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공적 CSR 활동의 전제조건으로서의 CSR 활동에 대한 공중의 인지

        김효숙(Hyo Sook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광고연구 Vol.0 No.86

        CSR(Co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에 대한 기존의 많은 연구는 공중들이 특정 기업의 CSR 활동에 대해 인지하고(aware) 있다는 가정 하에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몇몇 연구는 이러한 가정이 오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과연 특정 CSR 활동에 대해 공중들이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현장 실험(field experiment)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CSR 활동을 인지하고 있는 공중과 인지못하는 공중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어떤 종류의 정보원을 통해 CSR관련 정보를 배포했을 때 가장 효과가 큰지, 그리고 공중들은 어떤 정보원을 가장 신뢰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체 참가자의 19.38%만이 대상 CSR 활동에 대해 인지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그 CSR 활동을 인지하는 공중은 그렇지 않은 공중에 비해 호의적인 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효과적인 정보원은 웹사이트였으며, 가장 신뢰받는 정보원은 TV뉴스, 신문기사 등의 언론보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Many previous studies on CSR assumed that publics were aware of corporations` CSR initiatives. However, some new studies in CSR research showed that such an assumption was wrong. This study conducted a field experiment to examine the actual rate of publics` awareness of CSR implementation. By doing so, this study also tried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ponses from publics who were aware the CSR initiatives and those from publics who were not aware the initiatives. In addition, the types of the most useful media channels in delivering CSR-related messages and the types of most trusted message sources of CSR information were also investigated.

      • KCI등재

        CSR,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 기업 재무성과 관계

        유재미(Yoo, Jae Mee)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이 기업성과를 도출하는 매커니즘을 탐색했다. 이해관계자 이론을 바탕으로, CSR을 통한 이해관계자와 관계 증진이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을 증진시키고, 이것이 기업 재무성과를 이끌어낸다는 가설을 도출하고 검증했다. CSR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차원 활동으로 구성되므로 유형별로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 기업재무성과에 주는 차별적 영향력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이에 CSR 활동을 비즈니스 활동(business practice), 윤리적(ethical), 자선적(philanthropic)CSR, 세 유형으로 구분하고 브랜드자산과 기업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했다. CSR,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 기업 재무성과는 각각 KEJI, K-BPI, KISVALUE 등 세 가지 원천의 2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마다 다른 조작적 정의에서 비롯된 혼동을 줄였다. 연구결과, 윤리적 CSR, 자선적 CSR은 ROA, ROI, Tobin"s Q 등 기업 재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즈니스 활동 CSR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CSR이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력은 세 유형 중 자선적 CSR 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가, 자선적 CSR과 기업 재무성과 관계에 있어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이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했다. 자선적 CSR이 브랜드자산을 증진시키고 이는 재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윤리적 CSR의 경우, 브랜드자산의 매개 없이 재무성과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이 부족했던, CSR이 기업 재무성과를 유도하는 중간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왔고 CSR-기업 재무성과 관계에서 마케팅 변수, 구체적으로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의 매개역할을 검증했다. CSR이 브랜드자산 구축에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마케팅활동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고 CSR 유형별 탐색을 통해 브랜드자산 구축을 위해서는 CSR의 어떤 차원에 초점을 맞춰야하는지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더 나가 CSR을 통한 브랜드자산 구축 노력이 기업 재무성과까지 도출할 수 있음을 실증했다. Although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n firm"s financial performance has been widely studied, the investigation of underlying mechanism of the CSR effect is rare. Research from the instrumental stakeholder theory suggests that CSR enhances the relationship with stakeholders, which is expected to ultimately lead improvement of firms"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selects one certain marketing variable, customer based brand equity as a consequence of enhanced relationship, and then explores it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distinguishes CSR into three categories, business practice, ethical, and philanthropic types and investigates the effect of CSR on brand equ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by type. The study employs three different sources of secondary data such as KEJI, Korea Brand Power Index, and KISVALUE to measure CSR, brand equ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respectively. Employing the secondary data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diversity due to the differences of research design. The results show that ethical and philanthropic CSR except business practice CSR have a positive effect on ROA, ROI, and Tobin"s Q. And only philanthropic CSR influences on the customer based brand equity positively, which in turn leads to enhanc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for firms. Customer based brand equ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anthropic CSR and firms’ outcomes.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the mechanism behind the impact of CSR on firms’ financial performance, and moreover employes marketing variable as a mediator. CSR, especially philanthropic on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rketing strategy to improve brand equity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 KCI등재

        기업시민행동인 CSR 활동이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하는 조건과 과정에 관한 연구

        이수정(Lee, Soojung),윤정구(Yoon, Jeongk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사회에 대해서 행하는 시민행동인 사회적 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활동이 그 기업에 속한 종업원들의 회사와 동료종업원들에 대한 조직시민행동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이하 OCB)을 도출해 내는 과정과 조건에 대해서 탐구한다. 조건에서는 종업원들의 자사의 CSR에 대한 정당성을 어떤 종류로 이해하는지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정당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과정의 설명변수로써는 조직동일시라는 변수를 도입한다. CSR이 과연 자사의 조직운영에 어떤 정당성의 측면을 가지고 있는지는 두 종류로 다시 설명된다. 하나는 자사의 CSR활동에 대해 종업원들은 이를 경제적 이득이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적 정당성을 가진 활동으로 이해하는지 아니면 조직의 미션, 비전, 가치 등을 구현하기 위한 표출적 정당성을 가진 활동으로 이해하는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CSR활동에 대한 이와 같은 종업원의 수단적 정당성 인식을 모방적 동형화라는 개념으로 정형화하고 표출적 정당성의 측면은 조직정당성으로 정형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종업원이 자사의 CSR활동을 수단적인 모방적 동형화 측면에서 진행되는 활동으로 인식하게 될 경우 종업원의 OCB는 감소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반면, 종업원이 자사의 CSR활동을 조직정당성 측면에서 표출적 활동으로 귀인하게 될 경우 종업원의 OCB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종업원이 조직과 일체감을 느끼는 정도에 대한 지각인 조직동일시가 정당성과 OCB 간의 관계를 매개해줄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Korea 2009에 선정된 최우수기업 41개 중 38개 기업의 405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LISREL분석 결과, 자사의 CSR활동이 모방적 동형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종업원이 CSR의 정당성을 이해할 경우, 이는 이들의 조직동일시를 통하여 OCB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CSR활동이 조직정당성에 근거하여 시행되는 것으로 종업원이 이해하는 경우에는 조직과의 동일시정도가 증가하고, 그 결과 이들의 OCB도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주요한 발견들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토의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and processes through which employees' perceived legitimacy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ffects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ssuming that employees as insiders have better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mpared to other external stakeholders such as stockholders and customers, their own understanding of firms' CSR legitimacy becomes a key factor affecting their attitudes or behaviors toward their firm. Employees usually perceive their company's CSR as either an instrumental effort to get legitimacy from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r an expressive effort to realize their firm's management moral philosoph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se perceptions as mimetic and organizational legitimacy respectively. Companies acquire mimetic legitimacy, when they imitate the CSR of dominant companies in their environment for instrumental gains. Instead, they acquire organizational legitimacy when they adopt CSR as a means to express their organizational moral philosophy. We predict that when employees perceive their company's CSR as an effort to acquire mimetic legitimacy, they are less likely to engage in OCB. On the other hand, when they perceive that their firm's CSR as an effort to acquire organizational legitimacy, they are more likely to show OCB. We also predict tha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ill mediate the effects of legitimacy on employees' OCB an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mimetic legitimacy on employee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greater when the organizational legitimacy is low. To test these hypotheses, we sampled 405 employees from 38 companies that are listed on 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Korea in 2009. LISREL analyses confirmed most of hypotheses. As predicted, mimetic legitimacy decreases employees' OCB while organizational legitimacy increases it. The findings also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legitimacy on OCB was mediated by employee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e discussed implications of findings in more detail.

      • KCI등재

        우리나라 해운선사의 사회적 책임활동 선행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계숙,김태우 한국항만경제학회 201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5 No.3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다양한 산업에서 그 성과를 규명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CSR을 이끄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CSR이 당면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해운선사를 대상으로 CSR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외부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국내 해운선사 43개 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3.0과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사의 조직 내부 요인으로 CSR에 대한 기대, 최고경영자의 지원, 재무적자원은 모두 CSR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선사의 조직 외부 요인으로 규제변화, 화주의 요구수준은 선사의 CSR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쟁사의 대처수준은 기각되었다. 선사의 CSR실행은 종업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선사들의 CSR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어떤 요인들이 동인으로 작용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gaining significance in various industries and academic research. However, shipping companies have a relatively less interest in CSR.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sation’s (IMO) 2020 model and its focus on sustainability, it is time for shipping companies to consider the active use of CSR initia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ading factors influencing CSR implem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and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18.0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shipping companies play a positive role in CSR implementation, which was fou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enhancing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factors that drive shipping companies to improve their CSR performance.

      • KCI등재

        기업의 전략이 CSR 활동에 미치는 영향: 멕시코 진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김순성 ( Kim¸ Soonsung ),유다선 ( Yoo¸ Dasun ),김주희 ( Kim¸ Joohee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1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전략과 CSR활동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차별화전략을 추구하는 기업은 CSR 전체와 CSR의 하부영역 중 공동체, 노동자, 고객에 대하여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원가전략의 경우는 노동자, 고객에 대한 책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하부영역 중 노동자와 고객에 대한 CSR에 대하여는 기업의 차별화전략과 저원가전략 모두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환경에 대한 책임에 대하여는 두 전략 모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SR 하위영역 간의 균형과 특화에 대한 기업의 CSR을 수행함에 있어 전략적 선택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 strategy and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he results show the firms pursuing differentiation strategy are positively related to CSR in general and the sub-categories of CSR for community, workers, and customers. On the other hand, the firms pursuing cost leadership strategy are shown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sub-categories of CSR for workers and customers, respectively. To the contrary to the positive results both on the relationships to CSR for the workers and customers, the CSR for the environments is shown not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either strategy, differentiation or cost leadership strategy.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required for firms to make a strategic choice in implementing CSR considering the balance or the specialization between sub-categories of CSR.

      • KCI등재
      • KCI등재

        CSR 활동 수준과 이익 정보에 대한 시장 반응

        이다혜(Dahye Lee),이영주(Youngjoo Lee),변상혁(Sanghyuk Byu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의 CSR 수준과 이익 정보에 대한 자본 시장 투자자의 반응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검증하고 투자자 심리가 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다. [연구방법] 2002년부터 2016년까지의 미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CSR 수준에 따른 이익반응계수를 측정하여 분석하고 투자자 심리와의 상호작용 변수를 추가하여 투자자 심리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Lys et al.(2015)의 연구에 따라 CSR 수준을 측정하여 비정상과 정상으로 구분하고 Naughton et al.(2019)의 방법에 따라 투자자 심리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CSR 수준과 이익반응계수는 양(+)의 관련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관계는 비정상 CSR 수준과 정상 CSR 수준의 구분과 상관없이 나타났다. 그리고 투자자의 심리가 우호적일수록 비정상 CSR 활동 수준과 이익반응계수의 관계는 강하게 나타나지만 정상 CSR 수준과 이익반응계수의 관계는 차이가 없다. 이러한 현상은 기관투자자 지분율이 낮은 경우에만 나타나고 기관투자자 지분율이 높은 기업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투자자들이 CSR 활동에 대해 정상 수준의 CSR과 비정상 수준의 CSR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것을 증명하며 CSR에 대한 투자자의 심리가 우호적일수록 비정상 CSR에 대해 강하게 반응하는 투자자들에게 기관투자자 등의 지배구조가 모니터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또한 정상 CSR 수준과 비정상 CSR 수준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상반됨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CSR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도적으로 또는 실무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SR level and investor’s response to earnings information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investor sentiment on the association. [Methodolog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CSR level on market response to earnings by including interaction terms between earnings and CSR levels in the regression model. We also interact with investor sentiment to test the effect of investor sentiment. CSR level is measured following Lys et al.(2015) and divided into abnormal and normal level. Investor sentiment is measured based to the method of Naughton et al.(2019). [Findings] Our results report a positive association not only between normal CSR level and the ERC, but also abnormal CSR level and ERC. When investor sentiment for CSR is higher, this positive association is stronger for abnormal CSR level, but not for normal CSR level. When we divide our sample to high institutional investor ownership firms versus low institutional investor ownership firms, the positive relationship revealed in the previous tests exist only in the low institutional investor ownership firms. [Implications] This study implies that investors cannot distinguish between normal CSR level and abnormal CSR level and that institutional investors may play a monitoring role to limit abnormal CSR activities, thereby affecting investors’ decision making. Given the investors’ inefficiency in differentiating normal CSR level from abnormal CSR level despite their opposite effects on firm value, we need to contemplate how to deliver information about CSR levels to market participants in a systematic way.

      • 기업 CSR활동의 속성이 CSR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 : 기업 기존명성의 조절효과·

        왕진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6 한국전문경영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0

        본 연구는 CSR효과 연구를 토대로 CSR활동의 속성, CSR의 진정성 및 기업이미지의 구조관계를 규명하고자한다. 272 명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에 의하면 기업 CSR활동의 적합성을 제외 하고 지속성, 차별성이 CSR의 진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CSR의 진정성이 기업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SR 지속성과 차별성이 CSR의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기존 기업명성에 따라 유의한 영향력 차이를 검증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SR attributes, CSR authenticity and corporate image. The survey results targeting 272 Chinese consumers had found that CSR consistency and differenti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SR authenticity except CSR fit. And CSR authentic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Especi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SR attributes on CSR authenticity in two dimensions: consistency and differentiation between high/low prior reputation.

      • KCI등재

        기업의 CSR활동이 종업원의 CSR태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기업유형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태석(Kim, Tae-Seok),전표훈(Jeon, Pyo-Hoon),황사연(Hwang, Sa-You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3

        본 연구에서는 CSR활동의 내부마케팅 효과를 심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B2C 기업과 B2B 기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CSR활동의 효과차이를 비교,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에 대한 태도 및 명성, 그리고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CSR활동의 영향력의 차이를 CSR활동의 주요 책임 영역(윤리적, 자선적, 사회적, 환경적 책임)별로 비교, 검증하고, 조직동일시라는 변수가 기업명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300인 이상 근무하는 B2B 기업 및 B2C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B2B 기업 종업원 205명과 B2C 기업 종업원 206명 등 총 411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윤리적, 자선적, 환경적, 사회적 책임 등 네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분한 CSR책임이 종업원들의 CSR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종업원들의 CSR활동에 대한 태도는 해당 기업의 명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업명성은 조직시민행동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명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는 조직동일시라는 변수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책임 영역별로 CSR활동과 CSR태도 간의 인과관계의 강도를 B2B 기업과 B2C 기업 간에 비교한 결과 자선적 책임과 사회적 책임의 영향력은 B2C 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적 책임의 영향력은 B2B 기업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internal marketing effects of CSR activities between B2B and B2C companies by delving into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SR activities, corporate attitudes and reputations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Specifically, this study looks at the four dimensions of responsibilities (ethical, charitable,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their effects on employe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company. Also,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reput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from an online survey with a sample of 205 B2B employees and 206 B2C employees show that all the four dimensions of responsibil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es’ attitudes toward the company,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 corporate reputation. Corporate reputation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reput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mediated b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mportantly, when the effects of four responsibility dimensions on company attitudes were compared between B2B and B2C companies, charitable and social responsibility had larger effects for B2C companies whil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ad a greater effect for B2B companies.

      • KCI등재

        企業の社會的責任に關する日本の大學生の主觀的認識とその類型分析-Q方法論を中心に-

        安兌爀 ( Ahn Tae-hyuk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3

        CSRに關する日本の女子大學生の認識とその類型を分析するために, Qサンプルを通じて人の主觀性が得られるQ方法論 (Q-methodology) を實施する。本稿の目的はCSRに關する大學生の主觀的な認識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あるが, その實狀を調査するということよりも, あくまでもCSRを理論的に考察することにある。 硏究分析の結果, 利用者の主觀的認識は4つの類型に分類された。第1類型は, 「事業の社會性」を基盤としたCSRに焦点が合わせられており, 谷口の理論に基づいて「『社會的責任』を伴った『事業活動』による『社會的貢獻』型」として名付けた。第2類型は, そもそも社會的責任というのは經濟的責任を果たすのに必要な手段にすぎないという意味から, 「經營戰略·經濟的責任優先型」として名付けた。第3類型は, 「成果」である「利益」や「能力」を活用した「新たな事業創造」の實踐による「社會的貢獻」がCSRであるという意味から, 谷口の理論に基づいて「『新たな事業創造』の實踐による『社會的貢獻』型」として名付けた。第4類型は, CSRというのは, 社會狀況, あるいは組織が置かれている狀況によってその實踐が左右される性質をもつという意味から, 谷口の理論に基づいて「『フィランソロピ一』による『社會的貢獻』型」として名付けた。 本硏究は, 當然限られた範圍における硏究ではあるが, CSRに關して大學生が持っている認識をある程度代弁する要因になるということから, 今後, CSRの槪念の定立やCSRに關する事業の方向性を提示するのに活用可能な根據にもなるといえよう。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subjective recognition types of the collegiate woman in Japan related to CSR, to implement the Q methodology subjectivity of people is obtained through Q sample.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seek to establish a conception of CSR and the plan of the sustainability. From the study,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CSR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Ⅰ is ‘social service by business activities come with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type, they recognize it as the CSR that develop of business based on sociality and the position based on theoretical essence of CSR. Type Ⅱ is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economic responsibility.’ In this type, they recognize it as the CSR that the means for profit seeking and the posi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Type Ⅲ is ‘social service by the creation and practice of new business.’ In this type, they recognize it as the CSR that the creation of sociality through the use of profitability and ability. Type Ⅳ is ‘social service by the philanthropy.’ In this type, they recognize it as the CSR that philanthropy and charity of unrelated to the basic bus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meaning for exploratory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SR based on college student subjectivity and each analyzed type would suggest the standards and direction of the concept for CSR and furthermore would be considered to be contributed to invigoration of CS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