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출판편집자들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주리(Han, Ju-Lie)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Publishing firms in recent years have changed tremendously in terms of new institutional practices that include new types of employment, use of ICTs and spatial changes relocation of work places, foreign investment, and so on. Trend of publishing industries worldwide is centralized by several huge conglomerates or multinational corporations. Imprint is publishing house within a publishing house. The chief-editor in imprint who was appointed by publishers directly manages to get profit, set book planning, and be in charge of marketing, promoting, and personnel management (Greco, 2005). Then editor-in-chief takes the responsibility on management. Digitalization made the printing process easier than before. These days, content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ublishing process because it affects the quality of book and editors are required to be proficient in planning the competitive books. In Korea, editors can be divided into ‘publisher-editor’ and ‘editor’. Publisher-editor is a president or CEO and editor is an employee who works on editing process but he/she cannot have the right to decide. It means that publishers in Korea usually plan, think, and determine whether which book will be published or not. On the average Korean editor's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is lower than Chinese or Japanese editor's status. According to the Han's study (2006), editors have to be skilled specialists or experienced workers to manage whole process as a coordinator. Their works are very stressful but their labor conditions are not that good enough. In comparison, Chinese publishing is operated by the government or local administrations so that publishing companies are sort of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editors, as public servants, are elevated to a status they share with several pubic officials. In Japan, editors are recognized as elite group and get high payments even though publishing companies are in bad conditions. Hence, the current study result showed that need for enhancing the editor's social status in Korea.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디지털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출판환경의 구조적 변화와 개인 및 조직의 변화를 초래했다. 편집기획자를 중심으로 하는 임프린트 출판형태가 나타났고, 제작환경의 디지털화로 인해 도서제작작업이 간편화되었으며 제작비 절감 및 인터넷 서점의 등장, 마케팅시스템의 도입과 기획사 및 에이전시 등 외부시스템이 발달하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출판 제작환경의 변화로 인해, 콘텐츠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즘 출판산업에서 기획자로서의 편집자의 역할 및 능력은 중요한 변수로 떠오른다. 한국에서의 ‘편집자’는 출판 인-편집자(publisher-editor)와 편집자(editor)의 두 부류로 크게 분류된다. 한국출판산업에 있어 전자는 출판사의 경영자이고 후자는 직원이라고 볼 수 있다. 편집자로 활동하다가 전직하거나 은퇴하는 경우도 있지만 편집자가 출판인-편집자로 되는 경우도 많으며, 앞서 언급한 1인 출판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 출판계에서 직원으로서의 편집자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는 상대적으로 일본 및 중국의 출판계에 비해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한주리(2006)의 연구에 따르면, 유연전문화 과정의 도입으로 출판계에서 개별 편집자에게 갖추도록 요청되는 능력이나 기술은 점차 많아지는데 비해 그에 따른 처우는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출판산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또한 여타 문화산업 분야에 비해 낮아서 출판계로 진출하려는 인력이 많지 않은 면도 있다. 또한 신문기자나 대학교수와 비교해서 훨씬 열악한 처지에 있는 한국의 편집자들이 책을 잘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중국의 경우는 출판이라는 영역을 신문, 방송과 더불어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운영하고 있으므로 출판사는 사기업이 아니라 공공기관이고 편집자들도 일종의 문화적 공직자로서 상당한 사회적 지위를 누리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일본의 경우는 이와나미 쇼뗑(岩波書店), 카게이 쇼보오(影書房) 등의 출판사에서 아무리 사정이 어려운 출판사라도 편집자에 대해서 높은 대우를 해주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의 편집자의 사회적 지위가 보다 향상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논문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출판자본의 출간서적 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담론실천에 대한 이해

        김헌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2 東西言路 Vol.31 No.-

        본 연구는 출판사가 책을 출간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출간결정에 영향을 주는 외부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고, 출판사 내부에서 는 누가 어떻게 출간에 관여하는지, 또 특정 저자나 저작이 어떤 경로나 방식을 통해 출판자본에 의해 선택되고, 또는 배제되는지를 비판적 관점 에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출판사 내부에서 문화매개자로서 출간결정에 관여하는 출판 에디터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이들 출간결정 의 주체들의 담론실천 과정을 들여다보았다. 이 연구의 주된 이론적 배경 은 부르디외(P. Broudieu)의 4가지 자본 개념 및 프랑스 출판장에 대한 선 행연구, 아울러 특정한 지식이 더 우월한 가치를 가지도록 만드는 권력, 또는 권력이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여 권력을 유지하는지를 설명한 푸코 (M. Foucault)의 ‘권력/지식(Power/Knowledge)’ 개념 등이다. 연구결과로서 ‘아비투스(habitus)’ 등을 중심으로 설명한 부르디외의 출판장 연구결과를 국내 출판현실과 비교하였고, 기획출간, 추천출간, 투고출간 등 3가지의 주된 출간관행에 대한 설명하였으며, 아울러 출간결정 과정에 개입하고 영향을 미치는 권력과 지식의 결합양상 및 사례를 기술하였다. This Study is approachment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book publishment by publishing houses in Korea. Specially this study, based on critical view, has interests i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which could influence the publishing decision of publishing company and internally, subjects who involve the process of publishing decision, and also various standards or ways how certain author or work is selected or excluded by publishing editors. For the goal of this study,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ublishing editors as cultural intermediaries who can be owner or worker of the publishing company and their discourse practices in publish decision process were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were study on the field of publishment in France by P. Broudieu, and his explnation on 4 types of capital, and Foucault’s concept of ‘Power/Knowledge’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between power and knowledge in a specific society.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 the situation of publishing process of Korea compared with that of France studied by Broudieu, and provide the explanation on major publishment practices including planning publishment, recommending publishment and self-submitting publishment. And lastly, institutions or systems which intervene the decision process of publishment were described on the basis of concept ‘Power/Knowledge’ by Foucault.

      • KCI등재

        초창기 출판 자본의 역사적 성격과 문고본의 탄생

        박진영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4 사이 Vol.17 No.-

        근대 출판문화 초창기의 문고본은 영세성을 극복한 대형 민간 자본에 의해 기획되었으며, 정기간행물 발행이나 편집 주체의 등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상이한 성격의 출판 자본인 최남선의 신문관, 다케우치 로쿠노스케의 신문사, 민준호의 동양서원은 종합 교양 월간지를 발행하거나 전문 편집자를 출현시켰다. 신문관의 ‘십전총서’와 ‘육전소설’은 최초의 총서이자 문고본이다. 문고라는 명칭을 처음 내세운 것은 일본인 자본의 잡지사인 신문사의 ‘청년문고’다. 단행본 신소설에 주력한 동양서원의 ‘소설총서’는 본격적인 문학 총서의 효시다. 1910년대 초중반의 단기간에 집중된 문고본 출판은 지성계와 문학을 주도하면서 서로 다른 시대정신과 문화적 상상력을 대별했으나 자생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단명했다. 한국의 총서 기획과 문고본 출판은 초창기 출판계의 역사적 조건 속에서 성립된 산물이지만 문화사적인 연속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 재개되었다. Paperbacks in the early stages of the modern publishing culture were issued by large private media capitals, those who were able to outgrow their infancy and humble conditions, and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shing of periodicals or to the advent of editors. The three main publication capitals—Choi Nam-seon’s Sinmungwan, Takeuchi Rokunosuke’s Sinmunsa, and Min Jun-ho’s Dongyangseowon—published monthly general-interest magazines and introduced professional editors respectively. ‘Sipjeon-chongseo’ and ‘Yukjeon-soseol’ of Sinmungwan constituted the first series and first paperbacks. The word mungo (paperback) was introduced in ‘Cheongnyeon-mungo’, published by Sinmunsa, a Japanese-based magazine publisher. Meanwhile, Dongyang seowon concentrated on publishing sinsoseol (a new style of novel); its ‘soseol-chongseo’ marked the inception of the literary series. The boom in paperback publishing in the early to mid-1910s had led to the creation of intellectual and literary circles and classified different thoughts and cultural imaginations into their own types. However, the industry failed to develop into a self-reliable business and its rapid upsurge soon withered. In modern Korea, series planning and paperback publishing were historical products of the early publishing industry. Nevertheless, they failed to establish themselves with sufficient cultural and historical continuity and were reinstated only in the late 1930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문화 장벽과 번역원작 – 「풍금이 있던 자리」와 번역본 「눈먼 송아지」의 거리

        이영준(Lee, YoungJun)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이 논문은 한국문학 작품이 영어로 번역되어 현지에 소개될 때 출발지 한국어 작품이 도착지 영어권의 문화적 맥락과 관습에 의해 어떻게 변형되고 삭제되는지 그 작동 방식을 문화 장벽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한국소설이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려면 현지 출판편집자의 편집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영미의 출판 관행은 한국과 매우 달라서 편집자가 원작을 첨삭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편집 행위에는 영미 소설의 출판 관행에서는 자연스런 규범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그 사회의 문화적 관습이나 전통이 작동한다. 이러한 문화적 관습이 나 전통은 현지인들은 그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하지만 문화적 관습이나 전통이 다른 한국의 작가나 독자들은 충격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장벽과 충돌의 현장을 분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신경숙의 단편소설 「풍금이 있던 자리」가 영어로 번역된 사례를 검토한다. 사례로 선정된 세 가지의 번역본 중에서 국내의 잡지에 발표된 영역본들은 대체로 원본의 내용과 형식을 지키려고 노력했으나 미국의 현지 잡지에 발표된 판본은 원형을 매우 심하게 삭제하고 변형시켰다. 무엇보다도 전체적인 분량을 줄였으며 원작에서 감정 표현의 세부적인 장치들은 철저히 무시되었다. 특히 분량이 줄어든 부분에서는 문화적 차이를 결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주인공이 내리는 중요한 결정의 맥락이 가족에 대한 존중에서 나온 것인데 영어권 문화에서의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원작에서 삭제한 점은 문화적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심각한 문제로 판단된다. 보기에 따라서는 문화적 반달리즘이라고 할 수도 있는 이러한 편집 행위는 한국 문학 작품의 특질이 문화적 차이에 의해 이해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된 것이다. 그러므로 신경숙 소설에 나타나는 가족공동체에 관한 강조가 미국 평론가에 의해 센티멘탈리즘으로 지목된다거나 『하버드 리뷰』의 편집자에 의해 대거 삭제되는 사태는 한국 문학 작품의 영어번역 출판에서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판단된다. 신경숙의 작품에 대한 해설문을 『하버드 리뷰』가 제공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문학의 독자적인 특질에 대한 섬세한 고려가 없다면 한국 문학의 많은 부분이 문화 장벽에 의해 삭제되거나 거부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essay examines how Korean literary works are transformed by the cultural context and customs of the English-speaking country. In order for Korean novels to b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published, it goes through the editing process of a local publishing editor. The publishing practices of Anglo-American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so editors frequently correct original works. In this editing act, the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of the society, which are accepted as natural norms in the publishing practices of English and American novels, operate. These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are naturally thought by locals, but Korean writers and readers with different cultural customs and traditions can take it shockingly.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cultural barriers and the scene of conflict, this paper examines a case in which Shin Kyungsook’s short story “The Place Where a Harmonium Was” was translated into English. Among the three translations selected as examples, the versions published in domestic magazines generally tried to preserve the content and form of the original, but the work published in local American magazines severely deleted and transformed the original. Above all, the overall volume was reduced, and detailed devices of emotional expression were thoroughly ignored. Particularly, in the part where the volume is reduced, cultural differences are revealed decisively. The context of the important decision the protagonist original work from an individualistic point of view in English-speaking culture seems to be a serious problem even considering cultural differences. This editing act, which may be called cultural vandalism, is determined unilaterally with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ry works by cultural differences. Therefore, the situation that the emphasis on the family community in Shin Kyungsook’s work is pointed out as sentimentalism by American critics or is largely deleted by editors of the Harvard Review is reconsidered a factor that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the publication of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many parts of Korean literature could be deleted or rejected by cultural barriers.

      • KCI등재

        판본 비교를 통해 살펴본 「토지」의 수정 양상과 서술상의 특징

        이승윤,조윤아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7

        『토지』는 만 25년이라는 창작기간을 거쳐 총 5부 25편 361장, 원고지로 대략 31,200장 분량의 방대한 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방대한 원고와 25년에 걸친 집필기간은 원문의 왜곡과 훼손에 한몫을 하였다. 거기에 텍스트에 엄밀한 검토 없이 진행된 잘못된 출판 관행은 텍스트의 오류를 한층 심화시켰다. 모든 문학연구의 출발은 신뢰할 수 있는 판본을 확보한 이후에 가능하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판본비교를 통해 드러난 눈에 띄는 오류의 사례들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우선 작가의 수정이 가해진 대목을 적시하여 인물 관련 서술과 사건에 대한 작가의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원래 의도가 어떻게 수정되었으며 수정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출판사와 편집자의 개입 혹은 실수에 의한 왜곡의 사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판본 비교를 통해 원 텍스트(original text)에 대한 수정 양상을 검토하여 확보한 자료는 연구자에게는 작가의 의식, 문체의 변화 양상 등을 파악할 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소설 창작을 꿈꾸는 예비 소설가에게는 수정 전과 수정 후의 원고를 비교해봄으로써 창작 방법에 대한 여러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going through 25 years’ creation period, 「Toji」 has a huge volume of five editions, 25 series, and 361 pages which are equivalent to about 31,200 pages in squared manuscript paper. Such a huge volume of a manuscript and 25 years’ writing period were part of the causes of distortion and damage to the original manuscript. All the more, the wrong publication practice which had been carried out without a close review of texts further intensified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he texts. All the literature studies may be begun only after ensuring reliable texts. This study stemmed from such a critical awareness. In detail, the study looked into the cases of evident errors in accordance with error type through the comparison of different texts. First, the study reviewed how the original intention has been modified focusing on changes in the attitude of an author toward descriptions and incidents regarding characters and what the meaning of modification was by pointing out a part to which modification was added.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the cases of distortion by the intervention or mistake of a publication company and/or an editor. Data obtained through the review of the modification pattern of the original text through the comparison with different texts will be utilized as data which enables researchers to identify an author’s awareness and the changing pattern of writing style. Moreover, such data will be able to furnish novelists-to-be who dream of creating novels, with various clues about how to create works by making the novelists-to-be compare manuscripts before and after modifi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