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식민주의의 저항전략과 페미니즘

        고정갑희(Gaphee Ko)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1 젠더와 문화 Vol.4 No.1

        본 논문은 탈식민주의의 저항 전략 중 문화와 담론 영역의 저항 전략을 살피고 그것이 갖는 한계 또한 살펴보고자 한다. 탈식민주의 저항 전략으로 흉내내기, 반언술행위, 번역, 언어거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그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살핀다. 그리고 이러한 저항 전략들이 페미니즘과 생산적 위기를 형성하는지 물으면서 현재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에 대한 대안적 전략이 될 수 있는지를 묻는다. 이 전략이 페미니즘과는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를 묻는 것은 현재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물음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흉내내기, 반언술행위, 번역, 언어거부에 대해 문화에 안주하며 위안을 받는 행위로 비판하는 시각과 정치경제적인 관점이 결여되었다고 비판하는 시각이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 던질 질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남성중심의 탈식민주의와는 달리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은 젠더-인종-계급의 중층적인 상황에 관심을 둔다. 가야트리 스피박이나 찬드라 모핸티는 마르크스주의의 혹은 반자본주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탈식민주의에 페미니즘의 개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입에도 불구하고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들이 주로 제3세계 출신으로 제1세계에서 활동하는 지식인들이라는 점이 문제가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다시 탈식민주의의 저항 전략과 페미니즘이 생산적 위기를 조성하는지 묻는다. 그리고 이 물음은 현재 페미니즘의 새로운 방향성 설정과도 관계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방향성을 묻기 위한 전단계 작업으로 탈식민주의 저항 전략과 그에 대한 비판을 다룬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resistance strategy of post-colonialism and see its meaning and limitation. It presents mimicry, counter- discourse, translation and refusing imperial language as the examples of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Homi Bhabha suggests that ‘mimicry’, ‘translation’, the third-space, hybridity can be interpreted as a location of subject-other where the resistance is embedded. Stephen Slemon points out that ‘counter-discourse’ is one of the crucial resisting strategy of post-colonial period. ‘Talking back’ as ‘counter-discourse’ is a way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dominant discourse of imperialism/colonialism. Ngugi wa Thiong’o’s choice of refusing English as his language is another example of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y. This article also aim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colonialism and feminism. To do this it examines some positions that criticize above mentioned post-colonial strategies. The criticism lies in their culturally-oriented specificity and the lack of polito-economic concern. It extends its criticism to their non-critical position about global capitalism, neo-colonialism and even contemporary imperialism. It criticizes that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are even accommodating with the present capitalism or neo-colonialism. It criticizes that post-colonialists neglect capitalism by concentrating on anti-Eurocentrism. Feminism can be supported and expanded by the post-colonial strategies in its interest in Eurocentrism and imperialism. It can be supported by its interest in race. And feminism can provide the insight of gender and sexuality. Especially post-colonial feminists, such as Spivak and Mohanty, provide the conceptual frame of race-class-gender. However, the meaning of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requires examination because of the above criticism and the lack of gender/sexuality frame. To move further from the present post-colonial strateg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colonialism and feminism. And based on this, the reviewing of post-colonial feminism shall be followed. It is for finding a better direction of present feminism and feminist movement.

      • KCI등재

        한국 다문화주의의 실천적 모순과 이론적 성찰

        이경원(Kyung-Won Lee)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4

        탈식민주의는 국내 학계에 소개된 지 20년이 넘었지만 그 파급효과는 제도권 대학안에 한정되어 있다. 텍스트 중심적이고 과거 지향적인 미국 판 탈식민주의의 탈정치성을 그대로 답습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 시점에서 탈식민주의가 수행해야할 바람직한 역할은 무엇인가? 어떻게 하면 탈식민주의가 상아탑 바깥의 사회 현실에 접목될 수 있는가? 본고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 중의 하나로 탈식민주의 ‘이론’과 다문화주의 ‘운동’의 연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다문화주의가 현재 한국 사회가 당면한 중차대한 문제이지만 탈식민주의 못지않게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탈식민주의가 이론적 유희로 흐른 나머지 정치적 실천성의 빈곤을 드러낸다면, 다문화주의는 사회운동과 정부정책으로서는 활발하지만 이론적 성찰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양자 간의 연대는 서로의 부족을 채워줄 수 있다. 또한 탈식민주의와 다문화주의는 인종이라는 최종심급을 공유하므로 이들의 연대가 논리적으로나 이념적으로나 그리 어색하지 않다. 피부색이나 핏줄의 같음과 다름에 따라 인간을 ‘인종화’하는 억압적 지배이데올로기가 탈식민주의와 다문화주의의 공동의 적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한국 다문화주의의 문제점을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의 탈식민주의 분석틀로 진단해보고, 이들의 비평적 개입을 통해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다문화사회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려고 한다. Over the three decades, multiculturalism has been contested as a philosophical discourse, institutional rhetoric, government policy, and pedagogical framework as well in Korea. In theory, multiculturalism is critical of and resistant to the ideologies and politics of monocultural assimilation under the banner of cultural differences and diversities. In practice, however, multicultualism is no more than a Korean version of Western cultural imperialism wherein ‘exotic’ or ‘un-Korean’ values are tamed and neutralized by the underlying logic of ‘our’ superiority and ‘their’ inferiority. This paper reconsiders the in-between national identity of ‘global Korea’ and its sociocultural climate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 and practices are truly multicultural. And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ntervening in multicultural practices in terms of postcolonial critics like Fanon, Said, Bhabha, and Spivak.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historical context and theoretical emphasis, this seemingly awkward meshing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postcolonialism can be productive and complementary because they both engage with problems of racial discrimination, (neo)colonial oppression, and Eurocentric cultural hegemony.

      • KCI등재후보

        탈식민주의의 저항전략과 페미니즘

        고갑희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1 젠더와 문화 Vol.4 No.1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resistance strategy of post-colonialism and see its meaning and limitation. It presents mimicry, counter- discourse, translation and refusing imperial language as the examples of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Homi Bhabha suggests that ‘mimicry’, ‘translation’, the third-space, hybridity can be interpreted as a location of subject-other where the resistance is embedded. Stephen Slemon points out that ‘counter-discourse’ is one of the crucial resisting strategy of post-colonial period. ‘Talking back’ as ‘counter-discourse’ is a way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dominant discourse of imperialism/colonialism. Ngugi wa Thiong’o’s choice of refusing English as his language is another example of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y. This article also aim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colonialism and feminism. To do this it examines some positions that criticize above mentioned post-colonial strategies. The criticism lies in their culturally-oriented specificity and the lack of polito-economic concern. It extends its criticism to their non-critical position about global capitalism, neo-colonialism and even contemporary imperialism. It criticizes that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are even accommodating with the present capitalism or neo-colonialism. It criticizes that post-colonialists neglect capitalism by concentrating on anti-Eurocentrism. Feminism can be supported and expanded by the post-colonial strategies in its interest in Eurocentrism and imperialism. It can be supported by its interest in race. And feminism can provide the insight of gender and sexuality. Especially post-colonial feminists, such as Spivak and Mohanty, provide the conceptual frame of race-class-gender. However, the meaning of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requires examination because of the above criticism and the lack of gender/sexuality frame. To move further from the present post-colonial strateg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colonialism and feminism. And based on this, the reviewing of post-colonial feminism shall be followed. It is for finding a better direction of present feminism and feminist movement. 본 논문은 탈식민주의의 저항 전략 중 문화와 담론 영역의 저항 전략을 살피고 그것이 갖는 한계 또한 살펴보고자 한다. 탈식민주의 저항 전략으로 흉내내기, 반언술행위, 번역, 언어거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그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살핀다. 그리고 이러한 저항 전략들이 페미니즘과 생산적 위기를 형성하는지 물으면서 현재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에 대한 대안적 전략이 될 수 있는지를 묻는다. 이 전략이 페미니즘과는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를 묻는 것은 현재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물음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흉내내기, 반언술행위, 번역, 언어거부에 대해 문화에 안주하며 위안을 받는 행위로 비판하는 시각과 정치경제적인 관점이 결여되었다고 비판하는 시각이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 던질 질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남성중심의 탈식민주의와는 달리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은 젠더-인종-계급의 중층적인 상황에 관심을 둔다. 가야트리 스피박이나 찬드라 모핸티는 마르크스주의의 혹은 반자본주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탈식민주의에 페미니즘의 개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입에도 불구하고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들이 주로 제3세계 출신으로 제1세계에서 활동하는 지식인들이라는 점이 문제가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다시 탈식민주의의 저항 전략과 페미니즘이 생산적 위기를 조성하는지 묻는다. 그리고 이 물음은 현재 페미니즘의 새로운 방향성 설정과도 관계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방향성을 묻기 위한 전단계 작업으로 탈식민주의 저항 전략과 그에 대한 비판을 다룬다.

      • KCI등재

        한국 생태시의 탈식민주의 고찰

        이형권(Lee, Hyeong-Kwon)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0

        한국 생태시는 표현의 평면성, 시기적 단발성, 인식의 편협성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필자는 탈식민주의와의 결합을 통해 확장성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 싶다. 탈식민주의에 기반을 둔 생태시는 한국 현대시에서 아직 충분한 창작 성과를 찾아볼 수는 없지만, 이미 발표된 몇몇 작품들은 새롭고 의미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탈식민주의는 근본생태학보다는 사회생태학과 친연 관계에 놓인다. 사회생태학에서 추구하는 ‘온간 지배 유형을 철폐해야 한다’는 슬로건은 탈식민주의가 지향하는, 개체적 독립성에 기초한 사회 집단과 영역 사이의 공존공영을 지향하는 정신과 연관된다. 생태시가 추구하는 상생의 정신은 인간과 인간,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생태시와 탈식민주의의 만남은 현대인들이 인간을 주체로, 자연을 타자로 보는 경직된 인식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데서 시작된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정현종의 「헤게모니」, 백무산의 「자연과의 협약」, 하종오의 「제국의 공장」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자연의 탈인간화를 옹호하는 것은 생태시와 탈식민주의가 만나는 또 하나의 방식이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고은의 「소원」, 박용하의 「바람 부는 날이면 한계령에 가야 한다」, 문정희의 「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두 유형의 작품들은 인식론적으로 서로 맞물려 있다. 요컨대 한국 생태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시인들은 표현의 세련미와 인식의 다양성, 그리고 시기적인 확장성을 지향해야 한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필자는 생태시와 탈식민주의의 활발한 연대와 모색을 제안하는 것이다. Korean ecological poetry involves many problems such as the flatness of representation, temporality, and cognitive narrowness. To overcome those problems, I suggest the pursuit of expandability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de-colonization. Although enough creative achievements of de-colonization based ecological poems can not be found modern poetry, several works have demonstrated a possibility new and meaningful. The slogan “All kinds of domination should be eliminated” in social ecology is related to the pursuit of co-existence between social groups and territory base on individual independence. The sprite of coexistence pursued in ecological poetry could be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meeting between ecological poetry and post-colonialism dates from criticism of the problems of rigid perception that modern people regard human as the subject and nature and nature as the other. Representation works involve Jeong, Hyeon-Jong’s the “Hegemony”, Baek, Mu-San’s “Agreement with Nature”, Ha, Jong-Oh’s “Emperial factory” and so on. Furthermore, the advocacy of de-humanization of nature is another way of meeting of ecological poetry and post-colonialism. Such representative works involve “Wish”, Park, Yong-Ha’s “We go to Hangyeryeon in windy day”, Mun, Jeong-Hui’s “Bean”, and so on. The both types of these poem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epistemological. In short, the poets in Korea should pursue an expressional sophistication, the diversity of awareness, and temporal scalability,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cological poetry. As a way for this, I suggest the active solidarity and exploration.

      • KCI등재

        ‘비서구 저항담론’으로서의 세제르(A. Cesaire)의 탈식민주의 비평, 그 가능성과 한계: 화자(話者), 언어(言語), 대항담론(對抗談論)의 측면에서

        최일성 ( Choi Il-s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1 No.-

        20세기 들어 서구중심적 보편주의에 직접적으로 의문을 제기한 지적 흐름은 이른바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e)이다. 지금까지 제시된 탈식민주의 비평의 주요 성과 가운데 하나는 피식민사회의 정치적 해방이 해당 사회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해방을 담보하지 못하고, 따라서 서구사회의 해방담론- 특히 맑스주의, 민족주의, 여성주의, 해체주의 등이 주창해온 -이 비서구사회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이로 인해 서구사회와 비서구사회는 안타깝게도 서로 다른 미래와 해방을 꿈꾸고 있으며, 따라서 이들 사이에 소위 ‘지정학적 대화’가 요구된다는 당위성이 노출되었다. 그러나 탈식민적 해방을 위한 이론가들의 노력은 여러 서구중심적인 전통들과 결별하지 못한 채, 혹은 그것들과 연대하면서, 자신들의 세력권을 구축해온 것도 사실- 그 성과를 폄훼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다. 주지하다시피 탈식민주의 비평의 상당수는, 특히 탈식민주의를 주창하거나 제안하는 ‘화자(話者)’ 혹은 ‘정체성’의 측면에서, 그러한 탈식민주의 이데올로기를 담아내거나 표출하는 ‘언어(言語)’의 측면에서 그리고 식민적 폐해를 고발함과 동시에 탈식민적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동원하였던 ‘대항담론(對抗談論)’의 측면에서 어떻게든 서구와의 연을 이어갔다. 본 연구는 피식민사회의 해방을 제안한 여러 탈식민주의 비평들 가운데 이른바 ‘네그리튀드(Negritude)’운동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메 세제르(Aime Cesaire)의 탈식민주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다시 읽기를 추진해볼 것이다. 그것은 세제르의 탈식민주의 정치사상을 ‘화자’, ‘언어’ 그리고 ‘대항담론’이라는 세 가지 앵글을 통해서 이론적으로 되짚어보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을 통해 세제르와 그의 정치사상을 새롭게 성찰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해본다.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post-colonialism has directly raised questions about western-centered universalism. One of its main achievements is that the political liberation of a colonial society does not guarantee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liberation of a society. Therefore, the discourse of liberation in the Western society, in particular, Marxism, nationalism, feminism and postmodernism,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the non-Western society. As a result, Western and non-Western societies are unfortunately dreaming of different futures and liberation; therefore, a‘geopolitical dialogue’ is needed between them. However, the theorists' efforts for postcolonial liberation fail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western-centric traditions. It is also true that they have, in conjunction with these traditions, established their own power. As we know, many of the postcolonial criticisms somehow had relations with the West. This study will re-read the postcolonial thought of Aime Cesaire, the father of the so-called Negritude, as a ‘non-western resistance discourse’. Through this process, we have a chance to reflect on Cesaire and his postcolonial thoughts.

      • KCI등재

        탈식민주의 서사에서 트랜스아이덴티티 스토리텔링으로의 전환

        이종현(JongHyun Lee)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5

        이 논문은 탈식민주의 이론과 비평의 건설적 미래를 도모하기 위하여, 탈식민주의 서사 방식의 진단과 변화를 모색한다. 알베르 카뮈(Albert Camus)의 『이방인』과 카멜 다우드(Kamel Daoud)의 『뫼르소, 살인사건』을 함께 읽으며 그 차이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탈식민주의 서사와 탈식민자의 정체성 재현 양식의 본질을 탐구한다. 분석 결과 『이방인』과 『뫼르소, 살인사건』은 각각 캐릭터 중심과 사건 중심, 동태성과 정태성, 사실성과 허구성 등 다양한 서사적 차이들이 발견된다. 무엇보다 『이방인』은 주체적인 사유 방식으로 자기 생산 혹은 자기 창출적인 내러티브를 선보이는데 반해, 『뫼르소, 살인사건』은 식민자 서사의 비판과 전복에 매몰되어 주체성이 결여된 서사 방식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탈식민주의 미학의 서사 양식은 탈식민주체의 정체성을 표현하거나 독자들을 설득하는 데에 한계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소설의 내러티브 특성을 접합하는 방향으로 탈식민주의 서사 방식에 변화를 모색하고, 이 논문에서는 트랜스아이덴티티 스토리텔링이라는 새로운 서사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하며 그 가치를 제고한다. In order to promote a constructive future of postcolonialism theory and criticism, this paper diagnoses the narrative method of postcolonialism and seeks changes. First, we read Albert Camus' “The Stranger” and Carmel Daoud's “Meursault, Contre-Enquete” together to discuss the difference. and Explore the nature of the decolonist narrative and the style of reproducing the identity of the decoloni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arious narrative differences such as character-centered and event-centered, dynamic and static, realism and fiction are found in “The Stranger” and “Meursault, Contre-Enquete”, respectively. Above all, “The Stranger” presents self-production or self-creating narratives in an independent way of thinking. However, “Meursault, Contre-Enquete” constitutes a narrative method that lacks subjectivity, buried in criticism and subversion of colonial narratives. This narrative style of decolonial aesthetics can act as a limit to expressing the identity of the decolonial subject or persuading readers. Therefore, we seek a change in the decolonist narrative method in the direction of joining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wo novels, and this paper presents a new narrative model called Trans-Identity Storytelling as an alternative.

      • KCI등재

        맥락 상실과 복원의 생태학

        이동환(Lee, Dong-hwan)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2

        본 연구는 줌파 라히리(Jhumpa Lahiri)의 『저지대』(The Lowland , 2013)에 나타난 주체의 인식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탈식민주의 생태비평(postcolonial ecocriticism)의 담론 확장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탈식민주의 생태비평은 대부분 동물 권리(animal right)와 연관된 문제나 환경 파괴 및 기후 변화의 여파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을 조명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면, 이 작품은 식민지의 잔재가 투사된 자연의 뒤틀린 모습과 이에 얽힌 부정적 기억, 자연 물상에 대한 과학적 탐구, 지역생태주의(bioregionalism) 실천, 그리고 특정한 자연 물상이 환기시키는 트라우마를 치유하려는 시도를 묘사하며 인물들의 다양한 장소 경험에 초점을 둔다. 이들의 다양한 장소 경험은 수바시가 아일랜드의 야생자연 속에서 눈앞의 자연 물상 자체에 집중하면서 유사한 자연 물상에 얽힌 기억의 굴레로부터 벗어나는 대목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인물들은 탈식민적 맥락에서 야생 자연을 경험하거나 타자의 삶을 관조하고 스스로를 객관화함으로써 인간중심주의 혹은 (최소한) 자기중심적 태도로부터 벗어난다. 탈식민주의 맥락에 속한 주체들의 심층생태학적 각성(deep ecological awareness)은 주체의 사회적 위상보다 자연을 대하는 주체의 심리 반응을 조망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 비평과 생태비평이 소통하지 않고 각자의 영역에 머문다는 비판으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을 시사한다. 장소의 의미에 관한 깊은 이해와 동떨어져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 깊이 사유하지 못하면 주체의 삶과 괴리된 저항 그 자체에 매몰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저지대』는 이산(diaspora)을 체험한 주체들이 물리적 환경들에 얽힌 기억을 종합적으로 수용하고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내용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 생태비평이 저항 담론에 국한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자아가 친연성을 갖는 공간이 아닐지라도 자아의 확장이 가능하다는 수바시의 깨달음은 심층생태학과 지역생태주의가 지역과 장소의 순수성으로부터 벗어나 초국가적 맥락에 적용될 가능성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 작품의 인물들은 각자만의 방식으로 다양성을 포용하여 자아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자연 속에 침잠하여 자아를 둘러싼 장식들을 걷어내고 단순화하는 심층생태학의 통상적인 ‘순수성’ 담론과 차별화된다. 이 작품에서는 주체가 이데올로기로 자연을 포섭하는 반(反)생태제국주의 및 야생 자연에 귀의하는 맹목적 생태중심주의 모두와 거리를 둔다. 이산 체험을 하는 인물들은 풍경에 얽힌 기억들에 사로잡히지 않으려 노력하는 가운데 이질성을 포용하는 각자의 방식을 모색하면서 자기만의 새로운 맥락을 구성하고 자아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와 심층생태학의 조화에 대한 하나의 전범을 보여준 것이다. 21세기의 환경 문제가 지니는 초국가적 속성을 이해하는 것 이외에도, 인간의 이동성 증가에 따라 개별 주체가 다양한 자연을 깊고 폭넓게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져 생태중심적 사유가 확산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사실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cts of landscape recollection heal the traumas of postcolonial subjects in Jhumpa Lahiri’s The Lowland. In this novel, the environmental changes done by human agency touches on the topics of environmental justice and those of deep ecology. Deep ecology is usually explained as the simplification of ornamental elements about the (egoistic) self; rather, the characters in The Lowland seek for establishing their sound minds by embracing fragments of diverse memories about the past environments where they have gone through all sorts of troubles. Each character does not cling to the lost landscapes (or contexts) any longer; he or she wants to be faithful to the present moment, reconstructing his or her own mental as well as physical contexts. Such psychological focus implies that this novel has reinterpreted mainstream ecocriticism influenced by deep ecology in the postcolonial context, for postcolonial ecocriticism─which is often typified by the resistance to ecological colonialism─has a tendency to pay little attention to the psychological responses of each subject within the physical nature.

      • KCI등재

        민속인(民俗人; Homo Folkloricus)과 탈식민주의

        강정원(Kang, Jeong-Won) 한국민속학회 2013 韓國民俗學 Vol.57 No.-

        본 논문은 민속학이 민속인(Homo Folkloricus)와 탈식민주의를 핵심 개념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두 개념은 근대 민속학이 출발하기 이전인 헤르더에게서도 나타나며, 헤르더를 기반으로 근대 민속학이 출발한 이후에도 두 개념이 민속학의 핵심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세계 민속학사를 통해서 검토하고 있다. 식민주의로부터의 저항과 탈출은 탈식민주의로 표현되는데, 민속학은 하나의 인간 집단이 자신의 고유성이나 본래성을 회복하여 탈식민화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대표적인 인본주의 실천 학문이다. 민속의 원리나 구조, 맥락을 규명하는 민속학적 행위는 탈식민주의를 내포하여 민족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조화를 가능하게 한다. 경제적인 부를 획득하면 할수록 행복해진다는 발전론은 식민주의의 근간임과 동시에 식민지에서의 소외와 빈곤을 야기시켰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도 발전론적 담론으로 치장되고 있으며, 인간의 본질이 경제인(Homo Economicus)론에 기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인간의 본질이 민속인(Homo Folkloricus)라고 주장하며, 민속인을 전제로 민속학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될 때 소외와 빈곤이라는 현대 세계가 당면한 문제가 극복된다고 본다. This article aims to consider two concepts, which were?to my opinion?fundamental for the study of the folklore but were not discussed sufficiently in the academy of folklore. They are “Homo Folkloricus” and “Postcolonialism”. I think, from Herder folklorists have known and used the meaning of two concepts in their numeral articles unintentionally. In this article “Homo Folkloricus” is used firstly with intention. “Homo Folkloricus” is constructed by me to give a name to person whom the folklorists presuppose. “Homo Folkloricus” is a person who has instrumental rationality, value rationality, and traditioanal rationality at the same time, in contrast to “Homo Economicus” who has only instrumental rationality. I think the Homo Economicus is responsible for the colonialism, under which the life of the colonized people was ruined. The folklorists were always resistant to the every type of colonialism. In this aspect the post-colonialism is and must be one of the folkloristic main concepts. Being Homo Folkloricus, we can overcome the problem of poverty and alienation confronted in the world. Through this concepts the study of folklore, folkloristics, can be also an important science.

      • 음악, 지역, 신화 : 아프리카에 대한 서구적 신화에서 벗어나기 아프리카 음악과 탈식민주의 비평

        이수완 ( Su Wan Lee ) 음악사연구 2014 음악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다른 문화의 음악을 평가하고 이해하는 방식에 내재된 정치적 역사적 배경에 주목하는 탈식민주의 비평을 소개하고, 서구적 음악학의 기존 담론을 반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악에서의 탈식민주의는 식민경험을 했던 세계여러 지역의 토착적인 음악문화를 회복시켜 재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적자의식을 회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음악적 탈식민주의 초기연구인 코피 아가우의 아프리카 음악에 대한 탈식민주의 비평을 중심으로 탈식민주의 음악 비평의 기획을 살펴보았다. 아가우는 전통적인 종족음악학이 가지고 있는 유럽중심적인 기본 전제를 재해석하면서 탈식민주의 비평을 시작하자고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식민주의가 아프리카 음악적 삶과 재현에 미친 영향, 아프리카음악의 아카이브 형성문제, 아프리카 음악 담론에서 주요 소재가 되고 있는 리듬의 문제, 아프리카 음악에서 언어와 음악관계를 탐구한다. 이것들이 그 동안 신비와 미개라는 아프리카 음악에 대한 신화를 형성해 왔다. 그는 그 전제를 검토하는 작업이 탈식민 지역 혹은 민족의 음악적 자의식을 회복하는 첫 단계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아프리카 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식민지배를 체험했던 모든 지역의 식민통치의 음악적 유산을 극복하고 식민 시대 이후의 음악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반드시 선행해야 하는 음악학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post-colonial criticism in music and its main task. The object of post-colonial criticism in music is to find the real value of musical culture of regions where people had experience of colonial period. So it focuses on post-colonial poli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But above all, postcolonial critics asserts to reconsiderate traditional discourses of western Musicology before trying to recover musical identities of people who live postcolonial times. Especially in my paper, I examined Kofi Agawu’s project about constructing post-colonial theory in African music. Agawu criticized main ideas of Western ethnomusicology such as musical representations of Africa, musical archives of Africa, and musical analyzing tools. He thought that those ideas should take blame for making all the myths about African music. He tried to show how political power during colonialism formed knowledge about music, which affects modern Western musicology even until today. And he sought for "Afro-centric" means to understand African music. I think that post-colonial criticism about all its related regions (including Korea) should begin by examining presentations of ethnographic musical data and correcting false assumptions and prejudices.

      • KCI등재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바라보는 기독교 성찬 : 혼종성(Hybridity)과 제 3의 공간(The Third Space)으로 구현하는 프롤렙시스(Prolepsis)

        Ahn Deok Weon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38 No.-

        탈식민주의 이론은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관점에서 문화적인 관계를 연구하고 분석하며 식민지에서 일어나는 정치, 문화, 경제적인 착취와 억압에 대하여 다룬다. 이러한 관점과 방법론은 초대교회의 예전과 삶을 형성한 사회정치적 상황과 환경을 살펴보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탈식민주의 이론을 통해 기독교성찬을 바라보면 성만찬의 개혁적 속성은 물론이고 배려와 포용과 같은 주제들도 효과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성찬의 의미와 참여자들의 자격에 치중되어있는 기존의 성찬연구의 역사와 공헌을 다룬다. 덧붙여 성찬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희생과 죽음에 대한 기념이라는 주제가 지나치게 강조되어 천국에서의 잔치를 미리 맛보고 기대하는 종말론적 속성, 즉 프롤렙시스적 성찬이해가 경시되었음도 지적한다. 필자는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기존의 성찬이해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탈식민주의 이론의 중요한 개념들 중에서 ‘혼종성’과 ‘제 3의 공간’에 대한 소개와 분석을 통해 성찬이 담지하고 있는 종말론적 속성을 논한다. 성찬은 저항과 포용의 공간이다.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참여자들은 성찬이라는 제 3의 공간에서 그들의 사회적 계층을 뛰어넘어 평등한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성찬은 성숙한 혼종을 통한 화해의 시간이자 공간이 되는 것이다. 세 번째 장은 성찬이 가지고 있는 종말론적 속성을 담고 있다. 성찬은 천국의 잔치를 미리 경험하는 것임과 동시에 바울이 강조 하는 대로 ‘그가 오시기까지“ 계속 실천해야하는 예전이다. 바울은 성찬을 통해 참여자들이 가져야 할 윤리적 의무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된다고 강조한다. 이런 측면에서 탈식민주의적 연구를 통해 기독교의 세례와 성찬이 갖는 불가분의 관계가 더 명료해진다. 세례는 성령의 역사를 통해 이항대립이 사라진 제 3의 공간에서의 새로운 세상을 꿈꾸게 해준다. 성찬은 세례를 통해 제 3의 공간으로 들어온 모든 참여자들이 그리스도안에서 천국잔치를 맛보는 새로운 삶의 구체적 실현이다. 네 번째 장은 탈식민주의적 분석이 갖고 있는 의의와 공헌, 그리고 필자의 제언을 담았다. 탈식민주의라는 새로운 안목을 통해 성찬이 성숙한 조화, 정의를 향한 소망, 천국잔치에 대한 기대를 담은 의미 있는 예전임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성찬은 환대와 혼종성, 그리고 천국잔치에의 소망이 선포되고 실현되는 제 3의 공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