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뷰티 인사이드>에 나타난 액체근대의 징후

        최은진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8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현대사회의 유동성’이라는 속성을 제시한 지그문트 바우만의 ‘액체 근대’ 개념을 통해 한국사회와 미디어텍스트 간의 유기적 관계를 다각도로살펴본다. 본 연구는 <뷰티 인사이드>에서 읽을 수 있는 한국사회의 액체근대적 모습을 변화하는 정체성, 안정된 관계의 불가능성, 병리적 징후를 껴안는 해피엔딩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판타지적 설정을 갖고 있는대중 멜로 영화에서 바우만의 세계관이 한국의 문화적 배경으로 묘사된것을 읽어내는 연구가 가능한 것은 <뷰티 인사이드>가 관객들이 처한 현실의 결을 잘 반영한 장르영화이기에 가능하다. 바우만이 주장했던 액체근대 개념들이 한국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그의 학술적 경륜이 폭넓다는것을 입증하기도 한다. 액체근대의 속성인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동성이한국사회에서도 징후처럼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I will examine various aspects of organic relations between Korean society and media texts through the concept of 'Liquid Modernity' by Zygmunt Bauman, who presented the nature of 'fluidity in modern society'. The study looks at the modern liquid appearance of Korean society as read in <Beauty Inside> from the perspective of identity, the impossibility of stable relationships, and a happy ending that embraces pathological signs. In a popular melodrama with a fantasy setting, it is possible to study Bauman's world view as a Korean cultural background because it is a genre film that reflects the audience's reality. The fact that the modern liquid concepts that Bauman argues are applicable to Korea also proves that his academic experience and knowledge are broad. The constantly changing liquidity that is the property of the liquid modernity is emerging as a sign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오규원 시에 나타나는 도시 사물성과 유동의 시학-1970~80년대 시를 중심으로

        박래은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unilinear outcome of research on the city image of Oh Kyu-won’s poems for examining them only in terms of city space and structures and materialism and also lack of research on his initial poems of things and then read them in the perspective of Zygmunt Bauman’s ‘liquid modernity’. Oh Kyu-won’s poems in the 1970’s to 80’s depict things and scenes in the city centering around the agent (‘I’) to represent artificial things and sediments made by human ‘freedom’ and exhibit modern individuals in solitude. At this time, solid images, for instance, high-rise buildings, glass windows, apartments (construction sites), or desks and chairs, embody premodern city thingness, shopping centers, flour-based food stores, or coffee houses do ‘non-places’, and city things like spandex brassieres, pantyhose, or sanitary pads ‘New Freedom’ do “liquid modernity” that is flowing. City things form the criteria of ‘voir’ and ‘faire’ to distinguish places from non-places. The concept of non-places is associated with liquid modernity closely, and Oh kyu-won’s poems of the 1970’s to 80's use the way of arranging “non-places and city things” organically. Consequently, his poetic world captures the liquidity of a modern city and humans in solitude as either something “spoiled” or “being spoiled” dualistically. It can be said that Oh Kyu-won’s poems in the 1970’s to 80’s are the field of “liquid modernity” where success and failure are not distinguishable for things that are repeating their flowing towards liquid modernity even in uncertainty that keeps postponing the state of completion. 오규원의 1970~80년대 시는 도시 사물과 현장을 주체(‘나’) 중심으로 묘사하여 인간의 ‘자유’가 만든 인공물과 침전물을 표상화하며 근대의 고독한 개인을 해제하고 있다. 이때 고층빌딩, 유리창, 아파트(공사장) 등의 견고한 전근대적 이미지는 쇼핑센터 등의 ‘비(非)장소’와 스판덱스 브래지어, 팬티스타킹, 생리대 뉴후리덤 등의 근대 도시 사물을 대상화하여 “액체근대”를 표상한다. 도시 사물은 장소, 비장소를 구분하는 ‘보기(voir)’와 ‘하기(faire)’의 준거가 된다. 비장소 개념은 액체근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오규원의 1970~80년대 시는 “비장소와 도시 사물”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여 근대 도시의 유동성과 인간 고독을 “망가진” 혹은 “망가지는 것들”로 이중 포착한다. 이에 본고는 오규원의 당대 시에 드러나는 근대 유동의 양상에 대해 지그문트 바우만의 ‘액체근대(liquid modernity)’ 관점으로 독해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기존의 ‘오규원 시와 도시 관련 연구들’이 도시공간 및 구조, 물신주의 논의에 머물러 있음에 대한 시선 환기이자, 오규원의 1970~80년대 시가 갖는 액체근대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당대 그의 시는 완성을 유예시키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액체근대를 향해 유동을 되풀이하는 사물들 즉, 지속적으로 변화 가능한 ‘액체근대’의 유동성을 예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바우만의 액체근대론과 벡의 성찰적 근대화론 비교 연구

        손경미(Son, Kyoung Me)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2 No.-

        최근에 위험은 전 세계적으로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위험의 일상화와 지구화에 대한 벡의 논의와 위험의 유동적인 공포에 대한 바우만의 논의는 이 시대에 성찰성을 제공한다. 이들은 위험사회에 대해 상반된 입장에서 논의하고 있다. 벡은 위험사회가 근대성과 산업사회의창조적 파괴성에서 야기된 것으로 이해한 것에 비해 바우만은 근대성의 실패와 탈근대성의 유동적 특징에 의해서 분출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개인화는 성찰적 개인화에 의해서 위험에 대한 해결가능성으로 제시한 벡의 논의와는 달리 바우만은 개인화를 위험사회의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벡의 성찰적 근대화론과 바우만의 액체근대론을 고찰하고 다음은 양자의 개인화와 위험사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두 이론의 위험사회를 검토할 것이다. 이런 논의의 연장선에서 액체근대론의 탈근대성에 대한 관점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es to discusses Individualization and Risk society of postmodern society. Actually, Individualization and Risk society are production of modernity. I will centrally examine Individualization and Risk society on Reflective Modernity of Beck and Liquid modernity of Bauman. Two theorists have different view of postmodernity. First, Beck’ view has a creative destruction but Bauman’ view has a chaotic creation of postmodernity. Second, Beck has synthesis but Bauman has a dichotomy of structure and act. The former indicates solution posivility of reflective individualization and the latter indicates a new inequality, especially winner/loser, insider/outsider, inclusive/exclusive, sufficent/surplus, legislator/interpreter, etc. Bauman’s dichotomy view has an ad hoc of modernity. First, I wish to examine Reflective Modernity of Beck and Liquid modernity of Bauman. Second, 1 will study of Individualization and Risk society of two theories. Third, I wish to examine comparative studies of Reflective Modernity of Beck and Liquid modernity of Bauman. This paper seeks to help new society formation through examine specially and criticize works of Bauman.

      • KCI등재후보

        인터넷 소비문화, 유동하는 근대성인가?

        박창호(Park Chang-Ho)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0 No.-

        이 논문은 인터넷 소비문화를 바우먼의 ‘유동하는 근대성’의 시각에서 조명하고자 시도한 글이다. 근대성은 탈근대성의 비판 속에서 시들어 가는 듯 하다가, 성찰적 근대화, 다중근대성, 유동하는 근대성 등 여러 이름으로 제기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이름으로 등장하는 배경에는 오늘날 사회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이론적 틀의 정밀함에 한계가 있는 것도 있지만, 궁극적으로 인간 자율성의 확대에 대한 열망을 이론적으로 담아내기 위한 계속적 노력에서 나온 것이기도 하다. 최근 인터넷 소비문화가 다양하게 전개되는 것은 전통적인 생산자/소비자의 구조를 벗어난 소비자들의 개별성 확대와 인터넷 소비문화의 자유로운 선택권의 확대가 그 핵심이다. 기술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가 갖는 문화적 의미와 기술 발달로 인한 소비수단의 변화는 ‘소비하다’의 의미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특히 소셜커머스는 소비적 행위의 유희를 가능하게 했으며 소비자들의 욕망에 기초한 소비가 아닌 소비자들의 소망에 기초한 소비가 되면서 다양한 소비유형이 생겨났다. 따라서 정해진 원칙과 규율보다는 유동적인 자유행위로서의 소비는 ‘유동하는 근대성’의 특징을 잘 담아내고 있어, 인터넷 소비문화의 소비자 행동들이 유동하는 근대성의 자유로운 인간행위 수행자의 전형이 될 수 있음을 조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nternet consuming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liquid modernity insisted by Zygmunt Bauman, sociologist. Actually modernity has not subsided under the weight of postmodern criticisms. On the contrary, it has sprung back with new terms such as reflexive modernization, multiple modernity and liquid modernity. The appearance of these terms could be regarded as specific attempts to go beyond postmodern critiques. However, all these approaches cannot represent different visions of what contemporary society including internet life entails. In particular, the consumer culture of internet has no strict principles and directions unlike the insistences of given modernities. Social commerce, a kind of internet shopping culture, is about being able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consumers to find out what they want in life that would make them satisfied. Consumers taste run wide gamut so that they can exert themselves to improve their autonomy. In this process, all fixed principles and relations of modern society business seem to have changed into flexible attributes. Consumer’s attributes are based on egocentrism of human needs and wishes. It looks like those of liquid modernity which is a generator of novel experience to lead personal disintegration and heighten flexibility. Thus the aspects of internet consumer culture could be considered as the attributes of real thing of liquid modernity to activate the human agents’ freedom.

      • KCI등재

        유동하는 예술: 비엔날레 문화와 현대미술의 미학적 특수성

        강수미 ( Su Mi Kang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2

        본 연구는 동시대 사회와 현대미술이 글로벌리즘 아래 상호작용하며 변화해온 점에 주목해 현대미술의 미학적 경향을 분석한다. 현대미술은 1990년 이후로 형식부터 내용까지 변모를 거듭해왔다. 그 변화한가운데 비엔날레가 현대 미술계의 가장 우세하고 영향력 있는 전시형식이자 미술제도라는 사실에 비춰, 우리는 ‘비엔날레 문화’라 불리는 동시대 미술 현상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유동성’ 개념을 들어 삶의 불안정성, 불확실성, 이동성, 미끄러짐 등 ‘부정적 지구화’가 초래한 시대성을 꿰뚫은 바우만을 참조해 현대미술의 동시대적 특수성을 해명한다. 요컨대 동시대성/액체 모더니티를 공유하고 있는 비엔날레는 전 세계150개 지역에서, 2년마다 엄청난 규모와 집합적 질서로 열리면서 그 자체 안에 액체 모더니티/유동성을 특화하고 있다. 나아가 다른 관점에서, 벤야민의 역사철학적 미학을 바탕에 두고 비엔날레 문화 및 현대미술을 분석한다. 벤야민은 20세기 초 예술이 처한 실제 상황을 조명하고 당대 종교적, 정치적, 형이상학적, 사회 경제적, 기술적 경향들을 종합적으로 표현하는 근대 예술의 해방적 가능성을 분명히 하고자 했다. 우리는 그 이론적 관점을 공유해 유동하는 현대미술의 미학적 경향이 글로벌 사회와 연결돼 조건화되며, 기술의 역량을 비롯해 동시대 여러 특성 및 집단 현존과 상호작용하면서 스스로를 구현하고 잠재성을 가시화하고 있음을 밝힌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what is the aesthetic specificity of contemporary art. To carry out this complex purpose, I suggest some kind of crucial relationship between contemporary society and contemporary art, and they have changing themselves by interacting each other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contemporary art world has changed and expanded exponentially ―from form to contents― since 1990. Somewhere along the line, global contemporary art scenes put a high degree of liquidity as the critical concept of Zygmunt Bauman’s Sociology. That is one of my view point, and why I call contemporary art as ``liquid art``. This paper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biennial and/or ‘biennial culture’ as a most powerful exhibition type and influential art institution of contemporary art world.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riticisms on biennials, most of which deal with their form, contents, function, logics, and effects. But my own argumentation is concentrated on their contemporary artistic character as a part of liquid modernity what Bauman defined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is era being affected by negative globalization; contingency, uncertainty, mobility and slipperiness of everyday life. As part of the contemporaneity, the global biennial culture is having particular liquidity with its body; definitions of biennials vary from huge, global scaled shows with a two-year cycle, over 150 biennials in different locals/cities and social conditions. Today``s biennial become a global dispositif/apparatus for exchanging, networking, shifting and competing of art scenes around the world in the liquid modernity. The other argumentation of my research is based on Walter Benjamin``s philosophical-historical aesthetics which analysed the changed conditions of 20th century art. In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its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Benjamin aimed to illuminate the real situations of arts and to suggest the liberated possibility of modern art that represent the theological, political, metaphysical, social, economical and technological tendencies. With his perspective on art, I try to explain the aesthetic specificity of contemporary art as a kind of liquid art that is widely engaging in global society and deeply connecting with our time.

      • KCI우수등재

        견고한 모든 것은 대기 속에 녹아내린다: 바우만의 관점으로 『세일즈맨의 죽음』에 나타난 액체 현대의 징후 읽기

        정윤길 한국영어영문학회 2023 영어 영문학 Vol.69 No.4

        This paper examines Arthur Miller’s iconic play, Death of a Salesman, through the lens of Zygmunt Bauman’s concept of liquid modernity. Bauman’s theory suggests that contemporary society is characterized by fluidity, instability, and the erosion of traditional structures. Death of a Salesman serves as a poignant exploration of the consequences of liquid modernity on individual lives, particularly focusing on Willy Loman. The analysis highlights how the play encapsulates the anxieties, disorientations, and sense of displacement experienced by individuals navigating a rapidly changing and uncertain world. The paper also examines the author’s portrayal of Willy and his sons and how their struggles resonate with Bauman’s ideas. The paper suggests Willy’s anxiousness is a metaphor for his psychological situation where he is still searching for and longing for something fixed while living in a fluid modern world, and I consider Biff’s shoplifting as a personalized shopping ritual that satisfies the anxiety about his identity and his final decision as a way of accepting the incomplete state of his identity and trying to find his identity again there. Based on the premise of Bauman’s connection to the work, the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the sense of fear in Willy’s inner world depicted. The paper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fluid nature of the salesman’s profession and Willy’s perception of the world through a specific case analysis. As a result, I argue that Death of a Salesman is a work that is deeply imbued with the signs of Bauman’s fluid modernity.

      • KCI등재

        〈뷰티 인사이드〉에 나타난 액체근대의 징후

        최은진(Eunjin Choi)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8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4 No.-

        ‘현대사회의 유동성’이라는 속성을 제시한 지그문트 바우만의 ‘액체 근대’ 개념을 통해 한국사회와 미디어텍스트 간의 유기적 관계를 다각도로 살펴본다. 본 연구는 〈뷰티 인사이드〉에서 읽을 수 있는 한국사회의 액체근대적 모습을 변화하는 정체성, 안정된 관계의 불가능성, 병리적 징후를 껴안는 해피엔딩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판타지적 설정을 갖고 있는 대중 멜로 영화에서 바우만의 세계관이 한국의 문화적 배경으로 묘사된 것을 읽어내는 연구가 가능한 것은 〈뷰티 인사이드〉가 관객들이 처한 현실의 결을 잘 반영한 장르영화이기에 가능하다. 바우만이 주장했던 액체근대 개념들이 한국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그의 학술적 경륜이 폭넓다는 것을 입증하기도 한다. 액체근대의 속성인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동성이 한국사회에서도 징후처럼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I will examine various aspects of organic relations between Korean society and media texts through the concept of "Liquid Modernity" by Zygmunt Bauman, who presented the nature of "fluidity in modern society". The study looks at the modern liquid appearance of Korean society as read in 〈Beauty Inside〉 from the perspective of identity, the impossibility of stable relationships, and a happy ending that embraces pathological signs. In a popular melodrama with a fantasy setting, it is possible to study Bauman"s world view as a Korean cultural background because it is a genre film that reflects the audience"s reality. The fact that the modern liquid concepts that Bauman argues are applicable to Korea also proves that his academic experience and knowledge are broad. The constantly changing liquidity that is the property of the liquid modernity is emerging as a sign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호스트, 호스티스를 만나다-영화 <엑스>의 액체 현대에 속박된 고급 성 노동자들-

        이윤종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7 사이 Vol.22 No.-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 subgenre of South Korean erotic films of the 1980s featuring a male sex worker, a so-called host as a revised form of the hostess film of the 1970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Ha Myoung-joong’s X to inquire into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sex labor as affective labor that requires for laborers to consume ‘affect,’ namely care, nursery, and service based on human emotion and affection in immaterial realm in contrast to traditional labor that produces only material goods. By comparing the film that Ha himself wrote the screenplay as a film adaptaton from Cho Hae-il’s eponymous novella with its original literary work,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image of water emphasized in the film unlike the novella by relating it with the modernity. For Zygmund Bauman’s concept of ‘liquid modernity,’ which refers to the flexibility of late capitalist society, squares with the visual context of X just as Marshall Berman borrows Karl Marx's phrase, “All that is solid melts into the air” to explain the ‘experience of modernity.’ A host and a hostess in X fails to be unbounded by their agents of the sex industry and head to the ocean not only as their final destination for their impossible romance but also as a place for their solidarity in the liquidity or fluidity of the late capitalism. Thus this paper discusses not only the dualism of water as an origin and a terminus of life as well as a symbol of freedom and that of shackles but also the dualism of the liquid modernity in the late capitalism. 본고는 1970년대 한국 호스티스 영화의 변형된 형태로서 남성 성 노동자가 등장하는 1983년 영화 <엑스>를 중심으로 1980년대 한국 사회에서 ‘정동(情動) 노동’으로서의 성 노동의 영화적 재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정동 노동은 전통적 노동의 목표인 물질 생산을 지향하지 않고 비물질 영역인 돌봄과 봉사, 서비스를 골자로 감정과 정서를 포함한 ‘정동’의 소모를 요하는 노동을 지칭한다. 영화의 원작인 조해일의 동명의 중편소설을 하명중이 각색해 연출한 <엑스>에서는 소설과 달리 물의 이미지가 특히 강조되는데 이를 현대성과 연결해 분석해 볼 것이다. 맑스의 문구를 따와 마셜 버만이 ‘현대성의 경험’으로서 제시한 “견고한 모든 것이 대기 속에 녹아 버린다”는 해석에서 착안한 지그문트 바우만의 ‘액체 현대’라는 개념이 영화 속 물의 이미지와 연관되기 때문이다. 액체와도 같은 후기 자본주의의 유동성 속에서 <엑스>의 성 산업 종사자인 호스트와 호스티스는 각자의 성 매매 알선 조직의 구속력에서 벗어나지 못 하지만 불가능한 사랑의 종착점으로서, 상호결속의 공간으로서 바다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생명의 탄생지이며 종착지이자 유동적이면서도 속박을 행사하는 물의 이중성, 그에 따른 후기 자본주의적 액체 현대의 이중성에 대해 논할 것이다.

      • KCI등재

        친밀성의 구조변동과 가족구조의 변화: 바우만의 문제의식과 루만의 인식론을 통한 접근

        김미경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simultaneous asynchrony’ of pre-modernity,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society and examines problems of intimacy that can explain family structure. The researcher attempts to identify the causes of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a problem which is emerging as one of the main social issues of current society. That is to say,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between pre–modern grandparents, modern parents, and the post–modern filial generation. The reality of non-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is not the problem. Rather, the ‘solid modernity’ obsession with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ith totally different thinking systems is the issue. Therefore, viewing intimacy within the family as the most essential social system showing sharp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structural changes of intimacy and family structure through Luhmann’s system theory. Based on the question of Baumann’s ‘failed modern project’, the researcher asks what family problems we face today, and how we can address this problem using Luhmann’s epistemology. 본 논문은 우리 사회에 혼재되어 있는 전근대와 근대, 탈근대의 ‘동시적 비동시성’에 주목하고 가족의 구조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친밀성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주요한 사회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세대갈등의 문제를 전근대적 조부모와 근대적 부모, 탈근대적 자식 세대의 소통의 문제에서 그 원인을 찾고자 한다. 세대 간 소통이 되지 않는 현실이 문제가 아니라 전혀 다른 사유체계를 가진 사람들끼리 꼭 ‘소통’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고체적 근대’의 강박을 더 문제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대체할 수 있는 루만 체계이론의 체계/환경-차이이론을 통해 소통개념을 접근하고자 한다. 바우만의 ‘실패한 근대의 프로젝트’라는 문제제기에 기초하여 현재 우리사회가 직면한 가족문제가 무엇인지 질문하였으며, 이 문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루만의 인식론을 통해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다른 ‘액체근대’ - 테레지아 모라의『이상한 물질』에 나타난 변방의 풍경과 이방인들

        최윤영 한국헤세학회 2018 헤세연구 Vol.39 No.-

        Terézia Mora ist eine bemerkenswerte, zeitgenössische, deutschsprachige Autorin aus Ungarn. In diesem Beitrag geht es um Diskurse der Modernität in ihrem Werk, die anhand der 1999 in dem Band Seltsame Materie erschienenen Erzählungen analysiert werden. Peripherische Phänomene, verstanden als thematische Risse und Lücken, lassen die Stabilität der sicheren und vernunftorientierten Modernität erodieren. Als theoretische Grundlage werden Diskurse über die ‘liquide’ Moderne von Z. Bauman herangezogen, der zwischen schwerer Moderne und leichter Postmoderne unterscheidet und seine Aufmerksamkeit auf die vom Projekt der Moderne vernachlässigten “leeren Räume” richtet. Zunächst werden verschiedene Orte wie der See, das Schwimmbad und die rückständige Dorflandschaft als räumliche Hintergründe der liquiden Moderne betrachtet. Der See bildet eine natürliche Grenze, die das Eingreifen der modernen Vernunft blockiert, indem er sich durch seine labyrinthische Struktur und fluiden Boden Übergang und Kultivierung verweigert. Die Charakterisierung der Figuren sowie ihre Konstellationen spiegeln räumliche Verhältnisse wider, da die meisten Figuren zu sozialen Randgruppen gehören, etwa Geisteskranke sind oder der Volksgruppe der Sinti und Roma zugehören. Diese Leute träumen von einem besseren Leben und versuchen vergeblich, über den See das andere Land zu erreic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