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魏ㆍ北齊시기 佛敎動向과 文宣帝의 佛敎觀

        안순형(An Sun-Hyeng) 부산경남사학회 2010 역사와 경계 Vol.75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trend of Buddhism in the Eastern Wei Dynasty and the Northern Qi Dynasty and Wenxuan's viewpoint on Buddhism. The Buddhism in Hebei with Ye as its center expanded congregation rapidly where they had a lot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moved from Luoyang, as Gaohuan transfered the capital to Yeo Although the territory and population of the Eastern Wei are not more than the half of those of the later part of the Northern Wei Daynasty, the number of the temples is just as the same level.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Northern Qi Dynasty the population increased compared to the early part of the Eastern Wei Daynasty, the number of temples and monks soared dramatically as well. The growth of monks and nuns who didn't involved in the production means that the burden on the people were high relatively. There were some reasons why Buddhism developed then. Firstly, the agricultural production increased gradually in Hebei and Shandong as well as the supplies converged on the capital, Ye from everywhere. Secondly, Hufeng including Buddhism which was prevalent early in Luoyang spilled over into Hebei with immigration. Thirdly, there were the laxity of the government decree and severe exploitation of the people. When external expedition, civil engineering works, and stric legislation collapsed the base of their livelihood, people turned to temples voluntarily in order to survive. Gaoyang who had excellent political talent and decisiveness managed to subdue Xiaojing from Ye and Xungui promptly right after the death of Gaojing despite the objection of the queen mother, Lou.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Northern Qi Dynasty Gaoyang participated in pro-Buddhism activities aggressively after he usurped the Eastern Wei Dynasty. It suggests that the power of Buddhism grew rapidly during the Eastern Wei Dynasty besides Xiaojing showed a favorable attitude toward Buddhism. That means Wenxuan had to support Buddhism at least at a rate comparable with the Eastern Wei Dynasty. Wenxuan, however, tried to control Buddhism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emperor. In the second year of Tianbao, he increased the Buddhist officials. And he also kept interacting with Buddhism even just before he died. Nonetheless, we can not say he revered Buddhims enthusiastically. First of all, he controlled Buddhism when the power of Buddhism threaten the national finance in January in the fifth year of Tianbao. In addition Wenxuan in the later part of the Tianbao didn't even follow Five Commanments. Wenxuan didn't enforce the pro-Buddhism policy as a part of an effort to revere Buddhism personally. He simply tried to make contact with Buddhism for the stability of the feudal dynasty.

      • KCI등재

        대만 근대불교의 형성과 정체성 모색 - 仁順의 ‘인간 불교’ 개념을 중심으로 -

        김제란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1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ontents of Yin Shun's(仁順, 1906-2005)' 'The Human Buddhism'. 'The Human Buddhism' is the concept brought up by Tai Xu(太虛) for the first time, and then developed further by Yin Shun, especially in Taiwan. Chinese traditional Buddhism has a character of a 'mountain Buddhism', but on the other hand 'the Human Buddhism' possess a character of participation in real life. That is, 'The Human Buddhism' is participative Buddhism concerned in human society and culture. Yin Shun insisted that Buddhism was originally 'human', and should watch with deep concern Human itself, not the life after death, the outside of Human. Here Buddhism was identified as a scholarship of Human. He argued that if one rely on 'the human nature'(人性) in oneself, he or she would acquire 'the Buddha Nature'(佛性). The structure of 'the Human Buddhism' is that the way to accomplish the Buddha Nature is to rely on 'Human', and start from 'Human'. Besides this, he insisted that there are two senses of morality, general morality and special morality of Buddhism. He thought that 'the Human Buddhism' was worldly, practical and had a humane center, so it was not different from general morality. But he opposed that 'the Human Buddhism' merely go down into worldly morality, by insisting the wisdom of 'non-self'(無我). Also he thought the role of religion had two sides, self-reinforcement and self-purific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modern asserts of the people’s rights. This 'self religion' involved the concepts of 'equality' and 'freedom', and this fact was owing to the asserts of the people’s rights. He included Buddhism, Christianity, Islam, and Indian Vedanta Philosophy. It means he showed his open mind to all religions and didn't limit it to a framework of ready-made religions. As a matter of course he emphasized Confucianism and Buddhism were identical fundamentally, based on the same concept. This concept of Yin Shun's 'The Human Buddhism' represents Asian Modern Buddhism. It finds that 'The Human Buddhism' will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 whole of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I argue that the role of Asian Modern Buddhism is 'participative Buddhism', not 'mountain Buddhism'. 이 글의 목적은 인순(仁順, 1906-2005)의 ‘인간 불교’ 개념을 중심으로, 대만 근대불교의 성격과 정체성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인간 불교’는 중국 근대시기 태허가 최초로 제기하였고, 그 이후 인순이 구체적으로 발전시키고 특히 대만에서 실천적으로 계승하게 된 개념이다. 중국 전통불교가 ‘산중 불교’ 성격을 띤 데 반하여, ‘인간 불교’는 세속의 현실 참여, 현실 개혁의 성격을 띠고 인간 사회와 문화에 관여하는 참여 불교이다. 인순은 불교는 본래 ‘인간’이어야 하고, 내생이나 귀신, 인간 외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현실과 인간 그 자체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본다. 여기에서 불교는 인간학으로 성격지워지게 된다. 그는 불성의 완성은 자기 속의 인성에 의지하면 그 결과로 불성에 도달하게 된다고 보았다. ‘인간’을 의지하고 ‘인간’에서 출발하는 것이 불성을 완성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이 인순의 ‘인간 불교’의 기본 구도이다. 그는 또한 불교에는 일반적인 도덕과 상통하는 요소 외에 불교만의 특색있는 도덕이 있다고 보았다. 일반적인 도덕인 자비는 유학의 ‘인자(仁慈)’, ‘인애(仁愛)’와 상통하지만, 또다른 불교화된 도덕은 반야에서 이끌어낸 대자대비로서 다른 사상과 공통되지 않는다. 그는 인간 불교가 세속적이며 현실적이고 인생 중심이므로 일반적인 도덕과 크게 다르지 않는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더 깊은 차원의 '무아'의 지혜를 언급함으로써 인간 불교가 단순히 세속의 도덕으로 추락하는 것에는 반대하였다. 또한 그는 종교의 역할을 자기 강화와 자기 정화, 두 측면으로 보았는데, 이것은 그의 인간 불교가 갖는 근대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자기 정화와 자기 강화를 함께 가지고 있는 이 ‘자아의 종교’에 ‘평등’과 ‘자유’가 포함된 것은 명백히 근대 민권론의 영향이다. 그는 이러한 자아 종교에 불교는 물론 기독교, 회교, 인도 베단타교 등을 모두 포함시키고 있다. 이것은 그가 기존 종교의 테두리에 제한되지 않고 종교의 핵심을 ‘인간’ 자신에게 두는 열린 시각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인간 불교와 유학의 관계 역시 ‘지관(止觀)’과 ‘격물치지’의 회통을 말함으로써 근본적으로 일치한다고 보았다. 인순의 이 ‘인간 불교’는 아시아 근현대 불교를 대표할 만한 개념으로, 대만 뿐 아니라 향후 한국・중국・일본 등 전 아시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아시아 근현대불교의 역할은 산중 불교가 아닌 인간 중심의 현실참여 불교일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

        고영섭(Ko Young Seop)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of Geumgangsan that is the influential ground for determining the Buddhism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evaluated as a mountain Buddhism, as native Buddhism. The reason that the temples of Geumgangsan could maintain certain formalities under the Buddhism suppressing policy of Joseon government is that government selected Geonbongsa, Singyesa, Yujeomsa, Pyohunsa, etc. as the places for royal prayers. Furthermore, the reason that Geumgangsan and its temples are discriminated from the temples of other area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that they were the places containing special meaning for religion and training so that it was tradition for Buddhism lead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mperor of Korea to stay at Mahayeon for a season. Recently,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ctively supported the recovery of Singyesa and completed Buddha-work because it desired the succession of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of this area, which has shared large por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m religion of Geumgangsan has established its characteristic as the system of Sammunsuhak(三門修學) was maintained. Pyohunsa was the temple, which was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of Dharma Vessel religion based on Hwaeom Thought and its sudden enlightenment approach. Yujeomsa was famous for chamseondoryeong(參禪道場) based on direct shortcut approach. Singyesa was reborn as chamseondoryeong based on direct shortcut approach on the foundation of Faith in Amitābha. Traditionally, Manilyeombulhoi(萬日念佛會) based on Faith in Amitābha was popular in Geonbongsa. It can be said that the tradition of lecture and meditation has been founded since the 19th century. Like that, the Buddhism religion of Geumgangsan was the place where Beophwa Cheontai, Hwaeom Bohyeon, Jeongto Yeombul, Seonbeop Chamseon, Esoteric Buddhism and Odaesan religion are concentrated. Top 4 temples of Geumgangsan have maintained unique training traditions. For Pyohunsa, Pyohun, Sinrim, and Neungin have succeeded practical Hwaeom Thought of Uisang since the Era of Unified Silla and it made traditional clue of Seonkyoilwon(禪敎一元) or Seonkyogyeomsu(禪敎兼修), which formed the main flow of Korean Buddhism. For Yujeomsa, it seems that the tradition of Samyeong Yujeong, who was the founder of this temple, maintained the tradition of his teacher, Cheongheo Hyujeong, ‘Enters to seonbeop(禪法) through kyobup(敎法)'. For Singyesa, When considering the annotation of Tanmoon, who was the Hwaeom person of the early Goryeo age, adopted Beopanseon(法眼禪) and practiced thought of Buddhism of Myocheong, it seems that the temple has emphasized the training system of Kyoseonilchi(敎禪一致), focusing on doctrine and studying seonbeop(禪法) additionally. For Geonbongsa, Yujeomsa, When considering that the temple has succeeded the tradition of founder Baljing Hwasang, jungchangjo(重創祖) Doseon and Naong Hyegeun, it is estimated that the temple maintained the training tradition where Faith in Amitābha and seonbeop(禪法) are combined. Therefore, the temples of Geumgangsan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the furnaces of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The temples of Geumgangsan were the places where Buddhism religions were concentrated and assemblies of religions so that national religions could be specialized in a certain area. The area contains the peak name, rock name, valley name and waterfall name with Taoist background as well as Gwaneum(觀音) Munsu(文殊) believe(信仰) and the faith of Amitābha Maitreya that formed popular foundation of Buddhism religion. Like that, the temples of Geumgangsan were the holy places of Buddhism and assemblies of all religions. 이 논문은 산중불교로 평가받는 조선시대불교를 자생불교로 파악 할 수 있는 유력한 근거이기도 한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조선 정부의 억불 정책 아래서도 금강산 사찰들이 일정한 사격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 스스로가 금강산 지역의 건봉사, 신계사, 유점사, 표훈사 등을 왕실 기도처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국불교사에서 금강산과 금강산 사찰들이 여타의 지역 사찰들과 변별되는 까닭은 조선후기 및 대한시대 이래 불교 수좌들이 마하연(摩訶衍) 선방으로 가서 한 철 나는 것을 전통으로 삼아왔을 정도로 신앙과 수행에 대해 남다른 의미를 담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최근 대한불교조계종이 신계사 등의 복원을 적극 지원하여 불사를 마무리 한 것도 한국불교사에서 이 지역이 차지해 왔던 불교 신앙과 수행 전통의 계승에 대한 남다른 염원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이래 금강산 사찰의 불교신앙은 삼문수학(三門修學) 체계가 정비되면서 특성을 확립해 갔다. 표훈사는 화엄사상에 기초한 법기(法起)신앙과 화엄의 원돈문(圓頓門)을 기반으로 다져진 사찰이었다. 유점사는 경절문(徑截門)에 입각한 참선도량으로 이름을 떨쳤다. 신계사는 미타신앙의 기반 위에서 경절문에 입각한 참선도량으로 거듭 났다. 건봉사는 전통적으로 미타신앙에 입각한 만일염불회(萬日念佛會)가 성행했으며 19세기 이후 강학전통을 세워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금강산의 불교신앙은 법화 천태계와 화엄 보현계 및 정토 염불계와 선법 참선계통에 밀교 및 오대산 신앙이 결합된 모든 불교신앙의 집중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산의 4대 사찰은 저마다 개성적인 수행 전통을 간직해 왔다. 표훈사는 통일신라 이래 표훈과 신림(神琳) 및 능인(能仁) 등이 의상(義湘)의 실천적 화엄사상을 계승하였고 이것은 이후 한국불교의 주요한 흐름을 형성한 선교일원(禪敎一元) 혹은 선교겸수(禪敎兼修)의 전통의 실마리를 놓았다. 유점사는 이 절의 중창조인 사명 유정(四溟惟政)의 가풍이 스승인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가풍인 ‘선교겸학’(禪敎兼學)의 수행체계를 유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신계사는 고려 초기 화엄가이자 법안선(法眼禪)을 수용한 탄문(坦文)이나 불교사상을 실천하였던 묘청(妙淸)이 주석한 것으로 보아 교학을 주로 하고 선법을 종으로 하는 교선일치(敎禪一致)의 수행체계를 강조해 왔을 것으로 보인다. 건봉사는 창건주인 발징(發澄)화상에서부터 중창조인 도선(道詵)과 나옹 혜근(懶翁惠勤) 등의 가풍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타신앙과 선법이 결합된 수행 전통을 간직해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조선후기 금강산 사찰은 불교 신앙과 수행 전통의 용광로라고 할 수 있다. 금강산 사찰은 전국에 산재하는 모든 신앙을 금강산이라는 특정한 지역에 특화시킨 불교 신앙의 집중처이자 종교신앙의 모음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불교 신앙의 대중적 기반을 지닌 관음문수신앙과 미타 미륵신앙 뿐만 아니라 도교적인 배경에서 이루어진 봉우리 이름과 바위이름 및 골짜기 이름과 폭포 이름도 있다. 이처럼 금강산 사찰은 불교의 성지이면서 모든 종교의 신앙을 아우르는 집합체이기도 했다. 대한불교 이래 금강산이라는 공간이 갖는 특성 역시 척박한 조선조 불교의 지형에서 수행 전통이 드물게 살아있는 독자적 지점이었기 때문이었다. 앞으로 금강산 불교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금강산 불교의 개념, 불교사상, 불교역사, 불교문화, 불교수행 등의 분야까지 검토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 인다.

      • KCI등재

        신불교운동의 현황과 종교적 한계

        최지연,상연진 한국불교연구원 2022 불교연구 Vol.57 No.-

        Buddhism in India once disappeared from India and revived in 1956 through Ambedkar's Neo-Buddhism Movement. This movement was for the liberation of Dalit. Currently, India's Buddhist population is estimated at 8.44 million, accounting for 0.7% of India's religious population. This figure is down from 0.74% of the 1961 Indian Census after 1956, and although there have been fluctuations in rise and fall since then, it has hardly increased and rather decreased. Although the influence of caste in India has not disappeared and discrimination against Dalits or human rights issues have not improved, the achievements of the Neo-Buddhism Movement have stopp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urpose and current status of the Neo-Buddhism Movement and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New Buddhism from a religious perspective.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Buddhism are examined. Ambedkar chose Buddhism instead of Hinduism and led the Neo-Buddhism Movement for Dalit, focusing on rationality and social equality.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Neo-Buddhism Movement and articles related to conversion, it is found that the new Buddhism in India plays a limited role as a religion for Dalits. There is a lack of efforts by the Indian government and the state to recognize Buddhism as an institutional religion, and Hindutva hegemony inhibit the conversion of Dalits to nebulism. In this situation, for Dalit, the meaning of Buddhist conversion is only an alternative religion of Hinduism and does not work as a religion itself. Such religious limitations are analyzed in two ways: the doctrinal level and the religious level. On the doctrinal level, the Neo-Buddhism is based on Ambedkar's understanding of Buddhism. The aspect of pain and the problem of liberation were excluded while practicing discipline, wisdom, and mercy for the purpose of equality and emphasizing morality. At the religious level, Neo-Buddhism is not much different from Hinduism in terms of custom and worship. This limitation of Neo-Buddhism prevented the Buddhism from acting as a personal religion.

      • KCI등재

        2-3세기 베트남과 중국간의 불교 교류 연구

        정호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23 東南亞硏究 Vol.33 No.2

        Currently, Vietnam is the only country in Southeast Asia that believes in Mahayana Buddhism.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is is the result of the spread of Chinese Mahayana Buddhism to Vietnam during nearly 1,000 years of direct or indirect Chinese domination, unlike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On the other hand, however, Vietnam is geographically located at an important maritime route between China and Indi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influence of these two countries was great in ancient times, and ancient Vietnam before being ruled by China would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India. In the 2nd century B.C. through the promotion and propagation of Buddhism by King Asoka (B.C.272-B.C.232) of the Maurya Dynasty, Buddhism had already spread to Vietnam, apart from the eastward spread of Buddhism through land. In other words,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Jiaozhi(交趾, present-day Hanoi.) area of Vietnam at the end of the Hou Han Dynasty(後漢) through the maritime passage leading to India-Sri Lanka-Java-Malay Peninsula-Vietnam-South China. This area became an important meeting point between Indian Buddhism and Chinese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is paper, before the development of Mahayana Buddhism in Vietnam, the early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representative figures, Mouzi(牟子) and Kang Seng-hui(康僧會), were examined. Through consideration of this topic, it was also confirmed that Buddhism in Vietnam was not unilaterally accepted in China, but rather, the possibility that Buddhism was initially spread to South China through Vietnam.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a process that can be newly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exchange and dissemination of culture by transforming our perspective, which has remained in cultural great powerism for a long time. Of course,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cords currently remaining in this regard,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search because the form of Buddhism in Vietnam is Mahayana Buddhism. However, by examining the early propagation process of Buddhism in Vietnam and China through this proces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f North and South cultural exchange beyo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 KCI등재

        투고논문 : 함허당 기화의 호불론과 유교인식

        정수동 ( Soo Don Jong ),도웅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4

        이 글은 여말선초의 사회적 격변기에 배불(排佛)에 맞서 불교를 대변 한 기화(己和)의 호불론과 유교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기화는 배불의 전 면에 섰던 정도전과 거의 동시대를 살았던 승려로 배불론에 의해 억불 숭유 정책이 실현됨으로써 날로 불교의 입지가 위축되어가던 시기에 현정론(顯正論) 과 유석질의론(儒釋質疑論) 을 지어 유교와 불교를 회 통시키고 불교의 존재가치를 역설하였다. 그런데 그의 호불론은 몇 가 지 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현정론 은 비판의 내용에 대한 문제들을 성격별로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여 대응함으로써 유학의 입장인지 불교의 입장인지가 명확하지 않는 점이 더러 있었다. 특히 현실적인 측면에서의 폐단을 교리적인 측면으로 간주한 결과 실제 불교의 교리 역시 그러하다는 오해를 일으킬 소지를 안고 있는 대목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화가 당시의 불교 폐단의 원인을 개별적인 구성원의 책임으로 전가함으로써 비롯된 것이다. 또한 정도전 등의 비판에 대해 그 비판의 이면에 존재하는 기복과 윤리의 문제를 덮어두고 불교 교리 적인 측면에서만 대응하고자 하는 자세에서 실제 불교에 대한 비판이 간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기화는 윤회와 인과에서 잘못된 교리로 대응하고 있는데, 그것은 윤회의 교리를 상주론의 입장에서 펼쳤다 는 점이다. 주지하다시피 상주론은 불교의 중도에 벗어나는 편견으로 초기불교 에서부터 비판되었던 관점이다. 방편설, 윤회, 천당, 지옥설 등이 상주론 적인 사유로 인하여 올바르게 전달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그 동안 기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불교 우위론적인 측면에 서 유교의 배불에 대한 정당한 관점이라는 평가가 우세하였다. 이 글에 서는 이러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기화의 호불론과 유교 인식의 문제점을 재평가한 것이다. 즉, 기화의 호불론이 여말선초의 유불대론을 상생적인 입장에서 회통시키는 사상사적인 의의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할지라도 불교 본래의 교리와 학설에 비추어 올바르게 재평가 될 때, 그의 호불론의 정당성도 객관성을 갖게 될 것이다. In early Gyoryeo Dynasty, there were occasional criticisms on Buddhism among Confucianists who criticise Buddhism for its negative effects caused by expansion and its secularism. However, these criticisms were minor and they were not hostile to Buddhism. Although most Confucianists admitted the value of Buddhism, they criticise on its actual negative effects, hermit life, making light of human tendency and social and economical negative effects. The anti-Buddhist syndrome, which establish antagonistic relations against Buddhism and criticise it severly began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re were two main reasons for this syndrome. First, the corruption in Buddhism became serious in late Goryeo Dynasty. Buddhism lost its function as main driving ideology of the society in its theoretical aspect in late Goryeo Dynasty and it also brought about serious evils in social and economical aspects. Another reason is the adoption of Neo-Confucianism. Neo- is the most systematical branch of Confucianism, which stands on the firm ground of Byuckidahn theory (Exclusion of cult)by Dotong idea and could be comparable against Buddhism. Consequently, earnest Confucianism verse Buddhism debate in Korea began by Confucianists` anti Buddhism. For this, we can say that the criticism on Buddhism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Dynasty when the Neo-Confucianism was adopted is similar to that of Chinese late Tang and early Song period when the Neo-Confucianism is set and besides Korean Confucianists` ground of the criticism on Buddhism followed that of Chinese Neo-Confucianists. Although Neo-Confucianism partially accommodated manas of Buddhism in order to strengthen its theory on practical human ethics, it fiercely criticised Buddhism more than ever before. The procedure of anti-Buddhism in late Goryeo is similar to that of China. The most systematic theory among Neo-Confucianists` criticisms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unisanti-Buddhism of Jung, Do Jeon. Especially Jung, Do Jeon wrote『Bulssijabbyun』in his later days, which supported Sungyuawcbul(pro-Confucianism and banning- Buddhism) policy all the more. 『Bulssijabbyun』 criticised 15 theories of Buddhism including the doctrine of Yunwheo(reincarnation), Simsung(rational mind), Ingwa (cause and effect), Jabi(Mercy) and 4 historical facts regarding Buddhism. Altogether 19 items were criticised in the book. As it was mentioned earlier anti-Buddhism referred in 『Bulssijabbyun』 is the result of the criticism in Chinese Neo-Confucianism and the syndrome prevailed in late Goryeo Dynasty. This is true because 『Bulssijabbyun』 covered all the criticism on Buddhism. It criticized the harmful effect of Buddhism in and economical aspects and it also pass judgement on the heresy of Buddhism in terms of canon Confucianism, the immorality in terms of ethical politics and the irrationality of the Buddhist theory itself.

      • KCI등재

        佛教於當代臺灣社會中所展現的風貌及影響 : 兼論其與韓國佛教的異同

        朴永煥(Park Young-hwan)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근대 이후 타이완불교가 성취한 발전모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불교가 지향해나가야 할 방향을 모색 참조해보자는데 목적이 있다. 과거 100여 년을 회고해보면 한국불교와 타이완불교는 매우 유사한 역사적인 과정과 환경을 겪어왔다. 20세기 초 일본으로부터 수십 년간 식민통치를 받은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1945년 해방 후에는 독재치하에서 똑같이 계엄통치를 오랫동안 받은 적이 있었다. 동시에 철저한 반공정책과 친미정책이라는 국가차원의 노선도 함께 경험한 적이 있었고 게다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法難事件이라는 아픈 상흔도 똑같이 공유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역사적 배경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과 타이완 양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불교의 면모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타이완불교는 지난 수십 년간 전통불교에 대한 반성과 변혁을 통해서 철저한 개혁을 진행하여 "人間佛敎"가 타이완불교의 새로운 주류를 형성하면서 사회변혁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양성평등이나 승속 간의 평등을 지향하면서 우선적으로 학술교육 및 인재양성을 중심으로 불교학의 발전을 적극 추진해왔다. 또한 포교의 방법과 영역에 있어서도 전면적이고 다원화된 방식으로 민중 속으로 파고들어 불교의 다원화 현대화 국제화라는 진보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로써 타이완의 여러 종교 중에서 불교가 주도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이에 따라 정치사회적인 영향력이 크게 증대하였다. 동시에 전통만을 고수하고 보수적인 불교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시대의 조류를 주도하여 타이완불교의 소프트역량을 제고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 들어와 한국불교도 개혁의 당위성에 공감하며 변혁과 혁신을 지향하면서 한국적 특징을 갖춘 불교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한국불교가 진일보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보수중심의 관념에 대한 철저한 변혁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불사중심의 사원에서 탈피하여 시민계층뿐만 아니라 소외된 민중과 함께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변화와 변혁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불교계가 스스로의 단점에 대한 철저한 반성을 토대로 타이완불교의 탈근대화 경험과 다원화된 "인간불교"의 포교방식의 경험을 빌어서 민중의 삶과 조화를 이루고 시대를 리드하는 선진적인 불교의 형상을 건립하는 것만이 21세기 한국불교가 발전해갈 첩경일 것이다. 過去一百年 雖然韓國佛教與臺灣佛教經歷了相似的歷史過程 即被日本统治了數十年 亦有戒嚴時期的独裁政治 以及受到反共政策與亲美统治的影响 同時皆經歷了"僧難事件"之歷史傷痕. 然而 當今兩國佛教界呈現出來的風貌截然不同. 臺灣佛教幾十年的發展變遷中 通過對傳統佛教的反思 進行徹底改革 人間佛教早已成爲主流 體現出兩性平等, 僧俗平等 成就社會. 同時重視學術教育, 培育人才 推動佛學發展. 又在弘法方式或領域 全方位, 多元化地走進群衆 最後走上多元化, 現代化, 國際化的道路. 這就象徵着佛教在臺灣宗教中佔據主導地位 從而改變了傳統守舊佛教的形象 提升了臺灣佛教的軟實力. 如果韓國佛教要進一步發展 首先要徹底改革自己觀念 擺脫傳統佛事模式 走進群眾 走入社會. 其次 在反思自我的基礎上 可以借鑑臺灣佛教多元的人間佛教布教方式和現代化經驗 推動建立與群衆和諧的佛教局面. In the past 100 years although Korea Buddhism and Taiwan Buddhism have been gone through similar processes that included domination by Japan for several decades Kaiserism during the state of siege anti-communism policy and pro-American domination as well as the historical scar of Buddhists' Sufferings nowadays totally different styles and features have presented between the Buddhist circles of the two countries.' Over several decades of development and vicissitude Taiwanese Buddhism has completely self-innovated through self-examin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in that Terrestrial Buddhism has become the main trend which represents equality between man and woman Buddhist and Layman. At the same time Taiwanese Buddhism also focuses on academic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bright people. Because of this diversified modern and international path Buddhism has occupied the leading position among Taiwanese religious circles. Korean Buddhist circles realized the need for change in a globalized age too late. Some illuminates appealed for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ttached alms deeds and called for open and progressive foresight to carry the modernizations of Korea Buddhism forward. However most illuminates continue to preserve tradition and in two minds without of ensuring consciousness of subject but only worrying about 'Religious ceremonies could not be succeed if not relying on the lord protector'. This subtle relation with politics made the masses dare not get to close to Buddhism. If Korean Buddhism wants to develop further and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the first thing to do is to thoroughly reform eliminate the traditional mode reflect on the past and get to the public and society; the next is to learn diversified Terrestrial Buddhism's way of preaching moral principles and study modernization experiences from Taiwanese Buddhism to establish Buddhism's system of alms deeds and welfare.

      • KCI등재후보

        고려청자에 표현된 연꽃문양에 대한 연구

        최윤철 한국도자학회 2009 한국도자학연구 Vol.6 No.1

        Art has been developed, related closely to the periodic and social background, and Koryo Celadon, art of Koryo, also is not exceptional. Especially the lotus flower patterns expressed on Koryo Celadon were popular owing to the social requirement of respect for the Buddhism during Koryo period. The reason why the lotus flower, the representative Buddhism style, came to be celadon patterns was that the main consumers' requirement agreed with the producers' art discrimination because of the politics of respect for the Buddhism during Koryo period. It is said that the origin of the lotus flower patterns was India and then came in Korea through China with influx of the Buddhism. The lotus flower appears in the birth tale of the Buddhism and many Sutras. The lotus flower much related to the Buddhism was diffused through each nation with Buddhism, which was embodied in Buddhism patterns. Korea had used them in several Buddhism modeling as well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when the Buddhism came, and by the time Koryo reached it was used positively on the living articles celadon. First of all, the origin of the lotus flower patterns on the celadon can be referred to an example of the developing them by accepting the Buddhism style which had been used in several Buddhism modeling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the Unified Shilla.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at the lotus flower patterns were the modeling perspicacity according to the religious passion of the producers and the consumers. This thesis has presented the vision of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celadon patterns by studying the origin, the concrete paradigm and the decline of the lotus flower of the Buddhism style on the celadon, etc. 예술은 시대적인 배경 및 사회적인 배경에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해왔다. 고려의 예술인 고려청자 또한 예외가 되지 못한다. 특히 고려청자에서 표현된 연꽃문양은 고려시대의 불교 중시라는 사회적인 요구에 부흥해서 유행되었다. 대표적 불교양식인 연꽃이 청자문양으로 자리 잡게 된 이유로는 고려시대에 불교의 육성정책으로 주요 소비층의 요구와 제작자들의 예술적 안목이 일치했기 때문이다. 연꽃문양의 기원은 인도로 알려져 있으며, 불교의 유입으로 중국을 걸쳐서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다. 연꽃은 불교의 탄생설화와 여러 불교경전에서 등장된다. 불교와 많은 관련이 있는 연꽃은 불교문양으로 구체화되어서 각국에 불교와 함께 전파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불교가 유입 된 삼국시대부터 각종 불교 조형물에서 쓰여 졌고, 고려에 이르러서는 생활용품인 청자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청자에서 연꽃문양의 유래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부터 사용된 불교양식들을 수용하면서 발전시킨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자의 연꽃문양은 제작자들과 소비자들의 종교적 열망에 의한 조형적인 혜안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청자에서 나타난 불교식 연꽃문양의 유래와 구체적 활용사례 및 쇠퇴 등을 연구하여 청자의 연꽃문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시각을 제시해 주었다.

      • KCI등재

        소태산의 정법회상론 -원불교 정체성의 길을 묻다-

        권동우 한국신종교학회 2019 신종교연구 Vol.40 No.-

        Won-buddhism is really Buddhism or a New relig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which has not been solved for a long time, and to seek its answer. The result of this paper is to reconfirm the identity of Won-buddhism in the perspective of Buddhism, especially ‘completion of Mahayana Buddhism’-oriented Buddhism. While most people in Won-buddhism argue identity of Won-buddhism as a religious organization, that is the direction of an intact religion, I aim to urge Won-buddhism to return Sotaesan’s original spirit, emphasizing that Won-buddhism will regain Buddhistic identity. For this, ‘Dharma Assembly’ of Sotaesan(1891-1943), both a great religions teacher(大宗師) and the founder of Won-buddhism, should come into the spotlight. While previous researches have been most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in perspective of doctrine and system of Won-buddhism or social environment⋅political relationship, this paper will consider Buddhistic meaning of Won-buddhism in the perspective of ‘Dharma Assembly’s world view, which was suggested by Sotaesan. 원불교는 과연 불교인가, 아니면 독자적인 종교인가? 원불교의 정체성에 직접 관련되나 오랫동안 해소되지 않고 있는 원불교의 불교의 관계를 다시 거론하고 그 답을 찾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본고에서는 원불교가 불교, 특히 ‘대승불교의 완성’을 지향하는 불교라는 시각에서 원불교의 정체성을 다시 확인해 가고자 한다. 원불교 내부적으로 많은 구성원들이 원불교의 독자적인 교단으로서의 정체성, 곧 독립된 종교의방향을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 논자는 오히려 원불교의 불교적 정체성 회복을 강조하는 것이며, 원불교가 소태산의 본래정신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하려는 목적에서 본고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목한 것이 원불교의 교조 소태산대종사의 ‘정법회상’이다. 이는 기존의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에 대해 주목한 논고들 대다수가 원불교의 교리적인 면, 제도적인 면, 또는 사회환경적⋅정치적 관계 속에서 원불교와 불교의 관계에 주목한 것에 대해, 본고는 소태산이 제시하고 있는 ‘정법회상’이라는 세계관의 측면에서 원불교의 불교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함허당 기화의 호불론과 유교인식

        정수동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4

        In early Gyoryeo Dynasty, there were occasional criticisms on Buddhism among Confucianists who criticise Buddhism for its negative effects caused by expansion and its secularism. However, these criticisms were minor and they were not hostile to Buddhism. Although most Confucianists admitted the value of Buddhism, they criticise on its actual negative effects, hermit life, making light of human tendency and social and economical negative effects. The anti-Buddhist syndrome, which establish antagonistic relations against Buddhism and criticise it severly began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re were two main reasons for this syndrome. First, the corruption in Buddhism became serious in late Goryeo Dynasty. Buddhism lost its function as main driving ideology of the society in its theoretical aspect in late Goryeo Dynasty and it also brought about serious evils in social and economical aspects. Another reason is the adoption of Neo-Confucianism. Neo- is the most systematical branch of Confucianism, which stands on the firm ground of Byuckidahn theory (Exclusion of cult)by Dotong idea and could be comparable against Buddhism. Consequently, earnest Confucianism verse Buddhism debate in Korea began by Confucianists' anti Buddhism. For this, we can say that the criticism on Buddhism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Dynasty when the Neo-Confucianism was adopted is similar to that of Chinese late Tang and early Song period when the Neo-Confucianism is set and besides Korean Confucianists' ground of the criticism on Buddhism followed that of Chinese Neo-Confucianists. Although Neo-Confucianism partially accommodated manas of Buddhism in order to strengthen its theory on practical human ethics, it fiercely criticised Buddhism more than ever before. The procedure of anti-Buddhism in late Goryeo is similar to that of China. The most systematic theory among Neo-Confucianists' criticisms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unisanti-Buddhism of Jung, Do Jeon. Especially Jung, Do Jeon wrote『Bulssijabbyun』in his later days, which supported Sungyuawcbul(pro-Confucianism and banning- Buddhism) policy all the more. 『Bulssijabbyun』 criticised 15 theories of Buddhism including the doctrine of Yunwheo(reincarnation), Simsung(rational mind), Ingwa (cause and effect), Jabi(Mercy) and 4 historical facts regarding Buddhism. Altogether 19 items were criticised in the book. As it was mentioned earlier anti-Buddhism referred in 『Bulssijabbyun』 is the result of the criticism in Chinese Neo-Confucianism and the syndrome prevailed in late Goryeo Dynasty. This is true because 『Bulssijabbyun』 covered all the criticism on Buddhism. It criticized the harmful effect of Buddhism in and economical aspects and it also pass judgement on the heresy of Buddhism in terms of canon Confucianism, the immorality in terms of ethical politics and the irrationality of the Buddhist theory itself. 이 글은 여말선초의 사회적 격변기에 배불(排佛)에 맞서 불교를 대변한 기화(己和)의 호불론과 유교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기화는 배불의 전면에 섰던 정도전과 거의 동시대를 살았던 승려로 배불론에 의해 억불숭유 정책이 실현됨으로써 날로 불교의 입지가 위축되어가던 시기에 『현정론(顯正論)』과 『유석질의론(儒釋質疑論)』을 지어 유교와 불교를 회통시키고 불교의 존재가치를 역설하였다. 그런데 그의 호불론은 몇 가지 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현정론』은 비판의 내용에 대한 문제들을 성격별로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여 대응함으로써 유학의 입장인지 불교의 입장인지가 명확하지 않는 점이 더러 있었다. 특히 현실적인 측면에서의 폐단을 교리적인 측면으로 간주한 결과 실제 불교의 교리 역시 그러하다는 오해를 일으킬 소지를 안고 있는 대목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화가 당시의 불교 폐단의 원인을 개별적인 구성원의 책임으로 전가함으로써 비롯된 것이다. 또한 정도전 등의 비판에 대해 그 비판의 이면에 존재하는 기복과 윤리의 문제를 덮어두고 불교 교리적인 측면에서만 대응하고자 하는 자세에서 실제 불교에 대한 비판이 간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기화는 윤회와 인과에서 잘못된 교리로 대응하고 있는데, 그것은 윤회의 교리를 상주론의 입장에서 펼쳤다는 점이다. 주지하다시피 상주론은 불교의 중도에 벗어나는 편견으로 초기불교에서부터 비판되었던 관점이다. 방편설, 윤회, 천당, 지옥설 등이 상주론적인 사유로 인하여 올바르게 전달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기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불교 우위론적인 측면에서 유교의 배불에 대한 정당한 관점이라는 평가가 우세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기화의 호불론과 유교 인식의 문제점을 재평가한 것이다. 즉, 기화의 호불론이 여말선초의 유불대론을 상생적인 입장에서 회통시키는 사상사적인 의의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할지라도 불교 본래의 교리와 학설에 비추어 올바르게 재평가 될 때, 그의 호불론의 정당성도 객관성을 갖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