 사회적 자본과 교환 프로세스가 공급사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사회적자본이 보다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사회적 경제조직들을 대상으로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Recently, studies on effective supply chain management are finding methods to bring innovation to the supply chain from social capital, which enables the optimal positioning of resources through exchanges and allocations. Despite the attention, the factors which are actually being exchanged, how they are exchanged within buyer-supplier relationships, and how social capital contributes to the exchange is not well understood.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a model linking the social capital formed within a buyer-supplier relationship to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its interactions, and the exchange process of the supply chain. Firstly, this study evaluates how social capital of BSRs in its cognitive, relational, and structural form contributes to the exchange process of the supply chain. Secondly, this study tests how the exchange processes, both relational exchange and resource exchange, contribute to supply chain performance. Further, we applied PLS-SEM methods on the data provided by a survey of 100 social enterprise purchasing manager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cognitive and structural capital contributes to both exchange processes of the supply chain. However, relational capital only affects relational exchange. Also, relational exchange contributes to supply chain performance where resource exchange does not. This study extends the supply chain management and inter-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literature and suggests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사회침투이론에 근거한 온라인 대인관계의 발달단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남순현,양은주,권정혜 한국인간발달학회 2013 人間發達硏究 Vol.20 No.2

        In contrast to off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development of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ve been somewhat controversial, and researchers still cannot clearly define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any developmental level.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NS users’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social penetration theory. From October 12, 2012 to January 21, 2013,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0 voluntary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active in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30 online friend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derived from transcribing the interview results in verbatim recording showed that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uld develop in a different manner depending on whether personal information was open or closed in terms of cyber spac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ter devel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rom the orientation stage during a brief period, self-disclosure SNS users showed a tendency to stay in the exploratory affective exchange stage during a long period. And those who had the experience of new offline-based meetings in the exploratory affective exchange stage revealed a tendency to move onto the full affective exchange stage. Self-closure SNS users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develop from the orientation stage through the exploratory affective exchange stage to the full affective exchange stage compared to offline-based relationships.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a sense of closeness or not, they stayed at the full affective exchange stage or at the stable exchange stage. In general, very few people of self-closure SNS users reached to the stable exchange stage. During the disintegration process of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earch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ere not able to continue relationships due to reasons such as reduced favors towards other sides,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regardless of the specific developmental levels. Therefore, although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a similar developmental level to off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intensified, and disintegrated processes, the results implied that online-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velop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personal information could be open or closed in terms of cyberspac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 KCI등재

        신규간호사가 지각한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가 회복탄력성과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김수진(Kim Su Jin),박혜자(Park Hye-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가 지각한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가 회복탄력성과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신규간호사가 지각한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와 조직사회화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4년제 간 호학과를 졸업한 후 신규간호사로 임용되어 8 주간의 프리셉터십 교육 프로그램을이수한 간호사를 편의표집 하였고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교환관계, 회복탄력성 및 조직사회화 자료를 153명에게 수집하였다. 자료는 Spearman 상관분석, 3단계 매 개회귀분석 및 Sobel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회복 탄력성과 조직사회화가 높아졌고,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조직사회화가 높아지는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매개회귀분석 1 단계에서, 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와의 교 환관계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며, 2단계와 3단계 분석결과,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조직사회화가 높아지며 설명력은 42.3%로 나타났다. Sobel 검정 결과, 교환관계와 조직사회화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하였다. 따라서 신규간호사 적응을 돕기 위해 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와의 교환관계와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new nurse-preceptor exchange relationship impacts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deter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is study correlational study, 153 new nurses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of a preceptor-new nurse exchange relationship, a resilience, and a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Data were analyzed by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d Sobel test. New nurse-preceptor exchange relationship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Higher exchange relationship affected higher resilience explained 19.1% of variance. Exchange relationship and resilience were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explained 42.3% of variance. 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 nursing program to enhance preceptor-new nurse exchange relationship and resilience could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 서비스 제공자의 감성지능이 사회적 교환과 관계자산에 미치는 영향

        이종헌 ( Jong Heon Lee ),김정희 ( Jung Hee Kim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4 유통정보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유통업체 서비스제공자와 소비자간의 관계 네트워크에서 서비스제공자의 감성지능이 교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의 향상을 통해 사회적 교환과 관계자산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규모 소매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서비스제공자의 감성지능은 자기관리능력, 관계관리능력, 사회인식능력으로 구성되는 다차원의 특성을 지닌다. 둘째, 서비스 제공자의 감성지능을 구성하는 요인 중 자기관리능력과 관계관리능력은 서비스 제공자와의 사회적 교환과 기업과의 사회적 교환에 각각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사회인식능력은 서비스 제공자와의 사회적 교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와 서비스 제공자와의 사회적 교환은 소비자와 기업과의 사회적 교환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소비자와 서비스 제공자와의 사회적 교환은 관계자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객과 직접 접촉하는 최종단계의 서비스 제공자의 감성이 고객과의 사회적 교환에 영향을 미침은 물론, 교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긍정적 감성 요소는 고객에게 전달되어 기업의 관계자산 형성을 통한 기업 가치를 향상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prove the fact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a crucial factor in marketing exchange relationship by demonstrating that as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marks higher, the positive influential relationship in social exchange and relationship equity will be improved. This study draws hypotheses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o verify these,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shoppers who had ever purchased pestici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in the linear correlation between four factors comprising emotional intelligence(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awareness, and relationship-management) and social exchange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exchange with the manager and with the organization as construct factors of social exchange was verified and appeared to be significant. Thirdly, this study ve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exchanges and relationship equity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social exchange with the customer in the final step of direct contact with the customers of the service provider is the impact significantly, of course, a positive emotional elements of the service provider is generated in the exchange process is sent to the customer of the enterprise relationship equity suggests that a factor to improve the enterprise value through.

      • KCI등재

        비인격적 감독과 정서적 소진의 관계: LMX와 꽌시의 역할을 중심으로

        최병권,양신봉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2

        비인격적 감독 분야의 선행연구들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정서적 소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보고하고 있으나, 비인격적 감독이 어떠한 내적 프로세스를 통해 정서적 소진을 촉진하며, 또한 언제 이러한관계가 강화 또는 약화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사와 부하 간의 사회적 교환관계를 기반으로 업무 측면의 교환관계인 상사-부하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LMX)와 비업무 측면의개인적 교환관계인 상사-부하 꽌시(guanxi)의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닌 두 유형의 상사-부하 간 관계의 역할에주목하였다. LMX와 꽌시를 활용하여, 본 연구는 비인격적 감독과 정서적 소진의 관계에서 LMX의 매개효과와꽌시의 조절효과, 그리고 LMX의 매개효과가 꽌시의 수준에 의해 다르게 발현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287명의 중국 직장인을 표본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부하의 정서적 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MX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정서적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꽌시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LMX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MX를 매개로 하는 비인격적 감독의 정서적 소진에 대한 간접효과는 꽌시의 수준에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인격적 감독이 LMX를 매개로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꽌시를낮게 인식하는 부하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꽌시를 높게 인식하는 부하에게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 및 실무 측면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ve revealed the negative impact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emotional exhaustion, yet little research to date has investigated which variables explain why abusive supervision leads to emotional exhaustion and when such relationship may be stronger or weaker.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we focused the roles of two distinct types of supervisor-subordinate exchange relationships: LMX(leader-member exchange) based on work-related relationship and supervisor-subordinate Guanxi based on nonwork-related personal relationship. By integrating LMX and guanxi, we proposed and test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at includes LMX as the mediator and guanxi as the moderator in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Results based on 287 Chinese employees provided support for our hypotheses. We found that abusive supervi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exhaustion and LMX mediated such relationship. We found further that guanxi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LMX; revealing that the negative influence of abusive supervision on LMX was stronger when subordinates perceived a high level of guanxi. Finally, a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through LMX was different on the moderator variable of guanxi. Specifically,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emotional exhaustion through LMX was valid under high level of guanxi, not under low level of guanxi.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long with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후보

        The Public Opin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South Korea: Examining the Effects of Communal and 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Citizens and Corporations

        이수범,진범섭 충남대학교 아시아여론연구소 2017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4 No.2

        This study explores how South Korean citizens evaluat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ractices based on communal and exchange relationships. Specifically, it examines whether their evaluations of the two types of relationships are related to their supportive opinions, such as positive attitudes toward corpora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 purchase products.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mmunal relationship between an energycorporation and its local residents is more related to their supportive opinions than exchange relationship. That is, a communal relationship tends to generate more positive business outcomes than an exchange relationship. This study concludes that corporations should prepare for useful community outreach and CSR programs for their local community. Practitioners need to focus on building communal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members through their programs.

      • KCI등재

        The Public Opin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South Korea: Examining the Effects of Communal and 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Citizens and Corporations

        Lee, Soobum,Jin, Bumsub Center for Asian Public Opinion ResearchCollaborat 2017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4 No.2

        This study explores how South Korean citizens evaluat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ractices based on communal and exchange relationships. Specifically, it examines whether their evaluations of the two types of relationships are related to their supportive opinions, such as positive attitudes toward corpora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 purchase products.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mmunal relationship between an energy corporation and its local residents is more related to their supportive opinions than exchange relationship. That is, a communal relationship tends to generate more positive business outcomes than an exchange relationship. This study concludes that corporations should prepare for useful community outreach and CSR programs for their local community. Practitioners need to focus on building communal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members through their programs.

      • KCI등재

        세대간 교환관계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

        이상림(Sang Lim Lee),김두섭(Doo-Sub Kim) 한국인구학회 2002 한국인구학 Vol.25 No.1

        이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중년층의 노부모 부양관이 세대간 지원관계와 자신의 노후 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대관계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교환이론적 접근을 우리 사회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가를 검증한다. 이 연구는 전국의 중년층을 대상으로 수집한 김두섭 외 (2000)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에게 지원을 제공하고 있거나 상호적 관계에 있는 중년층에서 전통적 노부모 부양관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교환이론의 설명에 바탕을 둔 기존 연구들의 설명과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며, 우리 사회의 세대관계 분석에서 효규범을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부모 부양이 단일세대에 한정되어지는 교환적 관계의 설명이 아니라, 효규범의 영향력에 의해서 자녀의 지원이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연결적 보상체계라는 새로운 설명 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년층 자신의 노후 부양관에 관한 분석에서는 세대관계 유형이나 자신의 노부모 부양관과 무관하게 절대 다수의 중년층이 자신의 노후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사회 중년층이 자신은 노부모 부양의 경험이 있고, 전통적인 노부모 부양관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노후에는 자녀의 부양을 기대하지 못하는 중간자적 위치에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세대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교환이론의 설명과는 다른 대안적 설명틀을 제시하면서, 중년층의 현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and its effects on old-age security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est is the effects of the middle aged's attitudes on old parents' security on their intergenerational exchange relationship and on their own old-age security as well. This study also attempts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social exchange perspective to the study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relationship in Korea. The social exchange perspective considers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as an exchange of aids and rewards between generations. However due to strong norm of filial duty and inadequate welfare system, supporting old parents is regarded as younger generation's duty in Korea. This study utilizes a survey data conducted by Kim et al.(2000).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iddle aged who gives one-sided supports to their parents tends to have the traditional attitude on old parents' security. It implies that intergenerational support relationship in Korea is not consistent with the explanations from the social exchange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a 'chained reward system' as an alternative explaining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Second, an absolute majority of the middle aged tend to think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old-age security regardless of the pattern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relationship and attitudes on old parents' security. It implies that the middle aged in Korea holds the status of 'marginal men' who supports their parents but can't take the similar supports from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