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Han Dynasty Relief Sculptures in Nanyang, Henan

        Ah-Rim Park(박아림) 고구려발해학회 2006 고구려발해연구 Vol.23 No.-

        중국의 한대(漢代) 화상석은 산동성, 하남성, 사천성 등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다. 그러나 정확한 지역적 특징의 구분이나 발달상의 연관관계는 여전히 풀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산동성 화상석의 인물 표현이나 주제는 다소 딱딱하고 엄격하며 유교적 색채가 짙은 데 비해 사천성 화상석의 주제나 표현은 다소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하남성 화상석은 그 두 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있으면서 두 가지 특징이 같이 나타나는데, 그중에서도 자유로운 표현이나 주제가 나타난는 곳이 남양지역의 화상석들이다. 동한(東漢)의 남도(南都)로 알려질 만큼 정치, 경제, 문화적 중심지였던 남양지역 화상석은 1930년대부터 시작된 발굴을 통해 알려졌으며 약 3기로 발달이 구분된다. 초기는 기원전 50년에서 기원후 50년까지이며, 중기는 기원후 50년에서 100년까지이다. 후기는 기원후 100년에서 150년까지이다. 본 연구는 남양지역 화상석의 연구를 통해 한대 화상석의 지역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첫째 남양 화상석의 전체적인 특징을 개관하고, 다음으로는 남양지역에서 나온 화상석의 여러 주제 주에서 하나의 독특한 지역적 특징으로 지적이 된 사람과 동물, 동물과 동물간의 전투 장면을 묘사한 화사석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는 남양 화상석이 대부분 개별 화상석의 형태로 보고가 되어서 무덤 안에서 전체 화상석의 배치를 알아보기 힘든 점을 고려하여, 온전한 형태로 발견되어진 남양 화상석 고분들(針織廠고분, 英莊고분 등)의 예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남양 화상석 고분이 가지는 한대 화상석 고분의 발달에 있어서의 위치와 한대 화상석 발달에 미친 영향 등을 알아본다.

      • KCI등재

        漢代畵像石에 반영된 조상제례연구

        許明華(Heo, Myung-Hwa)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8

        본고는 漢代에 이르게 되면 編戶齊民체제로서 가족단위의 조상제사가 가능해졌음에 주목하였다. 이것은 漢代에 실시된 유교가 국교로 되면서 효렴제도의 영향과 함께 조상제례가 정착된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영향은 漢代에 墓祭를 지내기 위해 민간에서도 무덤에 개인적인 祠堂을 건립을 성행시켰는데, 바로 이것이 바로 무덤 祠堂에 있었던 畵像石이었다. 본고는 漢代의 정착된 조상제례를 찾아볼 수 있는 화상석에 반영된 배례도를 통해서 고찰하기 위해 그 시대적 배경으로 조상제례의 관념양상을 검토하였고, 墓祭변화를 함께 분석하였다. 한대에서 국가의 유교이데올로기와 前漢시기부터 孝治를 내세운 국가의 권력이 민간사회에 영향을 끼치면서 수많은 화상석 건립을 확산시켰음을 짐작할 수 있다. 漢代人의 조상제례에서 喪葬풍속은 영혼관의 상징인 生死관념은 기본적으로 “不死其親”의 신념이 지배하였다. 그 가운데서 “事死如事生”의 상장예속은 영혼불멸관이라는 漢代의 독특한 생사 관념으로서 漢代에 이르러 더욱 발전하였다. 風은 자연환경에 의해, 俗은 군주의 의도에 의해 형성된다고 하였다. 그래서 漢代民間의 풍속은 상당 부분이 귀신과 관계된 것이 많았으며, 이러한 漢代의 鬼神觀이 漢代人들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풍속의 漢代人들의 喪葬에서 기인된 생사관은 신비주의와 결합된 귀신관념이 지배적이었다. 결국 이러한 漢代人들의 무덤에 대한 풍속배경은 조상제사를 지내는 무덤에 대한 인식과 墓祭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화상석이 출현되기에 매우 적합한 환경이 되었다고 파악된다. 이러한 상황의 무덤에 대한 조상숭배 변화는 한대사회가 씨족제에서 편호제민 가족제로 바뀌고, 조상숭배의 주요 대상도 종족의 먼 조상에서 가까운 가족 특히 부친으로 바뀌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무덤이나 무덤 근처에서 死者인 조상에게 제사한 이유는, 사자의 영혼이 무덤에 살면서 제사를 받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墓祭가 확산되고 성행한 시기는 明帝시기’가 되겠지만, ‘墓祭가 시작된 시기는 前漢시기’로 파악하였다. 조상제례와 직접 관련 있는 화상석의 누각배례도의 제사 도상은 ‘事死如事生’이라는 한대인의 영혼관과 유가사상을 함께 반영하였다. 배례도 화상석에 보이는 거마출행도, 扶桑樹, 서왕모의 상징을 종합해보면 삼단형태의 누각배례도의 하층은 거마출행도라는 상징을 통해 ‘지하세계’를 표현했으며, 중간층에는 祠主가 자손에게 제사를 받는 祠主祭祀圖를 표현하여 ‘현실세계’를 나타냈으며, 중층과 상층사이에는 扶桑樹를 표현하여 하늘을 향해 오르는 신성함을 나타낸 "神樹"를 상징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인의 신분을 상징하는 서왕모가 있는 상층부는 ‘천상세계’를 표현하였다는 것이다. 이처럼 상중하로 나뉜 화상석 배례도의 표현들로 보아 조상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된 사당의 건립은 후손들의 영혼관과 당시의 喪葬풍속이었다. 이는 묘주에게 배례를 하는 효행의 의미를 표현한 것으로서 孝사상의 확산이자, 바로 漢代의 통치사상이었던 "罷黜百家, 獨尊儒術"의 사회적 기풍을 잘 드러내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통치수단이었던 유가사상이 국가적 지배구조의 논리가 되면서 조상제례의 성행이 누각배례도 화상석에 잘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쉬저우박물관의 한(漢)화상석 문화상품 디자인 융합 개발 전략

        우치(Wu, Qi),송만용(Song, Man Y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5

        쉬저우는 중국 한(漢)문화의 발원지 중의 하나이며, 한(漢)화상석은 당시 특색성을 지닌 역사 문물이다. 한(漢)화상석은 본래 망자를 기리는 제사용 예술품이었다. 한(漢)화상석과 화상전(畵像砖)은 당시 매장용 건축의 일부로서, 한대(漢代)의 장례 의식과 민간 신앙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유쾌했던 현실의 삶도 사후세계로 가져가고 싶어하는 다양한 소재를 담고 있지만 한(漢)화상석을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 사례는 드물다. 그래서 여전히 연구의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漢)화상석을 활용한 쉬저우박물관의 문화상품을 개발 하는데에 있어 무엇이 필요하며 어떤 부분을 고려 및 강조하여야만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 한(漢)화상석과 박물관 문화상품에 대한 문헌고찰과 한(漢)화상석 주제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세 가지 문제를 연구하였다. 첫째, 한(漢)화상석 문화상품을 선택할 경우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 둘째, 한(漢)화상석 문양에서 동물문양을 선호할 것이다. 셋째, 한(漢)화상석을 활용한 문화상품 중 패키지 제품을 선호할 것이다. 결과 전통문화를 이용한 문화상품을 제작하려면 과거의 양식에서 벗어나 현재적 가치 혹은 스토리텔링을 만들어야만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Xuzhou is the birthplace of Chinese Han culture, and The Han relief stones was characteristic historical relics at that time. The Han relief stones was originally a sacrificial art to commemorate the dead. The exhibition of stone portraits and portraits of the Han Dynasty was part of the burial building at that time, specifically showing the funeral rituals and folk beliefs of the Han Dynasty. Although the book contains a variety of materials to bring a pleasant real life into the afterlife, but there are few cases of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using images of Han relief stones. Therefore, the research is still meaningfu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what is neede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in Xuzhou Museum by using Han relief stones carvings, and which aspects need to be considered and emphasized. In addition,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Han relief stones and museum cultural developing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preference of the theme of the Han relief stones were studied 3 questions. First, if you choose Han relief stones carving cultural products, you will be very fond of design. The second is the pattern of Han relief stones, which prefers animal patterns. Third, among the cultural products that use Han relief stones, they will choose a package. In the end, it was discovered that if we want to use traditional culture to make cultural products, we must get rid of past models and create current values or stories.

      • KCI등재

        中國 河南省 南陽 麒麟崗漢墓 硏究

        朴雅林(PARK Ah-rim)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8 No.-

        고구려 벽화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 중국의 한대 고분미술의 이해는 고분벽화와 함께 고분 및 사당 화상석의 이해가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고구려 벽화 이해를 위하여 한대 화상석의 발달과 대표적 제재들을 지역과 시기별로 고찰하는 기초 작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사례연구로서 한대 화상석의 대표적 출토지역인 하남성의 한대 화상석고분 중에서 남양지역의 기린강한묘를 선택하여 고찰하였다. 기린강한묘 화상의 특징으로는 인물도의 발달, 다수의 神靈神獸와 神人의 등장, 묘정 천상도의 발달을 이야기할 수 있다. 첫째 기린강화상석묘는 당하 전창한묘, 許阿瞿墓와 함께 화상석묘에서 묘주도가 등장하는 드문 예이다. 묘주를 포함한 인물화에서 중국의 전국시대 장사출토 백화, 서한 마왕퇴1, 3호묘백화, 낙양 소구 61호묘, 하남 밀현 타호정 화상석묘, 동진의 고개지를 잇는 인물화의 발달에서 중간 단계를 보여준다. 둘째 특징은 상금서수와 신인과 같은 신령스러운 존재들이 전실과 주실의 천장, 주실의 벽과 기둥을 장식하는 주요 제재라는 점이다. 등장하는 종류로는 복희, 여와, 희화, 상희, 동왕공, 서왕모, 방상 등이 있다. 북주실과 중주실의 묘정에는 복희, 여와 도상이, 묘문의 동왕공 서왕모, 전실의 방상씨가 배치되었다. 기린강한묘는 전체 남양 한화상석묘의 구조와 화상석 제재 및 수량의 증감에 따른 발달로 비추어 볼 때 동한 조, 중기의 고분들과 가깝고 동한 만기로 편년되는 양성현 자구한화상석묘(132년)보다는 이를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동한 중기에 세워진 화상석묘로 추정된다. 전국시대부터 서한, 동한, 위진시대 중국 고분미술(백화, 칠관화, 묘실 벽화, 화상석)의 고찰은 3-4세기 고구려 벽화가 출현하기까지 동아시아 고분미술이 어떻게 변천 발달했는가를 살피는데 필수적이다. 고구려 벽화 제재의 기원과 표현방식의 연원을 고찰하기 위하여 동한시대 천상도와 인물도의 발달을 대표하면서 마왕퇴백화와 같은 전국시대~한대 초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하남성 남양 한화상석을 살펴보았다. 하남성 남양지역의 대표적 한화상석묘인 남양기린강한묘에 대하여 화상 배치의 특징과 대표적 제재의 표현양상, 남양화상석의 문화적 기원 및 지역적 영향관계를 살펴봄으로서 고구려 벽화의 기원과 발달에 영향을 미친 동한시대 한화상석의 지역적 발달상과 표현양상을 연구하였다. The Henan province is one of the five major regions where Han dynasty relief sculptures are concentrated. Especially, relief sculptures excavated from Nanyang region in Henan are good examples showing the early stage of the evolution of Han relief sculptures. Nanyang Han tombs have been destroyed and robbed since the end of the Eastern Han, and from the Three Kingdoms and Wei-Jin periods, people reused Nanyang Han relief sculptures when they built later tombs. Nanyang relief sculptures became to be known to the scholars since 1920s and 1930s as discoveries of scattered sculptures around Nanyang city wall area and excavations of tombs were carried out. After the liberation, more than 60 tombs decorated with relief sculptures have been discovered. The Museum of Hanyang Han Relief Sculptures are currently housed about 2,000 works, which makes it one of the largest Han dynasty sculpture museums in China. This paper examines the Qilingang Tomb, Nanyang, Henan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a tomb structure and major subject matters. Like other Nanyang relief sculpture tombs, scenes illustrating productive activities such as farming are rarely seen, and scenes depicting historical figures are not frequently seen either. On the other hand, subjects dealing with auspicious symbols and mythological animals and figures associated with heavenly world are major subjects decorating the walls and the ceilings. There is a certain rule in the placement of subject matters. A ceiling part contains cosmological and mythical subject matters, especially the complete representation of five elements in Daoism including the Taiyi. Secondly, the tomb contains the portrait of a tomb occupant which shows a highly developed style in Eastern Han in the tradition of figure paintings since Warring States period and foreshadow paintings by Gu Kaizhi in Eastern Jin. Through examining Qilingang tomb, one could underst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Heavenly paintings and figure paintings from pre-Han to Eastern Han period which influenced on the formation of Koguryo wall paintings.

      • KCI등재

        단군신화의 새로운 해석 -무량사 화상석의 단군과 치우를 중심으로-

        이찬구 ( Chan Goo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0 No.-

        고려시대 일연(一然)스님이 찬(撰)한 『삼국유사』(고조선조)의 단군신화는 한민족에게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천신족(天神族)인 환웅과 지신족인 웅족(熊族)의 여성이 결혼하여 단군을 낳았다는 곰설화는 호족(虎族)을 배제한 채 한국인의 의식을 오랫동안 지배해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88올림픽의 호돌이와 축구대표팀의 호랑이마크에서 보듯이 곰문화보다는 범문화가 우세하다. 필자는 이런 전래와 현실의 차이점의 원인을 규명해 보기위해 단군신화를 재해석하여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찾은 자료가 중국 산동성에 있는 무량사(武梁祠)의 화상석(畵像石)이다. 이 그림은 2천년 전 무씨(武氏)일가의 제작품으로 동북아의 신화나 전설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그 중에 필자가 주목한 것은 후석실(後石室) 제3석(이하 화상석)의 그림인데, 여기에는 웅녀(熊女) 대신에 호녀(虎女)가 등장하고 있다. 이 화상석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이루어졌다. 1942년에 중국의 유명서(劉銘恕)는 이 화상석을 치우(蚩尤)와 황제(黃帝)와의 탁록전(탁鹿戰)으로 보고 치우를 그 전쟁의 패자(敗者)로 설명하고 있다. 1946년 한국의 김재원(金載元)은 단군신화와 연계하여 설명하였으며, 특히 단군의 탄생을 밝힌 반면에 치우에 대하여는 조심스럽게 언급하였다. 필자는 화상석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단군과 치우의 관계에 대해 유명서와 김재원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화상석 2층은 탁록전에서 치우가 승리하는 장면으로 본다. 또 화상석 3층에 등장하는 곰(熊)의 형상은 치우이며, 그 옆의 호녀가 아기 단군을 안고 있고, 그 앞의 꿩(雉, 鸞)은 환웅을 상징한다고 해석하였다. 이처럼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호족의 배제가 아닌, 그것의 포용을 통해 곰족, 범족, 환족의 3부족 연합설을 제기하고, 아울러 단군이 웅족인 치우의 후손이라는 두 관점에 의해 고조선의 건국사화인 단군신화를 재해석하여 역사의 단절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The Dangun myth described (at the Gojoseon section)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ompiled by Buddhist Priest Ilyeon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a valuable cultural asset to the Korean people. The bear tale in which Dangun was born of Hwanung of heavenly descent and the bear woman from a bear-totem tribe worshipping the god of the earth has dominated the Korean psyche for so long, excluding the existence of a tiger-totem tribe. However, as demonstrated in Hodori, the official mascot of the 1988 Summer Olympic Games, and the tiger emblem in the uniform for the Korean national football team, the culture of tiger worship has prevailed over the bear-worshipping culture in Korea. I thought that the Dangun myth has to be reinterpreted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cause of such a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tale and reality. Therefore, I turned my eyes on the pictorial stones at the Wu Liang Shrine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ese carvings were made by the Wu family about 2,000 years ago and have been rated as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used for understanding Northeast Asian myths and legends. Among them, I paid attention to the third pictorial stone of the back stone chamber and a tiger woman, not a bear woman, appears on the stone. The studies of this pictorial stone have been already conducted. In 1942, Chinese Researcher Liu Mingshu regarded this stone as a portrayal of the battle of Zhuolu between Chiyou and the Yellow Emperor (Huang Di) and construed Chiyou as the loser of the battle. In 1946, Korean Researcher Kim Jae-won explained the carved image by linking it with the Dangun myth, and in particular, while he gave an account of the birth of Dangun, he mentioned Chiyou in a cautious manner. I critically reviewed Liu Mingshu`s and Kim Jae-won`s opin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gun and Chiyou who appear on the pictorial stone together. As a result, I interpreted the image on the second level of the stone as the scene of Chiyou`s victory at the battle of Zhuolu. In addition, I understood that the image of a bear on the third level of the stone represents Chiyou, the tiger woman next to him seems to be holding the baby Dangun in her bosom, and that the pheasant in front of Chiyou symbolizes Hwanung. I suggested the theory of the union between the three tribes: the bear-totem tribe, the tiger-totem tribe and the Hwanung-worshipping tribe by embracing the existence of the tiger-totem tribe instead of excluding the existence, and moreover, I reinterpreted the Dangun legend,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 from a new perspective that Dangun is a descendant of Chiyou who came from the bear-totem tribe, in order to overcome a gap in the history of Korea.

      • KCI등재

        한대인들은 왜 돌에 그림을 새겼는가? ― 영원한 삶의 염원을 위한 유교와 신화의 교착 ―

        김종석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8

        This thesis examines the Confucian thought and mythological reason shown in the stone statues through three aspects: the production intention, the story expressed in the stone statues, and the meaning of the stone statues, which are memorial stones for ancestral ceremonies in the Han Dynasty. Through this, it is a paper that re-examines and seeks the contact point between mythological thought and Confucianism in a unique culture and its value. In Chapter 2, the external intention to reveal the filial piety ideology was reviewed, focusing on the filial piety story of Muliang temple. Among them, in the image of ZengZi, in addition to the symbolism widely known as the producer of Xiaojing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reveal the trust of the monarch and subjects through faithfully following the state system by citing the story of zhanguoce . The story of zhengran reveals the value of filial piety beyond the law of reality, and the story of Anguo confirms the intention to reveal the achievements of the living, not the dead.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ocial climat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irtuous women beyond the filial pie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Chapter 3, the idea of immortality related to Xiwangmu as a mythological subject of stone statues and the eternity of the dead realized through it were review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ascending to the world of immortals was expressed by reenacting the scene where the owner of the shrine, who rode in a carriage, received a ancestral rite for his descendants through the picture of a memorial service in a pavilion. This is to realize the wishes of the descendants, who pray for the realization of the eternity of their ancestors, through the repeated rites held in tombs and shrines, in the form of ancestor worship and the image of the sages, including Xiwangmu. This is the true meaning of serving the dead of the Zhongyong as if they were alive, and the intention is to realize the eternity of their ancestors in this world. 본 논문은 한대(漢代)의 제례 기념물인 화상석(畫像石)의 제작 의도, 화상석에서 표현되는 이야기와 그 의미의 세 가지 측면을 통해 화상석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과 신화적 사유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대의 독특한 문화에서 나타나는 신화적 사유와 유교와의 접점과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 모색한다. Ⅱ장에서는 무량사(武梁祠)의 효행고사를 중심으로 효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고자 하는 외적 의도를 검토하였다. 그중 증자(曾子)의 화상에는 효경 제작자로 널리 알려진 그의 상징성을 통해 효를 선양하려는 의도를 비롯하여 전국책 고사를 인용하여 군주와 신하의 신의를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란(丁蘭)의 화상에서는 실정법을 넘어서는 효의 가치를 드러내고 있으며, 안국(安國)의 화상에서는 죽은 이가 아닌 산 자의 공적을 드러내려는 의도를 확인하였다. 더욱이 일반적인 부모와 자식 사이의 효를 넘어서 열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풍토를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화상석의 신화적 제재로서 서왕모(西王母)와 관련한 불사의 관념과 이를 통해 구현되는 죽은 이의 영원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특히 누각배례도를 통해 마차를 타고 출행한 묘주가 후손의 제사를 받는 장면을 재연함으로써 선계로 상승할 가능성을 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무덤과 사당에서 반복하여 거행하는 제사를 통해 조상의 영원함이 실현되기를 기원하는 후손의 염원이 조상 배례의 형상과 서왕모를 비롯한 선계의 형상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곧 중용 의 ‘사사여사생((事死如事生)’의 진정한 의미로서 조상의 영원함을 현세에 실현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이다.

      • KCI등재

        漢代 畵像石의 宴飮과 飮酒禮 - 禮制의 지방정착화와 관련한 試論 -

        이수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硏究 Vol.- No.64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Ritual Book and Huaxiangshi(畫像石). Under one condition that the ceremony of confucious is not rooted in early Han Empire, this study discerns the meaning of Huaxiangshi with contents of Banquet. Especially it is not difficult for this study to find the confucious ritual in Ritual Book, not Former Han, but Later Han. This results mean that the ritual of confucious gradually spreads into Han Empire. Though a little bit difference is identified, entire region of Han is converted slowly into Li Zhi(禮制) State. It is appeared during Later Han. We can find evidence from the tomb of Son Cong(孫琮). In this tomb Huaxiangshi, Military ritual and Scholar ritual is combined into one category. 본고는 漢代의 화상석 가운데 연음과 관련된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儀禮』 등 禮書에서 음주의 의례와 관련된 내용을 제시하고 이를 출토유물과 비교하여 戰國시대에는 禮書의 내용이 그대로 투영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前漢 시대의 화상석에는 이전과는 조금 다르지만 유사한 부분도 존재하였다. 특히 예제에 맞는 모습은 전한보다 후한 시대에서 더 확인할 수 있었다. 지위와 고하에 따른 자리 배열과 기물의 배치를 통해 儒家的 禮制의 편린을 확인하였다. 특히 射禮가 강학과 더불어 한 화면 속에 재현되었으며, 이는 지방 관청 단계에서 유가적 의례가 군사적 성격에도 투영될 수도 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後漢의 화상석은 지역별로는 여러 곳에서 출토된 것으로 각 지역에서 유사한 구도의 재현을 통해 禮制가 後漢 이후 지방으로 확산되어 가는 모습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집 : 한국 고대 동아시아 사상의 교류 ; 고대 중국 건축의 8각 요소 검토 -고구려 8각 불탑의 조망을 위하여-

        강병희 ( Byung Hee K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고구려는 5세기 초 정릉사지를 시작으로 알려진 5개의 절터에 8각 탑, 혹은 8각이 포함된 탑 터가 남아 있다. 이는 같은 시기의 중국과는 판이한 현상이다. 여기에는 고구려만의 특유한 배경이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고구려는 중국을 통하여 불교와 불교미술을 전해 받았으며 문화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고구려 8각 탑의 특수성을 이야기하려면 5세기 이전, 중국의 8각에 대한 다양한 쓰임을 살펴 이와의 관계를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전통적 요소로서 첫째, 漢墓의 화상석에 보이는 다각 건축과 묘실 8각 기둥을 살펴보았다. 둘째, 제천 건축인 교사의 단 건축과 명당건축에서 보이는 8각과 그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불교적 요소로는 4~5세기에 조성되는 북량 소탑의 8각 의미를 살펴보았다. 한나라는 기원전 1세기 경 부터 이전의 변화를 체계화하여 새로운 인문학적 천문우주관과 내세관이 확립된다. 전국시대의 천론이 지고한 하늘의 신성성을 주목하는 맥락이었다면 진한시대의 우주는 음양오행에 의해 조화롭게 운행되며 이러한 이치가 인간과 지상에 함께 적용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국가 제천 의례와 장묘 문화도 새롭게 정비된다. 무덤은 천지만물의 조화로운 세계가 표현되는데 상부에는 당시의 천문관이 표현되고 하부에는 영혼의 현실 생활이 재현된다. 묘주는 영물들과 함께 하늘을 여행하고 하인들을 부리며 향연을 즐기고 자손들의 의례를 받는다. 천·지·인이 합일되는 조화로운 우주관 속에서 영생을 향유하는 모습이다. 이전 시대에는 근엄하게 표현되던 서왕모도 동왕공과 함께 불사약을 지닌 불로장생의 주관자인 선계의 주인으로 묘주의 영혼들을 하늘로 인도해 주는 자비로운 신으로 등장하며 이러한 당시의 우주관이 기하학적으로 표현된 TLV경은 조화로운 세계에 머물기 위한 지침서로써 기원전 2세기 후반부터 무덤에 많이 부장된다. 산동성 費縣 타莊鎭潘家탄에서 발견된 동한시기 한묘의 `다각삼층루화상`의 6각, 혹은 8각으로 추정되는 건물은 주인공의 혼이 머무르며 후손들의 제사를 받는 천부와 지상을 연결하는 공간에 적용된 특수한 공간을 상징하는 건축 형제이며 산동성 沂南縣 北寨村의 동한 晩期 한묘는 多室로 이루어진 묘실과 불완전한 궁륭형태의 천장으로 조성되었는데 이는 단순히 죽은 이를 매장하는 곳이 아니라 하늘, 땅, 명계가 통하는 곳이며 8각 기둥은 이들을 연결하는 중심 기둥이라는 상징성을 보인다. 南郊, 圓邱에서 행하여지는 郊祀와 明堂의례로 대표되는 제천 의례는 서한 말기에 확립되며 이후 시대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다. 이들이 거행되는 제단과 건축의 형태는 서한 말기의 인문학적 천문우주론이 투영되어 나타나며 그들의 우주론 속에 등장하는 8의 요소가 등장한다. 중국 탑에서 8각의 평면이 처음 나타나는 예인 북량(397~439) 소탑들은 북량에서 번역된 열반경, 미륵경, 대방등다라니경의 8天神사상과 8번째 불인 미륵신앙이 보이며 더불어 이들 사상이 한대 우주론과 습합된 주역적, 도교적 8괘 사상과 결합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중국 고대 건축의 8각 요소들은 기원전 1세기 이후에 나타나며 이들에게는 서한 말기에 체계화된 인문학적인 천문우주관이 투영되어 있다. 심지어 불교 유물인 북량 소탑에도 이러한 개념이 불교적 요소와 습합되어 있다. 천체의 운행 변화에 따라 계절과 절기가 바뀌고 이에 따라 하늘의 기운도 변화하여 바람도 바뀌고 자연의 리듬도 바뀐다. 따라서 천문, 사상, 의례 뿐만 아니라 도덕, 음악, 예학에서도 천문이 분리되지 않는다. 중국의 經과 史 기록 전체에서 음률, 악기, 음악의 8각 기록이 많이 보였던 이유이다. 이상 고대 중국 건축의 8각 요소를 검토해 본 결과 고구려 불탑의 8각 평면은 당시 고대 중국의 8각 요소, 즉 천문학적 우주관이 투영된 8괘 사상, 중국 서북부 지역의 북량 소탑에서 확인되는 8괘 사상과 습합된 열반경 등의 8天神사상과 미륵신앙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생각된다. Along with the 5th century Jeongleung temple(定陵寺), five Gogurye(高句麗) temple sites include octagonal pagodas or remains of pagodas with octagonal angled elements,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Chinese temple plan and resulted from significant background of Gogurye. Even though Buddhism was introduced from China, unlike China, octagonal angled pagodas were built in Gogurye. In Gogurye the octagonal shaped buildings were built before the transmission of Buddism from China. So the author think the original thought of Gogurye had influenced on Gogurye`s octagonal angled pagodas. For that purpose, this article, for the tradisional element, first examines the meaning of octagonal pillar in the Han(漢, B.C.202-A.D.8) dynasty tombs and multi-angled architecture described in the engraved stone slabs(畵像石) of the Han dynasty tombs, and the octagonal elements and its symbolic meaning found in the stepped architecture in the altar of Heaven(天壇) and Mingtang(明堂) for the Sacrificial Rite to Heaven. For the Buddhist elements, the meaning of eight found in the small pagodas of Northern Liang(397~439) period was also investigated. During the Han dynasty, new astronomical cosmology and thought on after life were established from the first century B.C. The idea on heaven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was focused on the ultimate sanctity of heaven, whereas Qin(秦) and Han idea saw the cosmos moving harmoniously according to Yin and Yang(陰陽), and the Five Elements(五行), and whose principle was applied to the human being and the world. State sacrificial ritual for heaven and burial system were newly consolidated accordingly. Tombs symbolizing the universe of myriad things, manifest contemporary idea on the cosmos in the upper part and reproduce the scenes from the actual life of the deceased in the lower area. The deceased enjoys the eternal life in the harmonious idea on the cosmos in which heaven, earth, and human being became united while flying with spirits, receiving descents` sacrifice with the service of servants.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who described as stern figure before appeared with her partner the Lord of the East as the masters of the world of non-death who lead the spirit of deceased to the heaven. The TLV mirrors expressed the same idea geometrically were buried in multitude from the second century B.C. as a guide to dwell in the harmoniously world. Multi-angled, three-storied pavilion engraved on the Eastern Han(東漢) stone slab found at Duozhuangzhenpanjiatuan(타莊鎭潘家탄), Fei county(費縣), Shandong province(山東省) is supposed to be an hexagonal or octagonal architecture built as an ancestral shrine or tomb. Since the ancestral shrine was a place where spirit of ancestor receiving descendants` sacrificial service and connecting heaven and earth, the hexagonal or octagonal architecture was also a structure symbolizing the special space. Late Eastern Han(東漢) tomb at Beizhacun(北寨村), Jinan county(沂南縣), Shandong province(山東省) with its multi-chambered structure and imperfect dome-style ceiling symbolizes the space as a place linking heaven, earth and afterlife, not simply as a place for burial and the octagonal pillar as an center pillar supporting the connection. Chinese Sacrificial Rite to Heaven represented by the rites of South Rural Sacrifice(南郊), Round Embankment?(圓丘), Mingtang(明堂) was regulated in the late Western Han(西漢), and had effected greatly on later practices. The sacrificial altar and architectural form reflect the astronomical cosmology of the late Western Han period and the octagonal element found in their cosmology. The small pagodas of the Nothern Liang(北凉 小塔) which are the earliest examples of octagonal plan appeared with the belief on the Eight Gods(八天神) found in the sutras of Nirvana, Maitreya, translated in the Northern Liang with the Maitreya cult assimilated with the ideas on the Taoistic Eight Trigrams(八卦) and the universe. The octagonal element of ancient China appeared after the first century B.C. reflects the astronomical cosmology systematized during the late Western Han period. Even in the Buddhist pagodas of the Northern Liang, the same ideas were assimilated with the Buddhist element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smos season changes, which affects the energy of space, direction of winds, and rhythm of nature. Therefore, cosmology cannot be separated from philosophy, ritual, ethics, musicology, and for that reason, records on the octagonal element appeared in rhythmics,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 continuously included in the Chienese classical and historic writings. By examining the octagonal element found in ancient China, it is assumed that octagonal plan of Gogurye Buddhist pagoda was influenced from the ancient Chinese octagonal element, that is, the idea of Eight Trigrams which projects the astronomical cosmology, and the cult of Maitreya assimilated with the Eight Trigrams which is confirmed in the Northern Laing small pagodas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China.

      • KCI등재

        중국 남양한화상석박물관(南陽漢畵像石博物館) CI 디자인 개발 연구

        황산산,신인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1

        Hanwha Sangseok is a piece of art carved on a stone in the Han Dynasty of China, and there are many artifacts such as stone, brick, silk, eaves tile, copper mirror, and lacquerware, but the largest amount of excavation is the Hanwha Sangseok stone. Nanyang City was one of the five major economic centers where commerce developed during the Han Dynasty, and Nanyang Hanwha Sangseok provides a glimpse of the high productivity and economic prosperity of the Nanyang area at that time. Hanwha Sangseok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painting is simple, rich in content, and the theme is clear. This paper collected and researched data through the website of the National Hanwha Sangseok Museum in China, the collection of the Nanyang Hwaseok Museum, interviews and field trip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paradigm of traditional culture design element extraction as one of the ways to find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design through in-depth analysis based on extracting traditional design elements of burn-ston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I's design under the theme of the Nanyang Hanwha Sangseok Museum, it aims to provide theoretical reference to scholars studying Hanwha Sangseok stones in the future, while helping to build a local brand image and enhance the local cultural image of the Nanyang Hanwha Sangseok Museum. 한화상석(漢畫像石)이란 중국 한대(汉代)에 돌 위에 조각하여 만든 예술품으로, 돌, 벽돌, 견직물, 처마 기와, 구리거울, 칠기 등 그림이 그려져 있는 많은 유물이 있지만, 그중 출토량이 가장 많은 것은 바로 화상석이다. 남양시(南陽市)는 한나라 때 당시 상업이 발달했던 5대 경제중심지 중 한 곳으로, 남양 한화상석은 당시 남양지역의 높은 생산력과 경제적 번영을 반영하고 있으며 그림은 단순하지만, 내용이 풍부하고 주제가 뚜렷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 연구는 중국 국가한화상석박물관 홈페이지, 남양한화상석박물관 소장품, 인터뷰와 현지탐방 등 방식을 통해 자료 수집 및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화상석의 전통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는 방법을 토대로 한 심층분석을 통해 전통문화와 현대디자인의 결합 방식을 모색하고 창의적인 제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전통문화 디자인 요소 추출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남양한화상석박물관을 주제로 한 CI의 디자인 개발을 통해, 앞으로 화상석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이론적 참고를 제공함과 동시에 남양한화상석박물관의 지역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지역 문화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중국 위진 고분벽화의 연원 연구

        박아림 ( Ah Rim Park ) 동양미술사학회 2012 동양미술사학 Vol.1 No.-

        중국 위진 시기 고분벽화는 한대 고분벽화와 화상석과 더불어 중국 고대 회화의 발전을 볼 수 있는 중요한 회화자료이다. 동북과 하서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는 중국 위진 벽화고분의 연원을 고찰하기 위하여 본문에서는 두 지역에 벽화고분이 나타나기 시작한 신망에서 동한 전기의 벽화고분부터 시작해서 동한 후기-서진의 벽화고분까지 그 출현과 발달 및 전개과정을 같은 시기 다른 지역의 벽화고분들과의 상호관계를 고려하면서 정리하였다. 먼저 동북과 하서지역에 처음으로 벽화고분이 등장하는 신망-동한 전기의 요녕 대련 영성자 한묘와 감숙 무위 한좌 오패산 한묘를 통하여 서한부터 낙양, 장안 등지의 벽화와 화상석에 보이는 鎭墓피邪, 引魂昇天을 반영한 제재와 승선관이 이미 신망-동한 전기에 동북이나 하서지역으로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동북지역 고분벽화의 출현에는 중원지역에서는 신망-동한 전기부터, 관중지역에서는 서한 후기부터 나타나는 생활풍속적 제재의 전파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보인다. 동시에 내몽고나 섬서북부와 같은 북방지역의 동한 후기 벽화고분과도 벽화제재와 표현에서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 동한 후기에 와서 동북, 내몽고, 하서를 잇는 북방지역이 벽화고분 축조의 중심지로 되면서 벽화문화권이 형성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서지역의 동한 후기-서진의 벽화고분은 무위, 주천, 돈황 등에 분포되어, 요양에 집중된 동시기 동북 벽화고분보다 다양한 발전양상을 보여준다. 하서지역 위진벽화 고분은 연원을 해당 지역한대고분에서 찾기도 다. 그러나 그보다는 하남, 관중, 섬북, 산서지역 한대 벽화고분과 화상전고분과의 다양한 교류를 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녕 조양 원대자묘 벽화는 요양지역 벽화고분에서 보이지 않던 여러 지 새로운 제재들이 출현하는데 1세기 앞선 요양지역의 벽화고분과 다른 벽화 제재들이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고분의 벽화 구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말해준다. 四神, 力士, 狩獵과 같이 요양지역에 등장하지 않은 제재들의 전파경로를 살피면 대체로 하남, 섬서 지역(서한 후기)에서 북방과 서지역(동한)으로 전파된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숙 주천 정가갑 5호묘의 벽화의 제재와 구성 배치는 신망-동한 전기하남지역에서 발달한 궁륭형 천장을 가진 전축분의 특징과 유사하며 고구려 벽화고분과도 친연성이 보인다. 고구려와 하서지역 고분벽화의 친연성은 서한 이후 벽화문화의 전파과정과 동한 후기부터 북방지역을 따라 형성된 벽화문화권의 교류가 그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국 위진 벽화고분의 연원에 대한 고찰은 3-4세기에 벽화고분이 조성된 동북과 하서지역만이 아니라 그 이전인 한대부터 각 지역별로 발달한 분벽화 및 화상석의 특징과 지역 간 상호 교류 관계를 보다 깊이 있게 려하면서 폭넓은 시각으로 조망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동북·하서 지역의 시기별 벽화고분의 연원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단순한 전파과정이 아니며 다양한 지역적, 시기적 편차를 가지고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달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중국 위진 벽화고분보다 더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고구려 벽화고분의 연원은 인접한 동북, 하북, 산동만이 아니라 보다 시야를 넓혀 중원, 관중, 북방, 하서가종축과 횡축으로 연결된 교류 상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Mural tombs of the Wei-Jin period in China are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for the origin, evolution, and stylistic analysis of the early Koguryo tomb murals. Especially, those in the Liaoning region have been received scholarly attentions since their excavations for the geographical closeness. However, Liaoning murals could not be the single source for the beginning of Koguryo murals if one considers diverse characteristics of Koguryo murals different from Liaoning murals. On the other hand, mural tombs in the Gansu region were often mentioned for their similarities in tomb structures and mural subjects to those of Koguryo although no concrete evidence has been provided to explain these similarities. In the present paper, I traced the origin of the Wei-Jin mural tombs in the Liaoning and Gansu regions back to the Han dynasty in the attempt to find out the process of the transmission of mural culture. In the Xin Mang to the early Eastern Han, painted tombs first appeared in these two regions and they showed the distribution of the idea of ascending heaven with the aid of auspicious animals and immortals from the Central Plains and the Guanzhong region. In the late Eastern Han, murals in the two regions exhibited wide ranges of interactions with other parts of the Han dynasty. It appears that not only the Central Plains region but also Guanzhong region and Beifang region(northern region) played an interesting role in the transmission of mural culture to the Hexi and Liaoning regions. By the late Eastern Han, tomb mural cultures became flourished along the northern region including Hexi, northern Shaanxi, Shanxi, Inner Mongolia, and Liaoning. It seems that through this kind of cultural band sharing similar funerary painting subjects and styles as well as structures, the distribution of funerary arts to the northwest and northeast regions in the Wei-Jin period must have been facilitated. It eventually contributed to the birth of Koguryo tomb murals which appeared to be an interesting mixture of varied cultures from those of Han to Wei-Jin as well as those of Han Chinese and non Han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