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SR,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 기업 재무성과 관계

        유재미(Yoo, Jae Mee)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이 기업성과를 도출하는 매커니즘을 탐색했다. 이해관계자 이론을 바탕으로, CSR을 통한 이해관계자와 관계 증진이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을 증진시키고, 이것이 기업 재무성과를 이끌어낸다는 가설을 도출하고 검증했다. CSR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차원 활동으로 구성되므로 유형별로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 기업재무성과에 주는 차별적 영향력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이에 CSR 활동을 비즈니스 활동(business practice), 윤리적(ethical), 자선적(philanthropic)CSR, 세 유형으로 구분하고 브랜드자산과 기업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했다. CSR,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 기업 재무성과는 각각 KEJI, K-BPI, KISVALUE 등 세 가지 원천의 2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마다 다른 조작적 정의에서 비롯된 혼동을 줄였다. 연구결과, 윤리적 CSR, 자선적 CSR은 ROA, ROI, Tobin"s Q 등 기업 재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즈니스 활동 CSR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CSR이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력은 세 유형 중 자선적 CSR 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가, 자선적 CSR과 기업 재무성과 관계에 있어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이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했다. 자선적 CSR이 브랜드자산을 증진시키고 이는 재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윤리적 CSR의 경우, 브랜드자산의 매개 없이 재무성과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이 부족했던, CSR이 기업 재무성과를 유도하는 중간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왔고 CSR-기업 재무성과 관계에서 마케팅 변수, 구체적으로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의 매개역할을 검증했다. CSR이 브랜드자산 구축에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마케팅활동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고 CSR 유형별 탐색을 통해 브랜드자산 구축을 위해서는 CSR의 어떤 차원에 초점을 맞춰야하는지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더 나가 CSR을 통한 브랜드자산 구축 노력이 기업 재무성과까지 도출할 수 있음을 실증했다. Although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n firm"s financial performance has been widely studied, the investigation of underlying mechanism of the CSR effect is rare. Research from the instrumental stakeholder theory suggests that CSR enhances the relationship with stakeholders, which is expected to ultimately lead improvement of firms"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selects one certain marketing variable, customer based brand equity as a consequence of enhanced relationship, and then explores it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distinguishes CSR into three categories, business practice, ethical, and philanthropic types and investigates the effect of CSR on brand equ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by type. The study employs three different sources of secondary data such as KEJI, Korea Brand Power Index, and KISVALUE to measure CSR, brand equ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respectively. Employing the secondary data can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diversity due to the differences of research design. The results show that ethical and philanthropic CSR except business practice CSR have a positive effect on ROA, ROI, and Tobin"s Q. And only philanthropic CSR influences on the customer based brand equity positively, which in turn leads to enhanc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for firms. Customer based brand equ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anthropic CSR and firms’ outcomes.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the mechanism behind the impact of CSR on firms’ financial performance, and moreover employes marketing variable as a mediator. CSR, especially philanthropic on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marketing strategy to improve brand equity and firms" financial performance.

      • KCI등재

        기업 내부마케팅과 외부평판 관리가 종업원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 -항공,관광산업에 대한 시사점-

        유재미 ( Jae Mee Yoo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5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3 No.4

        항공산업은 가치창출과정에서 인적서비스가 집약적으로 요구되는 환대산업(hospitality industry)으로 우수 인적자원의 관리,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종업원 이직은 새로운 직원 채용, 교육, 대체에 이르기까지 기업에 물리적, 시간적 비용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종업원을 내부고객으로 보는 내부 마케팅개념이 도입되어 이직관리에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관광산업에서 종업원 이직율은 환대(hospitality)산업중에서도 높게 나타나 실무, 연구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관광산업은 항공산업과 목적과 수단 관계이기 때문에 높은 이직률로 인한 관광상품의 품질저하는 관광수요 및 항공수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광산업에서 높게 나타나는 종업원 이직문제를 항공산업의 성공적인 내부마케팅 시스템과 외부 평판관리라는 두 차원을 가지고 탐색해보고자 했다. 최근 대한항공의 회항 사태는 종업원 이직율 증가라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좋게 인식되는 기업이라는 외부평판이 내무마케팅만큼이나 종업원 이직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관광산업 중 카지노, 골프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했는데 두 업종은 관광인프라의 핵심으로 이들의 서비스품질 유지는 관광상품 및 항공수요 개발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도박, 환경훼손, 빈부문제 등 사회적 논란과 부정적 인식의 대상이 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항공산업역시 소음과 배기가스 배출 등 환경문제 유발의 주체로 비판의 대상이 되지만 외부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노력을 통해 대외 평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카지노, 골프와 같이 외부편견과 부정적 인식에 맞닥뜨리는 업종의 종업원은 조직과 자신을 분리함으로써 자신의 자긍심을 높이 려 하기 때문에 조직 몰입, 동일시 등이 낮아지고 궁극적으로 조직을 떠나게 된다. 사회적으로 논란이되는 업종이나 기업의 경우 내부마케팅활동 뿐 아니라 타인의 인식 관리 즉 기업의 외부평판 관리가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탐색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다. 연구결과, 성과급, 교육,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등의 내부마케팅활동이 이직의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고 내부마케팅활동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외부평판 관리 중 서비스품질관리차원이 이직의향에 유의하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기업이 내부마케팅 활동을 통해 직접적으로 종업원 이직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과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는 업종이나 기업의 경우 이직관리에 있어 내부마케팅 뿐 아니라 외부평판 관리가 함께 고려돼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외부이해관계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이 종업원 이직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Airline and tourism industrie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s means and goals. They are in common in need of intensive human services to create value. It is critical for them to hire, manage, and maintain qualified employees. Academic and practical fields have paid attention to relatively high turnover rate in tourism industry. Inconsistent and unqualified services due to high turnover of employees in tourism industry could influence airline demand as well as the demand for travel. Thus, this study explores how to manage high turnover rate in tourism industry employing two systematic dimensions of internal marketing and external reputation management which has been successfully settled in airline industry. The paper selects casino and golf among tourism industries because they are important anchor and vehicle in developing tourist attractions. Well developed infra of casino and golf services could increase the volume of tourists and in turn, lead to increased demand of airline industry. However, they have been perceived negatively in society as their controversial characteristics. The employees in controversial firms tend to disidentify themselves with organization to protect their self esteem, which leads to leave the firms. External reputation of organization in controversial firms influences on employee``s turnover. Airline industry also can be get involved in a dispute as its noise and air pollution, however it has attenuated criticism from external stakeholders Airline and tourism industrie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s means and goals. They are in common in need of intensive human services to create value. It is critical for them to hire, manage, and maintain qualified employees. Academic and practical fields have paid attention to relatively high turnover rate in tourism industry. Inconsistent and unqualified services due to high turnover of employees in tourism industry could influence airline demand as well as the demand for travel. Thus, this study explores how to manage high turnover rate in tourism industry employing two systematic dimensions of internal marketing and external reputation management which has been successfully settled in airline industry. The paper selects casino and golf among tourism industries because they are important anchor and vehicle in developing tourist attractions. Well developed infra of casino and golf services could increase the volume of tourists and in turn, lead to increased demand of airline industry. However, they have been perceived negatively in society as their controversial characteristics. The employees in controversial firms tend to disidentify themselves with organization to protect their self esteem, which leads to leave the firms. External reputation of organization in controversial firms influences on employee``s turnover. Airline industry also can be get involved in a dispute as its noise and air pollution, however it has attenuated criticism from external stakeholders

      • KCI등재
      • KCI등재

        복제품이 소비자의 명품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진품사용자와 복제품사용자 태도 비교-

        유재미 ( Jae Mee Yoo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2

        복제품이 소비자의 명품브랜드 태도에 주는 영향을 명품 사용자유형을 고려해서 탐색했다. 명품사용자를 진품사용자와 복제품사용자로 구분하고 복제품의 영향력이 사용자유형에 따라 다른 지, 다르다면 왜 그런지 등을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복제품 사용경험은 명품브랜드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결과, 복제품이 소비자의 명품브랜드 태도에 주는 영향은 진품사용자, 복제품사용자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복제품은 진품사용자의 브랜드태도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지만 복제품사용자의 브랜드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진품사용자의 경우 복제품이 명품이 가진 특권, 부,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상징적 가치를 떨어뜨린다고 인식하고 이는 진품사용자의 브랜드태도를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제품사용자가 인식하는 명품의 상징적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고 이는 유의한 태도 변화를 일으키지 못했다. 즉 복제품은 진품사용자와 복제품사용자의 명품브랜드 태도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사용자가 복제품을 명품의 상징적 가치를 하락시키는 것으로 인식하는가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복제품이 브랜드태도에 주는 영향은 명품 사용자유형과 함께 개인의 명품 수용동기에 의해서도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품사용자의 경우, 명품의 사회적 의미를 중시하는 사회적응 동기를 가진 집단에서 개인적 의미를 중시하는 자아표현 동기를 가진 집단에 비해 복제품으로 인한 태도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복제품사용자의 경우, 어떤 동기로 명품을 수용했는가는 복제품으로 인한 태도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This paper has empirically tested how counterfeiting of luxury brands affects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brand. Little has been empirically studied about the impact of counterfeiting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luxury brand, moreover the impact has been sometimes found to be negative while sometimes not to be negative. This research has classified luxury brands users into two groups- genuine-item users and counterfeit-item users-to draw clearer explanation regarding the controversial result because counterfeit experience has been found to impact on forming attitude toward brand. First, this research has tried to compare the impact of counterfeiting on the attitude of genuine-item consumers with that of counterfeit-item consumers. Second, it has investigated why two types of consumers respond to counterfeiting in a different way if they do so. The social value of luxury brand, owning luxury brands mean wealth, privilege, and prestige of users to other people, has examined to explain the different responses of consumers. Lastly, this study has considered personal motivation to luxury brand to explain the different process of responses. This is because researchers have persisted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personal value as well as social value of luxury brand to fully understand the consumers` purchase behavior. Two group before-after design was accepted to test hypothesis; two groups of consumers (genuine-item consumers and counterfeit-item consumers) evaluate the brand repeatedly before and after the exposure of experimental material containing counterfeiting proliferation news of the experimental brand. Louis Vuitton was chosen for the experiment because it is one of famous global luxury brands and familiar to subjects in Korea as well. Twenty to forty nine aged female subjects hav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via the web. Genuine-item consumers are defined as those who have bought only genuine items of Louis Vuitton in latest three years. Counterfeit-item consumers are defined as those who have bought counterfeit items(having an experience with counterfeit items) in three years; those who have bought genuine items as well as counterfeit items are classified into counterfeit item consumers. The research has shown that the impact of counterfeiting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luxury brand is contingent on the types of consumers (F(1, 98)=4.380, p=.039). Counterfeiting has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genuine-item consumers but in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counterfeit-item consumers (genuine-item consumers: Mbefore=5.42 vs. Mafter=4.58, planned contrast test t=3.535, p=.001; counterfeit-item consumers Mbefore=5.62 vs. Mafter=5.50, planned contrast test t=0.505, p=.614) Genuine-item consumers have perceived the social value of luxury brand such as privilege, prestige, wealth etc. to become weak when counterfeiting increases. This is because the more users increase because of counterfeiting the more negative network effect would occur. That leads consumers` attitude toward brand to become down. On the other hand, counterfeiting would no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counterfeit-item consumers on social value of brand. That leads consumers` attitude to be changed insignificantly. To counterfeit item consumers, increasing counterfeiting of brand could mean popular one and give the opportunity to buy luxury items with lower price. They usually have bought counterfeit items knowing it is not genuine. They have been known to enjoy social value of luxury items with counterfeits. Consequently, the changed perception on social value of luxury brand h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terfeiting and the consumers` attitude change. In short, the impact of counterfeiting on consumers` brand attitude is dependent on types of consumers. This because how counterfeiting influence differently the consumers` perception on social value of luxury brand. Those who perceive the social value of luxury brand to become downgrade when counterfeiting increases, have changed attitude more negatively while those who are not have changed insignificantly. The research also has shown that the personal motivation to luxury brand such as self expressive and social adjustive is found to interact with the types of consumers in forming a brand attitude when counterfeiting increases. Genuine-item consumers with social adjustive motivation have changed their attitude greater than with self expressive motivation when counterfeiting increases. However, counterfeit-item consumers have changed their attitude insignificantly regardless of their motivation.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의 체험 요소가 이용 만족 및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재미(Jae Mee Yoo) 한국상품학회 2024 商品學硏究 Vol.42 No.1

        Based on the experiential theory proposed by Schmit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experiential factors of online used goods transaction platforms on usage satisfaction and usage intention. As the online used goods trading market has grown significantly and interactions between consumers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empathy, cooperation, help, and sharing, as well as simple transactions of products using the platform, are actively taking place, so we conceptualized and review them as experiential elements. We hypothesized that sense, feel, think, and relate experiences of a used goods trading platform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usage satisfaction and that usage satisfaction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reuse intention.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factors and usage satisfaction would vary depending on consumers' prosocial tenden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online used goods users, sense, feel, and think experient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usage satisfaction with a used goods trading platform. Relate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usage satisfaction, but was not significant at the 5% level. Also usag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use inten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factors and usage satisfac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social tendency of consumers. The sense, feel, think, and relate(10% level) experient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usage satisfaction in the strong prosocial consumer group. To the contrary in the weak prosocial consumer group, the sense(visual) experiential factor of the platform had the greatest impact on usage satisfaction and the think and relate experiential factors, except for the feel(10% level),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usage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iewed the used goods transaction platform as a space where various experiences other than transactions occur with a theoretical framework, and in practice, it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growth direction of the used goods transaction platform. 본 연구는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소비자가 경험하는 다양한 체험 요소에 주목하고 Schmitt의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체험을 유형화해 이용 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다. 온라인 중고거래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며 플랫폼을 이용한 제품의 단순 거래뿐 아니라 정보 취득, 공감, 협력, 도움, 나눔 등 소비자간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이를 체험 요소로 개념화해서 검토했다. 중고거래 플랫폼의 감각, 감성, 인지, 관계 체험이 이용 만족에 양(+)의 영향을 주고 이용 만족은 재이용의도에 양(+)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했다. 또한, 체험 요소와 이용 만족 간 관계가 소비자의 친사회적 성향(prosocial tendencies)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했다. 온라인 중고거래 경험자 대상의 서베이 결과, 감각, 감성, 인지 체험 요소의 경우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 만족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관계 체험의 경우 이용 만족에 양(+)의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5%수준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용 만족은 재이용의도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소비자의 친사회적 성향에 따라 체험 요소와 이용 만족 간 관계가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친사회적 성향이 강한 소비자 집단에서는 감각, 감성, 인지, 관계(10%유의수준) 체험 요소가 이용 만족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친사회적 성향이 약한 집단에서는 플랫폼의 감각(시각)체험 요소가 이용 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감성(10%유의수준)체험 요소를 제외한 인지, 관계 체험 요소는 이용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고거래 플랫폼이 가지는 체험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이론적 틀을 가지고 검토했다는 의의가 있고 실무적으로는 중고거래 플랫폼의 성장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정치 갈등이 한국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 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 : 중국 소비자의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재미(Yoo, Jae Mee)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중국과 정치 갈등이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관계에서 중국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이 완충 역할을 해 줄 수 있는가를 탐색했다. 한국기업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치는 한류, 그 중심에는 한국스타가 있고 스타의 존재 기반은 팬덤이다. 팬덤은 위기 상황에서도 스타에 대한 충성도를 유지한다. 연구에서 팬덤(fandom)은 스타 자체에 애정을 보내는 개인적 자아로서 팬쉽(fanship) 그리고 같은 스타를 좋아하는 다른 팬들과 연대하는 사회적 자아로서 팬덤, 두 의미를 포괄했다. 중국 소비자의 한국과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지, 이 영향이 개인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으로 완화될 수 있는지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 중국 소비자의 정치 갈등 인식이 직접적으로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한국과 정치 갈등 인식은 중국소비자의 한국기업에 대한 부정 평가 인지를 증가시키고 이는 한국기업 태도 하락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 갈등 인식과 한국기업 태도 관계에서 한국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를 확인했다. 정치 갈등 인식은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중국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이 강할수록 이 효과가 완화됐다. 그러나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기업 부정 평가에 대한 인지를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한국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스포츠 분야를 넘어 팬덤의 역할을 확장 적용하고 그 효과를 실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한류, 한국스타 뿐 아니라 스타 팬덤의 의의와 활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Korean star fandom(or fanship) of Chinese consumers could alleviate the corporate crisis situation caused by political conflict with China. In the study, fandom is defined as containing both of the following meanings: a fanship as a personal self that shows affection and dedication to stars, and a fandom as a social self that solidifies with other fans who like the same star. The result confirms that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s directly and negatively affect the attitude of Korean companies. The more Chinese consumers perceive that there is a strong political conflict with Korea, the more negative their attitude toward Korean companies is. Second,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with Korea increases Chinese consumers awareness of negative aspects of Korean companies, which leads to a decline in attitudes of Korean firms. Third, the results show the buffering effect of star fando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attitude of Korean companies.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tar fando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awareness of negative aspects of Korean compan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star fandom in relation to corporate management (e.g., crisis situations, attitude formation, etc).

      • KCI등재

        개별브랜드 간 위기정보의 파급효과

        유재미(Jae Mee Yoo) 한국마케팅학회 2011 마케팅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기업브랜드나 공동브랜드가 아닌 개별브랜드전략을 사용하는 기업에서 주요브랜드와 일반브랜드 각각의 위기정보가 서로에게 파급되는 과정을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외부정보를 통해 개별브랜드 간 연관성을 점화(priming)시키고 나면 기업 대표인 주요브랜드의 위기정보가 일반브랜드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영향을 주는지? 또한 동일한 상황에서 일반브랜드의 위기정보는 주요브랜드평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주요브랜드의 위기정보에 비해 파급효과가 어떻게 다른지 등을 살펴보았다. 주요브랜드는 기업과 가장 많이 연상되고 친숙성, 접근성(accessibility)이 높은 브랜드로 정의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실험을 진행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 공통속성인 기업브랜드를 통해 주요브랜드와 일반브랜드의 연관성을 점화시켰다. 이 상황에서 주요브랜드의 위기정보는 일반브랜드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주요브랜드의 위기정보는 일반브랜드평가에 직접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연관속성인 기업브랜드를 통해 간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브랜드의 위기정보가 기업브랜드평가를 변화시키고 기업브랜드와 연관되어 있는 일반브랜드평가까지 변화시킨 것이다. 그러나 브랜드 간 연관성이 점화되지 않으면 주요브랜드 위기정보의 파급효과는 일어나지 않았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연관성이 점화된 동일한 상황에서, 기업 대표성이 약한 일반브랜드 위기정보가 주요브랜드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탐색했다. 일반브랜드의 위기정보는 주요브랜드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일반브랜드의 위기정보는 주요브랜드평가에 직접 영향을 주지 못할 뿐 아니라 기업브랜드를 새로 평가할 만큼 진단적이지 않아서 기업브랜드를 통해 주요브랜드평가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지 못했다. 본 연구는 연관성이 점화되면 개별브랜드전략 상황에서도 위기정보의 파급효과가 일어날 수 있음을 실증했다. 또한 주요브랜드 위기정보가 일반브랜드평가에 주는 영향력은 큰 반면 일반브랜드의 위기정보가 주요브랜드평가에 주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아 브랜드 간 위기정보의 영향력이 비대칭임을 확인했다. A number of brands suffering from negative information have been in increase because of improvement of media channels, change in product characteristics with complex features, strengthened request for product safety standard, and etc.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negative information about a certain individual brand would affect another individual brand under the same manufacturer. Research has focused on spillover effect of crisis on one brand into another one which are endorsed by corporate brand or family brand. Little research seems to have examined the impact of crisis of individual band, a brand which is not obviously endorsed by corporate or family brand, on another individual brand because there has not been serious concern about cognitive relatedness between individual brands. However consumers can easily notice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brands when they are primed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s by external information such as news or advertisement. Moreover, the more consumers are sensitive to product quality the more they check the manufacturer of products as well as the brand on purchase, which easily reveals that which individual brand is connected with which one.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ree questions about spillover effect between two individual brands: a major representative brand and another general ordinary brand. It has classified them by how much a brand is representative for a corporate brand. Major brand is defined as the most accessible to corporate brand thus, a typical, symbolic one whereas ordinary brand as less accessible than major brand thus, a common one. Is there any negative spillover effect of crisis of a major brand into another ordinary brand when the relationship of two brands is recognized? How does the spillover effect occur? How the effect of crisis of a major brand into another ordinary brand is different from the opposite case, spillover effect of crisis of an ordinary brand into a major brand under the same condition. The present research has adopted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in Experiment 1: control group(prime-absent) vs. experimental group(prime-present). Eighty six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subjects are randomly assigned to one out of two conditions. Experiment1 confirms that the negative information of a major brand affects ordinary brand when the subjects are primed to think the relationship of brands. Negative information of a major brand has greater impact on an ordinary brand under prime-present condition than under prime-absent condition(F(1, 81)=4.118, p=0.046). Consumers evaluate the ordinary brand negatively only when they are primed to the relationship of brands(prime-absent Mbefore=3.93 vs. Mafter=4.05, planned contrast t=-.424, p=.672; prime-present Mbefore=4.29 vs. Mafter=3.60, planned contrast t=2.427, p=.016). Major brand with crisis would activate and diagnose a corporate brand and consequently activate an ordinary brand linked to a corporate brand then make to update the evaluations of an ordinary brand. Consumers evaluate a corporate brand more negatively when they come to be noticed a major brand`s crisis. Then, the more consumers evaluate a corporate brand negatively, the more negative evaluation is reflected toward an ordinary brand. In Experiment 2, the spillover effect of crisis in an ordinary brand into a major brand is compared with the opposite. A two group before-after design has been used to test the hypotheses: repeated evaluations of ordinary brand under major brand crisis vs. repeated evaluations of major brand under ordinary brand crisis. Fifty six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Chungnam area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subjects are randomly assigned to one out of two conditions. Experiment 2 reveals that negative information of a major brand has greater spillover into an ordinary brand than negative information of an ordinary brand into a major bra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