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東醫寶鑑』 初刊本과 한글본 『동의보감』의 서지적 연구

        옥영정(Ok Young-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4

        이 연구는 『동의보감』 초간본의 간행 과정과 그 현전본을 조사하여 서지적 특징과 의미를 알아보고, 장서각 유일본으로 남은 한글본 『동의보감』의 특징과 편찬 목적을 살펴본 것이다. 전근대시기 중앙기구의 편간물은 대부분의 인쇄 공정을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과정에는 까다로운 인쇄기술이 뒤따르기 마련이어서 그 자체로 기술문명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척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동의보감』은 이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초간본 『동의보감』이 이러한 인쇄문화적인 측면에서 지니는 의미는 우선 고려 · 조선을 거치면서 이어져 내려온 서적 編刊體系가 전쟁으로 붕괴된 상황에서 일구어낸 거질의 책이라는 점에 있다. 이에 대한 의미 부여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당시에 인쇄를 위해 쓰인 활자, 조판의 방법 등 인쇄기술에 대한 접근과 함께 앞으로 다루어져야 할 간행의 주관 기구에 대한 기초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동의보감』 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구로서 훈련도감, 내의원, 교서관, 서적교인도감과의 관계를 규명해내는 작업이 필요하며, 아울러 『동의보감』과 동일한 활자와 인쇄의 방식으로 간행된 서책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통해 각 자료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초간본 『동의보감』은 기록유산으로 지정된 자료 이외에도 10여 종을 더 확인하였다.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이거나 목록이 작성되지 않은 고문헌이 국내외에 아직까지 많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발굴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3책만 현전하는 한글본 『동의보감』 역시 낙질의 규모와 필사 부수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한글본 『동의보감』은 이 글에서도 한글본의 특징과 편찬 목적에 한하여 간략하게 서술하였으나 서지학적, 국어학적 측면에서 그 내용과 한문본과의 차이를 규명하는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특히 책을 읽는 주체가 왕실의 여성이고 한문에 대한 한글 표기이므로 왕실 내에서 쓰인 언어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by looking into its publication process and its remaining edition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ublication purposes of the Korean edition of Donguibogam. The publications issued by a central agency in the traditional age required a good amount of cost and manpower in many cases as most of the printing processes depended on manual works. Since those processes were usually accompanied by complicated printing technologies, such publications not only reflect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of the times, but also can serve as a cultural barometer. Donguibogam is one good example to demonstrate the fact.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in the aspects of printing culture is that it was a book comprised of very many volumes published when the system of book edition and publication collapsed after years of transmission through Goryeo and Joseon due to war. To specify its significance, the study made an approach to the printing technology including the printing types and typesetting methods used for printing those days and attempted a basic approach toward the agencies that were in charge of publication, which subject should be dealt with in futu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Donguibogam were Hulyeondogam, Naeuiwon, Gyoseogwan, and Seojeokgyoindogam, relationships of which should be examined as well.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books published in the same printing types and methods as Donguibogam and to grant each of them new value. The study confirmed the presence of ten more kinds of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in addition to the ones already appointed as records heritag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dentify and investigate the materials possessed by individuals or old literature whose lists have not been made yet since such records are likely to remain in big numbers home and abroad. The study brief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ublication purposes of the Korean edition of Donguibogam, failing to review its production background, process, and scripters. Additional researches on its content and differences from the Chinese edition from the bibliographical and Korean perspective will help to understand the accurate purpose behind its production. They will also be useful for the study of the language used by the royal family since the readers of the book were the femal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nd the book provided Hangul for the original Chinese transcription.

      • KCI우수등재

        『동의보감』과 天台醫學의 상관성 연구 : 『동의보감』 內景編과 『마하지관』의 病患境을 중심으로

        이기운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27 No.-

        『동의보감』은 조선 중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속에서 중생의 치 병 구제 담당했고, 이후에는 대표적인 조선 의학서가 되었다.『 동의 보감』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서는 유 불 도 삼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 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서는 불교사상, 특히 천태의학에서 병인과 치병사상을『 東醫寶鑑』의 그것과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의 일단을 고찰하였다. 텍스트는 허준의『 동의보감』 內景篇과 천태의『 마하지 관』 病患境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의보감』에서는 신체구조를 내경과 외형으로 나누고, 내경의 오장육부와 외형의 筋骨부터 피부에 이르는 요소들이 精 氣 神과 연 계되어 있어 병의 원인이나 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 다. 이러한 정 기 신은 불교의 사대와 다르지 않다고 한다. 불교의 사 대는 일체를 구성하는 근본요소로 여러 경론에 설해져 있고, 인체 구 성의 중요한 요소로 그 상호작용으로 인간의 病苦가 나타나는 心身의 病因이 되는 주요 문제로 보기도 한다. 天台大師(538∼597)도 인 간의 心身을 구성하는 사대는 오장육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서 심신의 변화에 따라 병이 발생하고 병을 다스리기도 한다. 『동의보감』 내경편에는 인체의 病因과 病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이중에 胎息法이나 氣 呼吸 五臟의 병인과 병상 등의 부문에서 천태의 지관법문인『 마하지관』 병환경의 내용이 보이고 있다. 이로 써『 동의보감』이 조선후기 중기 천태의 최고 수행법인『 마하지관』 의 수행법의 영향을 입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동의보감』과『 마하지관』에서 심신에 생기는 病에 관해서는 두 저서가 주로『 황제내경』을 전거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동의보감』에 서는 心身養生을 위한 심신의 병을 치료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한다면, 천태는 불교 수행상에 나타나는 병환의 하나로 보아 수행을 통해 대치하여 불도를 이루는 데 나아가고 있다. The Donguibogam(東醫寶鑑) played a central role in curing people during two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and became the most representative medical book. It is said that the background ideas of the Donguibogam we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especially Tien‐tai medicine and the Donguibogam) and compares the causes of illness and the ideas of curing illness. The study mainly examines “the part of Naekyung(內景篇)” of the Donguibogam written by Heo Jun(許浚), and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病患境: one of ten objects of meditation)” of the Mohe‐Zhiguan(摩何止觀) based on Tien‐tai thought. The Donguibogam classifies the human body into the interior and outside body and describes that the internal organs are of the interior body and the bones, tendons, and skin are of the outside body are connected to the essence, energy, and mind; consequently, they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 The essence, energy and mind are to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Many Buddhist books explain that the four elements of Buddhism are the fundamental elements that compose all things in the world and significant elements in the creation of the human body, so the interaction of the elements is a reason for the mental and physical illnesses that pain. According to Master Tien‐tai(537-597), the Four Elements that organize the human mind and body have a close relation with internal organs; as a result, changes of mind and body result in disease outbreaks and have an effect on the treatment of illness. Regard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auses and conditions of diseases, “the part of Naekyung(內景篇)” of the Donguibogam explains Taesikbup(胎息法: a breathing method like a fetus in a womb), “Energy Breathing(氣呼吸)” and the causes and conditions of Diseases of the Five Internal Organs, citing “the Causes and Cures of Illness(病患境)” of the Mohe‐Zhiguan, a book about samatha‐vipasyana of Tien‐tai. In terms of mental and physical illness, both the Donguibogam and the Mohe‐Zhiguan refer to particular contents of 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黄帝内经), a book of Chinese medicine. Tien‐tai considers mental and physical illness as one of illness incurred during the practice of Buddhism and cures them through practice; meanwhile, the Donguibogam aims to cure mental and physical illness through health care.

      • KCI등재

        일본에서의 조선 許浚 『東醫寶鑑』 유통과 간행

        박현규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조선 허준의 『동의보감』이 일본에서 유통되고 활용된 사례를 종합 고찰한 것이다. 현존 기록에 의하면 1636년(인조 14)에 의원 白士立이 일본 野間三竹과 만나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이 있다는 소식을 알렸고, 1662년(현종 3)에 倭差使 橘成般이 한반도에 들어와 『동의보감』을 구해갔다. 이 이후 일본 조야에서는 주로 조선통신사를 매개체로 삼아 『동의보감』을 언급하거나 활용한 사례가 상당수 출현했다. 1711년(숙종 37)에 본초학자 稻生若水와 제술관 조선 이현 일행, 1719년(숙종 45)에 大學頭 林信篤 일행과 조선 신유한 일행, 1748년(영조 24)에 太醫令 橘元勳 일행, 동도 관의 野呂實夫, 의원 菅道伯, 본초학자 丹羽貞機, 隱醫 田中常悅 등과 조선 조숭수 일행, 1764년(영조 40)에 張藩 의관 山口忠居와 양의 李佐國 일행, 동도 의관 井敏卿과 제술관 南玉 일행 등이 각각 만나 필담을 나눌 때 『동의보감』을 화제에 올리며 의학 토론이 이루어졌다. 1722년(향보 7)에 德川吉宗은 의료 개혁의 일환으로 源元通에게 명하여 『訂正東醫寶鑑』을 편찬하도록 명했다. 이해 京都書林에서 각판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1799년(寬政 11)에 大阪書林에서 京都書林本을 저본으로 복각했다. 청말 민국 연간의 각종 중국본과 1926년 京城 博文書館本은 모두 大阪書林本 『정정동의보감』을 근간으로 삼았다. 大阪書林本 『정정동의보감』은 동아시아 『동의보감』의 출판 계보에 있어 하나의 거대한 축을 구축할 정도로 커다란 파급력을 끼쳤다. This thesis takes a general look at cases in which the Donguibogam of Heo Jun (許浚) from Korea was circulated and applied in Japan. According to existing records, Doctor Baek Sarip (白士立) met Noma Sanchiku (野間三竹) of Japan in 1636 to inform him of the existence of the Donguibogam written by Heo Jun. Japanese envoy Kitsu Jouhan (橘成般) traveled to Korea and returned with the Donguibogam. After that, many cases that mentioned and applied the Donguibogam through Korean delegations were reported. Parties composed of Japanese pharmacologist Ino Wakamizu (稻生若水) and Korean official Lee, Hyeon in 1711, Im, Sindok and his staff and Sin, Youhan and his staff in 1719, Tachibana Genkun (橘元勳) and associates, Noro Minoruotto (野呂實夫), Doctor Maeda Douhaku (菅道伯), pharmacologist Niwa Taykey (丹羽貞機), Doctor Tanaka Jouetsu (田中常悅) and Korean Jo Sungsu (趙崇壽) in 1748, and Yamaguchi Chu Kyo (山口忠居), Lee, Jwaguk, and I Satoshikyo (井敏卿), and Nam Ok (南玉) had the Donguibogam come up in their conversations and writings. Tokugawa Yoshimune (德川吉宗) ordered Minamoto Gentsu (源元通) to publish a revised edition of the Donguibogam as a part of medical reforms. This revised edition of the Donguibogam was engraved by a Kyoto publisher (京都書林) and was widely circulated in that year. An Osaka publisher (大阪書林) reprinted the Kyoto edition in 1799. This Osaka edition became the original script of several Chinese editions published in the last days of the Qing dynasty and for the edition of Bakmun Seokwan, In Seoul (京城 博文書館), its publication in 1926 became one of the large central axes in the genealogy of the publication of the Donguibogam.

      •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생명관에 대한 생태철학적 고찰

        김미림(Kim, Mi-L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7 철학과 문화 Vol.14 No.-

        전지구적 생태위기를 느끼고 있는 오늘날의 현대인들에게 ‘환경’과 ‘생명’의 문제는 초미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동의보감』을 통해서 ‘생명’과 ‘양생’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또한『동의보감』의 양생관을 오늘날의 환경윤리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심신일여(心身一如)의 생명관을 가지고 있는『동의보감』은 오늘날의 예방의학 차원에서 우리에게 올바른 양생관을 제시해줄 수 있는 고전이다. 아울러 지구의 환경이 날로 악화되는 현실 속에서 환경보존을 잘 하는 것이 인간에게 있어서의 올바른 양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동의보감』 을 통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만약 현재의 상황과 같이 자연 자체의 복원능력에 비해 환경이 더 심하게 파괴되는 현상이 지속된다면 자연의 생명 에너지 흐름이 단절되는 생태학적 위기3)가고조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동의보감』의 생명관을 기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이러한『동의보감』의 생명관에 바탕을 둔 양생관 ― 궁극적으로 도와 하나가된 진인의 모습을 최고경지로 제시하고 있는 ― 을 오늘날 서구에서의 환경윤리인 심층생태론과 비교할 것이다. 요약하자면『동의보감』의 양생관을 오늘날의 생태철학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도와 기의 환경윤리’로써 재해석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며 이러한『동의보감』의 양생관이 오늘날 현대인들의 양생에 유의미(有意味)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Nowadays we live at the time of ecological crisis. The very fact of the breakdown of the environment points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forms of life and man's environment. So the ecological crisis leads us to found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causes us to pay attention to health-care. It was not until recently that modern medical and health - care researchers becam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atomistic approach. As part of nature, man has to cultivate the internal link in him between himself and nature(the Tao) for his own growth and well-being. In this point of view, we can get the answer through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book, Donguibogam『東醫寶鑑』. This paper suggest that how to live at this ecological critical time through Donguibogam『東醫寶鑑』 for our well-being. As man is part of the Tao, it is only when he losses the sense of the Tao and respect for the Tao in his life that he becomes alienated from the Tao and his activities become a means of self- alienation that will inevitably result in loss of the true identify by way of self-distruction. In this case Donguibogam『東醫寶鑑』 explains to us that it causes diseases and the best way for our growth and well-being is the integratted life of human beings with nature(the Tao). In this point of view it needs for us to have another consideration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of the Tao as the ch'i . That is to say whereas the Tao focuses on reality as a passage of dynamic processes, the ch'i focuses on reality as a presence of material stuff that leads to an actualization of things and the concretization of events. It is only on this basis of understanding that we are capable of formulating an ethics of environment. The goal of an ethics of environment is to understand how human beings should realte to environment by means of a tru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In Donguibogam『東醫寶鑑』 life is explicated as Jeong(精)․ Ch'i(氣)․ Sin(神) theory. Also I will compare the view of life in Donguibogam『東醫寶鑑』with the environmental theory-'deep Ecology'. Conclusively speaking, the view of well-being in Donguibogam『東醫寶鑑』can be retranslated as environmental ethics of Tao and the Ch'i

      • KCI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난 몸-마음의 영성과 명상수련의 치유

        정혜정 ( Hye Jung Jung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1

        『동의보감』에 의하면 인간 심신(心身)은 정(精)ㆍ기(氣)ㆍ신(神)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은 생명의 원천적 토대이고 기는 활동하고 변화시키는 에너지인 동시에 지각하는 능력, 혹은 감정의 의미를 지닌다. 신은 판단, 정신활동과 영성에 해당하며 몸을 주관한다. 동의보감 첫 장에 그려진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는 동의보감의 근간을 드러내준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죽은 몸의 해부도가 아니라 생명이 활동하는 심신의 영성 상태를 표현하고 있고, 몸과 우주의 순환을 드러내고 있다. 동의보감은 사람이 16세가 되면 정기가 점차 소모된다고 말한다. 정욕의 과도한 해소, 보고 듣는 것, 말하고 행동하는 것들이 모두 정기를 소모케 하고, 흩어지게 하는 원인이 된다. 동의보감은 불가(佛家)의 면벽(面壁)과 선가(仙家)의 좌관(坐觀), 이 모두가 기의 소모를 방지하고 마음의 작용을 멈추는 수련법이라고 말하면서 ``이도치병(以道治病)``, ``허심합도(虛心合道)``, ``정기신의 단련``을 통한 영성 도야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영성이란 노자의 ``곡신불사(谷神不死)``와 ``현빈(玄牝)``의 개념에서 이해될 수 있는데 여기서 영성이란 도와 합치된 마음의 차원뿐만 아니라 몸의 진신(眞身) 상태로서 정기신의 우주적 순환을 일컫는다. 몸-마음의 영성, 치유, 자기도야는 분리될 수 없는 관계이다. 현대의 인간형성 교육은 심신을 통합적으로 기르고 마음과 몸을 종합하여 교육을 이해하는 관점이 미흡한데 동의보감의 몸-마음의 영성적 지향은 기존교육론에 새로운 지평을 넓혀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1610 Donguibogam written by Jun Heo(許浚), has been regarded as a unprecedented tex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text had been cited for more than 230 documents were selected. Since the compilation of the text was published five times from the government office of Chungcheong, Gyeongsang, Jeolla in the Joseon Dynasty. Donguibogam was widely known in China. When Chinese ambassadors came to Korea they want to gain just one of the things that was a Donguibogam. Donguibogam accepted Taoistic books in two ways. In a way in view of preventive medicine it, based on the books of nursing life, factually made use of life-nursing technique like the thought of Naedan(內丹). And in the other way in theoretical view, it applied Taoism to the basic theories like Cosmology, human Embriology, Physiology and Pathology. The Taoistic theory of Three Precious(三要), Three Guan(Samguan:三關), Three Danjeon(Samdanjeon:三丹田), and the theory of cultivating body-mind are very significant and to be the core of Donguibogam. Jun Heo centered Three Precious(三要: Essence, Vital Energy and Sprit) and human, life, and cosmology were integrated. According to Donguibogam inherent human movement and changes of cosmic energy, and spirituality as the rise of the mental are associated with Three Precious(三要), Three Guan(Sam-gwan:三關), and Three Danjeon(Sam-danjeon: 三丹田). There are Sam-gwan in the spine. The back of the head is Okchim-gwan(玉枕關). Okchim-gwan is connected to the mental activity of the brain. Both sides of the spine are Nokno-gwan(록로關). And the bottom of the spine is the Miryu-gwan(尾閭關). Also there are 3 parts in Sam-danjeon. The brain called Yihwangung(泥丸宮) is upper Danjeon(上丹田), the pit of the stomach called Ganggung(絳宮) middle Danjeon(中丹田), lower Danjeon(下丹田) 3 inches down the navel. Regarding their functions, lower Danjeon stores Essence(精), middle Danjeon stores Sprit(神), upper Danjeon stores Vital Energy(氣). Through them it explains the unity of the body and soul, matter and spirit, and their power of circulation is associated with maturity of the human that are described in relation to spirituality. The mind is the body arises from matter. If life is not comfortable and mind is not stable through meditation, the disease occurs in scattered Vital Energy(氣). To eat right foods properly, to breathe properly, creating a good environment and a personal relationship, to do the natural act our way without consuming the Essence-Energy(精氣) and Essence-Spirit(精神), to stopping the movement of mind, this all will bring up meditative healing and self training. Modern education of human formation is insufficient to cultivate the mind and body by integrative views and to understand the education with holistic attempts. But the Donguibogam leans towards spirituality of body-mind and it can open the new horizons to modern schooling.

      • KCI등재

        『동의보감』의 이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정우진(Jung woo ji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4 道敎文化硏究 Vol.40 No.-

        『동의보감』은 한국한의학의 근저를 이루는 문헌이자, 동아시아 의학사에서 두드러지는 문헌 중 하나다. 『동의보감』이 도교양생에 토대했다는 점은 익히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이런 판단의 토대에 대해서는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동아시아 의학이 도교양생에 토대하지 않을 수 없다면, 『동의보감』이 어떤 이념에 토대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은 큰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유학에는 신체관과 자연관에 관한 논의가 소홀하다. 신체관을 결여한 이념과 의학이 결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사상의학은 유학심성론에 토대한 의학이다. 그러나 신체관이 배제되었기 때문에, 사상의학에는 경맥에 토대한 침이 개입될 여지가 없다. 따라서 유학에 토대한 의학은 동아시아 의학을 아우르는 의학이 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동의보감』이 도교양생에 토대했다는 규정은 당연하다. 당연한 규정을 도출하기 위한 질문은 의미가 없다. 본고에서는 『동의보감』은 어떤 방식으로 도교양생을 의학내로 포섭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했다. 본고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동의보감』의 저자들은 의론 내에서 주변부에 있거나 이질적이지만 도교양생론과 잘 어울리는 논의를 인용했다. 그리고 그런 인용위에서 도교양생론을 포섭했다. 이 와중에 『동의보감』의 성격은 이전의 전통적 의학과는 다른 특수한 모습을 지니게 되었다. 정을 정액으로 기를 숨으로 심과 신을 수양의 주체로 해석하는 것이 그런 예이다. Donguibogam東醫寶鑑 is a representative text of Korean Medicine. Contemporary scholars have studi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text. Generally they share the common opinion that Donguibogam is founded on the basis of daoism. They raised the question: what is the theoretical identity of Donguibogam. But, this question is meaningless. Because East Asian Medicine has no sufficient alternative theoretical foundation except daoism.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another representative text of Korean Medicine is founded on confucianism. But Confucianism contains no body view. Then, the medicine based on confucianism can not be a whole medicine with heritages of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This study raise next question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question: which change did happen to Donguibogam by the acception of daoism. Semen精, breath氣, spirit神 concept in Donguibogam is not inconsistent with those of earlier medicine. But those concepts described in Donguibogam was trivially consider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accept inner cultivation theory of daoism, The authors of Donguibogam cited medicine theories that is consistent with daoism"s inner cultivation. Then, those concept that was considered as trivial in previous medicine has important meaning in Donguibogam.

      • KCI등재

        『동의보감』 간장도의 특징에 대한 연구

        조학준(Jo Hak-jun)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2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1

        목적: 『동의보감』 간장도(肝臟圖)의 특징을 분석한다. 방법: 『동의보감』 간장도를 명당장부도(明堂臟腑圖)에서 기원한 장부분도(臟腑分圖)와 장부총도(臟腑總圖), 북송 이전의 장부총도, 도가(道家) 서적의 간장도 등과 비교하고, 그 특징을 『동의보감』에서 인용된 서적의 내용과 비교한다. 결과: 『동의보감』 간장도는 잎맥, 잎자루가 묘사되지 않은 점이 명당장부도 기원 또는 도가 서적의 그것과 매우 다르다. 『동의보감』 간장도는 간엽(肝葉) 8개가 아니라 간엽 7개와 줄기의 일부, 즉 절간(節間)에 해당하는 간장 본체 1개로 묘사된 것이다. 『동의보감』 간장도는 명당장부도 기원 또는 도가 서적의 간장도를 모사(模寫)한 것이 아니며, 『동의보감』에서 인용한 서적, 예를 들어 『난경』, 『소문』 왕빙(王冰) 주(注)와 『의학입문』 등의 기술에 따라 구체화한 것으로 추정한다. 결론: 간엽 7개, 간장 본체 1개로 묘사된 특징은 명당장부도 또는 도가 서적의 장부도를 모사하기보다 문헌 기술에 근거하여 변형된 결과로 추정한다. Objectives :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er diagram in the Donguibogam were analyzed. Methods : The Liver diagram in the Donguibogam was compared with diagrams originating from the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diagram from before the Northern Song period, Liver diagrams from Daoist texts, etc., after which its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quoted texts within the Donguibogam. Results : The Liver diagram of the Donguibogam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or Daoist texts in that the leaf veins and leafstalk have not been depicted. The diagram in the Donguibogam depicts the liver as having seven lobes and one body instead of eight lobes. The Donguibogam diagram does not originate from the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nor is it an imitation of Daoist texts. It seems to be a visual realization based on descriptions from quoted texts such as the Nanjing, Yixuerumen, and Suwen annotations by Wangbing. Conclusions : The Liver with seven lobes and one body as depicted in the Donguibogam is likely a transformed version based on textual descriptions rather than an imitation of the Mingtangzangfutu(明堂臟腑圖) of images in Daoist texts.

      •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동의보감의 정신치료

        박선영 ( Park Sun Young ),정인모 ( Jung In Mo ),여한구 ( Yeo Han Koo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2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8 No.-

        본 연구는 Jung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동의보감의 병리와 치료원리를 탐구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분석심리학의 핵심 개념인 대극의 원리가 동의보감을 관통하는 기본적인 철학임을 알 수 있고, 동의보감에 나타난 정신치료 원리는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정신의 작용은 에너지 균형과 순환을 나타내는 소장평형(消長平衡)의 원리로 모든 우주 만물이 형태나 성격이 바뀔 뿐 에너지는 사라지지 않고 균형을 이루는, 대극의 초월과 합일을 통해 계속 순환하는 만물의 생성과 소멸의 원리이다. 둘째, 정신병리는 대극의 불균형을 극복하려는 물극필반(物極必反)의 원리로 에너지가 한쪽으로 치우쳐 불균형이 심화되면 다시 반대쪽으로 에너지가 기울게 된다는 상호작용의 원리이다. 정신병리는 불균형을 만드는 에너지의 일방성과 에너지의 상호작용의 부재 및 부조화, 들고나는 에너지의 속도 차이에 의해 초래된다. 셋째, 정신치료는 불균형에서 조화와 균형을 회복하는 것이며 치우침 없이 균형을 유지하는 중화(中和)의 원리로 설명한다. 중화는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의 에너지 불균형을 다루는 정신치료 원리이며, 이는 마음을 다스려 양생(養生)을 돕는 음평양비(陰平陽秘)와 대극의 균형과 합일을 통해 치료적 작용을 돕는 치이권형(治以權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컨대 동의보감은 정기신(精氣神) 대극(對極)의 상호관계 속에서 신체와 정신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 생리와 병리 및 치료의 원리를 다루고 있으며, 그 치료원리는 분석심리학적 관점의 대극의 합일과 개성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의학의 치료에서 분석심리학을 기초로 한 개입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reviews the pathology and treatment principles of Donguibogam from the perspective of Jung’s analysis psychology in order to explore psychotherapy principles inherent in Donguiboga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inciple of opposing poles, a core concept of analytical psychology, is in line with Donguibogam. More specifically, three principles of psychotherapy are derived from Donguibogam. First, Sojangpyeonghyeong, a concept of the balance and circulation of energy, describes psychological functioning. Sojangpyeonghyeong, in which all things in the universe change only in forms or characteristics whereas their energy does not disappear but maintains its balance, is a principle of generation and extinction of things that circulate consistently through the unity and transcendence of two opposing poles. Second, Mulgeukpilban, a concept of overcoming the imbalance of opposing poles, accounts for psychopathology. It is a principle of interactions that, if energy is skewed to one side and its imbalance intensifies, the energy is tilted back to the other side. Psychological disorders develop if unilateral tendencies of energy create imbalance and occur from the absence and incongruity of interactions due to the confinement of energy and speed discrepancy in the ebb and flow of energy. Third, psychotherapy restores harmony and balance from imbalance, and is explained through JoongHwa, a concept of maintaining balance without bias. JoongHwa is a principle dealing with psychological as well as physical imbalances. It is categorized into two parts. One is Yinpyeongyangbi that helps protection from psychological disfunction. The other is Chiygwonhyeong, which helps therapeutic action through balance and unity of opposing poles. In summary, Donguibogam deals with the principles of physiology, pathology and treatment where the body and mind are harmonized and balanced in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Jung (精), Qi (氣) and Shin (神) polarities. The treatment principle could be interpreted as the unity and individualization of opposing pole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findings implicate the plausibility of the psychotherapeutic application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to the interventions of Korean medicine.

      • KCI등재

        심신의학과 마음치유

        정혜정(丁惠貞)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6 No.-

        현대인은 심신의 이원화, 자아의 분리화⋅협소화⋅고착화를 강화하면서 살아가는 경향이 있다.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하는 일은 자신을 전체로부터 분리하고 자신을 몸과 마음으로 나누며 본성으로부터 소외된 에고적 자아를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아 이에 집착하는 일일 것이다. 아시아 전통의학인 한국의 동의보감이나 인도의 아유르베다에 의하면 우주를 이루는 근원적 요소가 인간의 심신을 이루고 있고, 몸과 우주가 하나로 순환하며, 허심합도에 이르는 인성도야가 행해질 때 심신이 치유되고 본질적 삶이 가능함을 말한다. 아유르베다와 동의보감은 우주와 순환하는 심신의 통로로서 각각 ‘경락과 나디’, ‘담음⋅삼시충과 아마’, ‘삼관과 마르마’라는 개념을 말하여 심신순환의 이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 심신의학에 나타난 ‘우주의 심신구성과 일체성’을 살펴보아 인간 이해를 돕고, 우주순환의 통(通)과 불통(不通)에 따라 건강과 질병을 이해하는 심신의학의 치유 원리를 탐색하여 몸에서 시작하여 영성에 이르는 심신의학의 마음치유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rom birth until to death people would separate the mind from body of oneself, and they would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whole presence. It constitute the ego as identity by separating it from the true human-nature. Donguibogam(東醫寶鑑) and Ayurveda are the Asian tradition to heal the human by the integrating the body and mind. They emphasize that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universe forms the human mind and body. And the circulation is oneness of body with the universe. Also body-mind medicine emphasizes that it is possible to heal the disease and to realize essential life, when people train their human nature and they reach to the integration with ‘Tao(道)’ and no-mind(無心). Donguibogam(東醫寶鑑) and Ayurveda said that the circulation of the body-mind can make the integration with circulation of the universe. So they have the spiritual aims to realization of “true Self”. Everything is connected to one such as relationship of the trees and the leaves. If we don’t aware that there are different expressions of one presence, we will be more worse and narrowing. Originally the words of healing, whole, holy came from the same root word. In our society the most urgent thing is training of the body-mind, and we must integrate body and mind, into spirituality. As a method of body-mind training, Donguibogam emphasizes the breathing of Togonapsin(吐故納新) and meditation of Jonsabeop(存思法). And Ayurveda emphasizes the nutrition of both of body and mind, meditation, marma therapy, and so forth. From the point of view of body-mind medicine, we need to know the holistic idea and to train ourselves with oneness of body-mind.

      • KCI등재

        정서장애 개선을 위한 대체의학적 접근 방안 – 동의보감에서 언급한 七情傷 중 怒傷肝을 중심으로 –

        김난영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본고에서는 2009년 7월 전문의학서적으로는 세계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동의보감』을 통합의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총 25권의 방대한 분량의 내용 중에 본고에서는 생활 속의 의료문화 활성화를 위하여 간(肝)을 중심으로 대체의학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인간이 가진 정상적인 정서가 지나치게 항진이 되거나 저하되면 정신은 물론 신체에도 영향을 미쳐 이상변화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을 『동의보감』에서 언급한 정서질환과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약물치료가 아닌 대체요법을 통해 정서장애를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귀의 반응구역과 반응점에서 나타나는 이상변화(양성반응)와 정서 이상을 관찰하고, 오행의 생극관계(生剋關係)를 이용하여 미술치료의 기법과 색채치료를 적용한다. 한의학과 대체의학에서의 관찰과 활용이 만나 정서장애에 대한 진단방법을 모색하고, 미술치료를 통한 치유로 나아가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제(學際)간의 협진을 통한 통합의학적 치유방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향후 일반인들이 생활 속에서 응용할 수 있는 의료문화의 정착을 위해 학제간의 지속적인 협력과 임상사례의 효과적인 검증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it would like to refocus 『Donguibogam』 by point of view of the integrated medical approach. 『Donguibogam』 was inscribed on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July 2009 with the world's first as professional medical book. The 『Donguibogam』 consists of a great many amount of total 25 volumes. In this paper was to try alternative medical approach for The Medical Culture activation of everyday life; centered on the liver(肝). Normal human emotion is too exacerbation or decline to affects the body as well as mind over; is cause the negative reaction. It looked at in relation to emotional disorders at the 『Donguibogam』. In this paper were presented alternative therapies; The Emotional Disorder apply drug treatment rather than Ear Reflex Therapy and Art Therapy by overcome method. First, observed the Negative Reaction and the Emotional Disorders; at through the Reaction-Zone and Reaction-Dot of the ear. Then, apply the treatment of Art Therapy and Color Therapy by taking advantage of the observation methods of Saenggeuk relationship(生剋關係) of the five elements. The utilization and observation of Oriental Medicine and Alternative Medicine are connected emotional disorders healing. Then, to seek healing through art therapy. By doing so, must to seek integrated medical healing method through Cooperation medical treatment of interdisciplinary(學際). Forward, the persons will be in need of the medical culture settlement that can be used at everyday life. And therefor, it is expected to come out that continuous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effective verification of clinical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