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권리 대 권리의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

        구대환 한국법제연구원 2012 법제연구 Vol.- No.42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s by the Korean Supreme Court on act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highlights the disharmony in the cases and provides suggestions to the Courts and proposals to amend the Korean Patent Act to enhance the efficiency in dealing with such cases. A patentee, an exclusive licensee or an interested person demands to confirm whether the scope of a patent right includes an invention that is being carried out or is going to be carried out. Improved inventions can be patented. When there is utilizing relationship between patents, a latter patented invention which is an improved invention utilizing the former patented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former patented invention. Utilizing relationship exists where a latter patented invention has all elements of the former patented invention as a whole and adds other elements resulting in prominent effects,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s would have not been able to conceive. Decisions by the Korean Supreme Court on act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against another are illegitimate in principle. ② Act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are legitimate when there is utilizing relationship between patents. Key Words :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ss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Act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Korean Supreme Court, Korean Patent Court, utilizing invention, utiliz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decisions by the Korean Supreme Court, act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are illegitimate only when the latter patented invention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ormer patented invention. Pass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are always legitimate and act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are illegitimate only when latter patented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ormer patented invention. However, even if a decision is made that the latter patented invention does not utilize bu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former patented invention, the decision does not make the latter patented invention invalid. It is inappropriate that act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are “in principle” illegitimate. Therefore, regardless of passive or act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should be regarded to be legitimate.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발명에 있어서 선특허권자와 후특허권자 간에는 이익의 적정 분배 문제가 발생한다. 선특허권자의 권리를 강화하면 후특허권자는 적정한 대가를 받지 못하고, 후특허권자에게 선특허발명에 대한 자유로운 이용을 보장할 경우 선특허권자는 자신의 노력에 대한 충분한 보상을 받을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선 후 발명에 있어서 이들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이익의 분배가 왜곡되고 발명자의 발명 의욕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는 이용관계에 있는 발명 간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권리 간의 권리범위확인심판은 이와 같은 선후 권리자 간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법원은 초기의 권리 대 권리의 권리범위확인 사건에서 권리 간의 권리범위확인은 무효심판 외에서 등록된 권리의 효력을 부인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라는 이유로 부적법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 후 99후2433 판결에서 “권리 대 권리의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 청구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하지만, 예외적으로 권리 간에 이용관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허용된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용관계에 있는 경우에 소위 ‘예외적으로’ 적법한 것으로 인정한다는 대법원의 판례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야기한다. 1. 권리 대 권리의 권리범위확인심판의 결과에는 이용관계에 있는 경우, 이용관계와 관계없이 속하는 경우, 속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일괄하여 ‘원칙적으로 부적법한 것’이라고 판시하는 것이 적절한가?2. 권리 간의 이용관계는 특허법에서 규정하고 있고, 후특허발명이 선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더라도 그 권리의 효력이 부인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용관계에 있는 경우의 적극적 권리범위확인만을 ‘예외적인’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적절한가?이 논문은 이러한 의문을 배경으로 권리 간의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 중에서, 특별히 권리 간에 이용관계가 있는 경우 ‘예외적으로’ 적법성을 인정한 판시의 문제점을 부각시킨다. 그 후 이 논문은 권리 간의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의 적법성을 논증하기 위하여 이 심판주제어:권리 간의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 권리 간의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 이용관계, 이용발명, 대법원의 결과를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적법성을 논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심판 사건 처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대안으로서 법원에 대한 제안과 관련 특허법개정(안)을 제시한다.

      • 실용신안제도의 실효성에 관한 검토

        권인희(Inhee Kwon) 세창출판사 2009 창작과 권리 Vol.- No.56

        The utility model is designed to protect inventions that do not rise to the level of the normal standards of patentable invention. While some novelty is required, the degree of inventive advance can be more modest than that required for a full patent. The utility model law requires that the subject matter be an article having a definite shape, structure, or any combination of both. Any process invention cannot be protected under the utility model law. The duration of protection for a utility model is 10 years from the date of filing, which is shorter than for a patent. Early utility model law required the substantive examination of novelty, inventive step and industrial applicability prior to the registration. In 1999 the utility model law was revised to grant a utility model right without substantive examinations except a basic requirement check of an applic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complexities and uncertainties arising from the technical report of a registered utility model right. The technical report, prepared by an examiner on the basis of prior art documents, is required in the execution of a utility model right against potential infringements. Therefore, the utility model law was revised again to restore the substantive examination system in 2006. Meanwhile, utility model applications are steadily decreased while patent filings are increased. Fast and low-cost protection are no longer strengths of utility models against patent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developments in the harmonization of patent laws, and collaborations between many countries for a speedy process of the registration, such as the Patent Prosecution Highway system, enhances the easy access to patents. The paper suggests to re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utility model.

      • KCI등재

        권리 대 권리의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청구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

        구대환 한국지식재산학회 2011 産業財産權 Vol.- No.34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are the trials that a patentee, an exclusive licensee or an interested person demands to confirm whether the scope of a patent right includes an invention that is being carried out or is going to be carried out. Pass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are to confirm that an invention does not fall in the scope of a patent.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passive trials between patents and highlights the problems included in the cases in dealing with those trials. In addition this article tries to suggest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propose amendment of Korean Patent Act. Decisions by the Korean Supreme Court on passive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against another patent is illegitimate in principle. ② Passive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is legitimate because even though such trial is admitted, it does not result in invalidation of another patent. ③ Passive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is legitimate because the claimant has risked the possibility of his patent to be invalidated. ④ The court can make a decision that denies the validity of the clamant's patent in a passive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These judgements of the Supreme Court show that there are too many legitimate cases among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against another patent to rule that such trials are illegitimate 'basically'.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all trials to confirm that a patent does not fall in the scope of another patent are legitimate.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cases of the Supreme Court reveals that these recent cases do not harmonize with the early cases. Because atest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have become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earlier ones, it is need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trials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s' and the legitimacy of passive trials between patents.

      • KCI등재

        지식재산금융에 있어 특허담보대출을 위한 특허가치평가 산정기준 제시 연구

        김용규 ( Kim Yong Kyu ),엄성희 ( Eum Sung Hee ),이철규 ( Lee Cheol Gyu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硏究 Vol.26 No.3

        세계 각국은 차세대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술혁신을 국가 아젠다로 삼고 있을 정도로 기술혁신은 국가 및 기업의 경제성장과 경쟁력강화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기술혁신의 성과는 특허권의 확보로 이어지고 있으며, 특허권은 법률상 재산권으로 인정되고 있다. 특허권의 확보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활용 촉진의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특허권의 활용에 있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특허권 기반의 사업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허 사업화에 있어 사업자금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중소기업이나 창업자의 경우 우수한 특허권을 확보하고도 사업자금의 확보에 어려움으로 인해 특허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사업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신용이나 담보가 부족한 중소기업과 창업자를 위해 특허를 담보로 사업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특허담보대출제도가 시행되었다. 특허담보대출은 담보대상이 되는 특허권만을 평가하여 자금지원이 가능한 제도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특허금융담보로 특허를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토대로 특허담보대출을 위한 평가 산정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has been a national agenda innovation for ens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next generation. These innovations are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and companies, is inclined a lot of effort. Not only the importance of securing patent rights, has also emerged a problem of utilization promotion. That can be the representative in the utilization of patent right, can be a patent based commercializing. Secure business funds in these patents commercialization can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founding company, also to ensure the excellent patent right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business funds, it does not take advantage of the patent. Patent security loan system to be able to raise business funds to secure the patent for the founder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credit and loans in order to raise business funds is insufficient has been enforced. Patent secured loan is a financial support capable system to evaluate only the patent rights to the collateral subject. However, in practice, patent, an objective and is it can not be performed with high reliability evaluation reality patents as financial security.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the punitive damages system, trying to presen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a paten security loan.

      • KCI등재

        비교법적 관점의 小발명 보호 제도 검토 - 주요국의 실용신안제도를 중심으로 -

        손승우 한국지식재산학회 2020 産業財産權 Vol.- No.63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61개국에서 ‘小발명(micro-inventions)’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특허제도와 유사한 체계를 갖춘 ‘실용신안 (utility model)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태양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기존 제품을 개량하는 등 일정한 창작성 을 갖추었나 그 개량의 범주가 사소하여 특허의 보호요건을 충족하 기가 어려운 경우에 그러한 보호를 하고 있다. 각 국가에서 실용신안 제도를 도입하는 주요 목적은 자국의 중소기업이나 개인발명가들의 小발명을 보호하고 장려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용 신안제도는 특허보다 더 완화된 보호요건과 간소한 등록절차를 둔 반면 짧은 보호기간을 부여한다. 반면, 실용신안은 일반적으로 단순 한 형식심사만으로 등록이 가능한‘선등록 후심사 정책’의 시행으로 불필요한 실용신안권이 창출될 수 있고, 또한 법적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실용신안제도는 근본적으로 특허제도와 차별성이 부 족하고 잦은 분쟁 등으로 잘 활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특허·실 용신안 출원 건수 중 실용신안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9%에 불과할 정도로 활용률이 낮아 동 제도의 존치 여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이 글은 소발명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제대로 수 행하지 못하는 현 제도의 전면적인 개편의 필요성을 위하여 주요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실용신안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글은 실용신안의 활성화를 위하여‘권리의 신속한 획득’과 ‘권리 행사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호주의 혁신특허와 같이 신규성만을 심사하는 방안은 시사점을 준 다. 또한, 실용신안의 진보성 기준을 특허와 확실히 차이가 나도록 새롭게 정립하는 것이 중요한데, 호주의 혁신특허에서 ‘혁신성 (innovation step)’이라는 요건을 만들어 진보성보다 현저히 낮은 기준 을 정립하는 방안을 지지하는 바이다. 그 밖에도 ‘실용신안’이라는 명 칭을 ‘실용특허’로 변경하여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실용신안의 대상을 현재 물품발명에서 생산방법발명이나 물질발명 까지 포섭하도록 확대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As a system to protect 'micro-inventions' in 61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the 'utility model system', which has a system similar to that of the patent system, is in operation. Although the specific aspect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it basically has certain creativity, such as improving existing products, but it provides such protection when it is difficult to meet the protection requirements of the patent due to the minor category of improvement. The main purpose of introducing a utility model system in each country is to protect and promote the small inven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r individual inventors in their country. Therefore, in general, the utility model system provides a shorter period of protection while providing a more stringent protection requirement and simpler registration procedure than patents. On the other hand, the utility model has the disadvantage that unnecessary utility model rights may be created and legal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registration post-examination policy', which can be registered only by simple formal examination. Korea's utility model system is fundamentally lacking in differentiation from the patent system, and is not well utilized due to frequent disputes. Recently, the proportion of utility models in the number of patents and utility model applications was only 2.9%, and the utilization rate was low enough to raise the fundamental problem of whether the system remained or not.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compared and analyzed the utility model system operated by major countries for the necessity of a thorough reorganization of the current system, which does not function properly to protect small invention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system needs to be changed in order to revive the utility model and to 'quickly acquire rights' and 'convenience of right'. In particular, a method to examine only novelty, such as an Australian innovation patent, has implication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newly establish the utility model's progress standard to be distinct from the patent. In Australia's innovation patent, the requirement of 'innovation step' is created to support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standard tha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ogress level. In addition, it is also proposed to change the name of 'utility model' to 'utility patent' to make it easier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or to expand the object of the utility model from the current product invention to production method or material invention.

      • 한복 복식분야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권의 동향 분석

        김선영(Kim, Sun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오늘날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지식재산의 창출과 활용, 법적 보호는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원천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특허청에 출원된 한복 분야의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권 동향을 분석한 것으로 한복 분야의 산업 활성화 및 지식재산 출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과 범위는 특허청 검색서비스인 KIPRIS를 이용하여 1971~2013년까지 출원된 한복 분야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권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도별 등록 추이, 출원인 특성, 물품 분석, 개발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복 분야 특허 및 실용신안은 65건이었고, IPC 분류를 기준으로 A41D 56건, A41H 7건, A41B 2건이었다. 출원된 품목은 한복 저고리나 치마의 비중이 높았다. 개발 방법은 제작공정이나 제도 방법에 관한 건이 가장 많았고, 제공 혜택 측면에서는 기능과 실용적 측면이 주된 내용이었다. 디자인 분류 코드에 의하면 B1-10A(한복)가 393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등록된 품목은 다양한 아이템이 있으나 한복 저고리 103건, 생활(개량) 한복으로 변형한 저고리 71건으로 저고리에 관한 디자인 출원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개발 내용은 특정 용도를 위한 물품보다는 심미성에 중점을 둔 창작 디자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앞으로 지속적인 동향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한복 분야 산업체는 물론 관련연구 분야에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se days, generation, utilization, and legal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have become a principal source for competition reinforcement of nations and corporations.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to revitalize the field of Korean costume of hanbok and register the related proprietary right, dealing with a trend analysis about patent, utility model, and design right in hanbok listed in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For the methodology and range in work, KIPRIS was used as search service available at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 coverage was patents, utility models and design rights of hanbok registered in this organization from 1971 through 2013 and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yearly application trend, registerer"s characteristic, item nature, and development contents.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s. Registration for patent and utility model were 65 cases. In terms of IPC classification, A41D was 56 cases, A41H with 7 and A41B with 2, respectively. The largest part in development method was about the way of production process or drawing. With regard to the beneficial aspects, functional characteristic and practical characteristic took the most. According to the design classification code, B1-10A(hanbok) took the largest number as 393 applications. Also, registered items turned out to be various in kind. The upper suit jeogori was 103 cases and the variated type of jeogori, kind of a modified hanbok, was 71 cases. In the registered cases of hanbok, jeogori took the biggest portion. In development, more weight was given to the creative designs focused on an aesthetic feature than those with a specific utility. If the ongoing analysis continues regarding the trend, the results will be used as meaningful materials not only in the hanbok-related industrial field but also in the relevant industrial research.

      • KCI등재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법적 보호와 쟁점

        김원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2 No.2

        This paper reviewed patent grants for inventions of the bioengineering and the stem cell medicine and compared the application of the law in Korea,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for “Industrial Utility” of the treatment. Furthermore, the sanction of generic drugs and the approval-patent linked system was examined as they were enforced by the South Kore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 Industrialization of the bioengineering started in earnest in 1982 as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the U. S. approved new bioengineering products such as the genetic recombination insulin made their first appearances in the market. Today, the industrialization has largely expanded to various biotechnology industries such as biologic medical, biologic electronics, biologic chemical,biologic food, biologic agriculture, and biologic environment. In addition, its rapid development is expected along with a completion of the Human Genome Projec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tem cell medicine, applications for the adult stem cell and the fertilized egg embryonic stem cell are taking major portion of domestic patent applications. Along with the license approval by th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vestments in the stem cell medicine researches may expand and there has been a massive surge in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In particular, because the embryonic stem cell has outstanding differentiation ability to other tissues or organs compared to the adult stem cell, it is expected to cure many intractable diseases. In South Korea, universities, science laboratories,and bio-venture corporations are vigorously conducting related researches. To link such research development efforts to future growth engine of the country,continuous investment is essential. Because there have been many patent applications for the diagnostic methods using biotech-tests or devices, defining the diagnostic methods and unified standards are needed. The approval-patent linked system for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will be initiated on March 15, 2015 by the South Kore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 During a grace period, points that domestic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experts have raised must be considered and ameliorated in order to result favorable outcomes to South Korea. Along with the approval of generic drugs,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s should be improved for more efficient implement of domestic jurisdictional aid for infringement of the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patents. Continuous study is also required to protect patents in the method invention for medical treatment because it is a necessary policy to enhance innovation capability of domestic economy 본 논문에서는 생명공학발명과 줄기세포치료제의 특허허여 여부를 살펴보고, 의료방법이 “산업상 이용가능성”에 대하여 한국, 미국, 유럽, 일본의 입법례를 비교하였다. 또한 한미 FTA에 따라 시행된 복제약 시판허가·특허 연계제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생명공학기술의 산업화는 1982년 미국 FDA의 승인을 획득한 유전자 재조합 인슐린을 필두로 생명공학 신제품들이 시장에 등장하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하여, 현재 생물의약, 생물전자, 생물화학, 바이오식품, 생물농업, 생물환경 등 다양한 생물산업군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휴먼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가 완료됨에 따라 비약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줄기세포 치료제에 대하여 성체줄기세포에 관한 출원과 수정란 배아줄기세포에 관한 출원이 국내 특허출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식약청의 품목허가를 계기로, 앞으로 줄기세포 치료제에 관한 연구개발 투자가 크게 확대되고, 특허출원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배아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에 비해 다른 조직이나 장기로의 분화능력이 뛰어나 다양한 난치성 질환을 치료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는 대학, 연구소 및 바이오벤처 기업에서 활발한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개발 의지가 국가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연계되어 꽃이 피울 수 있도록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최근 생명공학적 검사 방법 또는 기기를 이용한 진단방법으로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산업상 이용할 수 없는 진단방법에 대한 정의 및 통일된 심사기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미 FTA를 통해 도입되는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2012년 3월 1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국내 제약회사와 전문가들이 제기한 문제점들은 해당 유예기간 내에 반드시 우리나라의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정비 또는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복제약 시판허가에 따른 의약품 특허권 침해에 대한 국내 사법적 구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가 개선하여야 한다. 의료 관련 발명의 특허권 보호는 우리 경제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므로 이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실용신안 권리보호에 대한 중국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유효성 연구

        호효림(Hyo-rim H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1

        중국의 실용신안은 발명 특허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신청기한이 짧고 수권속도가 빠르며 발명 특허와 마찬가지로 독점권이 있어 기업이 빠른 속도로 시장을 선점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실용신안권은 실질 심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낮은 편이고 무효 기각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발명특허보다 보호에 어려움이 있다. 중국은 국내 중소기업의 발명과 창조 활동을 적극 장려하고 자국의 실용신안을 보호하기 위해 실용신안에 특허권평가보고와 비슷한 특허보호정책을 제정하였고 특히 특허침해소송 시 특허권평가보고를 근거로 삼아 실용신안 특허권자와 특허권 권리분쟁의 당사자를 사법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많은 전문가들은 특허권평가보고 제도를 구축함으로서 실용신안 특허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피고가 답변기한 내에 특허권 무효심판요청 시 특허권평가보고가 실용신안 특허권에 신규성, 진보성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특허권이 안정성이 없다고 기록하지 못할 상황에서 법원은 심판을 중지하지 않고 재심사위원회의 특허권 무효심판 결정의견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어 사법 절차의 효율을 높이고 특허권자의 권리유지 시간을 가속화하는 데 유리하다. 그러나 실질적인 특허권 침해 분쟁에서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와 무효심판제도는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문에서는 현행 중국의 실용신안제도를 분석하고 한국의 실용신안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중국의 특허권평가 보고서제도의 본질과 역할을 확인하고 실용신안 특허권 침해 소송의 실제 사례를 통해 특허권평가보고의 결과로 인한 변수를 분석하여 특허권평가보고와 무효심판이 충돌하는 실질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유효성과 권리 보호를 위한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활용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China’s utility model as a supplement to the invention patent, has short application duration, fast authorized speed, and has the same exclusive rights with patents, so companies can quickly dominate the market. But the utility model does not need to carry out substantive examination, so has lower stability, high frequency of invalid to accepted, so compare with the invention patent, difficult to be protected. In order to actively encourage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promote their inventions, and protect domestic patents, China established a protection policy of patent evaluation report for the utility model rights, especially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can be used as evidence in a patent infringement trial, to provide judicial remedies for utility model patentee and the party of patent disputes. Many experts believe that the establishment of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utility model patent right, and when the defendant request for invalidation of the patent right in the defense period, if there is no novelty, creativity lost or no other reason has not led to the stability of patent right given in a patent evaluation report of the utility model patents, the court may not suspend the trial, without having to wait for the Patent Reexamination Board makes the patent invalid declaration decisions,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judicial process, accelerate the patentee’s time. However, in practical patent infringement,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and invalidation system are in conflict. In this pap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hina utility model system and compared with the South Korean utility model system, review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and through the actual cases of the utility model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analysis possible variates from the decision of patent evaluation report, to find out the reason of the patent evaluation report system being in conflict with the invalidation system, and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for protecting Utility Model with China’s Patent Evaluation Report.

      • KCI등재

        실용신안제도의 국제조화에 관한 소고

        심미랑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가천법학 Vol.12 No.4

        In addition to the patent system,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are operating a utility model system to protect inventions with a lower level of technology than patent invention. However, in Korea and Japan, the utilization rate of utility model system is very low, whereas in China, the number of utility model applications is higher than patents and it is increasing. As mentioned above, all of the IP5s in Korea, China, and Japan operate a utility model system, but the situation is very different for each country.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no utility model system, and in Europe, there is no unified utility model system in Europe each country operates differently from country to country. Although the patent system to protect new technologies is being harmonized and unified internationally, the international discussion on the utility model system is ignored as a supplementary system to the patent system. Not all countries with a patent system have adopted the utility model law, and even in countries where the utility model system is adopted, there are different protection targets, protection requirements, duration, and examination methods. There is no debate, but it is only incidentally mentioned in international treaties. China, which is the world's No. 1 patent applicant, operates a utility model system with more applications than a patent application, and whether or not the utility model system is adopted in each country and the requirements of the system are different. The utility model system should no longer be left out of the discussion.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signing the treaty in the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treaties such as TRIPs, Paris Convention, and PC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formity with international norms, such as whether it conforms to the treaty.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기술적 사상의 창작을 보호하는 제도로서 특허제도 이외에 특허발명보다 기술수준이 낮은 발명을 보호하기 위한 실용신안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일본은 실용신안제도의 이용률은 매우 저조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실용신안의 출원건수가 특허보다 많으며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IP5 중에서 한중일의 경우 모두 실용신안제도를 운영하고는 있으나 국가별로 그 상황이 매우 다르며, 미국의 경우에는 실용신안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고, 유럽의 경우 EU차원에서 통일된 실용신안제도는 없고 유럽 각국 별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특허제도는 국제적으로 조화 및 통일화가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특허제도를 보완하는 제도로 실용신안제도에 대한 국제적 논의는 도외시 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제도를 가지고 있는 국가가 모두 실용신안법을 채택하고 있지는 않으며, 실용신안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에서도 보호대상, 보호요건, 존속기간, 심사방법 등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실용신안제도의 국제조화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국제조약에서도 부수적인 언급만 되고 있다. 전세계 특허출원 1위를 달리고 있는 중국이 특허출원보다 출원량이 더 많은 실용신안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상황과 각 국가별로 실용신안제도 채택여부와 제도의 요건(보호대상, 보호요건, 권리행사 요건 등)이 다른 상황에서 IP의 국제조화 및 통일화에 대한 논의에서 실용신안제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현재의 실용신안제도가 TRIPs 협정, 파리조약, PCT 등 IP 분야 대표적인 국제조약에 있어서 해당 조약체결의 취지 등을 고려할 때, 국제규범과의 정합성 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특허신탁 관리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손승우 ( Seungwoo Son ),전응준 ( Eung-jun Jeon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8 지식재산연구 Vol.3 No.2

        A patent trust is an arrangement whereby the patent rights as property is managed by a organization(trustee) for the benefit of another. When a patent trust is created by a trustor, who entrusts some or all of his or her patent rights to a trustee, the trustee holds legal title to the trust property, but it is obliged to hold the property for the benefit of the grantor. The trustee owes a fiduciary duty to the beneficiaries, who are the beneficial owners of the trust property. The trust of intellectual property(IP) came to be legalized by 「the Trust Business Act」 amended in 2005 newly adding IP to its trustable asset list. In addition, in January of 2008, the Korean government amended 「the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Promotion Act(“TTCPA”)」 to adopt “a Patent Trust Management System”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sleeping patents(non-use of patents for a long time)” owned by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corporations. The organizations who want to operate the patent trust management system should obtain a permission from the Minister of Knowledge Economy. However, there is also a skeptical perspective on the new patent trust system because not only a domestic market for technology transaction is still immature, but the new system much focuses on the sleeping patents rather than superior technology, and the patent trust agent should be non-commercial. These problems make the newly adopted system difficult to pursue maximizing the value of IP right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cope of patent trust property should be extended and modified the current approach so that a trustee is able to manage IP asset for maximum return through various ways including strategic litigation, licensing, etc. It also examines major issues on the new amendment of the TTCPA, and provides a few of alternative solutions to promote the patent trus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