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지 만화와 만평으로 본 여성 - 작가 의식을 통한 식민지적 근대를 중심으로

        이명희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6 No.-

        본 연구는 서구적 근대가 여성 표상을 통해서 어떻게 식민지적 근대를 형성해 갔는가를 잡지에 나타난 만화나 만평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때 식민지적 근대는 끊임없이 동요하면서 협력과 저항의 양면적인 모습을 보이는 회색지대, 즉 지배양식과 맞아 떨어지지 않고 서구적 근대와 대립하면서도 착종되는 지점을 이른다. 바꿔 말하면 서구적 근대가 기존의 전통이나 이념을 만나면서 그것이 그대로 사회구성원들에게 답습되지 않으며 오히려 사회구성원들은 그것을 전통과 교합하는 지점에서 서구적 근대와는 다른 식민지적 근대를 형성해 나간다는 것이다. 이 점을 분석하기 위해 본 글은 작가가 사회적 인식을 포착하는데 있어서 만화나 만평을 통해 여성의 표상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작가의 의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때 작가의 의식은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을 정확하게 포착한 작가 혹은 편집자의 표현이자 선택이다. 만화와 만평에 주목한 것은 우선 기존의 연구가 지나치게 문학작품 내지 텍스트 중심이었다는 데에 있다. 다른 한편 서구적 근대가 여성 표상을 통해 어떻게 굴절되고 있는지를 만화와 만평은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만화와 만평을 통해서 드러나는 여성에 대한 작가의 의식은 아이러니와 희화화라는 방식을 통해서 표출되고 있다. 아이러니와 희화화라는 방식을 통해서 표현되고 있는 여성상은 사회적 의식이 이중성을 지니거나 균열된 지점이 있음을 반증한다. 만화와 만평에 표현된 여성의 상은 서구적 이미지를 지니고 있음에도 어딘지 모르게 한국적인 여성의 상을 지니고 있다. 이때 여성상은 서구적 이면서도 서구 여성과는 다른 민족 전통의 특징들을 드러낸 내면화된 여성이다. 그러니까 만화와 만평에 나타난 여성상은 외양이든 의식이든 서구적인 근대의 상을 지녀야 하지만 여전히 전근대적인 여성상을 포기하고 있지 않다. 이때 여성상을 통해서 드러나는 아이러니와 회화화라는 작가의 표현은 서구적 근대에만 침잠되지 않는, 즉 서구적 근대를 추종하면서도 식민지적 근대로 서고자 하는 사회적 의식을 제대로 포착한 작가의 주체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근대적 여성의 상은 명확해진다. 단지 근대 외피를 두른 여인상과는 달리 사회적 인식은 근대로 향한 적극성 속에서도 예의를 지킬 줄 아는 여성을 원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때 '예의 있는 여성'을 요구하는 지점이야말로 서구적 근대를 단지 근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재조정이 이루어져 식민지적 관대 여성의 상이 탄생하고 있는 지점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magazine cartoons and caricatures of the colonial modern days, along with the process in which the westernized modern images of femininity become the colonial images. The colonial images are involved in what's called "Gray Zone", which contains dual aspects: cooperation and resistance. Although they are not compatible with the ruling policy but confronted with it, they're eventually settled down. In other words, the westernized modern images of femininity come to meet the existing convention and ideas, giving birth to the colonial modern images of femininity. For the purpose of its analysis,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sciousness of writers and focuses on the images of femininity in cartoons and caricatures. Writers or editors pick up and represent the consciousness of each member of the society.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s on cartoons and caricatures is that the existing researches excessively have depended on only literary works or texts. Another reason is that cartoons and caricature can vividly show the process in which the westernized modern images turn into other image. The consciousness of writers toward femininity in cartoons and caricatures is expressed through irony and satire. Such femininity shows social dualism or rupture. Thus, the images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both western images and Korean images. The images of femininity through irony and satire include the images of westernized modern images externally or internally. And also the images don't give up some conventional Korean images. Writers make the most of the techniques of irony and satire in order to express their consciousness of modern femininity which pursues the westernized images and the colonial images at the same time. As we've seen, the desirable images of modern femininity are not superficial ones but courteous ones, along with active attitude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demanding of courteous modern femininity readjusts the westernized images and brings forth the colonial images.

      • KCI등재후보

        지나이다 기피우스 시에 나타난 여성과 여성성의 문제: 시 「여성적인 것은《없다》」, 「여자-성」, 「영원히 여성적인 것」을 중심으로

        장은재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3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9 No.-

        본고에서는 모더니즘 일반과 러시아 상징주의에서 성(sexuality)의 담론와 형이상학적 원리로서의 여성성(femininity)이 부상하게 된 배경과 그 한계를 살피고, 시 「여성적인 것은 《없다》」, 「여자-성」, 「영원히 여성적인 것」을 중심으로 러시아 상징주의자 지나이다 기피우스에게서 나타나는 여성과 여성성의 문제를 살펴본다. 여성 작가로서 기피우스는 여성과 여성성에 대해 모순되는 태도를 취한다. 그는 여성과 여성성을 서로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육을 가진 성별로서의 여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다. 기피우스에게 여성성이란 긍정적인 ‘영원한 여성성’의 원리와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원리를 동시에 담지하는 것이었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피우스는 긍정적 여성성은 성과 분리 가능한 정신적인 원리로, 부정적 여성성은 성에 분리불가능한 것으로 정립한다. 시 「여자-성」, 「영원히 여성적인 것」은 양극단의 여성성에 대한 기피우스의 서로 다른 태도를 보여주며, 그가 모순적 여성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방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여성적인 것은 《없다》」는 기피우스가 여성이라는 자신의 물리적/사회적 성별로부터 끝내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기피우스는 가부장적인 젠더 담론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했으며, 여성혐오적이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들은 지배 담론 속에서 확보되지 못한 여성과 여성성의 위치를 어떻게든 마련하고자 했던 20세기 초 ‘주류’ 문단에서의 시도들을 보여준다. This paper searches the background of the rise of a discourse of sexuality and the rise of femininity as a metaphysical principle in modernism and Russian symbolism, and focusing on the poems 「Feminine 《None》」, 「Womanness」, 「The Eternal Feminine」, examines problems of women and femininity in the poems of Zinaida Gippius, a Russian symbolist. As a female writer, Gippius takes a contradictory attitude toward women and femininity. She insists that women and femininit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She takes a negative attitude toward women with flesh. For Gippius, femininity embodies both the positive principle of 'eternal feminine' and the negative and destructive principle at the same time. The poems 「Womanness」 and 「Eternal Feminine」 show Gippius'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 extremes of femininity and the way she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contradictory femininity. However, 「Feminine 《None》」 shows that Gippius could never be free from her physical/social gender as a woman. Gippius has not escaped from the patriarchal gender discourse and cannot be free from criticism that she is misogynistic. Nevertheless, her poems show attempts in the 'mainstream' literary circl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o secure a position for women and femininity that were not secured in the dominant discourse.

      • Femininity in Everyday Life

        Premalatha Karupiah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7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학술대회자료집 Vol.2017 No.1

        The meaning of femininity varies in different societies.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femininity in everyday lif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the in-depth interview technique with twelve Malay Muslim women in Malaysia. They were select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After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the data was analyzed to identify common themes in the meaning of femininity among these women. Two main themes were identified: essentialist view of femininity and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spaces. These themes showed that most participants have an essentialist view of femininity. They also expressed empowerment as an important part of femininity in contemporary society. Thei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show how emphasized femininity can be articulated as a form of empowered or liberated femininity.

      • KCI등재

        왕가위 영화에 드러난 여성성의 이중적 층위

        박기수 ( Park Kisoo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 Vol.0 No.60

        This article examines the femininity aspect shown in Wong Kar-wai films within the frame work of grammar of the films. The attraction of his film come from dissemination of uncertainty by isolated characters who can not communicate. Wong Kar-wai films create competing struggling field of double sided or contradictory elements. Also the films attempt collage not logical series by disturbing traditional meaning narrative that connect time and space aligning the bits. Wong Kar-wai’s continuous attempts in his films are provocative as Sergei Eisenstein claim that essence of film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s not the messages. The female images of his films were interpellation as independent agent not object or opposite agent for male characters. femininity from his films is rather independents settling in places not nomad searches. Julia Kristeva clams that femininity is realized by continuous changed of categories and meaning of femininity. Females from his films are stronger in independence rather than distinct domain, but they show characteristics which can not be capture by words or reason. Modern characters show acceptance and caring femininity based on morality based on the differences, femininity by Wong Kar-wai aim for differentiating phallocentric masculinity and femininity while accepting traditional femininity at extreme level so that modern meanings are called for. Femininity from Wong Kar-wai films is independent being that can not communicate. It’s free domain beyond languages and reasons based on the specifics rather than the opponent of masculinity. It’s also independently realized variation in the link of meaningless time, not a duty aim for nurture, caring and peace.

      • KCI등재후보

        섬유 소재와 여성성의 표현에 관한 고찰

        사설군(Xie, Xue-j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3 조형디자인연구 Vol.16 No.2

        현대예술은 각 장르들 간의 경계를 허물면서 그 범위를 넓혀감에 따라 작품의 주제에 있어서도 과거에는 다룰 수 없었던 사회, 정치적인 문제, 인권과 여성에 대한 문제 등에 대해서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작품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적인 부분, 즉 매체의 선택에 있어서도 신소재와 미디어, 과학기술 등을 기존의 매체들과 접목시키는 방법으로 더욱 다채롭고 실험적인 시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양한 매체들 가운데에서도 특히 섬유는 여성작가들에게 애용되고 있는 매체로써 많은 작가들이 섬유를 작품의 주재료로 선택함으로써 ‘여성의 감수성’ 및 ‘여성성’의 본질, 그리고 그 관념에 대한 표현을 극대화하고 있다. 현대에 존재하는 수많은 매체들 중에서 유독 섬유가 여성성의 표현에 있어 두드러지는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단순히 여성작가의 수가 예전에 비해 늘었다는 이유만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많은 여성작가들이 그들 작품의 주재료로 섬유를 선택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이 섬유라는 매체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관념은 무엇이며, 또한 섬유가 가지고 있는 어떠한 특성이 여성성과 연관성 및 동질성을 가지는 것인지에 대하여 심도 있게 고찰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의문을 출발점으로 먼저 여성성의 정의와 역사 속에서의 여성성 등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선행하였고, 그 이론을 토대로 여성의 일과 섬유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섬유와 여성성의 연관성과 동질성에 대하여 총괄적으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섬유를 주재료로 선택하여 여성성을 주제로 작품을 제작하고 있는 서구와 중국의 대표적인 작가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에바 헤세(Eva Hesse), 아네트 메사제(Annette Massage), 낸시 데이비드슨(Nancy Davidson), 그리고 중국의 작가 천칭칭(陳慶慶, Chen, Qingqing), 인시우젼(尹秀珍, Yin, Xiuzhen), 린톈묘(林天苗, Lin, Tianmiao), 천이엔잉(陳 音, Chen, Yanyin) 8인을 선정하고 그 작품들을 통해 그들이 어떻게 섬유 소재를 응용하여 여성에 대한 관념을 표출하고 동질성과 표현력을 극대화시키고 있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As contemporary art has dissolved the borders between different genres and extended its scope, artists can now freely express their own ideas in themes that could not have been covered in the past, such as issues about the society, politics, human rights and women. Moreover, in terms of selecting the tools, or mediums, to express their works, artists can now make more diverse and experimental attempts by converging new materials, media and scientific technology with the existing mediums. Among various mediums, textiles are especially favored by female artists. Many artists choose textiles as the main materials for their works, maximizing the essence of 'female sensibility' as well as 'femininity', and the expression of such ideas. Why has the medium of textiles, of all the other mediums, been selected by so many artists to express the idea of femininity? The reason why textiles, among so many mediums in the modern times, have come to play a prominent role in expressing femininity may not be just ostensible. Thus,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consider the questions of why many female artists are selecting textiles as the main materials for their works, what are the ideas they intend to depict through the medium of textiles, and what points of femininity have a correlation and homogeneity with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extiles. With these questions as the starting point,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research on the definition of femininity and femininity in history, based on which it comprehensively studied the correlation and homogeneity of women's career and textiles. Thus, this study selected Louise Bourgeois, Eva Hesse, Annette Massage, Nancy Davidson, Chen Qingqing, Yin Xiuzhen, Lin Tianmiao, Chen Yanyin 8 representative artists in the West and China who are producing works with textiles as their main materials to express the idea of femininity. Through their work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y express the idea of women using the medium of textiles and maximize the homogeneity and expressiveness,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current positions of textiles and femininity in contemporary art.

      • KCI등재

        노자(老子)의 물(水)에 관한 연구 -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

        이현철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2 No.-

        Lao-tzu advocates Dao because of its criticism against provincialism and artificiality of Confucian ideology represented by male order. Lao-tzu viewed that patriarchal moral politics,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仁義禮智)” a ruling ideology of Confucianism that unilaterally defined the nature of people, led people to promote false behavior and maneuver. Lao-tzu argues for an alternative idea of ‘nonactive nature(無爲自然)’ which is to live a true life in pursuit of each human nature, away from artificial and pretentious consciousness. Lao-tzu advocates Dao as the principle of ‘nonactive nature’, and as a metaphor for Dao, he used ‘water(水) to recommend that everyone, including the monarch, live like water. For Lao-tzu, the significance of water can be reached differently through mytholog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First, water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is related to China's goddess of creation, the moon, and people's desire for inexhaustible water in an agricultural society. Next, water,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can be understood by linking 'the nature of water' and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Lao-tzu’, which means ‘softness and persistence’, ‘quietness and femininity’, and ‘emptiness and inaction’ of water. Furthermore, water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can be encompassed as ‘femininity of Dao’. Incidentally, after the paper entitled 『Feminism and Lao-tzu Philosophy』 by Jeong Se-geun was published, the ‘femininity of Dao’ has been sought and studied as an alternative to feminism, a solution to the crisis of modern civilization and life or the problem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class. However, ‘femininity of Dao’ may lead people to mistakenly understand Lao-tzu’s Dao as ‘sensible femininity’ or femininity as opposed to masculine nature. Lao-tzu's concept of Dao is a fundamental concept of substantiality that transcends women and men. Thus, the ‘femininity of Dao’ as an alternative of feminism that has a primitive limitation as far as it emphasis femininity over male-centered ideology. Other than that, it is because the ‘nonactiveness無爲’ as the nature of water and as the ‘femininity of Dao’, is an art of governing required for the ruler not for the common man, which aims to reflect on the male orders of Confucianism. 노자가 도를 주창한 것은 유가의 남성 질서에 대한 편협성과 인위성에 대한 비판의식 때문이다. 노자는 유가의 통치이념인 ‘인의예지’라는 가부장적 도덕 정치가 오히려 백성들로 하여금 거짓된 행동과 교묘한 술수를 조장한다고 보았다. 이에 노자는 가식적인 의식에서 벗어나 각자 인간의 본성을 좇아 참다운 삶을 사는 ‘무위자연’이라는 대안적 사상을 제시한다. 노자는 그 무위자연의 원리로서 도를 주창하고 그 도의 비유로서 ‘물’(水)을 들어 군주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물같이 살기를 권한다. 노자에게 있어 도에 대한 은유인 물에 대한 의미는 신화적 관점과 철학적 관점에서 서로 다른 중요한 의미로 접근할 수 있다. 먼저 신화적 관점으로서의 물은 중국의 창세 여신과 달, 그리고 농경민족의 ‘마르지 않는 물에 대한 염원’과 관련이 있다. 다음으로 철학적 관점으로서의 물은, ‘물의 속성’과 ‘노자의 철학사상’을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물의 ‘부드러움과 지속성’, 물의 ‘고요함과 여성성’, 물의 ‘비움과 무위’가 그것들이다. 나아가 이 철학적 관점으로서의 물은 ‘도(道)의 여성성’으로 포괄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도의 여성성’은 정세근의 『여성주의와 노자철학』이라는 논문 이후 페미니즘의 대안, 즉 현대의 문명・생명의 위기나 사회적 소외계층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모색되고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이 ‘도의 여성성’은 노자의 도를 ‘분별적인 여성성’ 즉, ‘남성성에 대립한 여성성’으로 잘못 다뤄질 여지를 준다. 노자의 도는 여성과 남성을 초월한 근원적 본체 개념이다. 따라서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는 여성성을 강조하는 한 현실에서 노자의 ‘도의 여성성’은 페미니즘적 대안으로는 근원적인 한계를 지닌다. 한계의 또 다른 이유는 물의 속성이자 ‘도의 여성성’ 측면에서의 ‘무위’는 일반인이 아니라 통치자에게 요구되는 통치술이기 때문이며, 이 통치술은 현실 가능한 전략이기보다 유가의 남성 질서에 대한 반성을 목적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레베카』에 나타난 라캉적 여성성과 양가적 여성적 구조로서의 가장(무도회)

        김일영 ( Il-yeong Kim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20 근대 영미소설 Vol.27 No.3

        Main criticisms of Rebecca have regarded the novel as its narrator’s bildungsroman or a romance in which its protagonist achieves a symbolical triumph over Rebecca, Maxim’s wicked former wife. The novel, however, is about Rebecca as well as the anonymous narrator, who embodies Lacanian femininity. To have identity, according to Lacan, one should enter the symbolic which disallows parts of one’s desires. In entering the symbolic, a man entirely submits to the symbolic, but a woman resists entire subjugation, pursing some desires forbidden by the symbolic. Rebecca marries Maxim de Winter to be a symbolic subject as de Winter. But, not wholly satisfied with the phallic jouissance, Rebecca pursues Other jouissance, thus revealing Lacanian femininity characterized by its ambivalent feminine structure. The anonymous narrator also realizes Lacanian femininity. She marries Maxim de Winter to have a name/identity as de Winter, and tries to conceal Maxim’s murder to protect her name as de Winter. The narrator, however, also has the unconscious desire for Other jouissance, as suggested by her unconscious identification with Rebecca. The Lacanian femininity manifests itself as masquerade, which annually takes place in Manderley. While Rebecca, in the masquerade, reveals the femininity as the masquerade by masquerading herself as Caroline de Winter, the narrator realizes Lacanian femininity by unconsciously transforming herself into Rebecca.

      • KCI등재

        광고의 여성성 표출과 이데올로기

        백선기(Seon Gi Baek),박지아(Ji A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09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1 No.1

        본 연구는 최근의 모바일 폰(Mobile Phone) 광고에 나타나고 있는 여성 이미지 중심의 광고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의미와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여성들의 소비증가로 인한 광고의 경제적 소구를 위한 전략적 시도로서 여성들의 이미지들이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이들 여성이미지 활용은 동시에 여성성(femininity)이나 섹슈얼리티(sexuality) 등 여성들에 관한 논쟁적인 화두를 제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여성성과 섹슈얼리티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두 편의 TV 모바일 폰 광고를 선정하여, 영상화면의 이미지들과 그것들의 의미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다양한 기호학적 분석방법들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TV 모바일 폰 광고는 세 가지 서로 다른 층위의 재현 양식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표출 층위, 심층 층위 및 이데올로기 층위이다. 표출 층위에서는 여성들의 능동적 소비주체와 적극적인 여성성이 표출되고 있으나, 심층층위에서는 `보여지는 여성`, `객체화된 여성`, `남성의 성적 판타지로서의 여성`, `남성의 욕망의 대상으로서의 여성`, `물신화된 여성` 등의 다양한 여성성들이 드러나고 있다. 나아가, 이데올로기 층위에서, 이들 다양한 여성성들을 지지하고 있는 우리사회의 `여성 물신화 이데올로기`, `여성 상품화 이데올로기` 및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 등이 자리잡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cial and ideological meanings of women images and their femininities in the mobile phone ads. The authors selected two mobile phone ads which already raised the issue about sexuality and its abuse as main research objects, and analyzed them with semiotic research methods. A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three different layers of representation and their own specific meanings: `superficial level of structure,` `in-depth level of structure` and `ideological level of structure.` The first level of representation depicted active female customers and progressive femininities. But, in the deep level of meaning structure, there were various femininities of women; that is, `objectified femininity,` `commercialized femininity,` `men`s fantasized femininity,` `erotically objectified femininity` and `materialized feminity.` Finally, these various femininities would be supported ideologically by `female-commercialized ideology,` `female-materialized ideology` and `male-dominant ideology.`

      • KCI등재

        사회적 관계성을 위한 여성성의 건축 설계 특성에 관한 연구-Kazuyo Sejima, Jeanne Gang 작품 중심-

        김형자 ( Hyungja Kim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연결의 공간이 요구되며 유연한 사고와 다양성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사회적 공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거주환경은 여전히 과거의 남성과 주류층 사고에 기초한 위계적 공간 구조가 주를 이루며 기계론적 사회 구조와 결정론적 사고 중심에서 변화를 거부한다. 반면 여성은 유연한 네트워크와 창의력에 가치를 두며 결과에 대한 공동의 모색과 변화를 찾는 성격을 띤다고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츠(John Naisbitt)가 밝힌 것과 같이 ‘여성성’은 현대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제시할 가능성의 영역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여성적 가치’를 기존의 남성 중심, 주류 중심의 사고에 대한‘다름’이 아닌 ‘차이’로써의 관점을 바탕으로 여성 고유의 경험과 사회적 관계로 형성된 ‘여성적 환경설계 특성’과‘여성적 공간구성 특성’을 연구하여 ‘여성성의 공간적 가치’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 연구 및 문헌 자료를 통해 여성성의 동서양 의미와 사회적 관계성을 위한 여성적 가치의 의미를 고찰하고 둘째. 페미니즘 건축의 흐름을 파악하여 선행 연구된 여성적 설계접근 방식을 이해하고 그 특성을 재정립하여, 사례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셋째. 여성적 설계접근 방식의 특성과 건축 공간 구성 특성을 중심으로 사례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으며 넷째. 동서양의 대표적인 여성 건축가인 Kazuyo Sejima(SANAA)와 Jeanne Gang(Studio Gang)의 건축 작품에서 사회적 공간을 중심으로 여성적 환경설계 접근방식과 공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환경설계 접근방식에서 두 그룹 모두 총체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융합성과 감성 지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관계성을 중심으로 사용자, 공간의 용도, 공간의 구조를 문화적, 사회적, 물리적 맥락성에 따라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어떠한 감성을 느끼게 할지를 고민하는 설계 접근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공간구성 요소에서 공통되게 프로그램을 통한 공간구성을 중요시하였으며 다양한 관계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은 볼륨과 레벨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비워진 공간으로 유연함과 가변성이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도록 설계하였다. (결론) Kazuyo Sejima(SANAA)와 Jeanne Gang(Studio Gang)은 커뮤니티 공간의 설계방식에서 자연요소, 공원, 놀이터, 운동장, 카페와 같은 익숙한 공간으로 접근이 쉽고 우연을 발생시키는 동선을 유도하였다. 이는 심리적 경계를 낮추고 자연스러운 만남의 관계를 유도하였으며 커뮤니티의‘사회적 관계성’을 높이는 부드럽고 유연한 여성적 설계 접근 방식으로 해석된다. 또한, 설계 진행의 소통에서도 Top-Down으로 이루어지는 권위적 결정보다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의 아이데이션 회의를 통한 열린 결과를 이끌어가는 유연한 사고의 여성적 설계방법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심화된 여성성의 건축 공간 가치 연구로 유연한 사고와 다양성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사회적 공간’ 의 활성화를 높이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paces of multi-layered and complex connectivity, especially “social spaces” that emphasize flexible thinking and diversity,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modern society. However,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full of hierarchical spatial structures based on the past masculine and mainstream thought that denies change at the center of mechanical social structure and deterministic thinking. On the other hand, as futurologist John Naisbitt mentioned, women value flexible networks as well as creativity, and commonly seek change considering the results, which implies that “femininity” may present new values to modern society. In this sense, compared to the existing male-centered mainstream thought,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value of femininity” by perceiving “feminine value” as “distinction” rather than “difference.” (Method) First, the Western and Eastern meanings of femininity were investiga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meaning of feminine values for social relationships was examined. Second, the flow of feminist architecture was recognized; the method of feminine design approach mentioned in preceding research was understood, its characteristics were reestablished, and the direction of the case study was then decided. Third, the frame of the case analysi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feminine design approach and those of architectural spatial composition. Fourth, the method of feminine environmental design approach and the elements of spatial composition were derived from the social space of the architectural works of Kazuyo Sejima and Jeanne Gang, female architects representing the East and West. (Results) First, in the method of environmental design approach, totality was the highest in both groups, followed by confluence and sensibility. In other words, the goal of this method is to focus on various types of relationship in order to totally grasp users, the usage of space, and the spatial structure, depending on cultural, social, and physical contexts, and then to consider what type of sensitivity users should feel. Second, all the elements of spatial composition emphasized spatial composition through programs considering various types of relationships that were designed as mostly empty spaces of flexibility and variability, though they had differences in terms of volume and level. (Conclusions) With the method of community space design, Kazuyo Sejima and Jeanne Gang induced accessible and accidental traffic lines using familiar spaces such as natural elements, parks, playgrounds, schoolyards, and cafes. They used a method of smooth and flexible feminine design approach to lower psychological barriers, induce natural meetings, and raise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community. They also used a flexible-thinking feminine design methodology, leading to open results through ideation conferences with various interested persons rather than to top-down authoritative decisions in communication for designing.

      • KCI등재

        김수자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에 관한 연구

        윤의향(Yoon Eui Hyang)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국제무대에서 힘차게 활약하고 있는 한국출신의 여성작가 김수자(金守子)의 작품에서 중심이 되는 주제인 여성성에 관하여 다룬 연구이다.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세계의 여성작가들이 삶을 다른 영역의 예술로 되살리는 다양한 활동배경의 양상 속에서, 여성성을 강조하여 작품들을 독자적으로 표현해 내었기 때문이다. 세부적 연구로는 먼저 김수자 작품의 표현적 변화가 여성성으로 연결되는 작업의 특색에 대하여 해석을 하고, 개인적인 독자적 경험을 함유한 작품들이 여성성과 어떻게 접목되어 표현 되는지를 파악 할 것이다. 특히 김수자의 ‘바느질’이라는 행위를 통해서 여성성이라는 담론으로 연결된 초기 꿰매기 작업들(1983-1988)과 연역적 오브제(1989-1994), 그리고 1995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중외공원 소나무 숲속에 광주 민주항쟁의 희생자들에게 헌정하는 헌옷 보따리를 늘어놓는 작업, 2002년 브룩클린의 묘지에서,〈묘비명〉등, 퍼포먼스와 장소 특정적 설치 작품들의 특징들을 정리하고, 작품 속에 내재된 여성성의 맥락에서 깊이 고찰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함으로써 김수자 작품 속에 내재된 여성성의 위치를 확인함과 동시에 국제 전시들의 현상과 한국 미술계의 진행까지 관계되는 중요한 연계적 가치에 대한 해석을 돕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ubject of femininity, a central motif in the works of Kim Sooja - a Korean female artist with an international reputation.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s how her works, amidst the global trend of female artists finding manifestation of their lives in various art forms, emphasize femininity in an independent fashion. The study first begins with an analysis of how the expressive changes in Kim’s work connect to femininity, followed by a detailed study of how her works, bearing individual and autonomous experiences, find expression of connection to femininity. In particular, early sewing works (1983-1988), which related to the discourse of femininity through needlework, will be examined along with a range of other works such as: her 1995 Gwangju Biennale work which installed bags of old clothes in a pine grove at Jungoe Park in memory of the victims of Gwangju Democratic Uprising: 〈Epitaph〉 (2002) which took place in a Brooklyn cemetery: and others. The idea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 context of Kim’s works and to conduct an in-depth study into the context of femininity. Such explorative study aims to reaffirm the place of femininity in Kim’s works, while proffering an interpretation of their relative value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art community as well as international exhib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