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麗末期における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

        기무라타쿠(Kimura Kaku)(木村 拓)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aemyeongsadaeron (logic to justify Daemyeongsadae) of neo-Confucianists (Chu Hsi school government officials) at the end of Goryeo in consideration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aedae. As you may know, Saedae(事大) is diplomatic ideology contained in Confucian scriptures, and its legitimacy can also be found in Confucian scriptures. Among Confucian scriptures, those containing the view to Sadae (explanation on Sadae) are ≪Chunchujwassijeon(春秋左氏傳)≫ and ≪Maengja (孟子)≫. Based on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ir view to Sadae, the author has found that ① their view to Sadae is not basically related with Hwairon(華夷論), ② ≪Maengja≫'s view to Sadae is supported by "Cheon (天)" which transcends difference from Hwai, and ③ Chu Hsi school(朱子學) transmitted and developed ≪Maengja≫'s view to Sadae. Considering what is written above, this study examined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at the end of Goryeo. As a result, the study has found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justifies Daemyeongsadae on account of "Cheonmyeong (天命)" and this Sadaeron can be said to be Cheonmyeongron's Saedaeron(天命論的事大論), and it is not associated with Hwairon's world view of <Myeong(明)=Hwa(華)> <Goryeo(高麗)= i(夷)> at all. Moreover, it pointed out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Maengja≫'s view to Sadae. Although it has been understood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supposes Hwairon's world view of <Myeong=Hwa> <Goryeo=i>, it needs to be corrected afterwar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本稿は高麗末期における新興儒臣 (朱子学者官僚) の対明事大論(対明事大を正当化するための論理) の性格を、事大の基本的性格を踏まえた上で、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 周知のように、事大とは儒教経典の中に見られる一種の外交理念であり、その正当性は儒教経典の中に求められた。儒教経典の中で一定の事大観を示しているのは、『春秋左氏伝』 と 『孟子』 である。両書の事大観を検討した結果、①両書の事大観は基本的には華夷論とは関係しないこと、② 『孟子』 の事大観は華夷の別を超越した 「天」 の存在に裏付けられていること、③朱子学の事大観は、『孟子』 の事大観を継承しながら、それを発展させたもの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以上のことを念頭に置きながら、高麗末期の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を検討した。その結果、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は、「天命」 に基づいて対明事大を正当化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り、天命論的事大論と捉えることができるが、一方で 「明=華」ㆍ「高麗=夷」という華夷論的世界観とは結びつくものではなかったことが分かった。また、新興儒臣の天命論的事大論は 『孟子』 の事大観の影響を受けている可能性があることを指摘した。 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については、これまで 「明=華」ㆍ「高麗=夷」という華夷論的世界観が前提とされていたと考えられてきたが、そうした理解は修正される必要がある。 본고는 고려말기 신흥유신(주자학자 관료)의 대명사대론(대명사대를 정당화하기 위한 논리)의 성격을 사대의 기본적 성격을 고려하면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사대라는 것은 유교경전 속에 보이는 외교 이념이며, 그 정당성은 역시 유교경전에서 찾을 수 있다. 유교경전 중에서 사대관(사대에 관한 설명)이 들어 있는 것은 『춘추좌씨전』과 『맹자』이다. 이들의 사대관을 고찰한 결과, ①이들의 사대관은 기본적으로는 화이론과는 관계하지 않는 것, ② 『맹자』의 사대관은 화이의 구별을 초월한 "天"에 의해 뒷받침되었다는 것, ③주자학이 『맹자』의 사대관을 이어받으면서 이를 발전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것을 염두에 두면서 고려말기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을 생각해 봤다. 그 결과,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은 "天命"으로 말미암아 대명사대를 정당화한 것이고 이런 사대론은 天命論的事大論이라고 할 수 있는데, <明=華> <高麗=夷>라는 화이론적 세계관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은 『맹자』의 사대관에서 영향을 받은 가능성이 있는 것을 지적했다. 지금까지는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에 대해서는 <明=華> <高麗=夷>라는 화이론적 세계관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고 이해되어 왔으나 이런 이해는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高麗末期における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 - 「事大」 の基本的性格の問題に寄せて-

        기무라 타쿠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aemyeongsadaeron (logic to justify Daemyeongsadae) of neo-Confucianists (Chu Hsi school government officials) at the end of Goryeo in consideration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aedae. As you may know, Saedae(事大) is diplomatic ideology contained in Confucian scriptures, and its legitimacy can also be found in Confucian scriptures. Among Confucian scriptures, those containing the view to Sadae (explanation on Sadae) are ≪Chunchujwassijeon(春秋左氏傳)≫ and ≪Maengja (孟子)≫. Based on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ir view to Sadae, the author has found that ① their view to Sadae is not basically related with Hwairon(華夷論), ② ≪Maengja≫’s view to Sadae is supported by “Cheon (天)” which transcends difference from Hwai, and ③ Chu Hsi school(朱子學) transmitted and developed ≪Maengja≫’s view to Sadae. Considering what is written above, this study examined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at the end of Goryeo. As a result, the study has found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justifies Daemyeongsadae on account of “Cheonmyeong (天命)” and this Sadaeron can be said to be Cheonmyeongron’s Saedaeron(天命論的事大論), and it is not associated with Hwairon’s world view of <Myeong(明)=Hwa(華)> <Goryeo(高麗)=i(夷)> at all. Moreover, it pointed out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Maengja≫’s view to Sadae. Although it has been understood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supposes Hwairon’s world view of <Myeong=Hwa> <Goryeo=i>, it needs to be corrected afterwar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本稿は高麗末期における新興儒臣 (朱子学者官僚) の対明事大論 (対明事大を正当化するための論理) の性格を、事大の基本的性格を踏まえた上で、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周知のように、事大とは儒教経典の中に見られる一種の外交理念であり、その正当性は儒教経典の中に求められた。儒教経典の中で一定の事大観を示しているのは、『春秋左氏伝』 と 『孟子』 である。両書の事大観を検討した結果、①両書の事大観は基本的には華夷論とは関係しないこと、② 『孟子』 の事大観は華夷の別を超越した 「天」 の存在に裏付けられていること、③朱子学の事大観は、『孟子』 の事大観を継承しながら、それを発展させたもの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以上のことを念頭に置きながら、高麗末期の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を検討した。その結果、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は、「天命」 に基づいて対明事大を正当化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り、天命論的事大論と捉えることができるが、一方で 「明=華」・「高麗=夷」という華夷論的世界観とは結びつくものではなかったことが分かった。また、新興儒臣の天命論的事大論は 『孟子』 の事大観の影響を受けている可能性があることを指摘した。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については、これまで 「明=華」・「高麗=夷」という華夷論的世界観が前提とされていたと考えられてきたが、そうした理解は修正される必要がある。

      • KCI등재

        전통적 華夷論의 변천과 崔濟愚의 文明觀

        김민석 ( Kim Minseok ) 연세사학연구회 2022 學林 Vol.49 No.-

        이 논문은 전통적 화이론의 구조와 특징, 그것의 수용과 변천 과정을 살펴본 후, 화이론과의 관계에서 동학의 天觀과 聖人觀, 전통 사상 및 서양·청·일에 대한 입장을 중심으로 최제우의 문명관을 검토하였다. 최제우는 天觀에 기초하여 보편주의를 지향하면서도 개방적·포용적 자세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에게 ‘문명’이란 특정 문화나 가치·이념의 구현이 아닌 보편적인 天道의 실현이었으며, 이는 곧 전통적 화이론의 ‘유일·보편’ 문명과는 다른 ‘혼성·보편’ 문명의 지향이었다. Starting from defining the traditional concept, structure, and feature of Hwairon, this study shows how Hwairon had been appropriat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had become the main theory of civilization in Choi Cheu’s era through many changes. After, it explores Choi Cheu’s perspective of civilization on the basis of its relation to Hwairon and the concept of Cheon which was the starting and main point of Choi Cheu and Donghak. By doing so, this paper was confirmed that Choe Je-u aimed for universalism based on the concept of Cheon,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Donghak and the core of doctrine, while at the same time showing an open and inclusive attitude toward specific theories and ideas such as Confucianism and the Western Learning. In other words, it can be summarized as aiming for ‘mixed and universal’ civiliza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Hwai-theory’s ‘only and universal’ civilizaiton.

      • KCI우수등재

        고려 전·중기에 歷史書는 왜, 어떻게 다시 서술되었나: 『三國史』의 구성과 그 후의 변화

        노명호(Ro, Myoungho) 역사학회 2020 역사학보 Vol.0 No.248

        During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Koryŏ, the Confucian historical perspectives were devided into the one with Chŏnhadawŏnron(天下多元論) and the other with Hwairon(華夷論). The two historical pespectives had a common progression from the previous era in terms of evidentialism and demythologization in historical writing. However, the two historical perspectives greatly distorted the outlines of historical transitions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each of their regimes which were quite different. The distortion was mainly made in the formal structure of contents, and the selection of the object of description. Each description of fact itself wa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such distortion, because each of them was descrived based on evidences. Samguksa (三國史) was compiled in Gwangjong(光宗)’s reign by the Confucians with Chŏnhadawŏnron. The structure and form of its contents was to raise the authority of the Koryŏ royal family and the founding powers by setting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Korguyŏ to Koryŏ. Its structure and form of the contents has been largely inherited by Jewangungi (帝王韻紀). The Confucians with Hwairon from former Silla region revealed repulsion against Samguksa which overly downgraded and reduced the history of Silla. Samguksagi (三國史記) was written in their perspective. Silla was described as the historically legimate dynasty(正統王朝) in it.

      • KCI등재

        11~12세기 전후 麗-宋 양국의 문화인식과 『高麗圖經』

        전영준(Yong-joon, Jeo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0

        11세기를 전후하여 동아시아의 諸 국가인 고려ㆍ송ㆍ요ㆍ금ㆍ서하의 국제관계는 미묘하게 전개되었다. 이는 각국의 상호 견제에 의한 결과였지만, 유일한 漢族 국가인 송은 문치주의를 표방하면서도 그들과 문화적으로 유사함을 보이는 고려에 대해 상당 부분 우호적인 입장을 취했다. 중국 역사에서 宋은 대외적으로 가장 세력이 약했던 왕조였다. 이는 송나라가 주변의 이민족 국가와 대치상태에 있었고 이들과의 대외적인 문제가 국가의 운명을 가름하는 관건이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華夷論으로 대표되는 이 시기의 민족 관념은 송과 주변국간의 國勢를 반영하는 명분론과 현실론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긍의 『宣和奉使高麗圖經』 편찬은 송이 국가적 위기 상태를 타개하고자 하였던 바램이기도 하였지만, 송 내부에 만연되어 있는 고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새롭게 하려는 의도도 포함되어 있었다. 『고려도경』은 송에서 파견한 고려 國信使 일행의 개경 방문과 견문 기록을 그림과 함께 엮어낸 서긍의 사행 보고서이다. 서긍의 저술은 외국 저술로는 드물게 고려시대의 문화상을 알 수 있는 사료적 가치와 함께 당시 송의 對高麗 認識을 살필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고려도경』의 찬술은 고려와 송이 서로 문화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정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고려는 국익 확대의 기반이 되는 교역을 중심으로 다원적 천하관을 역설하면서도, 고려에서 활동하는 송 상인들의 습속과 문화에 대한 인식을 재확인하고 있다. 반면, 송의 고려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선진문화가 후진문화에 끼치는 영향력의 범위를 가늠하고 그 안에서 문물의 같고 다름을 통한 동질성과 차별성을 강조함으로써 송이 처한 국가적 위기를 화이론에 입각한 명분론으로 타개하고자 하였음이 확인된다. Delicate international relations among countries of Northeast Asia, Goryeo, Song China, Chin dynasty, and Liao dynasty threatened to Song, which committed to the principle of rule by civil officials (Munchi Juui) around 11th century. It was all over the result of cross-checks among each country, but Song China, the only Han country (Chinese), took a favorable position toward Goryeo showing cultural similarity to its own culture. The Song, in the history of China, was externally the weakest dynasty. It was in a standoff with the other dynasties around the country and external issues with these countries became the key determining the fate of own country. Therefore, the notion of a race at this time represented Hwairon (the theory of Chinese and the Barbarians), was deployed to Myeongbunron (the theory on Justifications) and Hyeonsilron (the theory on Realism) reflecting country power between the Song and neighbor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ompilation of Seogeung’s Seonhwa Bongsa Goryeo Dogyeong wished that the Song would break a state of national crisis, but also included the intention to renew the internally widespread awareness on Goryeo. Goryeo Dogyeong is Seogeung’s report on nation envoy, which Goryeo envoy group was Gaegyeong’s visit and the experience of the group with picture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at. Seogeung’s writings is meaningful in that the data could be gauged trends of the awareness on Goryeo, as well as including images of the culture of Goryeo era as the foreign literature. The compilation of Goryeo Dogyeong had shown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Goryeo and Song had done cultural perception each other. While Goryeo emphasizing the principle of a pluralistic world centering trade based on the expanding of the national interests, it had reaffirmed the awareness on the folkways and culture of Song merchants in Goryeo. On the other hand, I confirmed that Song’s awareness on Goryeo would generally measure the scope of the influence advanced culture had on developing country and overcome national crisis Song faced by emphasizing homogeneity and discrimination through the same or difference of civilization within the awareness.

      • KCI등재

        復菴 李偰의 한문산문을 통해 본 對일본관과 구국방안

        조상우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2

        본고는 이설의 한문산문 중에서 <高等裁判所供辭丙申>, <答警務廳顧問官倭人渡邊招問乙巳>, <答警務局長朴承祖招問>, <上政府書甲午>, <張子房論>, <毛生問答>을 중심으로 하여 이설의 ‘對일본관’과 ‘구국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설의 일본관에서는 일본을 주적으로 정하고 있으며, 그들의 무식과 무지를 꾸짖고 있다. 그리고 그들에게 붙어서 자신들의 이익을 찾은 조선의 대신을 매국의 역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설은 일본을 ‘倭’로 부르며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설은 일본의 만행을 자세히 서술하면서도 일본에 대응할 힘이 없는 조선의 현실에 암울해했다. 그리고 이설은 중국에 대한 義理와 事大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논리가 나오게 된 배경에는 華夷論과 일본의 만행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설은 ‘일본은 물리쳐야 할 대상’임을 명백히 하고 있다. 이설의 구국방안에서는 일본관에서 보였던 유학자의 화이론을 바탕으로 주적을 정하고 그 적을 어떠한 방법으로 무찔러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설은 주로 상소를 통한 항일운동을 전개했기에 거창한 행동을 말하지는 않았다. 당시 조선의 지식인이 본 받아야 할 인물로 이설은 장량을 들고 있다. 장량은 조국의 원수를 갚고자 한 인물인데, 그 충의가 탁월하였다. 이설은 장량을 통해서 기울어져 가는 나라의 운명을 일으키고, 백성들의 의지를 촉발시킬 수 있음을 은연중 드러내고 있다. 이설은 자신의 안위를 생각하여 가만히 있는 것은 성현의 가르침을 모욕하는 것이고 집안의 명성에 먹칠을 하는 것이라고 하여 적극적으로 국가의 위기를 타결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설은 불가한 일을 만약에 한다고 하더라도 고종의 마음을 돌리기 어려운 것을 알고 신하로서의 의리를 지킬 수 없음을 한탄하고 있다. 그리하여 결국 이설은 죽음을 맞을 따름이라고 반문을 하는 장면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현실의 암울함을 표현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reviews Yi Seol’s essays in Classical Chinese to identify his view of the Japanese and his ideas on how to save his nation under Japanese occupation. Seeing the Japanese as his nation’s main enemy, Yi Seol criticizes their unenlightened desire for domination. He also denounces Korean officials who cooperate with the Japanese to protect their interests, calling them “traitors who would sell their nation.” All throughout his essays, Yi Seol makes it clear that he sees Japan as an enemy to be defeated. Yi Seol names Japan as the main enemy based on a theory prevalent among the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Hwairon, which divides the world into the Chinese and the Barbarians. And he also proposes solutions to save his n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Yi Seol takes Zhang Liang, the eminent minister of the Chinese Han Dynasty, as a historic figure to be emulated by Korean intellectuals. In addition, he calls for Koreans’ active participation in resolving their nation’s crisis.

      • KCI등재

        경회(景晦) 김영근(金永根)의 한시에 투영된 위정척사(衛正斥邪) 정신

        이향배 ( Lee Hyang-b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김영근은 중암 김평묵과 오남 김한섭의 제자로서 화서학파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로 평생동안 위정척사, 존화양이의 의리사상을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천부적으로 시재가 있었으며 수많은 한시 작품을 남기고 있다. 그의 시에는 향토성이 짙은 작품이 많으며 자신의 포부와 위정척사의 의리 정신이 관철되어 있었다. 본고는 한시에 투영된 위정척사 정신을 살펴보았다. 첫째로 구한말에 김영근이 서양열강과 일본의 계략적으로 침탈당하는 나라의 현실을 걱정하는 면모를 분석하였다. 그는 국난을 구제해줄 영웅이 나타나주기를 바랬고, 외세에 맞서 싸워 일본과 서양세력을 척결하려는 위정척사의 정신을 발휘하기도 하였다. 외세에 대한 적극적인 배척은 도학의 존망이 달려 있다는 화이론적 관점에서 위기의식의 발로였다. 둘째로 을사늑약 이후에 김영근이 한반도를 유람하면서 일본이 경제적으로 군사적으로 조선을 침탈하는 현장을 목격하고 분개한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일본군 병참이 설치되고 일본인들이 조선 경제를 침탈하는 모습을 보고 나라가 장차 처할 운명에 대해 걱정했다. 그래서 그는 의병을 통해 척결하려는 의기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셋째로 김영근이 일제치하에서 사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고향을 떠나 해외로 가려고 한 사실을 분석하였다. 조선의 선비로서 일본의 백성으로 살아가기를 거부한 그는 고향을 떠나려고 했지만 노모 때문에 떠나지 못하고 부끄러움을 견디며 살아갔다. 결국 노모가 세상을 떠난 뒤에 가족을 거느리고 간도에 갔지만 정착하지 못하고 1년 만에 돌아와서는 은둔하여 제자들을 가르치고 학문을 탐구하며 광복을 기다렸다. 넷째로 김영근이 서구 문화 유입으로 일어난 세태 변화에 대한 비판과 사도를 고수하는 면모를 분석하였다. 일본 관리가 부자들의 횡포를 방관하고 양반출신 여자들이 장사에 나서는 세태에 대해 비판했으며, 이혼가정이 늘고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등 전통적 가족 제도가 무너지는 현상을 지적했다. 그래서 금수 사회로 떨어진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교적 질서의 회복을 강조했으며 위정척사 존화양이의 의리 실천을 통해 사도(斯道)를 고수하였다. 이와 같이 김영근의 한시에 투영된 위정척사의 정신은 그가 철저하게 화서학파의 의리사상을 실천하며 살아왔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의 한시 세계는 일제 강점기를 살아 가야만 했던 전통지식인들의 삶과 고뇌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As a scholar he was indoctrinated in the ways of Hwa-seo School, student to Jungam Kim Phyeong-Muk and Onam Kim Han-Seob, Kim Young-Geun is someone who practiced the principle of Zongfa-yangi, righteous austerity in thought, his whole life. He was a poetic genius and left us many Korean poems. Much of his poetry is flavored with the local context of things happening around him while being heavily influenced by the principles he believed in, righteousness thought of Wijeongchuksa.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spirit of Wijeongchuksa reflected in this poetry. First, this study analyzed Kim Young-Geun`s work demonstrating his concerns in response to the arrival of Western influence and the invasion of Japan. He wanted to inspire his followers during a time of national crisis, in hopes that the spirit of Wijeongchuksa would aid them in the fight against western influence foreign powers and to defeat Japan. The aggressive denunciation foreign power was an expression of awareness of a crisis from a perspective of Hwairon (a theory ascribing Civility to one group and Barbarism to the rest) which later gave way to Dohak. Second, this study focused on Kim Young-Geun work depicting his observations of Japan`s financial and military invasion and the outrage he felt while he traveled Korea following the Japan-Korea Treaty of 1905. He was concerned for his country`s future welfare as he witnessed the occupa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and their (the Japanese`s) immersion into the Korean economy. Kim Young-Geun went on to express the need to fight through a Righteous Army. Third, this study analyzed how Kim Young-Geun considered it grossly humiliating to liv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his attempts to escape. As a scholar of Joseon, he refused to live as Japanese citizen and tried to leave his hometown. However, he was forced to live in shame as he could not abandon his elderly mother. After the death of his mother, he went to Gan-do with his family, but was unable to settle down. After a year, he came back, deciding to live in seclusion while teaching students, studying, and waiting for the liberation. Forth, the study focused on how Kim Young-Geun openly criticized society`s departure from Confucianism following its exposure to Western culture. He criticized how Japanese officials just sat and watched the tyranny of the rich, especially when women from noble classes tried to do business. Moreover, he spoke out against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resulting in of divorces and failure to care for elderly parents. Thus, in hopes of raising society from failing morally, he emphasized a restoration of Confucian ideals and did his best to practice the precepts of righteous thinking daily. And so we see how the spirit of Wijeongchuksa reflected in Kim Young-Geun`s Korean poetry is the evidence that he lived practicing the Zongfa-yangi of the Hwa-Su School. His Korean poetry is meaningful as it portrays the life and agony of a traditional intellectual who had to endu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후보

        正統과 異端, 그 역사와 본질 - 율곡을 중심으로 -

        황의동 (사)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The tension between orthodoxy and heterodoxy has a long history. Mencius in the late Zhou Dynasty defines Yangzhou(楊朱) philosophy and Mohism as heterodoxy and prohibits. HanYu(韓愈) in late Tang Dynasty also expels Taoism and Buddhism as heterodoxy and JeongJa and Zhuzi(朱子) also proscribe Buddhism for the same reason. In Korea, An Hyang, Jeong Mongju, Jeong Dojeon, and others during the late Korean Dynasty forbid Buddhism and Taoism as heterodoxy, and Song Siyeol and others label Quing Dynasty as barbarians and argue theories on cultural orthodoxy and heterodoxy. Additionally, Western Learning was forbidden as heterodoxy in the Confucianism perspective during the 19th Century. YulGok also criticizes and proscribes Buddhism, Taoism,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s well as other Confucians. This criticism is based on the belief that Confucianism is orthodoxy. Any philosophies which do not meet with the Confucianism’s principles of Humanism and ethics are regarded as heterodoxy. In Confucianism perspectives, Buddhism’s denying family and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and Taoism’s renouncing the world and pursing transcendental life are selfish, unethical, and unrealistic. Multiple cultures and various religions coexist in modern society. It is not appropriate excluding others as heterodoxy while insisting oneself as orthodoxy. We need to live together by conceding others in a coexisting cultural scope. 孔. 孟이래 정통과 이단의 갈등은 역사적으로 있어 왔다. 唐末의 韓愈는 유교부흥을 내걸고 闢異端을 주장하였고, 송대 程. 朱도 벽이단에 앞장 섰다. 우리나라에서도 麗末 유학자들이 벽이단을 주장했고, 17세기 병자호란 후 의리파들은 華夷論의 입장에서 中華正統의 기치를 높이 들었으며, 한말 西勢東漸의 위기에서 華西學派를 비롯한 유학자들도 衛正斥邪운동을 전개하였다. 율곡의 경우도 다른 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불교, 도가, 육왕학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이를 비판하였다. 그는 불교, 도가, 육왕학만이 이단이 아니라 先王의 道를 부정하고 개인의 사사로운 이욕을 좇는 것은 모두 이단 아님이 없다 하였다. 율곡이 불교,도가, 육왕학을 이단으로 보는 중요한 논거는, 그들이 유학에 반하는 것이라는 점과불교의 출가나 도가의 초탈적 성격이 가정과 사회, 국가를 부정하는 이기적인 것이라 보는데 있다. 그리고 율곡을 비롯한 유학자들에게 있어 정통의 본질은 仁, 仁義之道, 孔孟之道, 聖賢之道, 先王之道, 堯舜之道로서 斯道, 斯文, 道學을 말한다. 유학이인간학이고 또 사회, 국가, 인류에 대한 투철한 우환의식과 윤리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불교, 도가, 양명학에 대한 정통론을 내세우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현대사회는 글로벌시대요 다문화, 다종교사회라고 볼 때, 정통과 이단의 갈등은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타 종교, 타 문화에 대한 너그러운 이해와 수용성이 요구된다. 유교가 아무리 훌륭한 철학사상이라 하더라도 타 종교, 타 문화를 수용해 보완할 줄 알아야 한다. 정통과 이단의 갈등을 극복하고 지구촌의 문화적 평화와 공존의 세계를 만들어야 하겠다.

      • KCI등재

        정통(正統)과 이단(異端), 그 역사와 본질 -율곡을 중심으로-

        화의동 ( Eui Dong Hwang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孔. 孟이래 정통과 이단의 갈등은 역사적으로 있어 왔다. 唐末의 韓愈는 유교부흥을 내걸고 闢異端을 주장하였고, 송대 程. 朱도 벽이단에 앞장 섰다. 우리나라에서도 麗末 유학자들이 벽이단을 주장했고, 17세기 병자호란 후 의리파들은 華夷論의 입장에서 中華正統의 기치를 높이 들었으며, 한말 西勢東漸의 위기에서 華西學派를 비롯한 유학자들도 衛正斥邪운동을 전개하였다. 율곡의 경우도 다른 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불교, 도가, 육왕학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이를 비판하였다. 그는 불교, 도가, 육왕학만이 이단이 아니라 先王의 道를 부정하고 개인의 사사로운 이욕을 좇는 것은 모두 이단 아님이 없다 하였다. 율곡이 불교, 도가, 육왕학을 이단으로 보는 중요한 논거는, 그들이 유학에 반하는 것이라는 점과 불교의 출가나 도가의 초탈적 성격이 가정과 사회, 국가를 부정하는 이기적인 것이라 보는데 있다. 그리고 율곡을 비롯한 유학자들에게 있어 정통의 본질은 仁, 仁義之道, 孔孟之道, 聖賢之道, 先王之道, 堯舜之道로서 斯道, 斯文, 道學을 말한다. 유학이 인간학이고 또 사회, 국가, 인류에 대한 투철한 우환의식과 윤리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불교, 도가, 양명학에 대한 정통론을 내세우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현대사회는 글로벌시대요 다문화, 다종교사회라고 볼 때, 정통과 이단의 갈등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타 종교, 타 문화에 대한 너그러운 이해와 수용성이 요구된다. 유교가 아무리 훌륭한 철학사상이라 하더라도 타 종교, 타 문화를 수용해 보완할 줄 알아야 한다. 정통과 이단의 갈등을 극복하고 지구촌의 문화적 평화와 공존의 세계를 만들어야 하겠다. The tension between orthodoxy and heterodoxy has a long history. Mencius in the late Zhou Dynasty defines Yangzhou(楊朱) philosophy and Mohism as heterodoxy and prohibits. HanYu(韓愈) in late Tang Dynasty also expels Taoism and Buddhism as heterodoxy and JeongJa and Zhuzi(朱子) also proscribe Buddhism for the same reason. In Korea, An Hyang, Jeong Mongju, Jeong Dojeon, and others during the late Korean Dynasty forbid Buddhism and Taoism as heterodoxy, and Song Siyeol and others label Quing Dynasty as barbarians and argue theories on cultural orthodoxy and heterodoxy. Additionally, Western Learning was forbidden as heterodoxy in the Confucianism perspective during the 19th Century. YulGok also criticizes and proscribes Buddhism, Taoism,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s well as other Confucians. This criticism is based on the belief that Confucianism is orthodoxy. Any philosophies which do not meet with the Confucianism`s principles of Humanism and ethics are regarded as heterodoxy. In Confucianism perspectives, Buddhism`s denying family and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and Taoism`s renouncing the world and pursing transcendental life are selfish, unethical, and unrealistic. Multiple cultures and various religions coexist in modern society. It is not appropriate excluding others as heterodoxy while insisting oneself as orthodoxy. We need to live together by conceding others in a coexisting cultural sc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