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청소년활동 새 정책에 따른 청소년지도사의 고유영역과 전문성 강화 방안

        안권순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7

        This study aims to activate and progress adolescents' activities by finding out youth worker's expertise and peculiarity. Thus, it is important to train and manage the youth workers, certificated by government, who have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characteristic and perform leading role in adolescents' activities. Followings are about necessity of youth worker training and system.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complement the youth worker training curriculum among institutes. Second, there is a need of educating youth worker to actively cope with social changes. Third, youth workers ,perform their practical ability in field, should establish their attitude as leaders. These are the solution to strengthen the youth workers' expertise. First, we need to strengthen youth workers' expertise and peculiarity. Second, at the institutional point of view, there is a need of improving youth worker training system. Third, in order to improve youth workers ability and expand expertise, it is needed to complement legal supplements. Fourth, we need to control standard to arrange youth workers. Fifth, we need to supplement youth worker traing system. Sixth, we need to expand cooperation among universties, graduate school, juvenile facilities and etc. Followings are suggestions for youth worker training. First, we need to make use of youth workers as a preparation for reinforcing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econd, youth worker should be util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al welfare and projects which support educational preference area. Third, there is a need of utilizing youth workers in the area of school violence and maladjusted juvenile supporting. Fourth, we need to make use of citizen facilities and establish juvenile-guidance civil servants. Child-adolescents activity policy is a system where government supports juvenile's life and activities to survive and present in local communities. Thus, it is important matters to strengthen youth workers' expertise and peculiarity as Child-adolescents activity policy expands. 이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성과 고유영역의 바람직한 방향모색을 통해 청소년활동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즉, 국가가 인정하는 자격을 부여하고 청소년의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수련활동에 대한 전문적인 기능과 품성을 지니고 청소년활동 현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도록 청소년지도사를 양성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문제는 청소년들의 인격형성에 미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 지도사의 양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제도의 개선 등이 다음과 같이 요구 되고 있다. 첫째, 청소년 지도사 양성기관간의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청소년 지도사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현장에서 청소년 지도사의 실무능력을 발휘 할 수 있는 지도자로서의 자세확립이 필요하다.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성 강화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이 요구되고 있다. 첫째, 청소년지도사의 고유성 및 전문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제도적 차원의 방안으로 청소년지도사 양성제도의 개선이다. 셋째, 청소년지도사의 자질향상 및 전문영역 확대를 위한 법적 보완이다. 넷째, 청소년지도사 배치기준의 조정이다. 다섯째, 청소년지도사 전문연수 과정의 제도 보완이다. 여섯째, 청소년 관련 대학 및 대학원과 청소년시설 또는 단체, 기관 등과의 산학 협동 활성화이다. 청소년 지도사의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고 다양한 영역의 활동을 지도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양성 전략을 제시해 볼 수 있다. 첫째, 청소년지도사 활동 영역의 제도적인 확대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 과목 및 검정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성제고와 능력의 향상을 위한 기초 및 보수교육의 의무화가 필요하다. 넷째,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청소년관련학과의 교과과정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다섯째, 청소년지도사의 현장적응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실습교육의 활성화와 강화가 요구된다. 여섯째, 청소년 지도사의 직무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청소년 지도사의 역할, 이무, 직무 범위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시급하다. 청소년지도사 양성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체제 강화에 대비하여 청소년지도사를 배치‧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복지 투자 우선지역 지원 사업에 청소년지도사 활용이 강구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폭력 및 학교부적응 청소년 지원사업에 청소년 지도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넷째, 주민자치센터 활용 및 청소년지도직 공무원제 신설이 필요하다. 아동청소년복지정책은 청소년의 생명과 생활을 국가가 보장하여 지역사회에서 생존하고 실존하게 하는 사회제도이다. 따라서 아동청소년활동정책에 따른 청소년지도사의 고유영역과 전문성 강화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청소년지도자의 양적 확대와 질적 제고를 위한 제도화와 전문화의 노력은 매우 중요한과제이다. 따라서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성과 고유영역 강화를 위해서 정책절인 노력과 대학이나 현장의 균형과 연계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수련시설의 청소년지도사 배치현황 조사

        이은숙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18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3 No.1

        1993년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이후 2016년까지 청소년지도사 배출은 45,822명이다. 그러나 청소년활동의 주요 현업 기관인 청소년수련시설에서 직접 지도와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사는 3,389명이다. 이는 전체 지도사의 7.4%에 불과하다. 또한, 청소년지도사는 매 2년마다 400~600명이 퇴사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종사자의 10~15%로 나타난다. 이는 퇴사와 입사를 반복하는 단기형태의 고용 으로서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성 측면에서 극단적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 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수련시설의 근무기준을 지금보다 높은 수준으 로 강화하여 전문성 있는 청소년지도사 채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청소년지도사의 직업적 안정을 위해 사회적인 대우가 향상되어야 한다. Since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of the youth instructor in 1993, the number of youth instructor in the adolescents until 2016 is 45,822. However, there are 3,389 youth instructors who are in charge of direct guidance and support at the youth training facility, which is a major operating agency for youth activities. This is only 7.4% of the total teachers In addition, youth instructor leave 400-600 people every two years, representing 10-15% of the total workforce. This is a short-term type of employment that repels and recreates to the company, displaying extrem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professionalism of a youth coach. To overcome this,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ruit professional youth counselors by reinforcing the working standards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to the higher levels now. And social treatment should be improved for the vocational stability of youth counselors.

      • KCI등재

        청소년활동과 환경에 대한 청소년지도사의 혁신적 요구

        전명순 ( Jeon Myong Sun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지도사 88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지도사의 활동환경, 활동정책발굴 등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청소년지도사 7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지도사의 활동환경상황, 여건, 향후 핵심과제발굴 등을 위한 FGI를 실시하였다. 결과/결론: 첫째, 청소년지도사는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기간이 길수록 전략수립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시설은 대체적으로 청소년을 위한 사업을 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과 구체적인 실현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그로 인한 청소년의 균형잡힌 성장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지도사가 지각하는 청소년활동의 요구도에 있어서 청소년지도사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활동의 중요성이 높다고 보았다. 특히, 자기주도활동의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혁신, 4차산업 등 신기술적 관점에 대한 필요인식을 높게 나타냈으며, 청소년들의 체험적 영역에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코로나19시대 비대면활동추진을 위해 청소년지도사는 중요한 지원으로 장비의 직접지원에 대한 요청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자료가 모여있는 플랫폼의 구성이 매우 중요함을 나타냈다. 다섯째, 청소년지도사는 지방자치단체가 청소년 정책에 대한 미래의 비전수립을 하고, 청소년정책 담당공무원이 정책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함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청소년시설과 학교연계 활동을 해 나가기 위해 실질적인 학교연계가 가능한 플랫폼 구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일곱째,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시대에 활동활성화를 위해 청소년의 건강성 수준에 대한 욕구조사를 실시하고, 활동지원을 위한 인프라구축이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냈다. 어덟째, 지역의 상황을 고려한 활동여건을 조사하여 청소년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시사점: 청소년지도사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요구를 알고, 청소년지도사의 활동여건 파악과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by identifying the needs of youth instructors for youth activities. 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88 youth instructors to discover the activity environment and activity policies of youth instructors, and FGI was conducted on seven youth instructors to discover the environment, conditions, and future core tasks. Findings/Conclusions: First, the older the youth instructors, the longer they worked, the more they were concerned about establishing strategies. Second, youth facilities are generally striving to find mid- to long-term strategies and concrete realization methods for conducting projects for youth, and thereby, making efforts to achieve a balanced growth of youth. Third, in the demands of youth activities perceived by youth instructors, youth instructors saw that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is high in almost all areas.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self-directed activities was the highest, and the need for new technology perspectives such as innovation and 4th industry was high, and the necessity was high in the experiential area of youth. Fourth, for the promotion of non-face-to-face activities in the era of Covid-19, youth instructors indica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a platform where requests for direct support of equipment and data constituting the program are gathered as an important support. Fifth, the youth instructor demanded that local governments establish a future vision for youth policy and that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youth policy should be aware of the policy. Sixth, in order to carry out activities related to youth facilities and schools, it was deemed necessary to construct a platform capable of practical school connection. Seventh, it was indicate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activities in the non-face-to-face era due to Covid-19, a desire to find youths' health level should be conducted, and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activities. Eighth,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ide youth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activity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situation.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youth instructor's demands for youth activities, and to grasp the youth instructor's activity conditions and increase the applicability in the field.

      • 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Ⅰ - 청소년활동 분야 중심으로 -

        최창욱,좌동훈,남화성,박정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에 대한 재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총 2년간 진행된다. 이 연구는 그 중 1차 년도 연구로 청소년활동 분야 청소년지도자(청소년지도사)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고, 2차 년도인 2020년에는 청소년상담사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국내외 사례분석,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등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청소년지도사의 자격급수 조정 검토와 대학 교과과목의 편성과 구분, 학점 통일 등에 대한 제구조화 논의, 현장실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사례에서는 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차원이나, 대학에서 청소년지도자를 양성하고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현장 청소년지도사 대상 설문조사를 통하여 청소년지도 NCS의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청소년지도사에게 필요한 미래 핵심역량을 파악하였으며,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하여 현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상을 토대로 청소년지도사 양성시스템 재구축을 위한 장․단기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단기 정책방안으로 현재의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제도 개편방안을 제시하였고, 장기 정책방안으로는 청소년지도사 양성시스템을 현재의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 제도와 청소년지도사 양성기관인증의 Dual 시스템으로 재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정책과제는 ①청소년지도사 양성관련 법․제도 개선, ②청소년지도사 양성관련 인프라 정비, ③청소년지도자 양성관련 R&D 강화의 3영역 10개 세부정책과제로 이루어져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measures to reconstruct Korea’s youth guide cultivation system and will proceed for two years. The first year of this study will be dedicated to proposing measures to reconstruct the cultivation system for the youth guides (youth instructors) in the youth activity sector. The second year of this study (2020) will be dedicated to proposing measures to reconstruct the cultivation system for youth counselo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research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s, collection of questionnaires,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literature in the field, discussions were carried out on ways to readjust the rating system for youth instructor qualification, to restructure and reorganize the relevant curricula at colleges, and to unify the credit system, while implications for on-site training were also found. Through overseas case studies centered on Europe and Jap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bodies’ policies and universities’ educational courses for cultivating youth instructors were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targeting youth instructors on the ground, the feasibility of youth instructi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was reviewed, the key capabilities required of a youth instructor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 ideas for the existing youth instructor qualifying examination system were deduced through consulting with experts. Based on these findings, short-to-long-term policy measures were offered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youth instructor cultivation system. Short-term measures to reform the existing youth instructor qualifying examination system were proposed, along with long-term measures to divide the youth instructor cultivation system into the dual system of youth instructor qualifying examination and youth instructor cultivating institution certification. Lastly, policy tasks to realize these policy measures were proposed. The policy tasks include 1) the improvement of laws and institutions concerning the cultivation of youth instructors, 2) the reformation of infrastructure concerning the cultivation of youth instructors, and 3) the reinforcement of R&D concerning youth instructors. Ten detailed policy tasks are specified under these three areas.

      • KCI등재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를 매개로 -

        주성숙 ( Joo¸ Seong Suk ),김정일 ( Kim Jeong Il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1

        목적: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를 매개로 한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청소년들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이용하기 편리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 청소년시설 중 30개 시설을 선정하여 청소년지도사 279명과 선정된 기관에서 최근 6개월 내에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 중인 청소년 3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지도사가 인식하는 만족도에 대하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총58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가설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두 채택 되었다. 둘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관계에서 변인간 모두 양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의 자아인식은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직무자체와 동료가 가장 높았다.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상관관계에서는 투명한 관계성이 프로그램 만족 ,시설 만족, 지도자 만족 모두에서 높았다. 또한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직무자체와 보수, 시설 만족과 지도자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는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에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은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적 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의 영향력 보다는 청소년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가 훨씬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youth facility representative's authentic leadership on the satisfaction of the youth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youth instructor's perception satisfaction as a medium. Methodology: Youth centers, youth culture centers, youth activity promotion centers, and other youth facilities that are easily accessible are selected, and 279 youth instructors and selected institutions have participated in or participated in activities within the last 6 months. It was conducted with 308 youths who are in the process. Findings: A total of 5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a measuring tool for the authentic leadership of youth facility representatives, th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perceived by youth instructor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adopt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e effect of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youth facility representatives on the perception satisfaction of the youth instructor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ting youth.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self-awareness of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youth facility was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elf and colleagues of the youth leader's satisfaction with the perce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of youth facilities' authenticity leadership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youth'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facility's satisfaction, and the leader's satisfaction with the transparent relationship, and the job and the remuneration's satisfaction with the leader'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awareness satisfaction of youth leader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Thirdly, the results of the sobel-test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ccurate verification of how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 youth lea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of the youth facility and the activity participation youth satisfaction level,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 youth leader was significant and played a parti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uthenticity leadership and the activity participation youth satisfaction level. Conclus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satisfaction level of the youth leader and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representatives of youth facilities were the main predi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Also, based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it was also shown that the awareness satisfaction level of the youth leader interacting directly with the youth rather than the authenticity of the youth facility's representative.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youth facilities representatives interacted with the youth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Through this research, the influence of the representative's authenticity leadership in youth facilities on the satisfaction of youth participation and awareness among youth leaders was know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 prior study that was handled directly, so, various youth facilities presented authenticity leadership considering representatives and middle managers.

      • 대학의 청소년지도사 양성 교육과정 적합성 논의

        송병국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 No.1

        This study purports to discuss the suitability of youth specialist certificate program of the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e unique job and role of youth specialist were analyzed based on the job analysis for youth specialist, comparing with the job and role of specialists which have the similar certificate, and the new role of the youth specialist needed by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universities' curricula for youth specialist were also reviewed in the viewpoint of the difference and homogeneity. The result says that the universities' curricula for youth specialist are not suitable to enable the students to develop the competencies and attitude newly emphasized in the changing youth field as a youth specialist. This result in the shortage of professionalism of youth specialist. Therefore, it needs to build the academy identity of youth studies, to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job and the role of youth specialist, to restudy the certificate system for youth specialist, and to develop the standardized syllabus of the subjects that should be taken, to train youth specialist with the professionalism and suitability to the field. Key words: 대학에서 청소년지도사가 양성되기 시작한지 10여년이 넘고 있지만, 여전히 청소년지도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합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은 대학의 청소년지도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합성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지도사 직무사례 분석, 유사자격증과의 직무와 역할 비교, 그리고 새로운 사회가 요구하는 청소년지도자의 역할 등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와 역할을 일차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대학의 청소년 관련학과 교육과정을 차별성과 동질성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의 청소년지도사 양성 교육과정은 청소년 현장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직무나 역할 수행에 필요한 능력 함양에 충분하지 않으며, 이는 결국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성 미흡으로 귀결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전문성 있고, 현장 적합성을 갖춘 청소년지도가 양성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청소년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보가 관건이며,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와 역할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의, 자격검정체제의 재검토, 그리고 검정과목 이수 과정의 동질성 확보 및 이를 위한 표준화된 교수요목 개발 등이 시급히 요청된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장여옥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youth work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one hundred and thirty-five youth workers in Seoul and Chungcheong-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1986) and Sobel Test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youth workers were negatively related, and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Second, insufficient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and lack of reward among the sub-scales of job stress of youth work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support. Thir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insufficient job control,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youth workers was partially significant. This study confirmed that job stress of youth workers increased job satisfaction through social support, and practical 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for job satisfaction of youth work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충청도 지역의 청소년수련시설에 종사하는 청소년지도사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and Kenny(1986)의 방법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사회적 지지는 모두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직무만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에서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스트레스 중에서 직무자율성 결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를 통해 직무만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을 위한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의 소진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문호영 ( Ho Young Moo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현재 청소년지도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소진현상을 살펴본 후 지도사의 소진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눈덩이 표집방법을 활용하여 대상자를 확보했고, 설문조사는 2011년 8월 23일부터 9월 22일까지 우편 혹은 방문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을 하거나 청소년지도사 자격증을 소지하지 않은 대상자의 설문지 38부를 제외한 총 56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지도사의 소진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잠재유형분석(LCA)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지도사의 소진유형은 BLRT, BIC, adjusted BIC 등의 적합도 지수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분석된 4개의 잠재유형 모형이 최적의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각 집단은 ``낮은 소진유형``, ``정서적 소진유형``, ``잠재적 소진유형``, ``고위험 소진유형``이라 명명하였으며, 각각 22.0%, 16.1%, 31.0%, 30.9%의 청소년지도사가 이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잠재유형분석(LCA)의 결과로 밝혀진 청소년지도사의 네 가지 소진유형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M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낮은 소진유형``에 비해 ``정서적 소진유형``에 있는 청소년지도사들은 업무량이 많고, 슈퍼바이저의 사회적 지지가 낮았다. ``잠재적 소진유형``은 ``낮은 소진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역할갈등, 역할모호, 역할과다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고위험 소진유형``에 속하는 청소년지도사들은 역할갈등, 역할모호, 역할과다, 슈퍼바이저의 낮은 사회적 지지를 더 경험할 뿐만 아니라 회피중심의 대처방식의 사용빈도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소진유형``, ``잠재적 소진유형``, ``고위험 소진유형``에 있는 청소년지도사들은 ``낮은 소진유형``의 청소년지도사보다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떨어지며,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조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enomena of youth worker`s burnout for the present, divide the classes of youth worker`s burnout,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worker`s burnout according to its classes. Study subjects were sampled with a snowball sampling method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y subjects were carried out by mails or visitation over the period from August 23 to September 22, 2011. The data of 564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the data of 38 respondents who were insincere in their response or had no certificate for youth worke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classes of youth worker`s burnout, latent class analysis was carried out.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appropriate model of youth worker`s burnout was the model of 4 latent classes of which suitability indexes of BLRT, BIC, adjusted BIC and so on were excellent. The investigator named the 4 classes as ``low burnout class``, ``emotional burnout class``, ``latent burnout class``, and ``high-risk burnout class`` and the proportion of youth workers for the 4 classes was 22.0%, 16.1%, 31.0%, and 30.9% respectively.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4 burnout classes of youth workers, found out through the latent class analysi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ANOVA were carried out. Results showed that youth workers in ``emotional burnout class`` had more workload and less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than those in ``low burnout class``. ``Latent burnout class`` experienced more role conflicts, more role ambiguity and more role overload than ``low burnout class``. Youth workers in ``high-risk burnout class`` experienced more role conflicts, more role ambiguity, more role overload and less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together with higher use frequency of avoidance-oriented reaction techniques than those in ``low burnout class``. And youth workers in ``emotional burnout class``, ``latent burnout class``, and ``high-risk burnout class`` had l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igher intention to quit than those in ``low burnout class``. Based on study findings, the practical/poli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청소년지도사의 직업정체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서희정(Seo, Hee Jung)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사의 실제 경험으로부터 이들의 직업정체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FGI를 실시하여 청소년지도사의 직업정체성을 설명하는 진술문을 추출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성을 검토하여 40개의 Q진술문을 확정하였다. 웹기반 Q분류 시스템을 이용하여 48명의 청소년지도사가 Q분류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주성분분석하여 청소년지도사의 직업정체성에 대한 3가지 유형인 ‘청소년중심 실천형’, ‘사회적 인정추구형’, ‘전문성 실현형’이 도출되었다. 첫째, 청소년중심 실천 유형은 직업적 환경이나 사회적 인정과 관계없이 청소년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이상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사회적 인정추구 유형은 열악한 직무환경과 사회적 인정이 부족한 현실을 크게 느끼며 청소년지도사라는 직업에 대해 회의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전문성 실현 유형은 청소년지도사로서의 자부심과 전문성에 대한 뚜렷한 인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자기역량과 자기개발을 해 나가는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지도사가 형성하고 있는 직업정체성의 특성을 유형에 따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지원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실제적 시사점을 도출하게 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workers’ subjective percep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youth activities. To this end, statements explaining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youth workers were extracted through FGI, and 40 Q-sets were selected by examining the validity through delphi survey. 48 youth workers performed Q-sort using a web-based Q-sort system,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was conducted using the results. As a result, three types of youth workers’ occupational identity were derived: ‘youth-centered practice’, ‘seeking social recognition’, and ‘realizing expertise’. First, the youth-centered practice type is a group that forms an ideal identity that prioritizes youth in practicing regardless of the professional environment and social recognition. Second, the type of seeking social recognition showed a skeptical identity about the profession of youth workers, realizing the significantly poor work environment and the profound lack of social recognition. Third, the type of realizing expertise has a clear recognition of self-esteem and a sense of professionalism as youth workers and has an identity as an expert that actively pursues self-competence and self-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workers’ occupational identity according to types and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youth workers by presenting differentiated support plans taking the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 KCI등재후보

        청소년지도사의 다문화교육 이해와 태도에 관한 연구

        임한나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6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5 No.1

        As the number of adolescents with various backgrounds rapidly increase, the society is paying more attention to education intended to help adaptation of multicultural youth to the Korean society. Especially from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the role of youth workers who teach adolescents in training, exchange, volunteer, and art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became more important. This study examined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 to multiculture education environment, role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youth activities, of youth workers. For the study, 265 youth workers working in a youth institution or organiz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sub-domains in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 to multi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the author discussed requirements for youth workers and institutional support that are necessary for multiculture education, and proposed policy that will enable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public to provide an opportunity and practical support for multiculture education to youth workers. 다양한 배경을 지닌 청소년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다문화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청소년들의 교육활동 범위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역사회 내에서 청소년활동을 통하여 수련활동, 교류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예술활동 등을 지도하는 청소년지도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지도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문화교육 환경에 대한 이해와 태도’, ‘다문화교육 역할에 대한 이해와 태도’, ‘다문화 청소년활동에 대한 이해와 태도’, ‘다문화 활동과정에 대한 이해와 태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기관 및 단체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사 265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청소년지도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 청소년지도사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위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교육과 관련하여 청소년지도사에게 필요한 요건 및 제도적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청소년지도사에게 다문화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이 함께하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고, 청소년지도사를 위한 실용적인 다문화교육 지원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