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

        한상기 ( Sang Ki Han )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발견/정당화 맥락 구별은 20세기 과학철학과 인식론에서 매우 논란이 되어온 주제다. 이 구별은 20세기 초 라이헨바흐와 포퍼가 한 구별을 배경으로 하여 전개되었는데, 크게 두 가지 목적에 기여하였다. 첫째, 이 구별은 과학에 대한 경험적 연구와 과학철학을 구획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래서 이 구별을 통해 우리는 과학철학의 목적과 범위를 정하게 된다. 둘째, 이 구별은 발견의 논리란 없으며, 발견의 과정은 철학적 재구성에서 배제된다는 것을 함의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 구별에 대한 찬반 논쟁은 1960-70년대에 절정에 달했는데, 1980년대까지도 이러한 논쟁의 여운이 남아 있었다. 이 논쟁의 발단은 대체로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비롯되었는데, 쿤은 이 책에서 과학철학에 대한 사회학적, 역사적 연구의 관련성을 역설하면서, 맥락 구별 자체를 반대하는 듯 한 견해를 전개했다. 그 뒤 이 구별에 대한 논쟁은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채로 소강 국면을 맞다가 점차로 철학자들의 공식 의제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필자는 발견/정당화의 맥락 구별에 대한 논의가 그처럼 소강 국면을 맞이한 것은 원래 이 구별이 시작된 이래 20세기 중반 논리 경험주의나 포퍼주의를 통해 몇 가지 파생적인 버전들이 생겨나면서 다양한 논의가 뒤섞이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래서 필자는 먼저 이 구별의 역사적 배경을 검토한 다음, 호이닝엔(P. Hoyningen)을 따라 그 뒤 진화 과정에서 변이된 몇 가지 버전들을 확인할 것이다. 그러고 나서 이 여러 버전에도 불구하고 맥락 구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최소 구별을 제시한 다음, 이 최소 구별이 원래 이 구별의 취지에 들어맞으면서 어떤 비판에도 여전히 살아남는다는 것을 지적할 것이다. 특히 역사주의적 시각에 입각한 쿤의 논박은 이 최소 구별에는 적절치 않음을 지적할 것이다. 그런 다음 마지막으로 이 최소 구별의 의의를 검토할 것이다.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ntexts of discovery and justification has had a turbulent career in twentieth century philosophy of science. The distinction was at times celebrated as the hallmark of philosophical approaches to science, at times condemned as ambiguous, distorting, and misleading. The distinction is usually traced back to works of Hans Reichenbach, or Karl Popper. Since then, this distinction has served two important, related purposes. First, it has been used to demarcate philosophy of science proper from empirical approaches to science. Secondly, the distinction is taken to imply that there is no logic of discovery and that the process of discovery is excluded from philosophical reconstruction. For several decades, the context distinction dictated what philosophy of science should be and how it should proceed. Only in the 1960s did the distinction come under attack. In the 1970s, provoked by Kuhn`s sweeping historical refutation of philosopher`s rational reconstructions of theory change, many philosophers argued about the nature and scope of the context distinction, aiming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historically informed philosophy of science. But in the end, the discussion about possible relations between history and philosophy remained inconclusive. By the late 1980s, the distinction had largely disappeared from philosopher`s official agenda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unsatisfactory course of the debate about the context distinction. The distinction, as it was in the 1960s and 1970s, is not just one distinction, but a set of intermingled distinctions. As a result, much of the discussion of the distinction in the 1960s and 1970s was fairly muddled. So first, I will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ntext distinction. Then, I shall distinguish several versions of the context distinction, based on discussion of Hoyningen about it. Actually, I do believe that there is a core of the context distinction that has never been attacked in the discussion about it. What I have in mind is a distinction between the factual and the normative. Let`s call this distinction the minimal version of the distinction. This version of the context distinction has in fact survived the attacks of historically minded philosophers, including Kuhn. Finally, I will argue that a core point of this version is to warn us against the genetic fallacy.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De Ente et Essentia 4장에 나타난 본질-존재 구별 논증의 성격과 의미

        장건익 ( Jang¸ Gun-i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5 가톨릭철학 Vol.0 No.7

        이 논문의 목적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와 본질에 대하여』 4장에서 토마스가 제시하는 본질과 존재의 구별에 관한 논증의 성격과 의미를 알아보는 데 있다.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본질에 대한 이해로부터의 논증)라고 불리는 이 논증은 역사적으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논증으로서, 해석가들은 이 논증을 해석함에 있어서 논증의 타당성뿐만 아니라 논증의 성격, 즉 토마스가 이 논증을 통해 의도했던 바가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이냐, 아니면 단지 개념적 구별만이 그 목적이었느냐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주장들을 내놓고 있다. 조셉 오웬스는 이 논증은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을 위해 구성된 것이 아니라, 단지 개념적 구별만을 위해 구성되었으며 그것이 토마스의 본래 의도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는 존재의 근본 성격이 알려지기 전에는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신 존재 증명이 전제되어야만 한다는 것이 그가 제시하는 논거이다. 그러므로 IE 논증은 그 자체로만 보았을 때는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이 아니라 논리적 또는 개념적 구별에 관한 논증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존 위펠은 비록 이 논증이 그 자체만으로는 실제적 구별에 관한 그 자체 완성된 논증은 아니며, 그가 말하는 2단계의 논증, 즉 만약 본질과 존재가 동일한 존재가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다른 모든 존재들에 있어서 본질과 존재는 다르다는 논증을 위한 도입부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2단계에 이르러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이 논증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웬스가 주장하는 것처럼 신존재 증명이 전제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들과는 달리 맥도널드, 보빅, 드완, 패트 등은 IE 논증을 실제적 구별에 관한 논증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위펠처럼 2단계의 논증을 위한 도입부도 아니라는 것이다. 필자도 이들과 같이 이 논증은 실제적 구별에 관한 논증이라는 입장이다. 이 논증은 존재는 본질에 환원되거나 규정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직관에 기초해서 구성된 것이라는 것이 필자가 제시하는 논거이다. 오웬스의 주장과는 달리 있음은 어떠한 규정성에도 포함되지 않는다는 자연적 직관 안에 한계 없음, 한정 지워지지 않는 무한성이라는 존재의 성격이 이미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논증에서 실제적 구별은 완료되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존재의 성격이 보다 명확히 드러나기 위해서는 신 존재 증명이 필요하다는 것은 인정한다. 하지만 이것이 본질-존재의 실제적 구별이 철학적인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tudy the real distinction between essence and existence in St. Thomas Aquinas’s early work De ente et essentia, ch.4. In this chapter he offers an argument based on one’s understanding of essence(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in support of real distinction or real composition of essence and esse in all creatures. This argument has caused considerable controversy. The point of disagreement have to do not only with the validity of the argument considered in itself, but also with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omas’s purpose in developing it. Because there are some interpreters maintained that it was not even intended by its authors to establish such real distinction or composition. Joseph Owens who is the one of these interpreters denied that it was Thomas’s intention to such distintion or composition in the preceding sentence. According to his interpretation it is only after having established God’s existence by means of this argument that Thomas is in position to conclude to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in creatures. In light of this he concluded that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considered in itself establishes only logical or conceptual distinction. An interesting criticism toward Owens was raised by John Wippel. He maintained that the argument(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as it appears in phase one does not in fact establish any such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He regard it as an introduction to the next phase, and as an introduction which will not stand on its own without next phase. The argument of next phase may summarized as follows. If it is impossible for there to be more than one being whose essence is its esse, then it follow that in all beings essence and esse are not identical. Therefore the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has been completed in this phase two. Although Wippel agree with Owens that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do not establish the real distinction, nevertheless, he says that until phase two in argumentation, God’s existence has entered in only as an hypothesis. On my reading, Thomas’s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based on an simple insight that esse cannot be reduced or defined by any determination. This means that esse is not finite thing. Namely considered in itself, it is infinite. This is the reason why every essence or quiddity can be understood without anything being understood about its existence. The finite and the infinite are really differ. Therefore it is clear that esse is other than essence. I granted that by this argument or explanation the entire nature of esse cannot be known. It is only after having proved God’s existence. But this does not means that the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cannot be philosophically established. I think that intellectus essentiae argument could be the reasonable ground for the real distinction of essence and esse.

      • KCI등재

        맹자 인금지변(人禽之辨) 분석

        이경무 ( Kyoung Moo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70 No.-

        인금지변은 왕패지변(王覇之辨), 의리지변(義利之辨)과 함께 맹자 논변의 기틀을 이루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사상과 이론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 맹자는 철저하게 사람[人]과 짐승[禽], 왕도[王]과 패도[覇], 의리[義]와 이익[利]의 구별[辨]에 입각하여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맹자 사상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금지변, 왕패지편, 의리지변에 대한 탐구가 필수적인데, 원리적으로는 인금지변이 왕패지변과 의리지변에 앞선다. 왕도와 패도의 구별이나 의리와 이익의 구별보다 사람과 짐승의 구별이 더 근본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맹자 사상과 이론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지향하면서, 그의 인금지변을 사상적 논리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먼저 맹자가 인금지변을 제기한 의도나 목적을 전국시대 중기의 사상 문화적 상황에 비추어 이해해 보고, 이어 인금지변의 내용을 분석해 봄으로써 맹자가 주장하고 있는 사람과 짐승 나아가 성인과 범인의 구별[辨]을 그 다름과 같음을 통해 밝혀 보고, 그에 따라 인금지변이 갖는 사상적, 논리적 의의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analytic dispute of Mencius about the similarity and discrepancy between man and animal so to call ``distinction between (人) and qin(禽)`` in theoretical and logical view point. ``Distinction between ren(人) and qin(禽)`` together with ``distinction between wang(王) and ba(覇)`` and ``distinction between yi(義) and li(利)`` were the theoretical basics of Mencius arguments and thoughts. Because of Mencius asserted his own opinions thoroughly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ren(人) and qin(禽), between wang(王) and ba(覇), between ya(義) and li(利). Therefore to understand the Mencius thoughts and assertions need an inquiry about three kinds of distinction. But in principle distinction between ren(人) and qin(禽)`` was more preference than ``distinction between wang(王) and ba(覇)`` and ``distinction between yi(義) and li(利)``. That was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ren(人) and qin(禽)`` was more fundamental than other distinctions. So that first, it revealed that the reason why Mencius presented the ``distinction between ren(人) and qin(禽)`` under the cultural situation. Second, it argued that the discrepancy between man and animal and between sage and human which was asserted by Mencius. Third, it synthesised that the theoretical and logical significance of ``distinction between ren(人) and qin(禽)`` in Mencius thoughts.

      • KCI등재

        콰인의 분석-종합 구별 공격 다시 생각하기

        한상기(Han, Sang-ki)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40 No.-

        오늘날 철학자들은 대체로 분석-종합 구별을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분석-종합 구별의 거부라는 이러한 오늘날의 태도는 굿맨(N. Goodman)이나 화이트(M. White) 같은 철학자들의 비판도 작용했지만, 결정적으로는 콰인(W. V. O. Quine)이 그의 고전적 논문 “경험주의의 두 가지 독단”(TwoDogmas of Empiricism)에서 그런 구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적으로 증명했다는 믿음에서 유래한다. 콰인은 이 논문에서 논리 실증주의의 두가지 신조, 즉 분석-종합 구별에 대한 믿음과 환원주의를 독단으로 규정하고 비판하였다. 그 후 이 논문은 20세기 분석철학의 역사에서 가장 널리 읽히고, 가장 많이 인용되었으며, 가장 많이 재인쇄된 논문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콰인의 이 논문은 당시 철학계를 지배했던 논리 실증주의 운동에 커다란 타격을 입히면서 결국은 논리 실증주의 붕괴의 시발점이자 새로운 철학의 전환점으로 작용하였다. 이 논문은 콰인의 논문이 나온 지 6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분석-종합구별에 대한 그의 거부가 과연 정당화되는지를 검토하고, 통상의 가정과 달리 그의 그러한 거부가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할 것이다. 콰인의 논문이 당시의 철학자 대부분에게서 분석-종합 구별을 무너뜨렸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이것이 설득력 있는 합리적 논증의 힘을 통해 그렇게 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필자는 먼저 콰인의 비판이 나오게 된 배경, 즉 논리 실증주의자들의 분석-종합 구별에 대한 견해를 살피는 일에서 시작할 것이다. 그런 다음 콰인의 논증을 제시하고, 그 논증의 결론에 대한 가능한 해석을 검토할 것이다. 그런 다음 어떤 해석에서도 분석-종합 구별을 거부하는 그의 논증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의 논문이 미친 지대한 영향은 첫 번째 독단에 대한 논의보다는 두 번째 독단에 대한 논의 및 그와 연관된 콰인 자신의 적극적 견해에서 비롯된다고 결론짓는다. Contemporary philosophers have largely tended to ignore or neglect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for the past few decades. One reason why may be that a common contemporary attitude toward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stems from the belief that W. V. O. Quine, in his classic paper “Two Dogmas of Empiricism”, along with others such as N. Goodman and M. White, conclusively showed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nalytic statement. In his paper Quine states and rejects two doctrines of logical positivists, viz. belief in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and reductionism as dogmas. Since then, his paper became the most widely read, cited, and reprinted article in the history of analytic philosophy. As a result, Quine’s attack on the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have had the effect of being the starting-point of the collapse of logical positivism and the turning-point towards a new outlook of philosophy. But then, what has influenced attack on the distinction by many analytic philosophers? The usual assumption is that Quine prevailed by the rational force of his arguments. This paper examines the question of whether Quine’s rejection of analytic-synthetic distinction is justified. Unlike usual assumptions, I maintain that his rejection of the distinction was not justified. There is no doubt that he undermined the distinction in the minds of most philosophers. But this was not a matter of rational argument and cogent argumentation. I start by considering views of logical positivists on the distinction. Then, I offer his arguments against the distinction and examine possible interpretations about his conclusions. In either case, I argue that his arguments against the distinction were not justified. Finally, I shall argue that what makes “Two dogmas of empiricism” extremely interesting is that the second half of that paper, viz. discussions of reductionism and his positive views, involve no such notion as analyticity.

      • KCI등재

        발견/정당화 구별과 사회 구성주의의 스트롱 프로그램

        한상기(Sangki Ha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1 철학탐구 Vol.30 No.-

        토머스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가 나온 이래 많은 과학철학자, 과학사가, 과학사회학자들은 발견/정당화 맥락 구별을 공격해왔다. 1960, 70년대는 바로 이러한 공격들을 배경으로 하여 발견/정당화 구별에 대한 찬반 논쟁이 활발하게 일어났고, 1980년대까지도 이러한 여진이 남아 있었지만, 현재는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채로 소강 국면을 맞이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지식사회학의 스트롱 프로그램은 발견/정당화 구별에 대해 가장 강한 비판적 공격을 가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발견 대 정당화 구별과 관련하여 사회 구성주의자들의 스트롱 프로그램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검토에 앞서 먼저 발견 대 정당화 구별의 몇 가지 버전을 구별하고, 이 중에서 이 구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요소를 확인할 것이다. 그 다음에는 그 구별 자체가 무용하다는 스트롱 프로그램의 논증을 소개한 다음, 그 논증의 일반적인 문제를 지적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발견 대 정당화 구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요소는 스트롱 프로그램의 공격에도 불구하 고 무너지지 않으며, 그래서 이 구별에 대한 그들의 공격은 실패로 돌아간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Ever since Thomas Kuhn"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many philosophers, historians, and sociologists of science have attacked the distinction between discovery and justification. For several decades, the distinction dictated what philosophy of science should be and how it should proceed. But the distinction did come under attack in the 1960s and 1970s, and many philosophers, historians, and sociologists of science went into disputes about the distinction. Among others, Strong Programme in social constructivism have delivered an attack against the distinc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iew of Strong Programme on the distinction critically. First, I shall distinguish several versions of the context distinction, based on discussion of Hoyningen about it. Then, I will pick out the minimal version of the distinction. Actually, I do believe that this minimal version of the distinction has never been attacked in the discussion about it. Secondly, I will introduce the Strong Programme"s objections against the distinction, and indicate the general problems of them. Finally, I maintain that the minimal version of the distinction has in fact survive the attacks of the Strong Programme. Consequently, I maintain that the Strong Programme was a failure as one of objections against the distinction.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분황 원효와 회암 주희 -원효 사상에 입각한 화이론 비판 시도-

        이유진 ( Yu Jin Lee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한국불교사연구 Vol.6 No.-

        고대 중국에서 화이론은 윤리문화를 중심으로 무력적 충돌을 막고 화평을 유지하려는 인식틀로 만들어졌다. 그것은 유가사상과 상호 연관되면서 보편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중국이 팽창하면서 지배권력의 크기와 강도도 팽창 강화되었고, 중국이 지리적 주변의 여러 나라들과 충돌하면서, 중국 윤리문화의 타당성을 만방에 선제적으로 공표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하는 화평을 주위의 제안하는 문화전략으로써의 화이론이 대두되었다. 중국과 주변 국가들이 교섭 갈등하고 중국이 수차례에 걸쳐 이민족의 지배를 받는 과정에서 화이론은 중국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여러나라들의 정치언어로 받아들여졌고, 한국의 경우 유교사상의 비중이 높아 지면서 화이론의 인식틀과 언어는 한국사회 전반에서 더 큰 비중을 가지게 되었다. 주희의 화이론은 욕망을 막는 수양론을 바탕으로 한다. 수양론에서는 욕망 통제 여부에 따라 인간에 대한 엄격한 평가가 행하여진다. 주희는 화이론에서도 욕망 통제 여부를 기준으로 국가들을 평가하였다. 그런 평가의 부작용은 문화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지 않는 것이다. 주희는 우주 속의 모든 존재가 유기체적으로 연결되어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러한 관점은 우주를 가족의 확장판으로 보는 것이기도 하였다. 가족 내에서는 성원 각자의 역할이 고정되어 있다. 원천적으로 가족 내구성원의 역할들은 각자 나름의 가치를 가진다. 그러나 가족제도가 놓이는 상황에 따라 그 역할들에 대한 평가는 달라지며, 그에 따라 역할들의 가치 우열이 생기게 된다. 이것이 국가들 사이의 관계에 적용되면 국가의 우열을 정하는 데로 귀결될 수 있다는 것을 주희는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는다. 기질은 변화시키는 것은 주희 수양론의 세부적 방법이다. 기질 변화는 차이의 통제와 연결된다. 수양론에서의 차이의 통제는 국가들 사이의 관계에서 서로 다른 국가들의 문화들을 서열화하는 데로 귀결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주희의 화이론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조선중화론은 조선 중후기에 발생 전개한 것이면서, 21세기 한국 사회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원효의 사상 또한 21세기 한국 사회에 영향을 끼칠만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원효의 저술 속에는 여러 불교 교학들 사이의 논쟁을 해소시키는 화쟁을 논한 『십문화쟁론』이 있다. 여기에서 원효는 절언, 이언 나아가 이변비중으로 요약되는 것을 화쟁을 가능하게 하는 태도로 제안하였다. 오늘날 그 태도 자체를 화쟁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그러나 좀 더 정확한 설명을 시도하여 본다면, 이변비중하는 태도 자체를 화쟁이라고 하기보다는 이변비중을 ‘화쟁을 지향하는 태도’라고 설명하는 것이 적절한 듯하다. 이변비중이라는 말에서도 볼 수 있듯, 화쟁을 지향하는 태도는 “양 극단을 떠나면서 중심을 갈망하지도 않는” 태도인 것이다. 원효는 이를 화쟁을 지향하는 태도로 제안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심 단계에서의 자경과 수행하는 자가 일상적으로 행하여야하는 참회에 있어서도 “양 극단을 떠나면서 중심을 갈망하지도 않는” 태도를 견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태도는 조선중화론의 근거가 되어주는 주희 화이론을 비판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주희 화이론은 공동체 및 개인의 문화에 대한 평가와 개인의 통제를 바라보는 관점 혹은 태도에서 화쟁을 지항하는 원효와 대척점에 서 있기 때문이다. In ancient China, an ethical culture was made of a framework of the recognition for the purpose of bloody collision avoidance especially in royal familly. Confucianism emphasis on the love between the family. Therefore, there was a common between ethical culture of ancient China and Confucianism. The common was a standpoint on relationship in family especially in royal familly. Ethical culture of ancient China was combined with Confucianism. Hua-Yi distinction(華夷論) Was formed. Hua-Yi distinction of Zhu-Xi(朱熹), basically, succeeded ancient Confucian Hua-Yi distinction. Hua-Yi distinction of Zhu-Xi was more discriminatory than ancient Confucian Hua-Yi distinction. And it became the basis of Hua-Yi distinction(華夷論) of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such associations, contemporary Koreans have such a framework of the recognition like Hua-Yi distinction. Therefore, for the sake of the overcoming of tthe limitations and errors of contemporary Korean``s perspectiv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re needs to be a standard of criticism. In History ot Korean Philosophy, Attitude of avoid extremes and Do not stay in the middle(離邊非中) of Won-Hyo(元曉) is a lot less important than Hua-Yi distinction of The Joseon Dynasty. Such an attitude would remain tense. Tension prevents Hasty judgments. In this respect, Hua-Yi distinction of Zhu-Xi and Attitude of avoid extremes and Do not stay in the middle of Won-Hyo are in sharp contrast. Zhu-Xi, in his Hua-Yi distinction, constantly tries Discrimination and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Won-Hyo, with attitude of avoid extremes and Do not stay in the middle, Put back hasty judgments.

      • KCI등재

        Public/Private Distinction in Light of the History of Legal Thought

        Younsik Kim(김연식)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27 No.1

        본 논문은 공/사 구분에 대한 법이론적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의미의 공적인 것에 대한 이해가 세계화 시대에 관찰되는 여러 가지 법적현상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라는 점을 보여 주고자 한다. 근대 국가가 등장한 이후에 ‘공적인 것’은 국가와 동일시되었다. 하지만 근대 국가가 성립되기 이전인 고대에도 공적인 것에 대한 논의는 존재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공적인 것은 국가와 단순히 동일시 될 수는 없다. 또한 이와 같이 국가와 공적인 것을 분리해 사고할 수 있다면, 국가를 넘어서는 초국적 네트워크가 국제질서를 대체해 가는 오늘날에도 공적인 것은 국가와 함께 쇠퇴할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오히려 ‘국가적인 것’이나 ‘사적인 것’을 넘어서 ‘공적인 것’은 다양한 실체를 포괄하는 실질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이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 미국과 유럽의 법이론 발전과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본 논문의 후반부는 공적인 것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세계화의 맥락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사적인 분쟁 해결 절차인 투자자-국가중재제도는 그것이 국가적인 영역을 다루는 절차라는 특징 때문에 기존의 형식적인 공/사 구분론만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공공성을 이해하고 이것에 입각해서 투자자 국가중재제도를 이해한다면 국가적인 것이 아닌 공적인 제도로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투자자-국가중재제도를 공적인 제도로 볼 때 그 제도의 공공성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개혁의 방향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legal context of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arguing that such a distinction ? as an urgent issue in the global context ?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a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 public. As such, the paper utilizes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ISDS) as an example. In this context, the paper starts by explaining the reason why legal theory should consider public/private distinction as a pressing theoretical issue by proposing ISDS as a striking example. Then,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theory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the public in the context of Europe and America. And it demonstrates that this theoretical examination could provide fruitful insights into addressing contemporary problems such as globalization. Recently, many scholars propose the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 public beyond formalist view of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The public needs to be considered as a sphere to embrace the state and the private. Finally, the research explains how one could apply this discourse to reformation of the ISDS system in the practical perspectives.

      • KCI등재

        한국어 어두파열음 삼중대립 지각학습 효과 -일본인과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성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어 교육 Vol.22 No.2

        This study conducted perceptual training experiments on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order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the three-way distinction of Korean stops differs by the learners' native languages and find out whether perceptual training can remove such difference. Before the perceptual training, the patterns of perception appeared the opposite in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The Japanese discriminated lenis the best and their distinction ability was relatively lower in aspirated and fortis. However, the Chinese discriminated fortis the best and their distinction ability was relatively lower in lenis and aspirated. After the perceptual training, the distinction ability of both the Japanese and Chinese improved in all phonemes, proving the effects of the training. Especially, the distinction ability of the Japanese improved greatly in fortis, shaping the patterns of perception of the learners of the two countries similar.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perceptual training exerts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phoneme distinction ability.

      • KCI등재후보

        역사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성별 차 인식

        이해영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4

        Recently, various mass media said that the learning methods are different from boys and girls and the method of instruction in school gives girls more advantages than boys. While these studies about sex distinction in math, science and language constantly have been piled up, there are few those of history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houghts of history teachers and students about sex distinction. Author made up questions and interviewed history teachers and students to survey their thoughts about sex distinction. According to this survey, the sex distinction which history teachers perceive are differed that of students. While teachers perceive the sex distinction, students don't in history class. If students don't feel the sex distinction of history, history teacher should change their thought. 각종 매스컴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습 방식이 여학생에게 유리하여 남학생이 남녀공학을 기피한다는 보도가 있다. 이런 경향을 반영하듯, 수학과 과학, 언어에서는 남녀 학생의 학업 성취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쌓이고 있다. 그러나 역사분야에서는 이런 연구가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 있는 역사교사는 남녀학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15명의 역사교사와 30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성벌에 따른 학생 인식을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교사와 학생이 성별에 대해 생각하는 바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짧은 기간이든 오랜 기간이든 학교에 있는 교사는 남녀 학생의 차이를 인정하는 듯하다. 그러나 학생들은 역사 수업 중, 남녀 차이를 인식하지 못했다. 학생들이 남녀 성별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면, 이런 점을 감안하여 역사교사의 성벌 인식에 대한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사회문화적 무형자본을 바탕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와 함의

        조희진(Cho HeeJin) 한국민속학회 2010 韓國民俗學 Vol.51 No.-

        이 연구의 목적은 종부와 종손, 반가(班家) 구성원들의 의복 관련 구술 속에서 과거에 존재했던 계급적 차이와 그로부터 형성된 지적(知的)ㆍ경험적 차이에 관한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구별짓기’의 양태를 유형화하여 그 특성과 합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반가 구성원으로서 경험의 유사성과 동질성을 가진 제보자들의 구술에 주목하여 발화의 공동성을 확인함으로써 의복 관련 지식과 기억, 경험에 의해 형성 된 인식의 ‘경계’와 ‘구별’을 의생활이라는 일상 영역에서 규명하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다. 반가의 구성원인 제보자들은 구술 과정에서 자신들이 경험했거나 제작했던 의복의 명칭과 사용 방법, 종류에 관한 지식은 물론 옷차림의 범절, 의례와 의례복에 관한 인식, 의복 재료의 생산과 제작 경험 등을 근거로 타인 혹은 다른 집단에 대한 구별짓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사례는 지나간 시대의 계급적 기반 속에서 형성된 의생활에 관한 경험과 지식이 현재의 상황에서 사회문화적 무형자본으로 작동하여 나타나는 구별짓기의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ty aspects of 'distinction' based 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as well as the memory about production and manufacture of costume by borrowing 'distinction' and 'Habitus' concept of Bourdie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nowledge about kinds and purposes of costume which upper class of Korean traditional society wore was used as a basic reason of distinction.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costume clearly showed the daily lives of upper class and class distinction. Second, 'distinc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concerning official costumes and ceremonies which upper class attended. Upper class people conducted confucian rites based on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nd they knew manners and etiquette of every rite and also how to utilize their formal costume. This was an significant reason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classes. Third, 'distinction' was also carried out according to technical skills to produce clothing materials and manufacture costume. Particularly, ladies from upper class emphasized they had derailed knowledge about the production process of clothing materials. Also, they believed the knowledge was worthy to show their virtues as a wife of the eldest son or a lady from a noble family. They usually attempted to do 'distinction' against women from other classes or women in the same class who were contemporary with them. Conclusively, 'distinction' was formed on the basis of hierarchical, economic, experiential priority in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