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의 후고구려 인식

        홍창우 ( Chang Woo H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2 No.-

        이 글은 13세기의 사서인 『삼국유사』가 후고구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고찰한 것이다. 논의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먼저 왕력의 후고려궁예조 기록을 다른 사서와 비교하여, 이 조목의 작성에 어떠한 자료계통이 쓰였는지를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천사옥대조(기이)와 황룡사구층탑조(탑상)의 신라 삼보 관련 이야기 가운데 ‘후고려왕’의 용례가 확인되는 바, 그실체를 밝히고 이 대목이 어느 시대에 해당하는지 점검하였다. 이러한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삼국유사』 편찬자들의 후고구려 인식을 가늠하였다. 후고려궁예조의 검토를 통해 이 조목의 작성에 『삼국사기』가 전거로서 기여한 바가 적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궁예가 辛亥년(901)에 ‘고려’를 일컬었다고 기술한 점, 후고구려의 도읍 변천을 철원 → 송악 → 철원으로 설정한점, 궁예정권의 국호와 연호가 매우 불충분하게 작성된 점 등을 주목하였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삼국사기』에서 보이는 후고구려나 궁예에 대한 인식을 따르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한편, 『삼국유사』 내에는‘고려’가 전ㆍ후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서 보이는 ‘후고려왕’은 궁예로 보는 것이 옳음을 언급하였다. 불교적 기물인 삼보의 존재만으로 궁예가 침략 모의를 중단했다는 것은, 그러므로 지극히 신라 중심적인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의 궁예 관련 기록들은 김부식의 이른바 ‘태조정통론’에 대한 배려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 왕력의 후고려궁예조 작성에 이 기록들이 선택되지 않았다는 것은 『삼국유사』 편수자들이 정통론과는 무관했음을 보여준다. 다만, 국호 태봉은 의도적으로 기록하지 않았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그들이 궁예의 태봉시기를 부정적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 삼보 관련 이야기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황룡사구층탑조의 작성자는 신라의 삼보를 중국의 구정에 견주었다. 구정의 설화에 의하면 초 장왕은 주를 침범하려 했다가 주에 구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서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는 후고려왕 궁예가 신라를 침략하려다가 신라에 삼보가 있다는 것을 듣고 그 모의를 중단했다고 하는 『삼국유사』의 삼보 관련 기사와 흡사하다. 물론 이 일화들은 구정이나 삼보의 호국적인 면모를 강조하는 것에 그 본의가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주와 신라를 정복하려 했던 장왕과 궁예의 야욕을 폭로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서술자들이 후고구려와 궁예를 우호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지하듯이 일연은 일생의 대부분을 경상도 지역에서 보냈다. 이는 『삼국유사』가 신라 중심의 기록을 수록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며, 전반적으로 신라에 편향적인 기술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탑상편이 신라의 불교사가 지극히 오랜 옛날부터 시작되었음을 강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는점을 고려한다면, 결국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로부터 시작된 오래된 불교가 고려를 통해 계승되었음을 말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데 『삼국유사』가 편찬된 13세기의 고려 사회는 이민족의 침략으로 시련을 겪고 있었다. 당시 일연은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외압으로 인한 참상을 직접 목도했거니와, 그에 대해 『삼국유사』 곳곳에 기록하였다. 아마도 일연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이 몽고군의 침략으로 인해 끊기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지녔던 듯하다. 그런 점에서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의 영험함이 깃든 불교적 기물을 파괴하는 궁예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을 파괴하는 몽고를 동일시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궁예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토대로서 작용하였을 것이다. 요컨대, 『삼국유사』 편찬자들은 후고구려를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다만, 그것은 소위 ‘태조정통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신라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현실적인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This essay studied how the historiography, Samguk-yusa of the 13th century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e discussion proceeded with three major stages. First, the study compared records of the Later Goguryeo i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Wangryok with those in other history books, and then explored what kind of materials had been used for the article. Next, as the use of the term ‘Hugoryeo Wang’ can be found in stories related to Silla’s Sambo in ‘Cheonsaokdae’ from Kiyi and ‘Hwangryongsa-gucheungtop’ from Topsang records, it was able to check which period of history was reflected in those chapters. Based on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compilers of Samgukyusa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rough the review o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it was proved that Samguk-sagi was little contributed to drawing up the article as a source, which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not likely to follow the perception of the Later Goguryeo or Gung-ye shown in Samguk-sagi. Especially, the study paid attention to a few descriptions such as Gung-ye established ‘Goryeo’ in 901, the capital change of the Later Goguryeo was set from Cheol-won to Song-ak and Cheol-won again, and few descriptions of the name of Gung-ye reign and its era name. While, Samguk-yusa described ‘Goryeo’ as Former-Later Goryeo. Based on the reference, it would be right to see ‘Hugoryeowang’ shown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as Gungye. Thus, the passage that Gung-ye suspended his invasion plot jus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Sambo which is Buddhistic objects implied an extremely Silla-centered view. The records related to Gung-ye in Samguk-sagi were mainly based on Kim Bu-sik’s consideration of, so called, ‘Taejo Legitimacy’. Thus, the reason that the records were not selected for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in Wangryok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yusa had nothing to do with the ‘Taejo Legitimacy’. But, it would be intentional not to record the country name, Taebong because they judged Taebong as the period of Gung-ye’s government negative.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act they contained the story related to Sambo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Especially, the compiler who drew up the Article of ‘Hwangryongsagucheungtop’ compared Silla’s Sambo(Three Treasure) to Chinese Gujeong. According to the tale of Gujeong, King Zhuang of Cho tried to invade Ju Dynasty, but returned back home to see that Ju Dynasty had Gujeong. The tale is quite similar to the story that Gung-ye, King of the Later Goguryeo tried to invade Silla, but finally gave it up to see there was Sambo in Silla as described in Samguk-yusa. Of course, the original purpose of these tales is to emphasize the patriotic aspect of Gujeong of Sambo, bu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King Zhuang and Gung-ye’s ambition to conquer Ju and Silla respectively. Through this, it can be demonstrated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did not see the Later Goguryeo and Gung-ye in an amicable way. As is known, Il-yeon spent most of his life in Gyeonsang-do region. This is the reason why Samguk-yusa has Silla-centered records, and generally Silla-biased descriptions were made. Especially, if the fact that Topsang chapt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mphasizing the rich history of Buddhism in Silla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tells us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wanted to say Buddhism from Silla was succeeded by Goryeo. Goryeo in the 13th century when Samguk-yusa was drawn up was suffered from invasions from foreign dynasties. Il-yeon looked around a lot of districts and witnessed devastation caused by foreign invasions, and often left the fact in Samguk-yusa. Il-yeon might feel a strong hostility toward the fact that the long Buddhist tradition of Silla which he tried to emphasize was disconnected by the Mongolian army’s invasion. Thus,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in with a shout of identifying Mongolia that tried invading Goryeo with the Later Goguryeo that tried invading Silla. That is, they perceived Gung-ye as a hostile force that tried destroying the miraculous Buddhist objects. In short, the authors of Samguk-yusa identified the Later Goguryeo as strongly negative. That was originated from their perception of historical status of Silla and their realistic situation, not from, so called, ‘Taejo legitimacy’.

      • KCI등재

        『삼국유사』 두 영역본의 몇 가지 문제- 편제와 조목명을 중심으로 -

        계미향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2 No.-

        현존하는 最古本인 『삼국유사』 정덕본이 1512년에 복간된 이래, 1900년에일본학자 坪井九馬三이 처음으로 『삼국유사』의 해제를 발표하며 새로운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어 1914년에는 어윤적의 『東史年表』에 소개되었고, 1927 년에는 최남선의 교감본이 이계복의 정덕본 간행 415년 만에 국내에서 발간되었다. 그 후 최초의 『삼국유사』 국역이 진행되어 『조선야사전집』에 수록되었으나 그것은 부분적인 번역일 뿐 아니라 거의 현토를 단 정도이어서 명실상부한 국역본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어 1935년에는 『野談』 창간호에 元翁이 번역물을 연재하였으나 그 역시 완역은 아니었다. 1946년, 이가원 등의 사서연혁회의 첫 국역 단행본 『三國遺事』가 나온 이후로 지금까지 『삼국유사』는 국내외 학자들에 의해 어린이용이나 부분적인번역을 제외하고도, 약 50종 이상의 번역서가 출판되었다. 또 이와 관련된 단행본만 해도 350권이 넘으며, 국내외의 크고 작은 관련 논문은 3000편을 넘어 그 내용을 파악하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삼국유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나 몇몇 연구소도 활발하게 연구와 발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만큼 『삼국유사』에 관한 관심과 연구의 중요성이 크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50종이 넘는 대부분의 번역서는 부분적인 오역이나 불완전한 해석 등, 약간씩의 결함을 가지고 있다. 한글 번역본의 실정이 이렇다보니, 그것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외국어 번역서의 오류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외국어를 전공한 우수한 학자가 외국어 버전 『삼국유사』의 번역에 투입된다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그들에게는 정확한 한국어 저본이 가장 필요하다. 저본인 한글번역서의 오역은 그들의 외국어 능력과 무관하게,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왜곡과 오해까지 일으켜 국제화 시대에 한국은 ‘이상한 나라’로 오해받을 소지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국유사』의 두 영어 번역본의 몇 가지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After the oldest SAMGUK YUSA(正德本) was restored in 1512, the new research was accelerated by Cheuboy Kumejou(坪井九馬三, 1858~ 1936), a Japanese scholar, who published th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SAMGUK YUSA in 1900. It was introduced on Dongsa Yeonpyo(東史 年表) by Eo Yunjeok(魚允迪) in 1914, and 41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ublishing of Jeongdeokbon(正德本) by Lee GyeBok, that the Gyogambon(校勘本) by Choi Namseon was published in 1927. Then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of SAMGUK YUSA was issued in Joseonyasajeonjib(『朝鮮野史全集』) ; however, it was translated partially and composed of Hyeonto(懸吐), which means that it cannot be called complet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SAMGUK YUSA. And another Korean translation was published by Wonong(元翁, ?~?) in first issue of Yadam(『野談』) ; still it was not a complete Korean translation of SAMGUK YUSA. The first complete Korean translation of SAMGUK YUSA by Saseoyeonhyeukhoi(史書沿革會) was issued in 1946. Since then there are many versions of complete Korean SAMGUK YUSA which was issued by more than 50 versions, and more than 350 paperbooks for different studies, more than 3000 research papers were issued also. Still there are lots of scholars and research laboratories majoring in SAMGUK YUSA and they study and issue paper books very actively. So we can assume how much we are interested and concerned in SAMGUK YUSA. But almost of the 50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 have some defects such as mistranslation, uncomplicated interpretation, etc. As those 50 different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 have many errors, foreign language translations based on the Korean translations have lots of translation errors as well. This means that we need to have very accurate and correct volume of a complete Korean translation of SAMGUK YUSA. This will help to develop the foreign language translations more precisely. Moreover this result will help to decrease the mis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s well. So I have enlisted several problems in a complete English translation of SAMGUK YUSA in this research paper.

      • KCI등재

        『삼국유사』 ‘선덕왕 지기삼사’조의 형성 과정과 의미의 재고찰

        박현숙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6

        King Seondeok recorded in the Shillabongi of 『Samguk sagi』, was crowned the first queen of Shilla in 632 as a king with foresight and insight. In relation to this, there are three stories predicted by Queen Seondeok in 『Samguk yusa』. In this paper, through the comparison and review of the two books of 『Samguk sagi』 and 『Samguk yusa』, the process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Seondeok dynasty in the Silla bongi of the 『Samguk sagi』 were embellished with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in the Kii edition of the 『Samguk yusa』 was traced. In 『Samguk yusa』,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in the Kii edition is summarized as one story, but in 『Samguk sagi』, it is recorded in the enthronement of Queen Seondeok, the 5th year of the enthronement, and the 16th year of Queen Seondeok, respectively. The first anecdote of 『Samguk yusa』 is about the reign of King Jinpyeong, and the second anecdote is based on the historical event related to the battle against Baekje in the 5th year of Queen Seondeok's reign, and the third anecdote is understood as a tale formed when Sacheonwangsa Temple wa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after Queen Seondeok’s death. These three stories related to Queen Seondeok are combined into one narrative in 『Samguk yusa』. And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in 『Samguk yusa』 section, reflect the perception of the queen formed through 『Suijeon』, a collection of tales from the late Unified Shilla period, and Kim Bu-sik’s commentary on the Seondeok dynasty in 『Samguk sagi』. Therefore, the contents were embellished with expressions symbolizing femininity, or stories related to women who were not in the Queen Seondeok's Dynasty of the 『Samguk sagi』 were added. In this way, through re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and meaning of the fable of ‘three affairs already known by Queen Seondeok’ in 『Samguk yusa』, the meaning of Queen Seondeok and her reign, and the gap between Shilla’s memories of Queen Seondeok and the records of the Goryeo period could be confirmed.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기록된 선덕왕은 예지력과 식견을 가진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632년에 즉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삼국유사』에는 선덕여왕이 예견한 세 가지의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두 史書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삼국사기』 신라본기 선덕왕조의 내용이 『삼국유사』 기이편 ‘선덕왕 지기삼사’조의 내용으로 윤색되고 說話化한 과정을 추적하였다. 『삼국유사」 기이편 ‘선덕왕 지기삼사’조에서는 한 편의 설화로 정리되어 있지만, 『삼국사기』에는 각각 선덕여왕 즉위조와 즉위 5년, 그리고 선덕여왕 16년조에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 첫 번째 일화는 진평왕대, 두 번째 일화는 선덕여왕 5년 백제와의 전투와 관련된 역사적인 사건을 모티브로 하였고, 세 번째 일화는 선덕여왕 사후인 문무왕 시기에 사천왕사가 만들어지면서 형성된 설화로 파악된다. 이러한 선덕여왕과 관련된 세 가지 이야기가 『삼국유사』에 하나의 설화로 종합된 것이다. 그리고 『삼국유사』 ‘선덕왕 지기삼사’조는 통일신라 후기의 설화집인 『수이전』과 『삼국사기』 선덕왕조의 김부식 사론 등을 통해 형성된 여왕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그래서 여성성을 상징하는 표현들로 내용이 윤색되거나, 『삼국사기』 선덕여왕조에 없는 여성과 관련된 이야기들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이 『삼국유사』 ‘선덕왕 지기삼사’조의 형성과정과 의미의 재검토를 통해, 선덕여왕과 그 통치 시기가 가지는 의미와 선덕여왕에 대한 신라인들의 기억과 고려시대 기록들 사이의 간극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삼국유사 편찬의 유기성 문제

        이강래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40 No.-

        This article deals with textuality of Samguk-yusa, focusing its integrated-ness by explaining the followings: first, the correspondence of the writing to its reference within the text; second, the context under which the content and the materials of a same category were put into different entries; third, the identical criteria upon which to establish its narrative; last, the textual integrated-ness confirmed by the common fallacies, and the ones in similar vein. These examinations do not conceal the predisposition of this essay which tries favorably to ascertain the systematic, or integrated organization of Samguk-yusa under close scrutiny. Also, this essay reserves its agreement on the prevailing assumption that there existed more than one writers although unknown to its readers. This article does not resolve all the disputes on the annotations. Rather, subtle gaps in writing-style of Samguk-yusa are found to be between its main-body author and its annotator. This essay does not exclude all the possibilities for the critiques toward what this essay argues for. Nevertheless, there appears to be little possibility that the critiques disprove the existences of no other writers than Iryon and Muguk. The revisions remained within their contributions to the original version in their full sympathy with it. The reality upon which Samguk-yusa stood represented its contemporary ideas and also historical materials bequeathed down to the contemporary. Established studies of other topics unexamined here have already testified to the integrated narrative in Samguk-yusa. To give some examples: Samguk-yusa's acknowledgement of Samguk-sagi as a legitimate historiography; critical stance toward Ko-gi and other handed-down native historiograpies in contemporary circulation; not a few fallacies in chronological dating, sexagenary-cycle application, and reference citation; and the way of materializing and narrativizing. Here we need to keep in mind that the fallacies and contradictions inherent in Samguk-yusa, and their consecutive doubts were not conspicuously different from those carried within Samguk-sagi. Also, I add that text critiques are meaningful and available insofar as they contribute our critical appreciation of the stories the text informs us. 이 글은 편찬의 유기성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네 가지 문제 의식을 설정하였다. 첫째, 서술자의 내용 지시가 실제 어떤 방식으로 호응되고 있는가? 둘째, 동일 범주의 자료와 내용이 어떤 맥락에서 항목별로 분재되고 있는가? 셋째, 서술자의 논증들에 동원된 기준의 논리적 자질에 어떤 유기적 측면이 개입되어 있는가? 넷째, 검증 가능한 오류의 토대나 그 오류의 적용 혹은 공유의 사례는 어떤 유기적 과정을 반영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이미 유기적 서술을 우호적으로 탐색하고 확인하기 위한 편향을 감추지 않는다. 그에 따라 ‘미지의 전혀 다른 복수의 서술자들의 존재’에 대한 동의를 유보하는 데로 귀결하였다. 물론 후주의 여부 논란은 말끔히 해소되지 않았다. 오히려 본문 서술자와 분주 작성자 사이의 미세한 간극은 종종 감지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의 점검 사례들을 향한 비판적 논의 제기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비판이 일연과 무극 이외의 서술자의 존재를 ‘증명’하는 ‘반증’의 지위를 차지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증명되지 않았으나 배제될 수도 없는’ 가필자의 손길이란 애초 서술자의 방식과 인식에 충분히 공감하거나 기여하는 데 그쳤다고 보기 때문이다. 『삼국유사』가 토대로 한 현실에는 당대인들의 인식 지향과 당대까지의 자료 전승이 함께 자리하는 것이다. 더구나 이 글에서 점검한 측면 외의 여러 요소들에 대한 논의는 이미 『삼국유사』의 전일적 서술 지향을 증거해 왔다. 예컨대 ‘본사’로서의 『삼국사기』에 대한 존중, 『고기』를 비롯한 고유 전승에 대한 비판적 시각, 중국사서의 정보에 대한 편향된 신뢰, 연대 추정과 간지 적용과 전거 인용의 허다한 오류, 자료를 취사하고 논증하는 방식 등을 환기한다. 특히 『삼국유사』에 담긴 당착과 오류와 그에 기반하는 의혹의 정도는 『삼국사기』의 그것에 비해 각별히 다르지 않다는 점을 직시할 일이다. 아울러 문헌의 편찬 관련 논의는 정작 그 내용에 대한 정당한 음미에 기여하기 위해 유의미할 뿐이라는 점도 잊지 않고자 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삼국유사』편찬의 유기성 문제

        이강래 ( Kang Lae Lee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40 No.-

        이 글은 편찬의 유기성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네 가지 문제 의식을 설정하였다. 첫째, 서술자의 내용 지시가 실제 어떤 방식으로 호응되고 있는가? 둘째, 동일 범주의 자료와 내용이 어떤 맥락에서 항목별로 분재되고 있는가? 셋째, 서술자의 논증들에 동원된 기준의 논리적 자질에 어떤 유기적 측면이 개입되어 있는가? 넷째, 검증 가능한 오류의 토대나 그 오류의 적용 혹은 공유의 사례는 어떤 유기적 과정을 반영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이미 유기적 서술을 우호적으로 탐색하고 확인하기 위한 편향을 감추지 않는다. 그에 따라 ‘미지의 전혀 다른 복수의 서술자들의 존재’에 대한 동의를 유보하는 데로 귀결하였다. 물론 후주의 여부 논란은 말끔히 해소되지 않았다. 오히려 본문 서술자와 분주 작성자 사이의 미세한 간극은 종종 감지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의 점검 사례들을 향한 비판적 논의 제기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비판이 일연과 무극 이외의 서술자의 존재를 ‘증명’하는 ‘반증’의 지위를 차지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증명되지 않았으나 배제될 수도 없는’ 가필자의 손길이란 애초 서술자의 방식과 인식에 충분히 공감하거나 기여하는 데 그쳤다고 보기 때문이다. 『삼국유사』가 토대로 한 현실에는 당대인들의 인식 지향과 당대까지의 자료 전승이 함께 자리하는 것이다. 더구나 이 글에서 점검한 측면 외의 여러 요소들에 대한 논의는 이미 『삼국유사』의 전일적 서술 지향을 증거해 왔다. 예컨대 ‘본사’로서의 『삼국사기』에 대한 존중, 『고기』를 비롯한 고유 전승에 대한 비판적 시각, 중국사서의 정보에 대한 편향된 신뢰, 연대 추정과 간지 적용과 전거 인용의 허다한 오류, 자료를 취사하고 논증하는 방식 등을 환기한다. 특히 『삼국유사』에 담긴 당착과 오류와 그에 기반하는 의혹의 정도는 『삼국사기』의 그것에 비해 각별히 다르지 않다는 점을 직시할 일이다. 아울러 문헌의 편찬 관련 논의는 정작 그 내용에 대한 정당한 음미에 기여하기 위해 유의미할 뿐이라는 점도 잊지 않고자 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extuality of Samguk-yusa, focusing its integrated-ness by explaining the followings: first, the correspondence of the writing to its reference within the text; second, the context under which the content and the materials of a same category were put into different entries; third, the identical criteria upon which to establish its narrative; last, the textual integrated-ness confirmed by the common fallacies, and the ones in similar vein. These examinations do not conceal the predisposition of this essay which tries favorably to ascertain the systematic, or integrated organization of Samguk-yusa under close scrutiny. Also, this essay reserves its agreement on the prevailing assumption that there existed more than one writers although unknown to its readers. This article does not resolve all the disputes on the annotations. Rather, subtle gaps in writing-style of Samguk-yusa are found to be between its main-body author and its annotator. This essay does not exclude all the possibilities for the critiques toward what this essay argues for. Nevertheless, there appears to be little possibility that the critiques disprove the existences of no other writers than Iryon and Muguk. The revisions remained within their contributions to the original version in their full sympathy with it. The reality upon which Samguk-yusa stood represented its contemporary ideas and also historical materials bequeathed down to the contemporary. Established studies of other topics unexamined here have already testified to the integrated narrative in Samguk-yusa. To give some examples: Samguk-yusa`s acknowledgement of Samguk-sagi as a legitimate historiography; critical stance toward Ko-gi and other handed-down native historiograpies in contemporary circulation; not a few fallacies in chronological dating, sexagenary-cycle application, and reference citation; and the way of materializing and narrativizing. Here we need to keep in mind that the fallacies and contradictions inherent in Samguk-yusa, and their consecutive doubts were not conspicuously different from those carried within Samguk-sagi. Also, I add that text critiques are meaningful and available insofar as they contribute our critical appreciation of the stories the text informs us.

      • KCI등재

        금석문 자료 활용 방식을 통해 본 『삼국유사』 수록 사료의 성격

        강종훈(Kang Jong-hoon) 湖西史學會 2011 역사와 담론 Vol.0 No.60

        Samguk-Yus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ooks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It bears some historical records derived from various inscriptions. They were originally incised in monks' monuments, Buddhist statues and bronze bells. Il-yeon(一然), the author of Samguk-Yusa cited them very deliberately. So we can trac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records in Samguk-Yusa by comparing its texts with the original inscriptions. In this paper, I chose two inscriptions as the samples and tried to analyze how and how much they were cited in Samguk-Yusa. The two samples are a stone statue of Maitreya(彌勒) and one of Amitabha(阿彌 陀), both of which were displayed at Gamsan-sa Temple in Gyeongju. Il-yeon cut off much potion from the original inscriptions and made us slightly misunderstand the contents. But the main ideas on the inscriptions are delivered so well that we can rely on the texts of Samguk-Yusa as a whole. And in the course of survey, I found an interesting thing. It is that Samguk-Yusa does not tell any story on the Zen Buddhism(禪宗) and its monks. It is very curious in that lots of monuments for Zen monks existed at the time of writing Samguk-Yusa. And furthermore Il-yeon himself was a Zen monk. There have been some opinions towards searching for an adequate answer on the question. They have some reasoning power but defects as well. I suggested a new idea that Il-yeon looked down on his predecessors who had shown an unfriendly attitude towards the non-Zen Buddhism. It was the very reason that he did not deal with a history of the Zen Buddhism and its monks in his own history book, Samguk-Yusa.

      • KCI등재

        『三国遺事』の詩歌における様式区分

        심경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Samguk 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a history of ancient Korea as well as a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basically written in prose. However, it deals with various genre of verse like gaathaa(偈頌), poetry(歌詩), hymn(讚), ci(詞), ming(銘), historical poetry with severe distinction. It suggests that the editor or the editors of Samguk Yusa had extensive literary attainments. (1) Not a large number, there are several gaathaas in Samguk Yusa. There are three kinds of literary style in Buddhist scriptures: Janghaeng(gadya) which is a description in prose, Jungsong which is a summary of janghaeng and gesong(gaathaa) which is a song concerning the doctrines of Buddhism. Ilyeon took notice to gesong and treated it exceptionally. (2) There are si(poetry) and ga(song) in Samguk Yusa. Si takes the form of Chinese poetry with rhyme and ga is Hyangga(native tune) written in Hyangchal(local letter). (3) We can also find chan(hymn) in 45 chapters of Samguk Yusa. Chan is originally about praising Buddha, however there are some about history as well. Chan appears in the article of Okdae for the first time, and are concentra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book especially after the chapter of Heungbeop. (4) At last there are some references written in rhymes in the annotation. Ilyeon added chan in most articles, but it is also notable that he added no chan for some articles. It is not easy to conclude whether it is the result of his selection or intentional omission. Moreover,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some chans are composed by Ilyeon and some are by others. Chans in Samguk Yusa in most cases take the form of the seven-syllable qijue, however there are also some exceptional cases that rhyme letters out of regular category of rhyme system, for example rhyming two letters with similar sound that are in the neighbor rhyme category each other, or rhyming rising tones with departing tones, or rhyming letters of same sound pronounced in Korean etc. It suggests the way of using rhyme of Korean monks. The editor or the editors of Samguk Yusa adopted various genre of verse like gaathaa(偈頌), poetry(歌詩), hymn(讚), ci(詞), ming(銘), historical poetry with severe distinction. It reflects high literary accomplishments of the editor or the editors of Samguk Yusa. 『삼국유사』는 조선상고사의 역사서이자 불교문화사로서, 서술문체는 기본적으로 한문산문이다. 하지만 『삼국유사』는 偈頌, 詩歌, 讚 등 다양한 시가문학과도 관련이 있다. 『삼국유사』는 詩歌의 여러 양식에 주목하여, 偈頌, 歌詩, 讚(贊), 詞, 銘, 詠史詩 등의 용어를 철저하게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이 점은 『삼국유사』 편찬자 혹은 편찬집단의 고도한 문학의식을 반영한다고 말할 수 있다. (1) 『삼국유사』에는 적은 수이기는 하지만 偈頌이 들어 있다. 본래 불경에는 산문으로 경의 뜻을 풀어 쓰는 長行(契經)과 경의 산문을 요약해서 서술하는 重頌(應頌)이 있고, 다시 불경의 산문과는 관계없이 불교의 교리를 노래한 시가 형태의 偈頌(伽陀)이 있다. 『삼국유사』는 偈頌에 주목하였다. (2) 『삼국유사』에는 詩歌가 들어 있다. 詩는 중국한시의 형식을 모방한 압운한 한시이고, 歌는 이른바 향찰식 표기의 鄕歌이다. (3) 『삼국유사』에는 45조항에 讚이 들어 있다. 讚은 본디 佛讚의 성격이겠으나 더러 史讚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다. 찬은 「기이」 편의 ‘玉帶’ 조항에 처음 보이는데, 주로 후반부 「興法」편 이하에 집중되어 있다. (4) 한편 『삼국유사』의 주석에는 시가 형식의 자료가 언급되어 있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편찬하면서 각 조항마다 讚을 붙여두는 방식을 중시하였다. 하지만 모든 조항에 讚을 붙인 것은 아니다. 선택의 결과인지, 누락인지, 여전히 의문이다. 또한 이 讚은 一然 자신이 창작한 것도 있고, 기존의 것을 전재한 것도 있는 듯하다. 『삼국유사』의 讚은 칠언절구를 지향한 형식이지만, 押韻에서 二句末과 四句末을 隣韻으로 通押하거나 한국한자음의 특성상 동일운으로 인식되거나 去聲과 平聲을 통압한 사례가 있다. 이 사실은 한국의 승려들이 韻語를 사용하는 한 가지 특징을 드러낸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런데 『三国遺事』의 編者(혹은 편찬자들)는 詩歌의 각종 양식을 구별하여, 偈頌․歌詩․讃(賛)․詞․銘․詠史詩 등의 用語를 意識的으로 구분하여 사용했다. 이 점을 보면 그 편찬에 고도한 文学意識이 잘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Ancient Korean Costume Speculated on the Samguk-yusa (三國遺事)

        Kang, Min-Hye,Cho, Woo-Hyun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Vol.10 No.2

        The Samguk-yusa(三國遺事) is one of the two classics of Korean ancient history together with the Samguk-sagi(三國史記);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positive attempt to analyse clothing culture centering on the Samguk-yusa until now.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find the records related to fabrics, color and fashion appearing in the Samguk-yusa, and to analyse the fashion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projected in the Samguk-yusa, referring to the Samguk-sagi and ancient Chinese reference books. According to the records in the book, the fabrics used for clothing of those days included Jikgeum-wimun(織錦爲紋), Geum(錦), Chaebaek(彩帛), Osaek-geumchae(五色錦彩), Geumbaek(錦帛), Geumsam(錦衫), Ma(麻), Neung(綾), Geum-su-neung-ra(錦繡綾羅), Poh(布), Daecho, Bira-geumjeom(緋羅金點), Gyeon(絹). Japchoe(雜綵), Robtyeom(羅緋染). Chimilpoh(緻密布), Gi(綺) and Whan(紈), and they had colors such as brown black(緇), black(黑), purple(紫), yellow(黃), blue(碧), clear white(素), white(白), five colors(五色). There is substantial amoung of report on Buddhism, and the terms used for Buddhist clothing included Beobeui(法衣), Nabeui(衲衣), Bangpoh(方袍), Gasa(袈裟) and Yueui(由衣). It is also ascertained that Gasa had a variety of Bira-geumjeom-gasa(緋羅點袈裟), Manap-gasa(摩納袈裟) and Geumra-gasa(金羅袈裟).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성립사 연구 -기이(紀異)를 중심으로-

        남동신 ( Nam Dongsin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본고는 기이(紀異)에 초점을 맞추어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성립사 문제를 검토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편찬 취지와 관련하여, 기이 앞머리에 실린 「서(敍)」를 문법과 용례에 맞게 재해석함으로써, 그것이 기존의 통념과 달리 『삼국유사』 전체가 아니라 기이에 국한되는 서문임을 밝혔다. 즉, 서는 기이(紀異)를 편찬하는 의도를 드러낸 글이다. 이어서 제2장에서는 편찬자와 관련하여 「무극기(無極記)」를 지은 무극(無極, 또는 混丘, 淸玢)을 집중 검토하였다. 특히 사제관계인 일연(一然)과 무극의 사상적 차이를 부각하였으며, 「일연비」에 등장하는 청분(淸玢)과 산립 (山立)이 서로 다른 인물임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장에서는 고본 (藁本) 『삼국유사』의 최종 성립 시기가 1360년 겨울 무렵임을 추론하였다. 특히 기이2 「오가야(五伽倻)」조에 인용된 『본조사략(本朝史略)』이 ‘이제현(李齊賢)의 사략(史略)’일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기하였는데, 이는 일연과 무극이 아닌 제3의 인물이 고본 『삼국유사』의 편찬에 개입하였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question of the Samguk Yusa’s formation history, focusing on the first part, “Giyi” 紀異(“Records of Strange Events”). In the first section, we reinvestigate the “Seo” 敍preface at the beginning of the “Giyi” chapter with regard to the intent of the compilation, taking into account grammar and word usages. It is shown that, contrary to common belief, the “Seo” is not a preface to the Samguk Yusa as a whole, but only refers to the “Giyi.” The second section investigates the compiler of the “Mugeukgi” 無極記, i.e. Mugeuk 無極(aka Hon’gu 混丘or Cheongbun 淸玢, 1250~1322). In particular,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Ilyeon 一然(1206~1289) and Mugeuk, who shared a master-disciple relationship, are emphasized. Also, it is argued that Cheongbun and Sanrip 山立(n.d.), who both appear on the “Ilyeonbi” 一然碑stele, actually are two different people. Lastly, in the third section, the possible time of origin of the Samguk Yusa manuscript is narrowed down to around winter 1360. For the first time, evidence is provided that the term bonjo saryak 本朝史略, quoted in the “Five Gaya settlements” 五伽倻entry in “Giyi” 2, refers to the Historicaloutline 史略compiled by Yi Jehyeon 李齊賢(1288~1367) right after 1357, which strongly suggests that another person apart from Ilyeon and Mugeuk was involved in the compilation of the Samguk Yusa manuscript. The “Giyi” represents well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Samguk Yusa, which is ‘a book of books’ and at the same time an unfinished one. Thus, in future studies on the formation history of the Samguk Yusa it will be even more necessary to return to the ancient printed book (goganbon 古刊本) edition (presumably published in 1394) that is closest to the original.

      • KCI등재후보

        『삼국유사(三國遺事)』의 불교(佛敎) 관련 문헌(文獻)과 과제(課題)

        명계환 ( Myung¸ Gye-hwan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1 불교 철학 Vol.9 No.-

        이 연구는 『삼국유사』에 인용된 주요 불교 관련 문헌을 파악해 보고 이와 관련한 불교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불교 관련 문헌에는 고기, 고문서, 국내외 사서, 민간전승, 사적기, 비문, 승전, 경전과 논소가 있다. 여기에는 누락 된 내용을 보충하고 오류를 시정 하는 등 그 속에서 진실을 기록하려는 의도가 담겨있지만, 불교 신앙의 전파 등을 위한 신이한 내용이나 연기설화가 그 중심내용으로 자리하고 있다. 또 선승이었던 일연은 선적보다는 경전을 수록하고 있으며 불교의 교학보다 신앙에 관한 이야기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민중들은 불교 신앙에 쉽게 다가가 삶의 의지와 구원의 희망을 품었다. 이와 관련한 『삼국유사』의 불교적 과제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삼국유사』의 전법서적 이해’다. 일연의 신분이 승려였으며 그의 본분을 생각했을 때, 『삼국유사』의 불교 포교 및 교화 관련성은 매우 크다. 둘째, ‘『삼국유사』의 대안적 사서 역할’이다. 『삼국유사』라는 고전 속에 담긴 불교적 지혜는 이 시대의 정신적 고난을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 구체적 방편으로는 문화콘텐츠개발 가운데 스토리텔링이 있다. 이처럼 불교 문헌과 과제를 점검하고 연구하는 것은 『삼국유사』의 올바른 이해와 전체상 구명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Buddhist-related literature cited in the Samguk Yusa and to suggest Buddhist tasks related to it. Buddhist literature includes old record, ancient documents, domestic and foreign history books, folklore, historical records, inscriptions, sutras, scriptures and commentaries. It contains the intention to record the truth, such as supplementing omissions and correcting errors, but the central content is a mystical content for the propagation of Buddhist beliefs, etc. Also, Iryeon, who was a monk, contains scriptures rather than Seon record, and describes the way of talking about faith rather than the teachings of Buddhism. Through this, the people easily approached the Buddhist faith and embraced the will of life and the hope of salvation. In this regard, the Buddhist tasks of the Samguk Yusa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categories. Firstly, it is ‘An understanding of the Samguk Yusa.’ Considering Ilyeon’s status as a monk and his duty, the propagation and edification of Buddhism in the Samguk Yusa is very relevant. Secondly, it is about seeking the role of an alternative history book. The Buddhist wisdom in the classical tradition of Samguk Yusa can be a realistic alternative to overcome the spiritual difficulties of this age. As a concrete expediency, there is storytelling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this way, it is very important to check and study Buddhist literature and tasks in order to obtain a correct understanding and overall image of the Samguk Yu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