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발 곡면의 3차원 격자 데이터의 평면화에 관한 연구

        김영봉,이윤정,Kim Young-Bong,Lee Yun-Jung 한국콘텐츠학회 2006 게임&엔터테인먼트논문지 Vol.2 No.1

        CAD system is a very important technology in designing many products which we are using today. This CAD technology have enlarging its area into 3D CAD systems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s technologies. In particular, such advances have also been realized in special area such as the CAD system for designing shoes. 3D CAD systems for shoes design must provide compatibility between 3D and 2D data because shoes are made using 2D parts of pieces of leather or cloth. Many designers get high performances using 2D shoe CAD systems because they have had long practices with the 2D systems. Therefore, to get the mapping between 2D modeling and 3D modeling is one of very important components in 3D CAD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d a flattening method that convert 3D shoes data to 2D data. 캐드(CAD) 시스템은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산업 제품을 제작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캐드 기술은 최근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3차원 캐드 시스템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특히 신발 제조와 같은 특수한 영역의 CAD 시스템들도 3차원 캐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신발 설계를 위한 3차원 캐드 시스템은 가죽이나 천 같은 2차원의 부품들을 붙여서 3차원의 제품을 생산하는 작업의 특성상 2차원 데이터와 3차원 데이터 간의 호환성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실제 작업 현장에서 일하는 많은 신발 캐드 디자이너들은 2차원 CAD환경에 더 익숙하며 작업 효율도 높다. 그러므로 3차원 신발 모델링과 2차원 모델링 사이의 변환은 3차원 캐드시스템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신발과 같은 3차원 모델의 격자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평면화(flattening)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플랜트 3D CAD 시스템과 중립 모델 간의 배관 부품 스펙-카탈로그 데이터 번역 시스템 개발

        배연주(Yoenju Bae),이현오(Hyunoh Lee),이광(Gwang Lee),문두환(Duhwan Mun),한순흥(Soonhung Han) 대한기계학회 2019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3 No.9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에서 3D 설계 데이터는 전 생애 주기 동안에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플랜트 3D CAD 시스템은 스펙-카탈로그 기반의 3D 모델링을 방법을 지원한다. 따라서 3D 설계모델에 포함된 스펙-카탈로그 데이터를 다른 응용 시스템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플랜트 3D CAD 시스템으로부터 스펙-카탈로그 데이터를 추출하여 중립 모델 데이터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중립 스펙-카탈로그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한다. 그리고 고유 스펙-카탈로그 데이터를 중립 스펙-카탈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그리고 스펙-카탈로그 데이터 변환 절차를 지원하는 프로토타입 변환 시스템을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테스트 모델에 대해서 배관부품의 스펙-카탈로그 데이터를 변환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한 방법을 검증한다. In a plant construction project, 3D design data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throughout the life cycle. The plant 3D CAD system supports the 3D modeling based on specs-catalogs.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share the speccatalog data contained in the 3D design model with other application system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extracts spec-catalog data from the plant 3D CAD system and converts it into neutral model data. In this paper, we define the structure of neutral specification-catalog data. Then, we propose a procedure to translate the spec-catalog data from native to neutral, and develop a prototype system accordingly. Finally, the proposed method of converting the spec-catalog data of fitting parts is experimentally verified for the test model.

      • KCI등재

        캐드 시스템에 점 기반 각도 분석(PAA)을 적용한 설계안 평가 모델 개발

        정상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4

        건물의 전생애주기에서 요구되는 건축 정보를 체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건물 정보 모델 (BIM) 기반의 캐드 시스템이 출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시스템들에는 설계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건축 계획 기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스페이스 신택스 이론을 응용한 확장 모델들 중에서 도시 가로망 내 공간 분석을 위해 개발된 점 기반 각도 분석 (Point-based Angular Analysis; PAA) 방법을 CAD 과정에서 건축 설계안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건물 내의 동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연속적 연결점들 사이의 경로 검토를 통해 공간을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내 경로 선분의 전환 각도와 길이를 고려하여 각 공간의 평균 깊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된 결과들은 건축물 내의 사회적 속성과 기능적 속성을 규명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예증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캐드 설계과정에서 설계안을 평가하여 건물 공간의 구성적 특징들을 설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espite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 (BIM) based CAD systems for systematically handling building information required in the entire life cycle of buildings emerged, these systems still lack the architectural planning function for design and decision suppor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possibility that the newly developed model under the influence of space syntax theory, point-based angular analysis (PAA) for spatial analysis of urban street networks can be used to evaluate architectural design alternatives in a CAD process. To do this, the study constructed the algorithms to examine consecutive nodes on a circulation network in a building and to calculate mean depth (MD) of each space by considering turning angles of path segments connecting nodes and distances among the nodes in the network. Practicability of these algorithms was validated by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the computer program called “J-Studio for Spatial Analysis” (J-SSA). The results analyzed by the program has exemplified that the MDs calculated through PAA on architectural spaces can be measures to identify soci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spaces on the basis of accessibility, visibility, and centrality. It is expected that methodology proposed in the study will be used as available tool that can evaluate the alternatives and inform a designer about the spatial configuration features of a building in a CAD process.

      • KCI등재

        다중이용시설물 이용객의 흐름관리를 위한 3D 기반 공간 이벤트 정보 관리시스템의 개념 제안

        안병주,윤자영,김재준,Ahn, Byung-Ju,Yoon, Ja-Young,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9 No.2

        다중이용시설물에서 이용객의 안전을 책임지는 관리자들은 인간의 판단에 의존한 (human-based) 의사결정과정을 통해서 자신들의 과업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린다. 그러나 이 과정 속에는 인적과오(Human error) 발생으로 인한 인재 발생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관리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 기반 (technology-based) 의사결정 지원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3D CAD와 3D GIS 기술 등의 공간관리 기술과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 등 첨단 IT 기술들의 컨버전스를 통해 구축된 총간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들에게 프로액티브한 상황 정보를 제공해 주어, 재난상황에 대해 미리 대책을 수립하여 실시간으로 대응하게 해 줌으로서 궁극적으로 인재 발생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니즈에 기인하여 다중이용시설물에서 이용객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기반 (technology-based) 시스템의 개념을 제안하고,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요소기술의 도출 및 통합화방안을 제안했으며, 이것의 기대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A controller who is responsible for visiter's safety makes a decision about measures for visiter safety in human-based decision making process. Many potential accidents that are caused by human error lurk in results of the process. The accidents can be decreased by chang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rom human-based into technology-based. Technology-based decision making process can catch a controller's attention through data filtering, alarm filtering, and so on. So, the controller can get information on occurrence of an unforeseen accident pro-active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ncept of 3D spatial information control system for visitor flow control in multi complex building using technology-based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study shows utilization of the system and contribution.

      • KCI등재

        Comparison of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3-unit monolithic zirconia fixed partial dentures fabricated from solid working casts and working casts from a removable die system

        Wan-Sun Lee(이완선)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024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ol.40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가철성 다이 시스템으로 제작된 작업 모형과 솔리드 작업 모형을 이용해 치과용 캐드캠 시스템(CAD/CAM)으로 제작된 지르코니아 3본 고정성 치과 보철물의 변연 및 내부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우측 제1소구치와 하악 우측 제1대구치에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위한 치아 삭제 프로토콜을 수행하고, 하악 우측 제2소구치가 없는 레퍼런스 모델을 만들었다. 레퍼런스 모델은 폴리비닐 실록산 인상체를 사용하여 복제되었고, 일반적인 치과 기공 절차에 따라 20개의 작업 모형이 제작되었다. 비교 분석을 위해, 10개의 지르코니아 3본 고정성 치과 보철물은 가철성 다이 시스템에서, 나머지 10개는 솔리드 작업 모형에서 제작되었다. 모든 작업 모형은 치과용 데스크탑 스캐너를 사용하여 디지털화되었고, 캐드 소프트웨어에서 보철물을 설계하였다. 최종 3본 고정성 치과 보철물은 밀링 과정을 통해 제작되었다. 변연 및 내부 적합도 평가는 레퍼런스 모델에 제작된 보철물을 위치시키고, 디지털 평가 방법으로 적합도가 측정되었다. 두 그룹 간의 통계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이 적용되었다(α = 0.05). 결과: 가철성 다이 그룹은 솔리드 작업 모형 그룹에 비해 소구치와 대구치에서 유의하게 높은 적합도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특히 변연 및 교합 간격에서 유의하게 높은 편차를 보였다. 색상 편차 맵에서도 가철성 다이 그룹이 변연 및 교합 영역에서 더욱 높은 편차를 보였다. 결론: 3본 고정성 치과 보철물의 적합도 차이는 가철성 다이 시스템의 작업 모형 상에서 제작된 치과 보철물에서 초래되었으며, 이를 통해 가철성 다이 제작 방법이 치과 고정성 보철물의 정확성에 영향이 있었음을 검증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3-unit monolithic zirconia fixed partial dentures (FPDs) fabricated via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from solid working casts and removable die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The tooth preparation protocol for a zirconia crown was executed on the mandibular right first premolar and mandibular right first molar, with the creation of a reference cast featuring an absent mandibular right second premolar. The reference cast was duplicated using polyvinyl siloxane impression, from which 20 working casts were fabricated following typical dental laboratory procedures. For comparative analysis, 10 FPDs were produced from a removable die system (RD group) and the remaining 10 FPDs from the solid working casts (S group). The casts were digitized using a dental desktop scanner to establish virtual casts and design the FPDs using CAD. The definitive 3-unit monolithic zirconia FPDs were fabricated via a CAM milling process. The seated FPDs on the reference cast underwent digital evaluation for marginal and internal fit. The Mann-Whitney U test was applied for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α = 0.05). Results: The R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iscrepancies in fit for both premolars and molars compared to the S group (P < 0.05), particularly in terms of marginal and occlusal gaps. Color mapping also highlighted more significant deviations in the RD group, especially in the marginal and occlusal regions.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discrepancies in marginal and occlusal fits of 3-unit monolithic zirconia FPDs were primarily associated with those fabricated using the removable die system.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fabrication method on the accuracy of FPDs.

      • KCI등재
      • KCI등재

        캐드 시스템을 이용한 치과용 가변형 상하악 트레이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차영엽 한국기계기술학회 2016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18 No.1

        Development of a dental three-dimensional laser scanning system and measure the accuracy of new adjustable upper and lower dental impression tray was performed. The master model and the duplicated casts were digitized using an dental scanning system.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in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on the graphic image of 3D graphic software of CATI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as determined by a two-way ANOV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ccuracies of the adjustable stock tray and the master model except only anterior arch width on the upper and lower arch. The adjustable upper and lower stock tray showed clinically acceptable accuracies of the study cast produced by them.

      • KCI등재

        비전정보와 캐드DB 매칭을 통한 웹 기반 금형 판별 시스템 개발

        최진화(Jin Hwa Choi),전병철(Byung Cheol Jeon),조명우(Myeong Woo Cho) 한국생산제조학회 2006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15 No.5

        The target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web based mold discrimination system by matching vision information with CAD database. The use of 2D vision image makes possible speedy mold discrimination from many databases. The image processing such as preprocessing, cleaning is done for obtaining vivid image with object information. The web-based system is a program which runs to exchange messages between a server and a client by making of ActiveX control and the result of mold discrimination is shown on web-browser. For effective feature classification and extraction, signature method is used to make sensible information from 2D data.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proposed system is shown as matching feature information from vision image with CAD database sampl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