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서 국어 능력과 핵심 역량의 관계

        서영진 ( Youngjin Se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1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계의 화두인 역량 담론에 대해 교과적 이해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국어 교육적 맥락과 시각에서 역량 기반 교육의 출발이 되는 국어 능력·국어과 핵심 역량·범교과 핵심 역량의 의미와 관계 구조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국어 능력과 국어과 핵심 역량을 비교 분석하며 국어과 핵심 역량의 의미에 보다 선명하게 다가가고자 하였으며, 범교과 핵심 역량과 국어과 핵심 역량의 관계 정립 방식도 탐색하며 국어과 핵심 역량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국어 능력과 국어과 핵심 역량은 국어 교육을 통해서 습득해야 할 능력을 가리킨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상호 조응하는 속성도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그 개념에 접근하는 방식에 다소 차이가 있다. 국어 능력에 대한 기존 논의를 참조할 때, 국어 능력은 언어.인지 기반 관점이 반영되어 있으며 구인 분석적 방식으로 접근되어 왔다. 이에 반해 국어과 핵심 역량은 사회 기반 관점이 반영되어 있으며 총체적 수행 능력 중심으로 접근되고 있다. 국어과 핵심 역량은 국어 능력을 구성하는 의미 요소를 포함하기는 하지만, 국어 교육에 대한 사회 다양한 분야의 기대와 요구가 응축되어 있는 보다 확장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국어과 핵심 역량과 범교과 핵심 역량의 관계를 설정할 때는 교과 친화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교과의 자율성과 독자성을 확보하고, 총론을 향한 수렴적 지지력을 보여주는 관계를 추구해야 한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recognition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ence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relation among Korean language ability,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and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and an analysis was done on the meaning of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Lastly, the paper explored the relations of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and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have a common goal in achieving important abilities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modes and perspectives of getting access to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This paper found that previous and current discussions and papers on the Korean language ability mostly reflected the perspectives based on the linguistics or the general cognition and approached in a construct analysis method. In comparison,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should reflect the perspectives based on current demands in the society and the holistic approaches in performance abilities. This broadened concept encompasses current expectations and demands from the society. In addition, its autonomy and unique characteristics should be respected in relation to the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should be able to support the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in a harmonious way.

      • KCI등재후보

        국어 교육의 성격과 국어 능력 평가의 한 문제

        이관규 ( Kwang Kyu Lee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8 문법 교육 Vol.8 No.-

        Is ther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country? This is my question in this paper. Of cours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language education, but, language education is not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Korean language department is not only instrumental not also contental. I think that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language usage function enhancement but Korean language ability enhancement. Problem is what Korean language ability is Korean language ability is to know and use korean language. To know Korean language we must study grammar, and to use Korean language we must study function and literature. Generally speaking, grammar scope is involved in Korean knowing, and function and literature scope are involved in Korean using. So we must teach and learn not only grammar as contental, but also function as instrumental. And it is evident that there are evaluation in all education process. In reality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have effected way of all education. It is prohibited that there are knowledge question on CSAT. But I think there must be contental question in CSAT, because knowledge is base of usage, especially in 21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From now on there must be harmony between knowing and using.

      • 공공 기관 서식,문서의 개선을 위한 국어 정책 시행 방향 -국어 책임관 제도의 보완과 공무원의 국어 능력 향상 방안-

        이관희 ( Kwan Hee L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10 先淸語文 Vol.37·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Korean Policy to improve the Forms-Documents of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by having written interviews with forty-three ``Chief Korean Language Officers`` at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rough these processes, they suggested directions of Korean Policy in order to carry out The Chief Korean Language Officer System practically, and improve Korean Language ability of government officials. First, in the dimension of ``The Chief Korean Language Officer System``, they diagnosed problems of this system as formal and impractical conduction. In order to carry out this system practically, they suggested diverse opinions. The proposal of feasible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 ①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ef Korean language officers. ② Materials must be made in the consideration of real works. ③ The guarantee office hours for Chief Korean Language Officers. ④ The adequate compensation. ⑤ The communication with Officers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 in the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government officials.``, they diagnosed that Korean Language ability of government officials is quite weak. In order to improve Korean Language ability of government officials, they suggested diverse opinions. The proposal of feasible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 ①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government officials. ②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③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ability and reflection results in personnel affairs. ④ Reform the exam for government officials.

      • 북한이탈학생의 국어 사용능력 신장에 대한 연구 : 말하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배재훈 한국어문교육학회 2012 어문학교육 Vol.45 No.-

        우리 남한사회는 현재 이미 1만 6천여 명의 북한이탈주민이 입국하여 전국에 정착하여 살아가고 있다. 북한이탈학생들은 풍토와 언어 쓰임이 다른 한국의 학교생활을 갑작스럽게 접하게 됨으로써 정신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탈북 후 중국 등 여러 나라를 거치는 과정에서 장기간의 학습 공백상태가 있다. 이들이 빠른 시일 내에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북한이탈학생에게 맞는 개별화 프로그램과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특별 맞춤형 국어교육의 틀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말하기와 쓰기 지도를 중심으로 북한이탈학생들의 국어 사용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선정, 운영하게 되었고 운영 기간 동안 얻은 자료들을 바탕으로 북한이탈학생의 한국어 사용능력 신장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약 2년간의 북한이탈학생들의 한국어 사용 능력 신장 교실의 운영 과정을 기술하고, 북한이탈학생들의 언어실태와 언어생활, 언어문화를 논의할 수 있었다. 실태분석에서는 북한이탈학생들의 언어생활의 말하기, 쓰기와 관련하여 현저히 낮은 어휘력, 전투적인 언어 사용, 의존적인 언어학습 성향 등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북한이탈 학생의 국어사용능력 신장 방안을 말하기와 쓰기 중심으로 제안해보면 먼저 말하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 본 연구를 사례로 친구들과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 어휘력, 발음교정, 언어예절 등의 요소에 언어향상 프로그램, 동화구연, 학습 연극 프로그램과 같은 교육을 실시할 수 있겠다. 동화구연 프로그램은 풍부한 표현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될 수 있으며 학습 연극 프로그램도 자연스러운 상황에서의 표현력, 어휘력 신장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북한어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에게 언어치료 프로그램은 전문적인 인력을 투입하여 발음을 교정할 수 있으며, 남한의 언어 예절에 대해서도 바르게 배울 수 있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다음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연필을 잡는 바른 자세부터 시작하여 국어의 이해력, 표현력, 띄어쓰기, 받아쓰기, 어휘력, 글의 구조 지식 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며 글을 쓰는데 필요한 남한의 맞춤법을 익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이탈학생을 쓰기 중심의 국어사용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우선 우리나라 남한어의 이해와 표현과 독해력 향상과 맞춤법 이해에 맞는 교재를 개발한 다음, 학생 개별에 맞는 맞춤식 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아울러 북한이탈학생들의 말하기와 글쓰기 수준에서 상당히 많은 발전이 있었다는 것을 제시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그들의 말하기와 쓰기 실력을 향상하여 국어의 사용에 있어서 남한의 학생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학생들의 국어사용 실태를 말하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실태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밝혀봄으로써 좀 더 많은 북한이탈학생들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비교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학생의 한국어 사용능력 신장의 총체적인 이해를 기대한다. Currently about 16,000 North Korean Refugee in our south Korea sett1ed in the country are living in immigration.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in South Korea used a different culture and language by being exposed suddenly be a mental burden, after the defection of several countries such as China goes through the process of 1earning in the long term(as short as 2-3 years) from a few months there is a vacuum. As soon as they can grow in the Korean language skills, we develop for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o individualized program and should be a lot of effort. Therefore, for these special personalized fram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seek. So, I was conducting research based on Korean education program conducted in 2010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suffers from a North Korean Refugee student in this school adaptation process and consequent poor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school maladjustment is to minimize the phenomenon and seamlessly adapt to school life has its purpose. In this study, Korean education program was operated for two years for eliminate 1earning disabilities and boost adaptation to school life. So, I carried out a qualitative case study about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Korean use ability. As a result, nearly two years with North Korean students leaving the classroom that I know the operating process, I was able to discuss about their language status, language life and language culture. In process in 2010, It has to overcome differences in language North and South Korea, language learning ability is essential for learning basic academic and settled, underachievers in school life by minimizing the confidence and self0identity is the purpose of cultivating. We conducted individual self-paced training for promotion of language skills and vocabulary, communication and foster confidence in the ability to adapt in order to improve school to North Korean refugee student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difference of language culture. So, in 2010, we managed Korean program,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torytelling program. In 2011, we managed Korean dream school, Learning plays program. Korean dream school is for the eliminating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plays program is for the school adjustmet.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in study of North Korean Refugee student, low vocabulary, combat use of language, Learning a language-dependent tendency. To boost Korean using ability for North Korean Refugee student, elements related to student learning of each language is required.

      • KCI등재

        중국 청도 조선족 사회의 언어 정체성

        한성우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4

        This paper aims to make a close investigation into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society in Qingdao, China. Since 1990th, Korean-Chinese who was from all across China gathered in Qindao, and they built a new Korean-Chinese society in Qindao. Because they are living in China and making close relationship to Korea, their language is influenced by both Korean and Chinese, and their language shows a complicated language identity. Although Korean language of Korean-Chinese(朝鮮語) is the main language of Korean-Chinese society in Qindao, it's position is very unstable. Because they live in Chinese society and they learn and use Chinese, Chinese interfere in their language and influence on their language too. And the close cultural and economical connection with Korea has a big influence on their language. Therefore their language identity is changing from the Korean language of Korean-Chinese to Korean or Chinese. Both Korean and Chinese has equal probability of replacing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in Qingda. While the cultural and economic connection with Korea is unstable, the influence of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is continuous. Therefore Chinese will have decisive effect on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in Qingdao. 본고는 중국 청도 조선족의 언어 정체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조선족들이 청도에 새롭게 집결하여 형성된 조선족 공동체는 한국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중국 사회 속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언어는 다언어 사회 및 이종언어 사회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현재는 조선어가 이들 언어의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그 지위는 상당히 불안하다. 중국 사회 내에서의 교육과 활동 때문에 중국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중국어의 간섭으로 이어진다. 또한 한국과의 경제적, 문화적 관련 때문에 한국어의 영향도 많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 언어 정체성의 중심은 조선어에서 중국어 또는 한국어로 옮겨 가고 있다. 이들의 공동체는 중국 사회 내에 존재할 수밖에 없어 중국어의 영향은 지속적이지만 한국과의 경제적 문화적 관계는 유동적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중국어가 이들의 언어 정체성의 중심을 이룰 가능성이 매우 높다.

      • KCI등재후보

        제7차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쉼터'의 유형과 활용 방안

        유영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4 No.-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쉼터'는 국어 교육의 창의적 표현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활동이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쉼터'난을 설정한 의도는 국어 문화에 대한 자긍심 고양, 국어 사랑의 의식과 태도 고취, 창조적 국어 생활에 대한 인식 확대, 국어의 발전을 위한 태도 고양 등이다. 국어 교과서에서 '쉼터'는 매우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쉼터'를 본 차시에 도입하여 학습자에게 또 다른 부담을 주는 것은 곤란하지만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효과적인 제재로 활용한다면, 교과서의 내용을 충분히 환용한다는 면에서도 학습자의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면에서도 충분히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국어 교과의 영원한 목표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창조적 언어 사용 능력의 신장을 위해 기여하는 바도 클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상위인지 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학습자 스스로의 자기 주포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할 수 있을 짓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분에 유의하면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쉼터'의 유형을 분석하고 그 활용 방안을 타진해 보았다. 앞으로 이에 대해 더욱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본다. The Swimter (Swimter means 쉼터) is an activity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reative express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to make a section of the Swimter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the elementary school is to do the following things : enhancement of the pride for the culture of the Korean Language, inspiration on consciousness and an attitude of love for the Korean Language, enlargement of the recognition for the original Korean languages living, and enhancement of an attitude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Evaluation for the Swimter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ppears to be very positive. However, regardless of such a positive evaluation, real discussion of the Swimter has never been made. The Swimter found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is a total of 147. Some Swimter is related with a studying goal of a unit, but some Swimter is not related with a studying goal of a unit. The nature of the Swimter become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 of Speaking & listening, Reading, Writing, Speaking & listening & Writing. It is true that the Swimter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has very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erefore, its not good to impose a heavy burden on the learner by introducing the Swimter at this time, but the Swimter is very useful on the aspects ofboth the good use of textbook and improvement of the learners ability if it is used effectively as the subject matter to increase the learners ability on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The Swimter can be categorized as followings. · Practical use as a material to strength recognition of the Korean language · Practical use as a material of language etiquette · Practical use as a material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 Practical use as a material to learn tradition · Practical use as a material of creative change of the Korean languages use · Practical use as a material for the play of the Korean language · Practical use as a material for stimulate interest · Practical use as a material for education of the unity · Practical use as a material for education of unification of the subject The possibilities of the several practical use of the Swimter have been tapped. However, these things are not independent completely. That is, these things are only categorized giving priority on the important natures and not mean that these things can only be user as the materials of education as mentioned above. What the analysis of the Swimter suggests is as follows. First, prepare the contents of systematic and planned education. Second, overcome the fixed format of the Swimter itself. Third, consider the appearing position of the Swimter. The Swimter can be published as both a book form and a supplement. By making the best use of the good points the Swimter has and suggesting the interesting the study material to the learners, the Swimter can be used efficiently as a subject matter of an activity to extend the ability of the creative use of a language which is the goal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The Swimter also can be the background for self-instructive activity of learners by increasing the learners meta-cognition ability. To accomplish these goals, continuous concern is necessary.

      • KCI등재

        성인의 기초 소양으로서 국어 능력에 대한 소고

        이기연 ( Yi Kiyoun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4

        본고는 성인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국어 능력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밝혀내기 위해 국어 능력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정리하고 국어 능력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 및 국어 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성인의 국어 능력이나 독서량이 청소년기보다 낮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 수치가 더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상적인 언어생활뿐 아니라 업무 및 학업에 있어서도 국어 능력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성인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국어 능력이 무엇인지를 밝혀 이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그 양상을 구체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연구는 의미 구성과 소통 능력이 언어 능력의 핵심이 된다고 보고 이러한 능력의 기초가 되는 것이 바로 어휘력-어휘의 의미를 구성하고 소통하는 능력과 읽기 능력-정보를 받아들이고 해석하고 수용하는 능력이라 보았다. 국어 교육은 이러한 영역들을 어떻게 세분화하고 기반이 되는 능력을 어떻게 향상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세부적인 방법을 강구할 수 있도록 추후 활발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minimum level of Korean language ability that adults should possess, I reviewed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bility and examined native speak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ir perception of it. Results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ability and reading capacity in adults were lower than in adolescents, and this also decreased with age. Because Korean language ability is crucial not only in everyday life but also in work and study,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ability that adults should develop. Results suggests that mean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constitute the core of language ability. The ability to accept and interpret information is the basis of the ability to construct meaning and communic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conduct more detailed analyses of these areas and actively discuss ways of improving speakers’ underlying language abilities.

      • KCI등재후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한국어 교육 방안 제언

        조경순(Kyung Sun Jo),이효인(Hyo In L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9

        이 논문의 목적은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한국어’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을 살펴본다.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 대상의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 수에 비해 제한적인 인원만이 한국어 교육 지원을 받고 있으며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에게 의사소통 한국어 교육 지원이 집중되며 상대적으로 학습 한국어 교육은 부족하다. 또한, 의사소통 한국어 교육에 비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을 학교에서 진행하는 데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고는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의 ‘학습 한국어’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웹 기반 학습한국어 교육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은 학생 수에 따른 학급 구성, 교육 접근성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맞춤형 코칭 서비스를 웹 기반 학습 플랫폼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기반으로 학습 한국어를 익힐 수 있음을 논의한다. In this thesis, we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entering midway and from foreign families, and suggest ways to develop their skill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Since Midway Immigrant students and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have to study, not only communication-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erformance is needed.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is examined.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fewer students were recei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In addition, there is a large imbalance in area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 is placed on communi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for immigrants and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but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glecte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chool class. In this paper, a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is proposed as a way to teach Korean language to students entering Korea midway and from foreign families. The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can eliminate problems such as class composition and educational accessibility.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ustomized coaching service to the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learning platform, learners can acquire systematic and ac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KCI등재

        국어교육 연구 60년의 회고와 전망

        이삼형(Lee, Sam-hyung) 국어국문학회 2012 국어국문학 Vol.- No.16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 and pro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aim, this articl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subjects abou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Establish the identity of language education. Second, Introduce the related fields to establish the the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Practic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for a more detailed discussion, This article is presented in order to contribute to introduce the major contents of the each domain ‘s research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ree items already presented.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guidelines and subjects of the study for the tasks and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for setting the direction which were not ‘from Korean language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Korean language’ and for new study tasks which were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including the text and text thinking processes.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이수미(Lee Su mi)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정 기간 동안 어떠한 학습 과정을 경험하는지를 근거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전혀 못하는 단계부터 한국어 학습 목적에 도달하는 단계까지 그들이 겪는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 핵심 현상은 ‘한국어 능력 향상’이었다. 핵심 현상에 관여하는 인과적 조건으로는 ‘한국어의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인과적 조건에 관여하는 맥락적 조건은 한국 생활의 장점, 한국 생활의 어려움, 주위의 기대이며, 중재적 조건은 한국어 능력을 자각하는 시점, 자기 의지로 도출되었다. 또한 인과적 조건을 해결하려는 상호작용 전략으로는 교실 안에서는 한국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교실 밖에서는 친구의 도움 받기, 매체 활용하기, 배운 것 반복하기, 좋아하는 프로그램 반복하여 보기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겪는 결과로는 한국 대학, 대학원에 진학하기, 삶과 생각의 변화로 정리되었다. 또한 이들이 한국어 학습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심리적으로 변화해 가는지를 살펴본 결과 ‘호기심과 관심’의 단계에서 ‘안정과 지루함’, ‘반성과 수용’, ‘시도’로 구조화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면서 겪는 과정의 변화를 통해 한국어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찾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plain the kinds of learning proces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f learning Korean language by grounded theory. The major phenomenon that appeared repeatedly in research subjects,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during the Korean learning process from the very beginning level to the level of reaching their learning goal was ‘improvement in Korean language ability.’ The causal conditions involved in major phenomenon was ‘difficulty of Korean language,’ the contextual conditions involved in causal condition were advantages of life in Korea, difficulties of life in Korea, and expectation from people around them, and conciliatory condition were the point of being aware of Korean language ability and one’s own free will. Also, interaction strategies for settling causal condition includ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Korean language course in classroom, to receive help from friends outside the classroom, to use media, to repeat what they have learned, and to watch favorite programs repeatedly. Results experienced during the Korean learning process were Korean university, to go on to graduate school, and changes in life and thinking.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how they change psychologically during the process of experiencing Korean language learning, ‘curiosity and interest’ was structured into ‘stability and boredom,’ ‘self-reflection and acceptance,’ and ‘attempt.’ This study proposed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changes of experience and proces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 in learning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