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중무상의 인성염불과 청화선사의 염불선

        차차석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8 No.-

        This dissertation is to carefully look over, if there is a common point between Jeongjung Musang's buddha chanting with sound and Cheonghwa Seonsa's Chanting meditation, it is what. But there are two difficulties to solve. First, there is a time difference about a thousand, some hundreds years in time between Tang dynasty and modern Korea. Second, it is a spacial difference. Although Jeongjung Musang was from Silla, the thing which g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o his activities or the formation of his thought was China, especially Sichuan province. It is hard to ignore that the spacial difference is the cultural difference, the difference of thought. But, they share the cultural common point of Northeast Asia, that is, chinese letter cultural area, and the culture of Zen school. To compare with two thinkers may be like that a blind touches an elephant. Nevertheless, it has an ideological kinship, when it come to the common point that they have chinese letter and the Zen school. I cannot mention a direct relationship though, in the ideological or speculation system, it might be able to find out the common point between two Seon master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common DNA which Buddhist thought or Seon thought has. Jeongjung Musang's Seon thought is the three doctrine alongside Buddha chanting with sound. For the three doctrine, there are 無憶(Not dwelling on retrospection), 無念(No-mind), 莫忘(No-deluded thought), among them, the main point is 無念(No-mind), this no-mind is not to raise any thought. Of course, such a conception is to say the non-discrimination which was said in Vimalakīrti Sūtra or Treatise on Awakening Mahayana Faith. Although Cheonghwa Seon Master was focusing on Chanting meditation, Chanting meditation he said does not mean the reciting buddha's name or the buddha chanting of Jeongto ideology. As we are able to know from "Because we are the buddha, and also we should be the buddha, the reason why I do the buddha chanting is to think the real I. Because the original buddha thinks the buddha, it goes to also 禪(Seon).", it might be translated as the buddha chanting for the contemplating the factual reality or the essence, and the buddha nature. So Chanting meditation Cheonghwa Seon Master said is the Seon of the factual reality buddha chanting based on Prajñā thought. Although there were time and spacial differences between Jeongjung Musang and Cheonghwa Seon Master, I could find out several common points. First, the two thinkers established their own independent ideological systems based on Prajñā thought. Jeongjung Musang had some ideological influences from Vimalakīrti Sūtra, Treatise on Awakening Mahayana Faith, and Big prajñāpāramitā sūtra. Especially if what the influence of the four books, Lankavatarasutra is to be transferred to the ideological influence of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or Vimalakīrti Sūtra can be seen as the Seon of southern school, the Seon thought that was spread in the late period was also Prajñāpāramitā thought in its base. Simultaneously, the reverend Cheonghwa also established his own ideological system in the influence of Prajñā thought. The conception of the factual reality buddha chanting or Chanting meditation is perfectly standing on the position of Sunyata, non-obsession. Especially Cheonghwa Seon master willingly quoted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the conception of buddha chanting used in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is also saying that the contemplating the buddha's body(佛身) or non-self-existence(無自性) Sunyata(空) of Guna(功德) in the position of Prajñā is the genuine buddha chanting. Second, it also can be said that the two thinkers were also successors of the southern school. When we divide Seon into north and south, for the southern school, it is needed to look over first the conception of southern school. That is, we normally say the southern school, it is that... 이 논문은 정중무상의 인성염불과 청화선사의 염불선의 상통점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 가지의 난점이 있다. 먼저 당나라와 근현대의 한국이라는, 시간적으로 일천 몇 백 년의 시차가 있다. 둘째는 공간적인 차이이다. 정중무상이 신라출신이라 하더라도 그가 주로 활동하거나 그의 사상 형성에 직간접의 영향을 미친 것은 중국, 그중에서도 사천지방이라는 점이다. 공간의 차이는 문화의 차이, 사고의 차이라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 다만 동북아의 문화적 공통, 즉 한자문화권이라는 점과 선종의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 말하자면 불교사상이나 선사상이 지니는 공통의 DNA를 발견할 여지도 있다는 점이다. 정중무상의 선사상은 인성염불과 함께 3구설법이다. 3구설법이란 無憶, 無念, 莫忘이며, 이중에서도 핵심은 無念이고, 이 무념은 念不起를 말한다. 청화선사는 염불선을 중시하고 있지만 그가 말하는 염불선은 칭명염불이나 타방정토설의 염불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리가 부처이기 때문에, 또 부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염불은 따지고 보면 내가 참 나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본래 부처가 부처를 생각하기 때문에 역시 禪이 됩니다.”란 주장에서 알 수 있듯이 실상이나 본질, 불성을 관조하는 것을 염불로 해석한다. 바로 실상염불선이다. 정중무상과 청화선사는 시공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점에서 상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두 사상가는 반야사상에 입각해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둘째, 두 사상가 역시 남종의 계승자라 할 수 있다. 셋째, 정중무상과 청화선사는 공히 실상염불선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넷째, 정중무상의 인성염불은 망상을 끊고 생각을 모우기 위한 방편으로 소리를 끌어올리는 引聲의 방법을 겸용하지만 궁극적인 것은 무억, 무념, 막망의 삼구설법에 있다. 그러나 청화선사는 남종의 돈오선에 의거해 본질을 관조하라고 말한다. 두 사상가의 동이점이란 시공의 차이를 넘어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고자 하는 대처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종교가로서 대중과 소통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의 산물이라 볼 수 있다.

      • KCI등재

        청화 염불(선)의 실천 생활화 고찰

        정기옥(鄭箕玉(無如))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0 No.-

        본 논문은 염불의 이론이 아니며, 청화 생전에 그가 주장했던 염불의 실천과 생활화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즉 어떻게 하면 염불을 좀 더 가까이 하여, 수행자는 오묘한 자기 마음을 깨달아 여실지혜(如實智慧)를 얻고, 일반 중생들은 마음속의 괴로움과 집착을 내려놓고 신심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알아 볼 것이다. 먼저 청화 법문 속에 표현된 청화 염불 관(론)의 주요한 부분을 분야별로 발췌하여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는 청화가 주장했던 염불과 염불 선을 어떤 방법으로 실천 생활화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것은 사찰의 수행자, 재가불자 포함 일반 중생들 이렇게 나뉘어 그 방법을 연구하였다. 근세의 선지식 중에서, 무주당 청화는 생전에 염불과 염불선 수행에 대하여 그 중요함을 끊임없이 주장하였다. 그러나 선불교 중심의 한국 불교풍토 에서는, 염불은 중생들의 타력 신앙으로 하근기(下根機) 사람들과 외도들이 하는 수행으로 폄하 되었으며, 간화선의 참선만이 유일한 최고의 상근기(上根機) 수행법이었다. 청화 열반 후, 염불의 중요성이 다시 인식됨과 더불어, 청화의 원통사상과 염불(선)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그것은 대학의 학위논문 및 학회지 주제로 그리고 청화사상연구회 주간 매년 발표하고 있는 학술세미나 등이다. 그렇기 때문에 청화 염불(선)에 대한 이론은 이미 상당부분 정립 되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실천하느냐의 문제이다. 우리가 염불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첫째, 염불수행은 언제 하는 것이 좋은가? 둘째, 염불 수행은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가? 稱名念佛이 좋은가 觀相念佛이 좋은가? 셋째, 정토의 他方淨土 親見彌陀 인가, 육조단경의 唯心淨土 自性彌陀의 견해인가? 넷째, 염불을 공안과 같이 念佛禪까지 끌어 올려 참구 할 것인가? 등이다. 이런 의문 사항도 청화의 염불 론을 자세히 읽다보면, 본인의 근기에 맞는 합당한 수행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삼보를 염하는 마음은 불도를 이룰 때까지 놓지 않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염불, 염법, 염승은 불교의 시작이고 끝이다. 삼보 중에서도 염불은 불교의 근본이다. 염불로써 신심을 얻고 신심에서 안심을 얻어 어떠한 어려움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신심결정(信心決定)에 이르렀을 때 참다운 수행을 할 수 있다. 또한 염불은 수행 중에 제 장애가 발생하지 않고, 참회를 하면서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공덕을 지을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오늘의 한국 불교가 새롭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대와 근기에 상응하는 대중적인 수행 매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대안으로 염불이 불교의 근본임을 믿는다. This thesis is not a theory of "Buddha chanting", but it is intended to study the practice of the "Buddha chanting", which was insisted by the Master Cheonghwa when he was alive, and making it as a part of life. In other words, this thesis is going to find the way how the ‘practitioners of Buddha’s teaching and precepts’ can realize their mysterious mind and obtain the ‘wisdom of true-suchness’ through taking the Buddha chanting closer and how the general common people can put down their bitterness and attachment in their mind and become pious. At first, after taking a look at the excerpts by field on the major parts of the Master Cheonghwa’s view (theory) about Buddha chanting expressed in his dharma speech, I am going to study how to practice and make the Buddha chanting and the chanting meditation, insisted by the Master Chenghwa, into a way of life in three sectors such as by ‘practitioners of Buddha’s teaching and precepts’, lay Buddhists and general common people, and temples. Out of the enlightened ones in modern times, the Master Mujudang Cheonghwa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Buddha chanting and practice of chanting meditation without pause when he was alive. However, Buddha chanting has been deemed as the other-power of common people and denounced as a practice that is performed by the persons, who are lesserminded, and non-Buddhists in the Korean Buddhism culture which has been centered with Zen Buddhism, and the word contemplation meditation has been the best practice method of the high-minded. After the Master Cheonghwa passed away, the Buddha chanting has been newly recognized important, and studies on the Buddha chanting (chanting meditation) of the Master Cheonghwa are continuously underway. It has turned into the subjects of university dissertation, academic journal, the academic seminar held every year by the Chunghwa Thought Research Society, and so forth.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 significant part of the theory on Buddha chanting (chanting meditation) of the Master Cheonghwa has been already established. The important problem is how to make it a practical way of life. There may occur various kinds of doubt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Buddha chanting. ‘When is it appropriate for us to practice the Buddha chanting?’ comes first. And secondly, ‘In what way should we practice the Buddha chanting?’ Chanting the name of Buddha is good or contemplating the marks of Buddha is good? Thirdly, is it ‘having the honor to personally meet Amitabha Buddha’ in ‘the pure land limited to a certain location such as the Pure Land in the West where Amitabha Buddha is preaching to deliver sentient beings’ or the view of ‘the Pure-land of Amitabha Buddha in selfnature and mind’ preached in the Sutra of Huineng, i.e.,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Fourthly, do we have to pull the "Buddha chanting" up to the "chanting meditation", and practice it with concentrating our mind? Even for these questions, if reading the Master Cheonghwa’s theory of Buddha chanting, You may find a proper way of practice suitable to your own ability. We must not let go of our wish for the three treasures of Buddhism until we attain enlightenment. On this account, chanting Buddha, chanting dharma and chanting Buddhist community i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Buddhism. Buddha chanting among the three jewels of Buddhism is the foundation of Buddhism. When obtaining the faith through Buddha chanting, achieving a peaceful mind from the faith, and attaining the immovable faith, you can perform a true practice. In addition, Buddha chanting has many merits such as no hindrance in the middle of practice, practice in repentance, and simultaneous conducting of good deed. A popular medium of practice corresponding to the time and capability is urgently required so that today’s Korean Buddhism can be newly developed. As an alternative, I believe that the Buddha chanting is the basis of Buddhism.

      • KCI등재

        힐링을 위한 염불행법의 현대적 의미

        신명희 ( Myung Hee S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과학과 의학은 날로 발전하지만 인간의 심신은 고착된 상태에 머물러 있다. 현대인들은 경쟁사회 속에서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런 현대인들에게 불교적으로 힐링이 될 대안으로 염불이 긴요한 행법이라고 본다. 고대로부터 염불은 하근기 사람들이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여러대승경전에 입각해 볼 때, 염불 행법을 통해서도 깨달음에 이를 수 있음이요,무엇보다도 염불은 상ㆍ중ㆍ하 근기의 모든 이들이 행할 수 있는 보편적인수행법이다. 단순히 칭명하는 염불만으로도 마음의 치유가 될 수 있으며, 염불 가운데 칭명염불(稱名念佛)을 방편으로 하여 명상에 접근할 수 있다. 그래서 염불과 선을 겸하거나 선정일치(禪淨一致)가 고대로부터 중국에서 발전되어왔던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고대로부터 선사들이 수행을 하면서 염불을 겸하기도 하였다. 칭명염불의 또 다른 강점은 언제 어느 곳에서나 쉽게 실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독서를 하면서 낭독했을 때 마음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으며, 축구 선수들이 걸음을 통해 안정을 얻는다는 의학적.과학적인 실험이 있다. 이런 데서 불교의 염불도 이와 유사한 효과가 있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물론 근현대중국의 승려들 중에도 이렇게 염불을 행하기도 하였다. 이에 염불을 단순히 조용히 앉아서 하는 것이 아니라 신구의(身口意)와 육근(六根) 작용들을 모두 활용해 불보살을 칭명할 경우에는 상처받은 마음에 치유가 됨은 물론이요, 마음의 평온을 유지할 수 있다. Although science and medicine are being developed everyday, human``s mind and body set in the stalled-state. Contemporaries are living with excessive stress in the competitive society. I think that Buddha chanting could be a very useful method as an alternative for healing with Buddhism to such contemporaries. Buddha chanting has been considered as the thing the lesser-minded is doing from ancient times. But, as looking over several Mahayana sutras, I could find out that it was possible to gain an enlightenment with Buddha chanting, in addition, it was the practice the high, intermediate, and lesser-minded were able to do with. Especially, we can approach to meditation with the way of reciting the name of Buddha(稱名念佛) among Buddha chanting, and simply chanting a name of buddha can heal our mind. So, it is the reason why people in old times combined Buddha chanting and meditation together, and simultaneous practice of meditation in sitting and invocation of Buddha``s name were being developed in China from ancient times. Another strong positive point of reciting a name of Buddha is to let us practice easily wherever, whenever we are. It has the same effect to heal our mind like we read a book loudly, and also there is a scientific experiment that football players feel comfortable while walking. When I come to think of it, I can assume that the invocation of Buddha``s name in Buddhism has a similar effect. It is not that we are just simply in sitting for Buddha chanting, but in the case of reciting the names of buddha by using all the works of body, mouth, thinking, and 6 roots, of course, it heals scars on mind, and also, we can always keep our mind in peace.

      • KCI등재

        정토경전에서 언급된 ‘중생의 노력 사항들’선택 방식 고찰- 복수조합선택방식(Matrix선택방식) 도입을 중심으로 -

        전호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보살(菩薩)과 다불(多佛)사상을 가졌던 인도 정토사상(淨土思想)이 대사상가(大思想家)들에 의해 ‘(칭명)염불’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전개되면서, 정토삼부경과 미륵삼부경에서 언급된 ‘중생의 노력 사항들’에 대한 이해 방식은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을 드러내지 않고 폐(廢)하여 ‘(칭명)염불’로 귀결시키는 요홍폐립방식(要弘廢立方式: 요문을 폐하고 홍원으로 귀결시키는 방식)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복잡·다원화 등으로 고통이 증가하며 동시에 협동하여 해결할 고통도 증가하는 현(現) 시대적 상황을 감안시 요홍폐립방식만으로 이해를 이어가는 것은 시대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정토 경전에서 ‘시방세계(十方世界)에 불국토가 한량없이 많고 중생들이 각자가 지은 공덕과 선업에 의하여 나타난 땅(불국토)에 머무르고 다양한 정토가 많이 있다’라고 언급하고 있음 등에 근거하면, 다다익선(多多益善)의 관점에서 ‘(칭명)염불’과 더불어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의 적극적인 노력도 가능하고 그 결과에 부합한 다양한 정토(아미타 포함)에도 갈 수도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갈수록 중요해져 가는 ‘중생계 정토화 역할’을 지닌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도 적극적으로 강조될 수 있는 ‘복수조합선택방식(Matrix선택방식)’ 도입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변화된 시대 상황에 대응하여 적극적으로 중생계를 정토화하고 요홍폐립방식과 더불어 정토사상 발전을 위한 시너지효과도 창출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Indian Pure Land Thought, initially characterized by the Bodhisattva and Multi-Buddha Thought, had evolved into a Pure Land Thought emphasizing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s ‘Easy Practice Way’ by the greatest Buddhism philosophers. Consequently, the approach to understanding ‘What People to endeavor’ mentioned in the three principle scriptures of the Pure Land and the three principle scriptures of the Maitreya have had the way of abandoning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nd finally concluding to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it was referred to as Yohongpyelib-Way, which means way to abandon Yomun (concentrating one’s mind and accumulating good deeds) and finally to choose Hongwon (regenerating spontaneously by the original Power of Amidaha Buddha’s Wish)>. However, continuing to understand ‘What People to select and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s only what people to abandon based on the Yohongpyelib-way seems problematic, considering contemporary times conditions not only marked by consistently increasing conflict and pain due to complexity and diversification of the current society but also marked by the frequent need for collaborative efforts. Such an approach(Yohongpyelib-way) seems to create an issue of not meeting the demands of the contemporary times and failing to gain social supports and interests. On the other hand, the Pure Land scriptures also state that there are countless Buddha Lands in the world of the ten directions and there are countless Pure Lands where people can be reborn and livng beings stay in Buddha Lands appeared by their individual contributions and good deeds.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re, the better’, it is possible to choose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nd also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ccordingly, aside from upholding the Yohongpyelib-way, this paper contemplate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dding an understanding that actively emphasizes and recommends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which plays a role as purifying World of Living Beings. This addition, called the ‘Mutiple Combinations Selection Way, aims to resonate with contemporary societal conditions. In particular, I hope that we can respond to the situations of the current times which we must work together to purify World of Living Beings and create a synergy effect for the development of Pure Land Thought with Yohongpyelib-way.

      • KCI등재

        정토경전에서 언급된 ‘중생의 노력 사항들’선택 방식 고찰 - 복수조합선택방식(Matrix선택방식) 도입을 중심으로 -

        전호근 ( Jun Ho-g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보살(菩薩)과 다불(多佛)사상을 가졌던 인도 정토사상(淨土思想)이 대사상가(大思想家)들에 의해 ‘(칭명)염불’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전개되면서, 정토삼부경과 미륵삼부경에서 언급된 ‘중생의 노력 사항들’에 대한 이해 방식은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을 드러내지 않고 폐(廢)하여 ‘(칭명)염불’로 귀결시키는 요홍폐립방식(要弘廢立方式: 요문을 폐하고 홍원으로 귀결시키는 방식)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복잡·다원화 등으로 고통이 증가하며 동시에 협동하여 해결할 고통도 증가하는 현(現) 시대적 상황을 감안시 요홍폐립방식만으로 이해를 이어가는 것은 시대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정토 경전에서 ‘시방세계(十方世界)에 불국토가 한량없이 많고 중생들이 각자가 지은 공덕과 선업에 의하여 나타난 땅(불국토)에 머무르고 다양한 정토가 많이 있다’라고 언급하고 있음 등에 근거하면, 다다익선(多多益善)의 관점에서 ‘(칭명)염불’과 더불어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의 적극적인 노력도 가능하고 그 결과에 부합한 다양한 정토(아미타 포함)에도 갈 수도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갈수록 중요해져 가는 ‘중생계 정토화 역할’을 지닌 ‘(칭명)염불외 중생의 노력 사항들’도 적극적으로 강조될 수 있는 ‘복수조합선택방식(Matrix선택방식)’ 도입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변화된 시대 상황에 대응하여 적극적으로 중생계를 정토화하고 요홍폐립방식과 더불어 정토사상 발전을 위한 시너지효과도 창출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Indian Pure Land Thought, initially characterized by the Bodhisattva and Multi-Buddha Thought, had evolved into a Pure Land Thought emphasizing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s ‘Easy Practice Way’ by the greatest Buddhism philosophers. Consequently, the approach to understanding ‘What People to endeavor’ mentioned in the three principle scriptures of the Pure Land and the three principle scriptures of the Maitreya have had the way of abandoning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nd finally concluding to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 it was referred to as Yohongpyelib-Way, which means way to abandon Yomun (concentrating one’s mind and accumulating good deeds) and finally to choose Hongwon (regenerating spontaneously by the original Power of Amidaha Buddha’s Wish) >. However, continuing to understand ‘What People to select and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s only what people to abandon based on the Yohongpyelib-way seems problematic, considering contemporary times conditions not only marked by consistently increasing conflict and pain due to complexity and diversification of the current society but also marked by the frequent need for collaborative efforts. Such an approach(Yohongpyelib-way) seems to create an issue of not meeting the demands of the contemporary times and failing to gain social supports and interests. On the other hand, the Pure Land scriptures also state that there are countless Buddha Lands in the world of the ten directions and there are countless Pure Lands where people can be reborn and livng beings stay in Buddha Lands appeared by their individual contributions and good deeds.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re, the better’, it is possible to choose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nd also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Accordingly, aside from upholding the Yohongpyelib-way, this paper contemplate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dding an understanding that actively emphasizes and recommends ‘What People to endeavor except ’the chanting Buddha’s name and thinking Buddha’ which plays a role as purifying World of Living Beings. This addition, called the ‘Mutiple Combinations Selection Way, aims to resonate with contemporary societal conditions. In particular, I hope that we can respond to the situations of the current times which we must work together to purify World of Living Beings and create a synergy effect for the development of Pure Land Thought with Yohongpyelib-way.

      • KCI등재

        상좌부불교의 염불수행 연구

        임인영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0 No.-

        The Recollection of the Buddha in Theravāda Buddhism has been known by the term of the buddhānussati. The buddhānussati is the repeated recollec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The objects of the buddhānussati are the nine virtues of the Buddha. While they are similar to the Ten Appellations of the Tathāgata as the objects of the Mahāyāna Buddha-recollec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Buddhānussati does not reach the state of absorption(appanasamadhi) despite the fact that it belongs to the Samatha practice. Owing to the profundity of the Buddha’s special attributes, or else owing to being occupied in recollecting special Buddha’s virtues of many sorts, the jhana remains only access(upacāra). Even if the appana-samadhi cannot be obtained, the practitioner attains the fullness of faith, mindfulness, insight, knowledge, and so forth. This paper includes the case examples of the gapi(加被, inspirational experience) due to the buddhānussati that appear in the Pāli scripture. In this research about the overall buddhānussati,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Name Chanting of the Mahāyāna, the two are the same with regard to recollecting of the Buddha. But, the following differences are revealed. Firstly, buddhānussati focuses on the recollection of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But Name chanting lays its emphasis on the continuous chanting of the Buddha’s name. And the objects of the Name-chanting include not only the Buddha but also other bodhisattvas. Secondly, The attributes of the Buddha appear as nine kinds in the buddhānussati, while the Mahāyāna has been standardized with the ten names of the Tathāgata. Thirdly, as we know from the ten names of the Tathāgata, the most important virtue or title becomes the Tathāgata, while, in the buddhānussati, the Bhagavā is the most representative title, with no mention of the title of ‘the Tathāgata.’ Fourthly, through the Name chanting, the meditator can attain pratyupanna samādhi(般⾈三昧, Samādhi of the direct encounter with the Buddhas of the present) or one-practice samādhi(⼀⾏三昧), while buddhānussati meditator can reach only the state of access jhana. 부처님과 같은 절대적 존재에 대한 염송은 부처님 이전부터 널리 행해진 수행의 기본적 형태이다. 불교수행에서도 염불은 널리 행해진다. 불교를 대표하는 양대 승가 전통인 상좌부(上座部, Theravāda)와 대승불교(⼤乘, Mahāyāna) 모두염불수행을 중요하게 여긴다. 불교 염불 수행의 바른 이해를 위해 지금껏 연구가부족하였던 상좌부 염불수행 전반을 살펴보았다. 상좌부 염불수행은 불수념(佛 隨念, buddhānussati)으로 알려져 있다. 불수념은 부처님에 대해 거듭 마음에 떠올리는 것이다. 불수념의 대상은 부처님의 덕성 아홉 가지이다. 대승 염불의 대상인 여래십호(如來⼗號)와는 비슷하지만, 차이점도 보인다. 불수념은 사마타 수행에 속하는것이나 본삼매를 증득하지는 못한다. 불수념에서 새겨야 하는 부처님의 덕은 심오하고 또한 계속해서 그 공덕을 마음에 새겨야 하므로 수행자는 본삼매에 이를수 없다. 본삼매를 얻지 못하더라도 불수념 수행은 수행자에게 신심을 깊어지게하고 통찰지와 공덕이 깊어지는 등 많은 이익을 가져다준다. 불수념과 관련한 많은 가피 사례들이 빠알리(Pāli)경에서 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빠알리 성전에나타나는 불수념 수행으로 인한 이적과 가피 사례들을 다룬다. 불수념 전반을 연구하면서 대승의 염불수행과 비교해보면 둘은 다 같이 부처님에 대한 염송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도 보인다. 첫째불수념은 부처님 덕성을 새기는 것에 치중하고, 대승의 염불수행은 칭명(稱名)에좀 더 역점을 두고 불·보살님 한 분의 명호를 정하여 반복적 염송을 많이 행한다. 칭명의 대상도 부처님에 한정되지 않고 보살의 명호 역시 널리 염송 된다. 둘째불수념에서 부처님 공덕은 아홉 가지로 나타나고 대승은 여래십호로 정형화되어있다. 셋째 대승의 여래십호에서 알 수 있듯이 가장 중요한 공덕 혹은 명호가 ‘여래’가 되고 불수념에서는 ‘세존’을 가장 대표적 명호로 하고 ‘여래’라는 명호는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대승의 염불수행으로 성취되는 삼매는 일행삼매 또는 반주삼매 등이고 불수념은 근접삼매에만 이른다고 한다.

      • KCI등재

        정토 염불과 실상염불선

        정광균 한국정토학회 2018 정토학연구 Vol.29 No.-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Buddhism and the true nature chanting meditation. The purpose of the Buddha-chanting is the crown, and the crown is the manifestation of the original nature of the performer in the field of life. Buddha-name, Buddha's image, Buddha's virtue, Buddha-nature, Buddha-chanting examined the true nature chanting meditation which was advocated by two prepositions. First, Gutta and Cheonghwa examined the fact that the Buddhist priest was able to do the Buddhist priesthood through the Buddhist practice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flesh in the actual relation that can not be separated (inseparable) from the priest of the Buddha. The practice of Jodo is a faith, an origin, and a prayer. Next, we considered that the elementary Buddhist priest is divided into a method and a reality, and that the essence is the same. Finally, the actual practice of Cheonghwa advocated is to practice and acquire the Buddhist sutra, and apply it to our lives. The practitioner thought that he copied and wrote the "Bodhiupayamoon" and applied the contents to his daily life. 본 논문에서는 염불과 실상염불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염불의 목적은 왕생이고 왕생은 삶의 현장에서 수행자가 본래 진여불성을 발현하는 것이다. 그 방법에는 칭명(稱名)과 관상(觀像), 관상(觀想), 실상(實相) 등의 염불이 규봉종밀로부터 유래하였음을 고찰하여 두 선지식이 주창한 실상염불선의 체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금타와 청화는 염불수행의 목적인 왕생정토에 대해서 법계가 나와 불가분리(不可分離)한 연기적 관계 속에 동체라는 자각을 통해 염불수행을 통해서 왕생이 가능하다고 역설함을 고찰하였다. 정토신행은 믿음과 발원, 그리고 염불이다. 다음은 사종염불(四種念佛)에서 지향한 왕생은 방편과 실상으로 분류하고, 그 본질은 같은 것임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청화가 주창한 실상염불선의 실천과 체득은 바로 우리의 삶에 적용시켜 살아가는 것이다. 수행자는 「보리방편문」을 베껴 쓰고 외워서 그 내용을 일상생활에 적용시켜 살아가는 것임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청허 휴정의 수행관에 나타난 불성 인식

        김윤경(자혜),서왕모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4 No.-

        In this paper, I reviewed Cheongheo Hyujeong’s views on ‘idealism’ and ‘the emptiness of prajñā’, which says ‘Mind is the Buddha (心卽佛)’. Cheongheo Hyujeong’s view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concepts that ‘the mind of sentient beings and the Buddha are One’ and ‘The middle path is the Buddha-nature (中道卽佛 性)’. I studied Cheongheo Hyujeong's views on Buddha-hood and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practice and his concept of Buddha-hood. His understanding of Buddha-nature can be grasped by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emptiness and the middle path.’ Cheongheo combined the One Mind (一心) concept in the Dàshèng qǐxìn lùn (大乘起信論) with his own concept of One Mind in order to interpret the du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mind and the deluded mind in terms of equality and the concept that they are ‘neither the same nor different (不一不異)’ to form his understanding of Buddha-hood. Master Cheongheo uses the image of ‘one circle’ (一圓相) to represent the ‘one-thing’ (一物). It is Cheongheo’s view that we must grasp the character of Buddhahood as being ‘the middle path that incorporates discrimination and confrontation’. In addition, he considers the everyday aspect of mind to be buddha-nature and recognizes that the mind is inherently empty. As the dual and vain mind empty, it looks like a Buddha. So we are inclined to cling to the Buddha and discriminate that sentient being is empty. In order to transcend this discriminating and dichotomous thinking (buddha 佛=enlightenment 覺, sentient beings 衆⽣=delusion 妄), we emphasize the middle path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中道佛性) which negates the neither empty nor not empty (⾮有⾮無). The core of Cheongheo’s meditation practice was to understand Buddha-nature and realize the middle path. The essence of his practice was to pursue and maintain the inconceivable wisdom of spiritual awareness (靈知之心), where everything has insight into emptiness. To do this he practiced the middle path of ‘cultivation and non-cultivation (⾮修⾮不修)’, which can only be done without the stain of delusion. Then the realization of buddha-nature appears as a result. In addition, the Juingong (主⼈公 oneʼs original nature) is a koan as a personification of Buddhahood. This is the Seon method to confirm the working of buddha-nature in the practice of walking, standing, sitting, and lying down (⾏住坐臥) in Seon(Zen). Therefore, he emphasized the practice of chanting Seon. Chanting Seon associates mind and speech which brings about the oneness of our mind and the buddha-min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ractice is to experience the awareness that one’s relationship with the Buddha is one of unity; not duality. Cheongheo emphasized that the inconceivable wisdom of spiritual awareness (靈知之心), reflecting on one’s original nature (返照) and chanting Seon are a focal point for all of us to reclaim our inherent Buddha-nature. 본 논문에서는 ‘심즉불(心卽佛)’이라는 중생과 부처를 일심에 귀결시키는 유심론과 반야공성에 입각한 ‘중도즉불성(中道卽佛性)’이라는 입장에서 청허 휴정(淸虛休 靜, 1520~1604)의 불성에 대한 관점을 해석하고 그의 수행법과 불성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청허의 불성에 대한 이해는 공(空)과 중도에 의해 파악된다. 그는 『대승기신론』의 일심구조를 원용하여 본원심과 무명심의 이중관계를 평등성과 불일불이(不一不異)의 관계로 해석하면서 불성을 이해한다. 그리고 청허는 일물을 일원상(一 圓相)이라는 형상으로 나타내면서도 반대로 상(相)을 부정하여 공의 본질을 파악한다. 일물에 담긴 함의는 긍정과 부정, 유무 등 분별대립을 통합한 중도의 성격을띤 불성을 드러내고자 함이다. 그는 심즉불의 일상적인 측면을 중시하면서 마음은 허망하여 공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중적이고 허망한 그 마음은 공하여 부처와 같은데 우리는 부처에 집착하고 중생은 허망하다고 분별한다. 이에 청허는 부처=각(覺), 중생=망(妄)이라는 분별된 사고를 초월하기 위해 두 측면을 모두 부정하는 비유비무(非有非無)로서의 중도불성을 강조한다. 청허의 수행관의 핵심은 불성을 이해하고 자각하여 중도행(中道行)을 실천하는것이다. 그의 수행요체는 모든 것이 공함을 통찰하는 영지지심(靈知之心)을 지키는것이다. 이 영지지심의 수행은 자신의 본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게만 하면 되는 것으로서 ‘비수비불수(非修非不修)’의 중도적 수행이다. 수행법에 있어서 화두공안인 주인공은 불성을 인격화한 것이며 행주좌와의 모든 수행에서 불성의 작용을 확인하기 위한 선법이다. 또한 청허는 부처와 자기의 마음을 일치시키는 심구상응(心口相 應)의 염불선을 주장한다. 영지지심, 주인공 반조, 심구상응의 염불선을 통해 본그의 주안점은 부처와 나의 관계가 둘이 아니라는 이치를 체험하고 우리 모두가돌아가야 할 귀의처를 불성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은해사(銀海寺) 염불왕생첩경도(念佛往生捷勁圖)와 염불사상

        김선희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2

        As historic temples have a lot of relics, their history and the times can be examined from them. Eunhaesa Temple (銀海寺), the 10th district main temple of the Jogye Order, has 〈the Buddha Chanting and Paradise of Amitabha〉 produced in 1750, which vividly shows that the pure land books based on belief in the pure land of the time were published and Buddha-invocation societies were popular. And as there was Mukseo (墨書) related to belief in the pure land in total 22 Bangjes (防題) in the Buddhist painting, it reflects an attempt to spread practice of invoking the name of Amidabha Buddha (稱名念佛). For the establishment of Eunhaesa Temple, National Teacher Hyecheol (惠哲國師) first built it in 809 C.E. and called it Haeansa Temple and Monk Cheongyo (天敎) changed the name to the current temple name as he renovated it the 16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Part of relics were lost due to two great fires in the 1st reign of Injong of Joseon (仁宗)(1545) and the 18th reign of Myeongjong of Joseon (明宗)(1563). At this time, 〈the Buddha Chanting and Paradise of Amitabha (念佛往生捷徑圖)〉 enshrined in Simgeomdang of Eunhaesa Temple (the 15th year of Geongryung, 1750) had been robbed more than 30 years ago and was returned in 2010 and has been possessed in Buddhist Museum in Eunhaesa Temple until now after being repaired. The Buddhist painting was valued and designated as Treasure No. 1857 in 2015. Eunhaesabon of the 18th century has become the abundant materials which can interpret Buddhist art through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painting as it reflects the historical background called the renaissanc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painting is an example (作例) of the earliest Yongseondo form in the pure l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and is noticeable in that the utmost bliss (Three Armtabha Triad, the nine grades of ponds, and Yongseonjeobin) recorded in 『The Amitayurdhyana Sutra (觀無量壽經)』 was independently drawn on the canvas. The Gundo form (群圖形式) which encircles Three Armtabha Triad and the family members as the two-tiered composition (3 scenes) on the silk ground was settled in the Buddhist painting. People are powerfully built and good-natured, usually have round and wide and flat faces, and feature the well-built upper bodies, the sharp fleshy protuberance on the crown of the Buddha, and large jewel up near the crown of the head. Especially, Avalokitesvara (Buddhist Goddess of Mercy) was inherited and shown in the form of Avalokitesvara created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20th century including 〈Banyayongseondo〉 in Cheongnyongsa Temple, Anseong (the late 19th century) and 〈Banyayongseondo〉 in Heungguksa Temple (興國寺), Yeosu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ich becomes a vital clue to judge the production date and chronology. The Buddhist painting of Banyayongseon shows different aspects from 〈Banyayongseondo (般若龍船圖)〉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by placing Bodhisattva in Seonsu (船首) and Seonmi (船尾) as the medium that connects the real world to the ideal world. After that, the Buddhist paintings of 〈Banyayongseondo〉 or 〈the Painting of the Nine Grades of Paradise (極樂九品圖)〉 which are connected from the 19th century to modern times have been standardized. In the 18th century, it is guessed that the Buddhist painting styles of the Ming Dynasty and printings of 『The Amitayurdhyana Sutra』 by Wonso were accepted in Silsangsabon (1611) and Eunhaesabon (1750). And <the Painting of the Buddha Chanting and Paradise of Ami> is very valuable in the history of Buddhist paintings and religions as the work which clearly shows Buddhists' wishes for the Pure Land of the blissful rebirth in the Pure Land in the West and the fashion of belief in the pure land at that time from a broad point of view as the Buddhist painting of the pure land. 유서 깊은 사찰에는 많은 유물을 간직하고 있어 그 사찰의 역사뿐만 아니라 당 시대의 시대상을 조명해 볼 수 있다.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銀海寺)에는 1750년에 제작된 〈염불왕생첩경도(念佛往生捷徑圖)〉가 소장되어 있는데, 당시의 정토신앙에 입각한 정토서적 간행과 염불결사가 유행했음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불화속 총 22개의 방제(防題)에는 염불신앙과 관련된 묵서(墨書)가 적혀있어 칭명염불(稱名念佛)의 수행을 전파하고자 했던 모습도 엿볼 수 있다. 은해사 창건은 신라 809년에 혜철국사(惠哲國師)가 개산(開山)하면서 처음에는 해안사로 불리다가 16세기에 천교(天敎)스님이 중창하면서 은해사로 개칭했다고 전해진다. 인종(仁宗) 1년(1545년)과 명종(明宗) 18년(1563년)에 두 차례 대화재로 인해 일부 유물이 소실되었다. 이때 은해사 심검당에 봉안되었던 〈염불왕생첩경도〉(건륭 15년, 1750년)는 30여 년 전 도난당한 뒤 2010년에 환수되어 보수를 거친 후 현재 은해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이 불화는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에 보물 제1857호로 지정되었다. 18세기 은해사본(1750)은 조선의 르네상스 시기라고 하는 상황을 시대적 조형 언어로 구현하여 불교미술을 해석할 수 있는 풍부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불화는 18세기 정토계 불화 중 가장 이른 용선도 형식의 작례(作例)이며,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 기록된 극락의 모습(아미타삼존불, 구품연못, 용선접인 장면)을 한 화폭에 독립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도상은 비단바탕에 상하 2단 구도(3장면)로 아미타삼존과 권속들을 둥글게 에워싸는 군도형식(群圖形式)이 정착되었다. 인물형태는 건장하면서 원만한 모습에 얼굴은 둥글거나 넓적한 모습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당당한 상체나 뾰족한 육계에 큼직한 계주 등의 특징이 나타난다. 특히 은혜사본 관음보살의 경우, 안성 청룡사(靑龍寺) 〈반야용선도〉(19세기 후반), 여수 흥국사(興國寺) 〈반야용선도〉(20세기 전반) 등 19세기 후반-20세기 조성의 관음보살 형태로 계승되어 나타나고 있어 제작시기와 편년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반야용선 도상은 현실세계와 이상세계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로서 선수(船首)와 선미(船尾)에는 보살을 배치하여 조선 전기 〈반야용선도(般若龍船圖)〉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후 19세기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반야용선도〉나 〈극락구품도(極樂九品圖)〉 도상의 정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18세기에는 명대 불화양식과 원소(元昭, 1048-1116)의 『관무량수불경의소(觀無量壽佛經義疏)』의 판본을 실상사본(1611년)과 은해사본(1750년)에서 수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 <염불왕생첩경도>는 조선 후기 정토불화로 대승적 측면에서 당시 불교도들의 극락왕생정토에 대한 염원과 염불신앙의 유행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불교 회화사적으로나 종교사적으로 아주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

        염불선의 성립과정과 무주청화

        정광균(법상) 대각사상연구원 2018 大覺思想 Vol.29 No.-

        불교의 오랜 역사에서 불교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올바른 이해는 대중의 공감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여왔다. 불교에서 가장 대표적인 수행방식으로 염불과 참선이 조화를 이루는 신앙과 수행의 일치라고 말한다. 그래서 금타(金陀)와 청화(淸華)가 주창한 염불선의 체득은 대중의 공감을 유도하기에 충분하다. 왜냐하면 먼저 두 선지식은 초기불교에서부터 육조혜능에 이르기까지 불교의 모든 핵심내용을 정합하여 일인전(一人傳)에 일인도(一人度)로 분파되지 않은 선을 순수한 선으로 규정하고 염불도 역시 선의 일종으로 반야를 체득하여 구경에 제법실상인 진여자성(眞如自性)을 체현함을 목적으로 삼아 실상염불선이란 용어를 채택하여 모든 선을 회통하였다. 다음 청화는 간화선 이외는 용납되지 않는 현실에서 실천적인 측면에서 염불과 선을 결합하여 초기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까지 최상승선으로 규정하고 궁극에 도달하려는 경지와 일치한다는 관점에서 경론을 통해서 입증하여 정통성과 전통성을 확보하였다. 이것이 바로 염불선의 수행과 체득내용이다. 다시 말해서 수행자의 본래 마음이 붓다의 마음[佛心]이고 참선의 마음[禪心]이며 염불하는 마음[念心]으로 견성(見性)이 바로 견불(見佛)로 불퇴전의 경지를 중요시하였다. 끝으로 중생의 본질이 본래 깨달은 청정한 마음이고 진여자성이다. 따라서 이는 염불과 선이 구경으로 체득할 목적이고 법계가 하나의 모습임을 깨달은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염불이란 하나의 수행인 일행삼매(一行三昧)의 관이염지(觀而念之)를 통과하면 법계일상(法界一相)의 구경청정을 체득한 염불삼매와 상통하기 때문에 본래 청정한 마음의 체득이라는 실상염불선이다. In the long history of Buddhism, proper understanding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Buddhism has been endeavored to secure public sympathy. It is said that Buddhism is the most representative way of performing Buddhism, and it is the unity of faith and practice that harmonizes Buddhism and s eon. Thus, the acquisi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which are advocated by Gumta and Cheonghwa, is sufficient to induce public sympathy. Because the two prepositions first match all the core contents of Buddhism from the early Buddhism to the Harmony, and define the lines that have not been separated by one person as a pure 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quire the sutra of the Buddha and to embody the true nature of the Buddha in the sutra. The following Cheonghwa proves through the use of Buddhism, Buddhism as the best way to combine Buddhism and Buddhism in terms of practicalit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is unacceptable except for the Cheonghwa line. Securing legitimacy and tradition. This is the content of the execution and learning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the original mind of the practitioner was the mind of Buddha, the mind of seon, and the mind of Buddhism, which emphasized the status of disappearance as the Buddha. Finally, the essence of regeneration is a pure mind that is originally realized and a spirituality. Therefore, Samadhi of specific mode or samadhi of one action, vipassana and action of Samadhi, who realized that Buddhism were aimed to learn by sight and that the law was one form, vipassana and chanting the name of Amita buddha(觀而念之) passed through the one-mark of the dharma dhatu(法界一相) and the Buddha-recollection samadhi acquire the same as the meditation of the chanting of buddha(念佛禪).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