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솔 최현배의 철학 개념 연구 (1) -"살음(生)", "생기(生氣)" 개념을 중심으로-

        임명희 ( Myung-hee L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7

        본 논문은 외솔 최현배(1894-1970)의 사상을 연구한 것으로, 특별히 최현배의 『조선민족 갱생의 도』에 나타난 “살음(生)”, “생기(生氣)” 등의 개념에 주목하였다. 최현배는 기존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도(道), 이(理), 상제(上帝), 로고스(logos) 등의 철학 개념을 순우리말인 “살음”으로 대체하고자 하였다. 또한 살음의 작용성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살려는 뜻”의 함의를 가진 “생기” 개념을 제출하였다. 최현배의 이러한 시도에는 우리말을 통해 사유하고 표현하고자한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나아가 본 문은 최현배의 언어관 속에 근대를 열었던 새로운 가치인 자유와 창조의 정신이 어떻게 녹아들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 최현배 사상이 가지는 철학사적 위상을 제고하고, 아울러 존재의 원리 내지 본질에 관한 한국적사유의 일단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deals with Choi Hyun-bae``s thought, focused upon "Salum(살음)" and "Sengki(생기)" of his writings The Way to Rebirth of the Chosun Nation. Choi Hyun-bae interpreted "Dao(道)", "Li(理)", "Shang-di(上帝)" and "Logos" as "Salum (살음)". In addition, he provided the concepts of "Sengki(생기)", as the Will of life. Second, this paper aimed to show Choi Hyun-Bae``s thought of Korean language by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his philosophic explanations on the interpretation of freedom and creativity.

      • KCI등재

        광복 이후 1970년대까지의 한글전용 논쟁과 한문교육(漢文敎育)의 위상(位相)

        이현일 ( Lee Hyun-il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올해는 1981년에 설립된 韓國漢文敎育學會가 創立 40주년을 맞이한 해이다. 학회 설립의 기반인 각 대학의 漢文敎育科 중에는 조만간 학과 창립 50주년을 맞이하는 곳도 있다. 그러나 중등교육에서 漢文科의 位相은 상당히 嚴酷한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런 시점에 그 始源으로 돌아가 당시 한국 사회에서 우리 교과에 기대했던 바를 다시 되짚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근대전환기에 日帝의 식민지로 전락하여 급기야 말과 글을 빼앗겼던 우리 민족은 光復과 더불어 신속하게 일본어를 몰아내고 한국어를 부활시켰다. 한국과 북한이 재빨리 언어 독립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식민지 시기부터 한국어의 문법 체계를 체계화하고, 표준어를 査定하고, 맞춤법을 통일시키고, 한국어 사전을 편찬하는 등, 말글의 독립을 위해서 목숨까지 바쳐가며 헌신한 학자들의 노력이 중요한 주춧돌이 되었으며, 이들의 학문적 연원은 대체로 한힌샘 周時經(1876∼1914)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복 이후 남과 북에서 한글전용론을 앞장서 주장한 학자들은 대체로 周時經을 淵源으로 하며, 광복 이후 남한에서 모든 논쟁은 崔鉉培(1894∼1970)가 軍政廳 學務局의 編修局長에 취임하여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면서 교과서의 한글 전용 및 가로쓰기와 풀어쓰기를 시도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최현배의 주장과 이에 반대하는 趙潤濟(1904∼1976)의 주장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그 뒤로도 漢字 폐지 여부를 두고 국어학자와 다른 분야의 지식인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지속적인 갈등이 벌어졌고, 정권에 따라서는 이 문제를 정권의 정통성을 부각시키는 데 이용하려 하기도 하였다. 특히 1969년 三選改憲과 1972년 維新憲法을 관철시켰던 박정희 정부에서는 ‘한글전용 5개년 계획’이라는 稀有의 정책을 강력하게 집행하면서도, 그 반대 여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어, 漢文科를 국어과에서 독립시키고 중등 교육에서 필수 교과로 자리 잡게 하였고, 이에 따라 漢文敎育科가 창설되었다. 곧 한글전용과 중등학교에서의 漢文 교육은 애초부터 相補的 관계로 설정되었던 것이다. 또 중등교육에서 漢文科를 독립시키고, 대학에 漢文學科를 창설하고, 동양고전과 우리 한문학 유산을 전문적으로 번역시키고, 이런 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漢學者를 우대해야 한다는 의론이 한글전용을 주장하는 학자들로부터 먼저 나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무리 부분에서는 한글전용이 돌이킬 수 없는 대세가 된 지금의 시점에서 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중ㆍ고등학교에서 漢文科의 위상이 강화되어야 함을 주장했고, 마지막으로 “한글=국어”라는 뿌리 깊고 폭 넓은 오해에 대해서 변증하였다. This year is the fortieth anniversary of Societ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foundation of this society were composed of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mong them some department will be their fiftieth anniversary in two years later. But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Korea has been mediocre. In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 society, Korea people were deprived of Korean speech and language by the colonialist, Japan. As soon as the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 revived the language and derived out the Japanese. During the crucial Colonial days the Korean Scholars systematized the Korean grammar, screened standard language, unified spelling, edited the dictionary of Korean laguage, in spite of their prisoning. After liberation, the advocate of using Hangul exclusively was followers of Ju Si-keyung. Representative hangul advocate was Choi Hyun-bae who supervised editing textboo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and Citizenship. At that time, he attempted to write using Hangul exclusively. This paper reviews Choi Hyun-bae’s assertion and the oppositionist Jo Yoon-jae’s assertion. Choi’s assertion is well described in his Revolution of Letters And opposition party, Jo Yoon-jae’s The Immidiate Problem of Educating the Korean Language was representavie. Under the President Park Jeong-hee’s government, he announced 5 year plan of Hangul only use. And he make Chines Classics and Sion- Korean literature as compulsory subject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let establish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angul use only policy and Chines Classics and Sion-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re not hostile, but complementary.

      • KCI등재

        논쟁적 담론구성체 『조선민족 갱생의 도』, 그 의미

        방민호 이상문학회 2023 이상리뷰 Vol.- No.20

        최현배의 조선 민족 갱생의 도 는 「민족개조론」에서 이광수가 내비친 두려움이나 타협에의 유혹으로부터 자유롭다. 이광수의 견해를 상당한 정도로 참고했음에도 불구하고 최현배는 조선의 전통과 가치를 숭상했던 선배들의 사상을 보다 깊이 흡수했다. 그는 신칸트주의나 니체주의, 그리고 베르그송이나 오이켄의 생철학, 그리고 마르크시즘과 같은 서양철학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성찰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는 정신의 능동적이고도 창조적인 가능성을 믿었고, 조선 민족의 본원적 가치를 믿는 신념 위에서 글을 썼다. 이로 인해 조선 민족 갱생의 도 는 다윈적 진화론, 퇴화론의 영향에서 건져 올려졌다. 이 저서는 민족의 갱생, 부활에의 길에 대한 최현배의 신념을 보여준다. Choi Hyun-bae's The Way of Joseon National Rebirth is free from the fear or temptation to compromise expressed by Lee Kwang-soo in National Reformation Theory . Although he referred to Lee Kwang-su's views to a significant extent, Choi Hyun-bae more deeply absorbed the ideas of his predecessors who revered Joseon's traditions and values. He had critical reflection on Western philosophy such as neo-Kantianism, Nietzscheanism, the bio-philosophy of Bergson and Euken, and Marxism. He believed in the active and creative potential of the mind and wrote based on his belief in the fundamental values ​​of the Joseon people. As a result, The Way of Joseon National Rebirth was saved from the influence of Darwinian evolution theory and degeneration theory. This book demonstrates Choi Hyun-bae's beliefs about the path to national rehabilitation and resurrection.

      • KCI등재후보

        한국의 기독교철학자 100년(1):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철학자

        최태연(Choi Taeyon) 한국기독교철학회 2020 기독교철학 Vol.30 No.-

        이 논문은 지난 100년의 세월 동안 한국현대철학사에서 ‘기독교철학자’(Christian philosophers)들이 어떻게 철학을 해왔는지를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했거나 대학에서 철학 교수로서 활동한 이들 중에서 개신교(protestant) 신앙을 갖거나 개신교의 영향 아래 철학 활동을 한 모든 이들을 기독교철학자의 범주에 넣는다. 즉, 다음 세 유형의 철학자들 모두가 속한다. (1) 정통적인 기독교 신자로서 철저하게 신앙의 전제 위에서 철학 활동을 한 학자 (2) 정통적인 신앙을 가졌지만 철학적 회의와 비판을 동시에 추구한 학자 (3) 기독교 신앙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타 종교나 일반 철학과 접목을 시도한 학자다. 이 세 유형의 철학자들이 모두 기독교철학자로 불릴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기독교 신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든지 그들의 인간적인 삶뿐만 아니라 철학적 사유의 원천 또는 출발점이 기독교이며 기독교적 테두리를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한국에서 기독교 철학의 역사를 1920년대로부터 2020년까지 세 시기로 나눈다. 1기는 <일제 강점기>(1925~1945), 2기는 <해방 후 산업화 시기>(1945~1979), 3기는 <민주화 시기>(1980~2020)이다. 이 시기 구분은 아무래도 임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1기인 <일제 강점기>(1925~1945)의 기독교철학자 5인 - 채필근, 최현배, 정석해, 한치진, 김기석 –을 다루는데 그쳤다. 채필근은 신학자와 목회자였고 최현배는 한글학자였다. 정석해는 수학과 불어를 가르친 철학자였고 한치진은 철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정치학 저술을 한 철학교수였다. 마지막으로 김기석은 철학으로 시작하여 윤리운동에 매진한 교육학자였다. 그러나 그들에게 있던 공통점은 기독교라는 거대한 정신적 유산이자 신앙 세계였다. 그들은 서로 다른 신학적 입장과 관심사를 가졌지만 기독교를 떠날 수 없었다. 바로 이 점이 이 논문이 우선적으로 밝히려는 철학적 사실이다.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how Christian Philosophers have been doing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hilosophy over the past 100 years. In this paper, among those who have studied philosophy professionally in Korea or have worked as philosophy professors in universities, all who have Protestant beliefs or have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under the influence of Protestantism are put into the category of Christian philosophers. Thes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1) A scholar who is an orthodox Christian who has thoroughly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on the premise of faith; (2) a scholar who has orthodox beliefs but has pursued philosophical criticisms at the same time; (3) a scholar who has attempted to connect with other religions or general philosophies by interpreting Christian beliefs in his own way. The reason why all three types of philosophers can be called Christian philosophers is that no matter what attitude they take about Christian faith, they do not leave the Christian foundation. Next, I will divide the history of Christian philosophy in Korea into three periods from the 1920s to 2020. First, <Japapnese colonial era> (1925 to 1945) second, <Industrialization period after liberation,> (1945 to 1979), <Period after democratization> (1980s to 2020) for the 3rd.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period is somehow arbitrary. The first period is covered in this paper. Five philosophers - Chae Pil-geun, Jeong Seok-hae, Choi Hyeon-bae, Han Chi-jin, Kim Kiseok - belong here. Chae Pil-geun was a theologian and pastor, while Choi Hyun-bae was a Korean-language scholar. Jeong Seokhae was a philosopher who taught mathmatics and French, and Han Chijin was a philosopher who wrote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and politics. Finally, Kim Ki-seok was an educator who started with philosophy and focused on ethical movements. What they had in common was the great spiritual legacy of Christianity and the world of faith. They had different theological positions and interests but could not leave Christianity. This is exactly the philosophical fact that this paper is trying to reveal first.

      • KCI등재

        『시골말 캐기 잡책(方言 採集 手帖)』의 체재와 내용 체계 - 『簡約方言手帖』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

        곽충구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In the 1920s and 1930s, dialect survey was being carried out for standard language assessment and dictionary compilation, centering on the Joseoneohakhoe("Korean Language Society") and the Joseoneosajeon pyeonchanhoe(“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At that day, Choi Hyun-bae asserted that it is necessary to survey and study dialects for ‘research and unifi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servation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and compiled a questionnaire, Sigolmal kaegi japchaek, for a systematic and unified dialect survey. This questionnaire was compiled after partially changing the format of Ganyakbangeonsucheop(簡約方言手帖) of Tojo Misao(東條操) and selecting most of the survey items by Choi Hyun-bae in consideration of the Korean vocabulary system. Ganyak has 701 items, but Sigolmal has 878 items. In the case of astronomy and geography part, 54.8% of items matched with Ganyak, clothing part 36%, and human affairs and annual events part 22.9%. As for the 177 sub-items attached to the main item, semantic-related words (subordinate words, reference words, related words, honorific words, reference and address forms, collocations, etc.) and semantic-related words were selected and placed. Since the history and lexical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nd culture, and the human and natural geographic environmen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Japan, the selection of survey items has to be made independently. The items of phonological and grammatical section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phonological variations and changes, pitch-accent,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e selection of items was made while considering the vocabulary system, the amount of dialect, the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of dialects, etc. with a focus on everyday language,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tandard language, standard pronunciation, and preservation of local culture, etc. As this questionnaire is the first dialect survey questionnaire in Korea, this questionnaire laid the foundation for a systematic survey, which made it possible to conduct a unified nationwide survey, and published data collections such as Pangeonjip(“Collection of Dialects") for the whole country. It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history of Korean dialectology. 1920~30년대에는 <朝鮮語辭典編纂會>, <朝鮮語學會>를 중심으로 표준어 사정과 사전 편찬을 위한 방언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시기에 외솔 최현배는 ‘조선어문의 연구 및 통일’, ‘민족 문화 유산의 보존’을 위한 방언 조사ㆍ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체계적이면서도 통일된 방언 조사를 위해 질문지 『시골말 캐기 잡책(方言 採集 手帖)』을 편찬하였다. 이 약식 질문지는 東條操(도조 미사오)의 『簡約方言手帖』을 藍本으로 삼아 편찬한 것이나 외솔이 그 체재의 일부를 바꾸고 국어의 어휘체계를 고려하여 대부분의 조사 항목을 새로 선정하였다. 『簡約方言手帖』의 조사 항목은 701항이지만 『시골말 캐기 잡책』은 878항이다. ‘말수 엮음(語彙編)’은 [천문․지리] 부문의 경우 『簡約』과 일치하는 항목이 54.8%, [의류]는 36%, [인사ㆍ연중행사]는 22.9%이다. 주 조사 항목에 딸린 177여의 보충 항목은 의미역 관계어(하위어, 참고어, 관련어, 존칭어, 지칭어와 호칭어, 연어 등)와 통사역 관계어(사피동사 파생과 같은 문법 범주 변화)로 구성되어 있다. 국어의 역사와 어휘체계, 사회ㆍ문화 및 인문ㆍ자연 지리 환경이 일본의 그것과 다르므로 조사 항목의 선정은 독자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소리 엮음(音聲編)’과 ‘말본 엮음(語法編)’의 항목은 국어의 음운 변이와 변화, 고저 악센트 및 어법적 특징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는데 악센트 조사 항목은 지금도 운소 체계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항목 선정은 일상어를 중심으로 어휘체계, 방언량, 방언 분포 및 분화 등을 고려하고 또 당면한 표준어 사정과 표준 발음, 향토 문화의 보존 등을 염두에 두면서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 질문지의 편찬은 고심 찬 노력의 결실이다. 이 질문지는 국내에서 간행된 최초의 방언 조사 질문지로서 체계적인 조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 이로써 통일된 전국적인 조사가 가능하게 되어 『方言集』과 같은 전국을 대상으로 한 자료집이 간행되고 또 일부 지역어가 조사되었다는 점에서 국어 방언학사의 주요 업적의 하나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초 전후, ‘훈민정음’의 재탄생과 한계

        서민정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2 No.-

        Language changes with the times. Also, the perspective of language changes with the perception of the times. In this context, the evaluation of the same object can also vary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evaluation of ‘Hunminjeongeum’ created in the 15th century is representative. Through the 19th century, the perception of langu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dern perspectiv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Hunminjeongeum’ newly evaluated through the change of the perception of such language, an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gap of the 15th and 20th centuries was fully reflected. For this discussion, first, I would like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rebirth of ‘Hunminjeongeum’ at this time. And I would like to look into whether there was any misunderstanding or wrong part in articles or explanations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about ‘Hunminjeongeum’. For example, the original Hunminjeongeum, which is mentioned in articles related to Hunminjeongeum in newspapers and magazines at that time, is intended to examine what it means and what the Banpo (or Gwangpo) of Hunminjeongeum was actual at the time of its creation.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pretation of Hunminjeongeum prefaces of Korean scholars such as Ju Si-kyung, Kim Yoon-kyung, Choi Hyun-bae, which have been affecting so far, and examines the limitation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Hunminjeongeum’ will be understoo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creation.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언어에 대한 시각도 그 시대의 인식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동일한 대상에 대한 평가도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5세기에 창제된 ‘훈민정음’에 대한 평가가 대표적이다. 개화기를 거치면서 언어에 대한 인식은 근대적 관점에 따라 변화하였다. 그러한 언어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에서 15세기에 창제된 ‘훈민정음’은 새롭게 각광받기도 했고, 갑작스러운 재조명 속에서 시대의 간극이 반영되지 않은 채 당시의 필요에 따라 해석되는 부분도 있었다. 이 연구는 20세기 초, 훈민정음에 대한 당시의 인식을 고찰하고 그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15세기 창제된 훈민정음이 20세기에 어떠한 모습으로 이해되었으며 어떤 한계가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신문, 잡지 등에 실린 ‘훈민정음’ 관련된 기사와 주시경, 최현배 등과 같은 당시 국어학자들의 훈민정음 서문에 대한 인식에서 15세기 창제 당시의 상황에 비추어 검토함으로써 20세기 초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과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언어학적, 역사적, 정치적 측면 등 다양한 관점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는 ‘훈민정음’에 대해, 20세기 초라고 하는 시대의 필요에 의해 왜곡된 부분은 없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즉 이 연구는 신화와 칭송의 대상이 아닌 정확한 이해를 통해 훈민정음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훈민정음’은 그 자체로도 충분히 의미있는 성과이며 ‘고전’으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20C 전반기, 표준어에 대한 인식 검토

        서민정(Seo, Min-Jeo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79

        이 연구는 20C 전반기 근대라는 시공간에서 표준어를 도입하고 제정하는 과정 속에서 표준어의 의의나 필요성, 문제점 등에 대한 당시 지식인들의 표준어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당시에도 제기되었던 표준어의 한계나 문제점들이 지금도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최근 표준어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 연구 성과들과 비교를 통해 살피고자 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먼저 20C 전반기에 발간된 잡지, 신문, 학술지, 저서 등에 실린 표준어에 관련된 논의들을 검토하고, 이극로, 김윤경, 정인섭, 최현배 등과 같이 표준어 제정에 적극적이었던 지식인들의 논의 속에서 그들이 인식하고 있었던 표준어의 개념이나 필요성 등을 살폈다. 그리고 표준어 제정에 적극적이기는 했지만, 그들의 논의 속에는 표준어의 한계나 표준어를 제정함으로서 경계해야 할 점도 제기되고 있는데, 그러한 표준어에 대한 문제 인식이 지금 표준어가 봉착한 문제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표준어 제정 당시의 논의들의 검토는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이러한 표준어에 대한 문제의식은 홍기문 등과 같이 표준어 제정에 반대 했던 지식인들이 비판했던 표준어의 문제점과도 관련되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어의 한계에 대한 당시 지식인들의 인식과 최근의 표준어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1936년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발표 이후 약 80년이 지난 지금, 표준어 제정 당시 인식했던 표준어의 문제점들이 지금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며, 오히려 표준어에 대한 지나친 권위 부여와 그에 따른 방언의 주변화와 같은 언어문화적인 측면의 문제들이 더 심화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In the early 20th century, standard language which was established as a kind of ‘regulation’ needs to be examined in terms of how standard language was introduced, and what discussion influenced the idea of establishing it, so that we can accurately diagnose and understand the problem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from existed research, regarding standard language. Around 1936, when standard language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tellectuals who were enthusiastic about the idea of standard language such as Lee, Geug-lo, Kim, Yoon-gyung, Choi, Hyun-bae, as well as Hong, Gi-moon who objected to the idea realized that in spite of its necessity, standard language had problems and limitations its establishing could have caused. With regard to this, we can see their arguments in the magazine, newspaper, academic journal, book etc. published at that time. In this article, I try to analyze process of establishing standard language and intellectual’s search surrounding it in which there wer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 concerning standard language. On top of that, about 80 years later since standard language implemented, with reference to standard language-related problems that elites of the day were watchful of, I would examine how it has been presented now, on the basis of recent research of standard language. By this examination, I expect to find solution or, if any, revealing thoughts to the problems standard language might suffer, which present Korean language might also faces.

      • KCI등재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과 영향관계 : 19세기 말∼20세기 전반기, ‘국어학’ 학술네트워크 고찰을 위하여

        서민정(Seo, Min-jeong),최규수(Choi, Kyu-soo)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0

        ‘훈민정음’은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 제국에 저항할 수 있는, 민족적 자부심이 담긴 대표적인 유산으로 여겨왔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은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지식인, 특히 국어학자들의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성과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특히 ‘허웅’은 20세기 전반기의 국어학 연구나 언어에 대한 인식 등을 현재까지 잇는 중간 역할을 하였다는 측면에서 ‘허웅’의 훈민정음 인식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앞선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 온 주시경, 권덕규, 김윤경, 최현배, 홍기문 등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이나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것은 허웅(1974가, 나)에서 볼 수 있듯이 그의 말과 글의 관계나, 한글전용과 같은 언어 정책에 대한 입장 등은 대부분 ‘훈민정음’ 특히 ‘어제서문’의 해석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어서 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허웅은 학문에 대한 태도는 실증적이고 엄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스스로도 그러한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훈민정음 서문의 해석에서는 앞선연구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아 실증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허웅의 관점이 허웅의 학문적 태도에서 출발했다기보다는 훈민정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그만큼 맹목적인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은 『한글과 민족 문화』(1974ㄱ)에 선명히 나타나 있는데, 이외에도 『우리말과 글의 내일을 위하여』(1974),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1979), 「세종의 언어 정책과 국어 순화 정신」 (1980), 『이삭을 줍는 마음으로』(1981) 등에서도 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Since the flowering period, ‘Hunminjeongeum’ has been understood as a representative heritage showing the pride of the people who oppose the Western modernity or resist the Japanese empire. In this process, it was natural that the research related to the Hunminjeongeum of intellectuals, especially Korean scholars, became the basis. So far, in the previous study, discussions about Hunminjeongeum such as Ju Si Kyung, Kwon Duk Kyu, Kim Yoon Kyung, Choi Hyun Bae, and Hong Gi Moon have been discussed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a need for this research in that the review of the ‘Hunminjeongeum’ by Mr. Huh has not been done yet. As we can see in Huh Woong(1974, I)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words and writings, and the position of language policy, such as Hangul, are mostly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Hunminjeongeum’, especially ‘Preface’, which makes it more necessary to examine his perception of ‘Hunminjeongeum’. On the other hand, as discussed in Seo Min-jeong(2011), “Hunminjeongeum” and “Preface” were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15th century (say) and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20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material that reveals Huh Woong’s awareness of Hunminjeongeum is “Hangul and National Culture”(1974). Other than that, for the sake of Korean and Writing tomorrow (1974), Korean and Writing Love(1979), Sejong’s Language Policy and Korean Refinement Spirit(1980), Isaac’s Mind, etc.(1981), and the Korean and Korean Cultures(1974, Sejong University, and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1974), The Korean language policy is also discussed,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Hunminjeongeum can be said to be followed by the Korean language policy. Based on the above data,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Hunminjeongeum by Mr. Huh.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attitude of Huh Hung"s scholarship showed a different patter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face of Hunminjeongeum. And it was examined that such aspect did no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rather than the problem of attitude of Heung.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we should recognize that it is time to reinterpret and evaluate Hunminjeong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