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회복센터 거주 청소년을 중심으로

        박경늠,김영숙,허만세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3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3 No.1

        The present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after school dropout. This study aimes to explores the factors of school dropout in adolescents revealed through previous studie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reveal what their life is like and what they needs after school dropout, an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experience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 process. For this purpose,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living in three recovery centers in Gyeongsangnam-do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process presented in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earned money by working part-time jobs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and studied for the GED. Second,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needed to form friendships because of the break in peer relationships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needed money while living independently, and most of all, graduate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Third, the nature of the adolescent’s experience of dropping out of school is that they experienced frustration due to betrayal of being abandoned by their parents when they were young and suppressed anger in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They experience recovery through love and recognition from society while having a new awareness of their relationship. A discussion of these results is present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 이후의 삶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로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청소년의 학업중단 원인을 질적 연구를 통해 고찰해 보고 학업중단 후 이들의 생활과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학업중단 과정과 그 이후의 삶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내 회복센터 3곳에 거주하는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청소년 1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면접을 수행하였고, 면담내용은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료 분석과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학업중단 후 주로 아르바이트로 일하면서 돈을 벌게 되었고 검정고시 공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학업중단 후 또래 관계가 단절된 것에 대해 친구 관계 형성이 필요하였고, 독립생활을 하면서 돈이 필요했으며, 무엇보다 학업을 중단하고 난 후 졸업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의 본질은 어릴 때 부모로부터 버림받음에 대한 배신과 가정폭력 경험 속의 억압된 분노로 욕구좌절을 경험하였고, 학업중단 이후 사회지원 혜택에 대한 고마움을 발견하고 지지받으며 학업중단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면서 사회로부터 사랑과 인정을 통해 회복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본문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 탐색 및학업 중단 인식 연구 -강북 지역 학교 밖 청소년을 중심으로-

        육성필(Yuk, Sung Pil),남옥남(Nam, Ok Nam),박지란(Park, Ji Ran),박성혜(Park, Sung Hae),김은영(Kim, Eu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을 탐색하고 학업 중단에 관한 인식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7월초부터 9월말까지 강북 지역의 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한 면담을 실시, 분석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면담에 참여한 학교 밖 청소년들은 대부분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업 중단 예방 관련 제도의 적용을 받지 못한 채 비교적 간단 하게 학업 중단을 결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이 대부분 후회하며 학업 중단을 부정적으로 인식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면담 대상 청소년 중 2/3가 학업 중단 결정에 만족하고 학업 중단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업 중단 결정을 후회하는 청소년들은 학교생활 부적응 경험의 아픔 으로 인해 학교 복귀에 대해 양가감정을 가지고 있었고, 학업 중단에 만족하는 청소 년들은 모두 학교 복귀를 거부했다. 넷째, 학업 중단에 만족하고 현재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70%가 사회적 인식, 현실적 어려움 등을 이유로 주변에 학업 중단을 권유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업 중단 예방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책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op-out process and analyse the percep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of their regret or satisfaction on their drop-out decisions. We hope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out-of-school youths. For study, 16 of out-of-school adolescents in gangbuk area were interviewed. The research results are like those;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relatively processed drop-out in short time without application of prevention system on drop-out. Second, unlike the myth that the almost of out-of-school adolescents might be regret for their drop-out decisions, considerable numbers of adolescents have positive perception. Third, adolescents of the regret group, who had experienced maladjustment in the school life, hesitated to return to school.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of satisfaction group would not like to return to school. Fourth, adolescents of satisfaction group, who had experienced social barrier, didn t recommend drop-ou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licies of prevention to drop-out and intervention for out-of-school adolescents need to be diversified.

      • KCI등재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2018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이래혁(RaeHyuck Lee),장혜림(Hae-Lim Chang),이재경(Jaekyoung Lee) 한국보건사회학회 201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1

        본 연구는 돈내기 게임 경험이 있는 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규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건강증진 모형(ecological health promotion model)을 기반으로 2018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이차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조사시점 기준 지난 3개월 동안 돈내기 게임을 경험한 학교 청소년 5,080명과 학교 밖 청소년 510명 이었고, 문제도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도박문제 심각성 척도를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 및 문제 수준의 도박을 경험한 학교 청소년은 22.3%, 학교 밖 청소년은 50.4%였다. 둘째, 이와 같은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된 요인은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간에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교 및 학교 밖 청소년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된 요인은 성별, 부모 동거 여부, 용돈 수준, 가족 간 대화 수준, 주변 도박자 유무, 예방교육 경험 여부였다. 반면, 주변 도박장 유무와 도박문제 인식 수준은 학교 청소년의 문제도박 수준과 학교 밖 기관 유형은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문제도박 예방 및 개입에 필요한 실천적·정책적 전략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gambling among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who experienced betting games. For the purpose, based on the ecological health promotion model, this study conducted secondary data analyses by utilizing the raw data of the 2018 Survey on Youth Gambling Problems. The analytic samples of this study were 5,080 school and 510 out-of-school adolescents, respectively, who experienced betting games during the last three month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and the Gambling Problems Severity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2.3% of school adolescents and 50.4% of out-of-school adolescents experienced at-risk or problem gambling. Seco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differed between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Factors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consistently for both school and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gender, whether to live with parents, average amounts of allowance, levels of family communication, whether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gamblers, and whether to receive education to prevent gambling problems. However, whereas whether to live in a neighborhood with gambling places and levels of perceiving gambling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for school adolescents, the type of supporting institutions was associated with levels of problem gambling for out-of-school adolesc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e and policy strategies to deal with and prevent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래에 대한 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래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2 학교사회복지 Vol.-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thoughts about the future through self-esteem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support. For this purpose,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by utilizing PROCESS macro Models 4 and 7 with a sample of 419 out-of-school adolescents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analyzed results show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significantly negatively influenced thoughts about the future. Next, out-of-school adolescents’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thoughts about the future. That is, the level of social stigma reduced the level of self-esteem and, in turn, reduced the level of thoughts about the future. Finally,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igma on thoughts about the future through self-esteem. Specifically, the negative mediation effect through self-esteem decreased when the level of parental support increas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how to support out-of-school adolescents to make them think about their future positively.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로부터 선별한 419명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의 모델 4와 모델 7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미래에 대한 생각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이 미래에 대한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의 수준이 높아지면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낮아졌고, 이어서 미래에 대한 생각의 수준의 낮아졌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지지는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래에 대한 생각에 이르는 매개효과를 조절했다. 구체적으로 부모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을 통한 부적 매개효과의 크기는 감소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이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학업중단 기간에 따른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 한국보건복지학회 2022 보건과 복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rect influence of future-oriented thinking on delinquency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direct influ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ut-of-school duration on the mediating effect. Using a sample of 733 adolescents who were not in school at the point of survey from the 1st wave’s raw data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this study conducted analyses with the Process macro method’s Models 4 and 7.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future-oriented thinking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delinquency.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fu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future-oriented thinking on delinquency. That is, the level of future-oriented thinking de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which in turn decreased the level of delinquenc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future-oriented thinking on delinquency through depression was moderated by out-of-school duration. Specifically, when out-of-school duration became longer, the protecting effect of future-oriented thinking on delinquency through depression became larger.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ed ways to deal with out-of-school adolescents’ delinquency through enhancing their future-oriented thinking.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학업중단 기간에 따른 매개효과에서의 차이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에서 구축된 원자료 중 1차 년도 조사 당시 학업중단 상태였던 733명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의 Model 4와 7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는 비행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미래지향적 사고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했다. 즉, 미래지향적 사고의 수준이 우울 수준을 낮췄고, 이어서 비행의 정도를 낮추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가 우울을 통해 비행을 낮추는 매개효과는 학업중단 기간에 의해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기간이 길수록 우울을 통한 미래지향적 사고의 비행에 대한 보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를 통해 비행 문제를 다루기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임재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3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violence experiences out of school and compare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of enrolled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OO-gu Adolescent Crisis Survey in Seoul. The analysis targeted 96 out-of-school adolescents in the jurisdiction. In the original data, the actual status and differences of experience of violence in out-of-school adolescents and predictors of violence and suicide experiences were analyzed through χ2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suffered the most from sexual violence and cyberviolence. In particular, female adolescents had a higher experience of violence and lower awareness of parental support than male adolescents. Compared to adolescents who did not experience an act of violence, adolescents who committed violence often had a violation experience before committing school violence (χ2 = 16.962, p < .000). In addition, adolescents who previously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s victims had more experience related to suicide than adolescents who did not experience it (χ2 = 6.035, p < .05), and there were many instances of violation before school violence (χ2 = 4.739, p < .05). As a predictor of suicide,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school violence victim was significant. Adolescents with previous experience as victims were about five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suicide than adolescents without prior experience as victims. While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amage as a student did not lead to the experience of violence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it was related to suicide-related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tervention strategie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violence problem of adolescents out of school were proposed.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 경험의 실태와 특징을 이해하고자 서울시 OO구 학교 밖 청소년의 위기 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2차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관내 학교 밖 청소년 96명이다. 원자료에서 폭력경험(학교를 그만둔 후 폭력피해 및 폭력가해, 이전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자살 관련 경험, 보호자 지원에 대한 인식 등을 척도로 활용하여, χ2 검증, t-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경험의 실태 및 차이, 폭력과 자살 경험의 예측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밖 청소년은 성 관련 폭력 피해 및 사이버폭력 피해를 가장 많이 입었다. 특히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폭력피해 경험은 높았고 보호자 지원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폭력가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없는 청소년에 비해 이전 학교폭력 가해경험도 있는 경우가 많았다(χ2=16.962, p<.000). 또한 이전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없는 청소년보다 자살 관련 경험이 더 많았고(χ2=6.035, p<.05), 이전 학교폭력 가해경험도 많았다(χ2=4.739, p<.05). 자살의 예측 요인으로 이전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전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없는 청소년에 비해 자살 관련 경험의 가능성이 약 5배 정도 높았다. 재학생 때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학교를 그만둔 후 폭력피해 경험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자살 관련 경험과 관련성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 문제에 대한 개입전략 및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이 우울을 통해 미래지향에 미치는 영향: 학업중단 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래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3 학교사회복지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future orientation through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differences by out-of-school duration. For this purpose, using an analytic sample from the 1st wave’s raw data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this study verifies simple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ith Models 4 and 14 of the PROCESS Macro meth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al neglect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future orienta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future orientation. In that, the level of parental neglect increases the level of depression, which in turn decreases the level of future orienta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out-of-school duration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neglect on future orientation through depression. Specifically, when out-of-school duration becomes longer, the negative mediating effect becomes larger.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s diverse intervention ways to promote future orienta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이 우울을 통해 미래지향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중단 기간에 따른 차이의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의 1차 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대상을 확보하였고, PROCESS Macro 분석 방법의 모델 4와 14를 통해 단순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주요한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은 미래지향에 부적으로 유의한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부모방임이 미래지향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였다. 즉, 부모방임의 수준이 우울의 수준을 증가시켰고, 이어서 미래지향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기간은 부모방임이 우울을 통해 미래지향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업중단 기간이 길수록 해당 부적 매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의 결과들을 기반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재경,이래혁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This study’s purpose is to verify the social stigma’s influence on alcohol us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impulsivity. Using an analytic sample of about 450 out-of-school adolescents from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this study conducts data analyses with the Process macro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igma of out-of-school adolescents positively influenced alcohol use. The risk of having alcohol use increased by about 2.3 times when social stigma increased by one level.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impulsivity single-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alcohol use. However, such single mediation effect was not found for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impulsivity serially dual-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alcohol use. Social stigma increased depression, which in turn increased impulsivity and finally increased the risk of having alcohol use.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hat social stigma is a risk factor for alcohol use, and discussed diverse intervention way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래혁,이재경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23 한국가족복지학 Vol.28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uture-oriented thinking on alcohol us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mediation ef- fect of impulsivity and the difference by gender. Methods: This study used a sample of 733 out-of-school adolescents who were not in school at the survey point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Models 4 and 14 of the Process macro method were employed to con- duct data analyses. Re sults: First, when out-of-school adolescents’ future-oriented thinking in- creased by one level, the likelihood of alcohol use decreased by about 34%.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impulsivity fu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future-oriented thinking on alcohol use.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gender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future-oriented thinking on alcohol use through impulsivity. Conc lus i ons: Based on the find- ings, this study discusses ways to prevent alcohol us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by promoting their future-oriented thinking.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부모지지에 따른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혜림,이래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3 학교사회복지 Vol.- No.6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uture orientation on ego-resilienc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parental support. For the purpose, this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by using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and conducting regression analyses with the Process Macro’s Models 4 and 14. This study found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future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d ego-resilience. Also,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out-of-school adolescents’ future orientation on ego-resilience by decreasing depression was found. Finally, this study found the moderation effect of out-of-school adolescents’ parental support, which enhanced the mediation effect of future orientation on ego-resilience through depression.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new empirical evidence showing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ego-resilience can be promoted by forming future orientation. It seems that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examine more diverse factors affecting ego-resilience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지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Process Macro Model 4와 14를 기반으로 일련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은 자아탄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은 우울을 낮추어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이 우울을 통해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는 매개효과가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더 커지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지향적 사고를 통해 자아탄력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새로운 실증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는 시도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