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의부의 ‘法名’ 개정과 상해 임시정부

        윤대원(Yun, Dae-Wo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44

        대한통의부에서 이탈하여 1924년 6월 26일 성립한 참의부는 출발부터 상해 임시정부의 산하기관임을 천명했다. 이후 참의부는 세 차례에 걸쳐 자신의 법명을 진동도독부, 독판부, 참의부로 개칭했다. 참의부의 성립과 법명 개칭은 통의부와의 갈등과 대립이라는 남만의 독립운동 정세에 기인하는 것이지만 당시 급박하게 돌아가던 상해 정국과도 깊은 연관이 있었다. 국민대표회의가 결렬된 뒤 상해에서는 정부의 현상유지를 고집하는 정부옹호파와 이승만탄핵과 임시헌법 개정을 통해 정부를 개조하려는 개조파 사이에 정국쇄신 운동이 급박하게 전개되고 있었다. 먼저 참의부 성립의 발단은 통의부 내의 분열에 있었지만 1923년 12월 백광운과 김원상의 상해 임시정부 방문이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이들의 방문은 당시 이동녕내각의 학무총장 대리 겸 학무차장인 김승학의 요청으로 이루어졌다. 그 목적은 국민대표회의가 결렬된 뒤 정치적 어려움에 처해있던 정부옹호파들이 참의부의 지지를 통해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데, 의용군 측은 남만 독립군 단체의 임시정부 기치 하의 통일이라는 명분을 통해서 통의부를 비판하고 참의부 성립의 근거를 확보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참의부는 1925년 1월 진동도독부로 법명을 개칭했다. 이것은 정의부의 성립과 함께 1924년 12월 반통의부 입장을 취하며 자신들을 지지해 온 이동녕내각의 총사퇴라는 상해 정국의 변화에 대한 대응이었다. 이어 진동도독부는 의용군 제2중대장 최석순이 일제 경찰에게 피살되는 등 자체 세력이 약화하자 정의부와 일시 정전을 모색하면서 1925년 4월 다시 독판부로 법명을 개칭했다. 한편 개조파내각은 이승만탄핵과 함께 대통령제를 대신할 국무령제로 임시헌법을 개정하고 임시정부 강화의 방안으로 서북간도의 독립운동단체의 전선통일을 통해 지도력을 일신하려고 했다. 이런 임정의 새로운 방침에 따라 독판부는 그해 5월 서간도에 파견된 내무총장 이유필과 협의하여 독판부를 원래 법명인 참의부로 재칭하게 되었다.

      • KCI등재

        『參同契』의 乾坤坎離를 중심으로 본 煉丹術의 원리

        이근철(Lee, Geun-cheol) 한국도교문화학회 2014 道敎文化硏究 Vol.41 No.-

        『參同契』는 乾·坤·坎·離를 중심괘로 삼고 있다. 乾·坤·坎·離는, 『周易』에서는 만물의 근원인 하늘과 땅, 물과 불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參同契』?에서는 자연계의 하늘과 땅, 달과 해라는 의미와 더불어 연단에 필요한 기본요소인 솥과 화로 및 약물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參同契』에서는 乾·坤·坎·離의 조화에 의해 만물의 기본이 이루어지고 인체의 근본이 바로 서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參同契』는 연단에서 가장 중요한 재료가 水와 火 및 土라는 것이다. 水는 坤卦의 작용인 坎卦이고 火는 乾卦의 작용인 離卦이며 土는 이 둘을 융합시켜주는 매개체인 것이다. 이는 內·外丹에서 모두 연단을 이루는 핵심 재료인 것이다. 그리고 水·火의 융합으로 藥物이 생겨나서 변화하는 모습을『參同契』?에서는 月體納甲說과 十二消息卦說을 연결시켜 말하고 있다. 이는 外丹術에서는 솥 속의 藥物이 융합되는 과정을 말하고, 內丹術에서는 몸 속의 眞氣가 융합되는 과정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參同契』에서는 乾·坤·坎·離가 조화를 이룬 후 결국에는 근본으로 돌아간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건괘의 가운데 효가 변해 리괘가 되고 곤괘의 가운데 효가 변해 감괘가 되었지만 결국 그 근본인 건괘와 곤괘로 돌아간다는 의미로서, 외단술로 만들어 진 外丹은 형태가 변해도 그 본성을 속일 수 없고 내단술을 통해 만들어진 內丹 역시 생명의 근원으로 돌아가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參同契』를 두고 ‘외단서이다’ ‘내단서이다’라는 논란이 많지만, 『參同契』의 내용 속에는 외단적 표현도 있고 내단적 표현도 있을 뿐만 아니라 외단적 표현을 빌려 내단적 표현을 하고 있는 부분도 있다.『參同契』의 乾·坤·坎·離는 외단술의 필수요소를 상징하기도 하지만 내단술의 필수요소를 상징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參同契』는 내단과 외단의 음양 조화를 통한 진정한 內外合一의 연단 원리를 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Cantongqi(參同契) is taking Geon(乾)·Gon(坤)·Gam(坎) and Li(離) as a central trigram. The Geon(乾)·Gon(坤)·Gam(坎) and Li(離) have a meaning of Heaven, Earth, Water and Fire respectively in the Book of Changes(周易), however, in Cantongqi(參同契), they also have meanings of caldron, brazier and drug which are essential agents in making elixirs. In Cantongqi(參同契), it said that the fundamentals of all things are made and the roots of the human body are established in right way through the harmony of the Geon(乾)·Gon(坤)·Gam(坎) and Li(離). Especially Cantongqi(參同契)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agents are water (水), fire(火) and soil(土). The Water(水) is the Gam(坎) trigram which is a creation power of the Gon(坤) trigram, the Fire(火) is a Li(離) trigram which is a creation power of the Geon(乾) trigram and the Soil(土) is the medium agents to unite the two. They are the key material in alchemy in both Inner Alchemy and Outer Alchemy. And Cantongqi(參同契) described that creation of a drug from fusion of Water(水) and Fire(火) with linkage of the Wolchenapsol(月體納甲說) and Twelve-Sosikguesol(十二消息卦說). It also refers the fusion process of a drug in the caldron in the Outer Alchemy and the fusion process of True Energy in body in the Inner Alchemy. Cantongqi(參同契) said that after harmonization of the Geon(乾)·Gon (坤)·Gam(坎) and Li(離) they return to the Roots. It means that even though the central bar of the Geon(乾) coverted to Li(離), and the central bar of the Gon(坤) coverted to Gam(坎), they will return to Geon(乾) and Gon(坤), the Roots. Such as Outer Alchemy created by Outer Alchemic method cannot hide its natural characteristic even though the appearance is changed, and Inner Alchemy created by Inner Alchemic method also become the reason to return to roots of the life. There are a lot of arguments that Cantongqi(參同契) is a book of Outer Alchemy or Inner Alchemy. However there are descriptions of both Outer Alchemy or Inner Alchemy styles and expression of Inner Alchemy with Outer Alchemy style. Geon(乾)·Gon(坤)·Gam(坎) and Li(離) in Cantongqi(參同契) refers the essential agents of not only the Outer Alchemy but also the Inner Alchemy.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Cantongqi(參同契) is describing the priciples of the Alchemy of the harmonization of the inner and outer through harmonization of the Yang and Yui of the Outer Alchemy and Inner Alchemy.

      • KCI등재

        참은 탐구의 목표인가? -참의 두 얼굴-

        배식한 ( Sik Han Bae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6 No.-

        미니멀리즘의 세찬 흐름 속에서 참이 실질적 속성을 갖는다고 주장하기가 버거운 것이 최근의 현실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 꿋꿋이 맞서, 참이 실질적 속성을 가질 수밖에 없음을 역설하는 이들이 있는데 이중 대표적인 인물이 데이빗슨이다. 그에 따르면 참은 하나의 언어가 어떻게 기능하고, 그 언어의 문장이나 표현들이 어떻게 지금과 같은 의미를 갖게 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개념이다. 참은 의미 이해, 즉 해석의 출발점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빗슨은 참이 규범임을, 그리고 탐구의 목표임을 부정한다. 참은 의미 이해의 출발점이기는 하지만 탐구의 목표는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이 글에서 의미 이해의 출발점으로서의 참의 얼굴과 탐구의 목표로서의 참의 얼굴, 이 두 얼굴이 동시에 성립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한 나의 논증은 참에 관한 빌그래미의 견해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으며, 이점에서는 크게 새로울 것이 없다. 다만 이 논문이 의의가 있다면 그것은 빌그래미의 이론을 매개로 이해의 출발점으로서의 참과 탐구의 목표로서의 참이 하나로 묶일 수밖에 없으며, 그런 점에서 데이비슨의 견해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 글은 각기 다른 이유로 참이 탐구의 목표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미니멀리즘, 데이빗슨, 로티의 견해를 차례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참이 탐구의 목표라고 주장하는 빌그래미의 견해를 정리한 후, 마지막에 다시 데이빗슨으로 돌아와 그가 놓친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볼 것이다. It is more and more difficult for the substantive theory of truth to stand up against the powerful theory of minimalism about truth. But we can find a few persons who urge that truth can not help but have a substantive property, including Donald Davidson. According to him, the concept of truth is an indispensible theoretical term in any conceivable theory of meaning aiming to describe how a language functions and how its sentences and other expressions are thereby determined as having the meanings that they have. That is, the concept of truth is an essential one that plays a central role at the starting point of interpretation. Nonetheless, Davidson accepts neither that truth is a norm nor that it is a goal of inquiry. But I will argue that the face of truth can exist both as a starting point of understanding and as a goal of inquiry. My claim is not so much creative in that fundamental arguments are fully dependent on Bilgrami``s point of view about truth. However, I believe it is significant to show that Bilgrami``s theory can be used as a mediation for combining the truth as a starting point of interpretation and the truth as a goal of inquiry, and then to expose the limitations of Davidson``s separation of the two truths. This paper will look into Minimalist, Davidson``s, and Rorty``s theories of truth in turn which commonly insist that truth can``t be a goal of inquiry with different reasons. Futhermore, I will summarize Bilgrami``s theory which holds the opposite position to these three persons and return to Davidson to say what he had missed.

      • KCI등재

        Suppression of Matrix Metallopeptidase-3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by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Root Extracts Fermented with Jeju Lava Seawater

        Jungwook Kang,Garam Nam,Yeahwa Yoon,Gyeongmi Kim,Sowon Bae,Hyunjeong Lee,Seunghee Bae,Youngkwon Cha,Hyundae Cho,Hangeui Cho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1

        목적: 최본 연구는 제주 용암해수로 숙성된 참당귀 추출물의 인간 진피섬유아세포 내 콜라겐분해효소 발현 감소 효과를 분석하고 그 효과에 대한 지표물질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제주 용암해수를 이용해 저온숙성하여 추출한 참당귀 추 출물의 지표물질 확인을 위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을 진행하였다. 참당귀 뿌리 추출물 및 decursin의 인간 진 피섬유아세포 내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고 실시간 유전자증폭 정량(qRT-PCR) 분석을 통한 콜라겐분해효소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 다. Decursin으로 진행한 결과와 참당귀 뿌리 추출물의 콜라겐분해효소 발현 감소 효과를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결 과: HPLC 분석 결과, 참당귀 추출물 내 주요한 지표물질로 decursin이 확인되었다.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서 참당귀 뿌리 추출물 과 decursin은 각각 200 μg/mL, 20 μM 미만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낮은 영향을 보였다. 또한, MMP3 발현에 대한 참당귀 뿌 리 추출물과 decursin의 감소 효과를 q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제주 용암해수로 숙성된 참당귀 뿌 리 추출물과 이 추출물로부터 순수분리된 지표물질 decursin의 콜라겐분해효소인 MMP3 발현 감소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 해 참당귀 뿌리 추출물 및 decursion은 주름개선용 기능성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ole Angelica gigas (A. gigas ) Nakai root extract (AGNRE) fermented with Jeju lava seawater in collagenase sup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identify the major active compound responsible for it suppressive effect. Methods: AGNREs were prepared by fermentation with Jeju lava water at low temperature and analyzed for identifying the major active compound in these fermented root extract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WST-1) assay an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ell viability and expression level of collagenase gene. Comparative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GNREs and decursin to confirm the downregulation of collagenase expression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Results: HPLC analysis revealed decursin to be the major active compound in AGNREs. Analysis of data obtained by WST-1 assays at concentration of 200 μg/mL for AGNREs and <20 μM for decursin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in human dermal fibroblasts. qRT-PCR analysis revealed that AGNREs as well as decursin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3 (MMP3 ) gen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Conclusion: These analyses suggest that AGNREs fermented with Jeju lava water as well as decursin isolated from these extracts hold a great potential to be applied as functional anti-wrinkle agent in cosmetic.

      • KCI등재

        팽효의 『분장통진의』 연구 (1)

        이대승(Lee, Dae-Se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5 道敎文化硏究 Vol.43 No.-

        본 글은 『참동계』 주석사에서 선지적인 역할을 한 당말오대 도사팽효와 그의『주역참동계분장통진의』(이하 『분장통진의』)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참동계』 저작자와 『참동계』 전승 계통 논쟁, 그리고 당대부터 송대까지 『참동계』텍스트의 유행 등과 관련하여 팽효와 그의 『분장통진의』가 갖는 의미를 살폈다. 『참동계』저작은 대체로 위백양, 서종사, 순우숙통 세 사람과 관련되는데, 당대에 이르기까지 저자는 작자 1인설과 3인설, 그리고 전승계통은 위백양 중간설과 말미설 등 여러 설이 혼재해 있었다. 팽효는 갈홍설을 바탕으로 위백양 1인 저작설과 위백양-서종사-순우숙통 전승설을 제시하여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였다.『참동계』의 유행은 당대부터 당말 오대까지 연속성을 보이다가 북송시기와 남송 초기에 잠시 불연속적인 상황을 보인다. 이러한 불연속성은 남송 초 이후에 『분장통진의』가 알려지면서 점차 사라진다. 이후 『참동계』는 널리 유행되면서 지속적으로 주석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그 과정에서 팽효본은 주석가들에게 가장 오래된 『참동계』주석본이자 저본으로 인식된다. 결국 팽효와 그의 『분장통진의』는 당대의 저자 논쟁을 위백양 1인 저작설로 정리하는 동시에, 당대본의 『참동계』 구성과 내용을 계승하여, 후대에 현행본 형태의 『참동계』가 안정적으로 전해지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Peng Xiao 彭曉 and his Cantong qi fenzhang tong zhenyi 參同契分章通眞義, especially to discuss the role of Peng Xiao performed in the argument about writers and transmission of Cantong qi, and the spreading of the text. As a result, relating writers and transmission of Cantong qi, Peng Xiao cleared the various opinions away before his period by suggesting next arguments: Wei Boyang 魏伯陽 wrote Cantong qi by oneself, and Cantong qi was handed down from Wei Boyang to Xu Congshi 徐從事 and next to Chunyu Shutong 淳于叔通. Relating the spreading of the text Cantong qi, it had a continuation from the Dang 唐 dynasty to the Shu 蜀 dynasty, but having a discontinuity from the North Song 北宋 dynasty to the early South Song 南宋 dynasty. These discontinuity was gradually disappear by the situation that the text fenzhang tong zhenyi became generally known. Finally, Peng Xiao and his fenzhang tong zhenyi could be evaluated that paly a important role in the argument about writers and the spreading of Cantong qi.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참동학 위상정립을 위한 미래관 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future prospects for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The True Donghak refers to ‘the future prospect of having a true life, true thinking, and true living’ in which enjoying the world in a state of good fortune became a true reality after the death of Suwun, according to faith in Gucheon Sangje. The correlation between “Attending to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shows the prospect of achieving the Daesoonist transformation into energy to gain true life and re-cre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Nourishing the Lord of Heaven” in Donghak and “Attending to Study and Attending to Law” in Daesoon show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reason into true thinking and renewing.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ity is Divine” in Donghak and “The Salvation of Humanity is the Will of Heaven” in Daesoon show transformation into the practice of Daesoon for the true living and renewing. This investigation utilizes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generation theory of life-philosophy to examine revelations regarding the conversation between Spirit and Mind. This is the future prospect for the establishing the True Donghak phase of Daesoon thought. It consists of a threefold connection among life, thinking, and living. The “public-centered spirituality of Daesoon Truth” which connects and mediates among people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he true life through the ‘renewal of active, energetic power’ bestowed by Gucheon Sangje. Secon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thinking through the “renewal via freedom from delusion”. Thir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true living through the “renewal of true mind”. To bring about the creation of true Donghak, Gucheon Sangje incarn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of Suwun and the salvation of the world salvation now centers on Korea with regards to the threefold connection future prospect. Gucheon Sangje’s revelation addresses and solves the postscript problem of Chosun and further establishes a Utopia. Suwun established Donghak but failed later on due to his lankiness. At last the true Donghak has been opened for the future by Gucheon Sangje and Jeongsan’s fifty years of religious accomplishments. In the long run, it has been developed further by Woodang’s Daesoon Jinrihoe. 본 연구는 대순사상의 참동학 위상정립을 위한 미래관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참동학은 ‘수운의 사후 구천상제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참생명ㆍ참생각ㆍ참생활의 미래상을 구현하여 세상복록과 선경복락을 함께 누리는 새 동학’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동학의 시천주와 대순의 천지공사는 상관연동으로 참생명 밝힘의 대순기화 전망을 나타냈고, 동학의 양천주와 대순의 시학시법은 상관연동으로 참생각 밝힘의 대순이화 전망을 드러냈으며, 동학의 인내천과 대순의 천운구인은 상관연동으로 참생활 밝힘의 대순실화 전망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동학사상과 대순사상 관련문헌을 분석하는 문헌조사 방법과 영성(Spirit)과 마음(Mind)의 상통에서 드러난 대순사상 참동학의 미래전망을 모색하고자 생명철학 생성론 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대순사상 참동학의 미래전망은 생명(生命)ㆍ생각(生覺)ㆍ생활(生活)의 삼차연동으로 이루어진다. 사람사이를 이어주고 매개하는 ‘대순진리의 공공(公共)하는 영성(靈性)’은 세 양상으로 드러난다. 먼저 구천상제 믿음의 ‘활명개신(活命開新)’에 의한 ‘참생명 밝힘’의 대순기화 전망, 구천상제ㆍ개체생명의 상관연동성을 깨닫는 ‘무심개신(無心開新)’에 의한 ‘참생각 밝힘’의 대순이화 전망, 일상생활 변화의 ‘지성개신(至誠開新)’에 의한 참생활 밝힘의 대순실화 전망으로 집약된다. 참동학은 수운을 대신한 구천상제의 인신강세와 구천상제 강세지에 해당하는 남조선 중심 세계구원이 공공차원으로 작동하여 새 밝힘을 이룬다. 대순기화는 천지공사로서 ‘영혼의 영토화’를 기화차원에서 치유하고, 대순이화는 시학시법으로 ‘영혼의 식민지화’를 이화차원에서 치유하며, 대순실화는 천운구인으로 ‘영혼의 사물화’를 실화차원에서 치유하기에, ‘대순진리의 공공하는 영성’은 삼차원 상관연동으로 미래전망을 밝힌다. 결국 삼차원 상관연동의 영성치유를 통해 참동학은 자타(自他) 사이의 원한ㆍ원망ㆍ원증을 공공으로 치유하며 상생사회로 발전시킨다. 참동학은 대순종통의 계승자, 정산(鼎山)ㆍ우당(牛堂)에 의해 계승되어 삼차연동을 구현했다. 한민족과 인류미래를 향한 위대한 세계시민성 선언은 ‘만국활계남조선’ 선언으로 나타났으며, 개체생명과 구천상제, 우주생명과 상관연동으로 생명ㆍ생각ㆍ생활의 유기체를 이루어 미래전망을 밝힌다. 생명과학 인식론에서는 생명을 ‘물(物=대상ㆍ객체ㆍ실체)’로 관찰ㆍ분석ㆍ조작(操作)’한다면, 생명철학 생성론에서는 생명을 ‘사(事=주체적으로 자각ㆍ각성ㆍ체인하는 사건ㆍ사태ㆍ동태)’로 체득한다. 이 글에서는 생명철학 생성론 관점에서 대순사상의 참동학을 규명함으로써 개체생명과 구천상제의 우주생명이 함께ㆍ더불어ㆍ서로서로를 열어 삼차연동으로 개신(開新)하는 미래전망의 새 밝힘을 다루고자 한다. 대순사상의 참동학은 ‘공공하는 영성’을 생명지(生命知)ㆍ체험지(體驗知)ㆍ실천지(實踐知)의 삼차연동으로 작동시킴으로 고품격의 영성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영성작용의 충실도를 높여 보다 넓고 보다 깊게 미래지향의 전망으로 거듭나게 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불교의 참법(懺法)에 대한 소고(小考)

        이성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7 불교문예연구 Vol.0 No.8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래 경전에 근거하여 업장을 참회하는‘참 법(懺法)’이 발달하였다. 중국불교에서 참법이 발달하게 된 배경은 유가나 도교의 문화와 상호 교섭하며‘예’의 중시, 귀신관념, 효도사 상, 국가 관념 등과 같은 중국의 관념이 흡수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글에서는 참법이 중국불교에 어떻게 수용·전개되었는 가를 살펴보았다. 중국불교에 참법이 형성되는 초기에는 참문(懺文)이 중심이었지만 점차 불명(佛名)에 예를 표하는 참법이 등장한다. 불명을 칭명함으로 써 어려움과 환난, 병을 없애거나 갖가지 공덕을 얻고자 한 것이다. 『자비도량참법』을 필두로 신행선사의『칠계예참』, 천태지의(天台智) 의『법화삼매참의』·『청관세음참법』·『방등참법』·『금광명참법』이 등장하며 참법의 전성시대가 열리기 시작하였다. 이후 종밀의『원각경 도량수증의』를 비롯하여『화엄보현행원수증의』·『자비삼매수참(慈悲 三昧水懺)』·『천수안대비심주행법』·『예념미타도량참법』등 각 종파 는 자종의 종지에 걸맞은 참법을 생성하여 실천하였다. 중국불교 주요 참법에 등장하는 참회·권청·수희·회향·발원의 오회(五悔)가 성립 된 것은 지의(智)의『마하지관』과『법화삼매참의』에 이르러서이고, 그 행법은 첫 번째 행자가 도량을 깨끗이 하는 법을 비롯해 열 번째 좌 선으로 실상을 바르게 관하는 방법의 10법으로 구성되었다. Since Buddhism introduction to China, the ritual of penitence (懺法) by reading the su-tra has developed. This writing considers how it was accepted and has developed in Chinese Buddhism. The background from which it developed in Chinese Buddhism can be said that Buddhism accepted Chinese ideas such as emphasis on ‘courtesy’, ghost, filial duty and nation through cultural cross-fertilization with Confucianism and Taoism. Letter of penitence (懺文) was central to the early stage of formation of the ritual of penitence but it appeared gradually the way of worshiping Buddha's name, which has the purpose of overcoming hardship, misfortune and disease and of gaining virtue by reciting Buddha's name. Starting with Cibei daochang chanfa 『( 慈悲道場懺法』), Seven stages for worship and repentance (七階禮懺) by Xinxing and Fahua sanmei chan yi 『( 法華三昧懺儀』)·the Ritual of penitence with Avalokitesvara· the Ritual of penitence with vipulya (方等懺法)·the Ritual of penitence with Maha-vairocana (金光明懺法) by Tiantai Zhi-yi (天 台智) allowed golden age of the ritual of penitence to begin. Afterwards, Zong mi (宗密) created Yuan jue jing daochang xiu ziu zheng yi 『( 圓覺經道場修證儀』), Hua yanpuian xing yuan xiu zheng yi 『( 華嚴普賢行願修證儀』), Cibei sanmei shui chan 『( 慈悲三昧水懺』), Quan shouyan dabei xin zhou xingfa 『( 千手眼大悲 心呪行法』) and Li nian mituo daochang changfa 『( 禮念彌陀道場 懺法』). Like this, each Buddhist sect created its own manual for the ritual of penitence and practiced it. About when Zhi-yi wrote Mohe zhi gu an 『( 摩訶止觀』) and Fahua sanmei chanyi, five repentance (五悔) was established such as penitence· invitation·joyful acceptance for other's luck·retuning one's merit to others·vow which are the terms of the main ritual of penitence. Method of practicing are made up of ten stages from firstly cleaning practice hall to tenthly observing the reality rightly in seating meditation.

      • KCI등재

        유식 논서에 나타난 선심소 연구(1)- 참․괴를 중심으로 -

        김명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3

        This paper examines the essential nature of hrī․apatrāpya-caitta and its ancillary action among kuśala-caitta. To this end, the writer looked at the definition and commentary on hrī․apatrāpya-caitta in the Literature of Vijñaptimātra. To summarize the description of hrī․apatrāpya in Literature of Vijñaptimātra: hrī․apatrāpya are both shy caitta. However, the essential nature of hrī is to be ashamed of itself in the light of sva-adhipati and dharma-dhipati, and the essential property of apatrāpya is to be ashamed in the light of another's gaze or reputation, that is, loka-adhipati. In other words, hrī is an inner[autonomous] shame, and apatrāpya is an outer[batting] shame. And its action is defined as preventing evil. And while humans are ashamed of hrī․apatrāpya-caitta, ahrī․anapatrāpya's kleśa always works together. So, to understand hrī․apatrāpya better, we looked at the opposite, ahrī․anapatrāpya. hrī․apatrāpya and ahrī․anapatrāpya are zero-sum relationships. Because when the hrī․apatrāpya of kuśala-caitta is active, ahrī․anapatrāpya disappears. On the other hand, when ahrī․anapatrāpya of kleśa-caitta is active, hrī․apatrāpya disappears. 본 논문은 선심소(善心所) 중에서 ‘참․괴심소’의 본질적인 성질과 그 작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사론』 및 유식 논서에 나타난 참․괴심소에 대한 정의와 주석 내용을 살펴보았다. 유식논서에서 참․괴를 설명한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참․괴란 둘 다 부끄러워하는 마음작용이다. 하지만 참의 본질적인 성질은 자신의 힘[자증상]과 진리의 힘[법증상]에 비추어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것이고, 괴의 본질적인 성질은 타인의 시선이나 평판, 즉 세증상에 비추어 부끄러워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참은 내면[자율]적인 부끄러움이고, 괴는 외면[타율]적인 부끄러움이다. 그리고 그 작용은 악행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한편 인간은 부끄러워하는 마음작용인 참․괴도 있지만, 악행을 행할 때 부끄러워하지 않는 무참․무괴의 번뇌도 언제나 함께 작용한다. 그래서 참․괴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그 반대 작용인 무참․무괴에 대해 살펴보았다. 참․괴와 무참․무괴는 제로섬 관계이다. 왜냐하면 선한 마음작용인 참․괴가 활동하면 무참․무괴는 사라진다. 반면 번뇌심소인 무참․무괴가 활동하면 참․괴는 사라지기 때문이다.

      • KCI등재

        참 경건에 대한 칼빈의 이해와 실천

        김요섭(Yo Sep Kim)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칼빈은 종교개혁자로서 중세 말 로마 가톨릭의 종교 체계를 불경건이라고 비판하고 성경에 근거한 기독교의 참 경건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칼빈의 참 경건의 이해와 그 실현을 위한 시도 모두가 공동체적인 측면에서 제시되었으며 율법의 규범적 기준을 따라 추구되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칼빈이 그가 견지한 적극적이며 실천적인 율법의 제3용도에 대한 이해로부터 참된 경건의 개념을 주장했을 뿐 아니라 율법의 규범을 일반적 기준으로 삼아 경건의 공동체적 구현을 추구했음을 논증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장 먼저 칼빈이 당시 로마 가톨릭의 불경건을 비판하면서 제시한 기독교 신앙의 참 경건의 개념과 그 원리를 검토할 것이다. 그 후 참 경건의 표현의 현장인 예배와 경건의 훈련의 장인 그리스도인의 공동체적 삶에 대해 칼빈이 어떤 실천적 제안을 제시했는지 검토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칼빈의 경건이해와 실천의 노력이 오늘날 교회를 위해 가질 수 있는 현대적 의의를 간략하게 제안할 것이다. 칼빈은 로마 가톨릭이 만들어 놓은 외형중심의경건 체계의 오류를 비판하고 참 경건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깨달음에 의한 내면적 변화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칼빈은 참 경건이 공동체적 실천으로 나타나야 하며 율법이 대표하는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지속적으로 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1세기 한국 교회의 상황 속에서도 칼빈의 경건 이해와 그 실천을 위한 시도들은 의미 있는 역사적 교훈을 던져준다. 특히 그가 강조한 참 경건의 공동체적인 성격과, 경건의 구체적 실천에 있어 율법의 가르침을 신적 규범으로 삼은 해석은 특정한 시대와 지역을 차이를 넘어서 성경의 권위를 존중하는 모든 기독교 공동체에게 보편적이며 유효한 경건 추구의 교훈을 제공한다. As a protestant reformer, John Calvin criticized the Roman Catholic religious system as impiety, and endeavored to recover the true piety from the biblical point of view.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Calvin’s idea of true piety and his practical proposal of piety are presented with the universal and definitive standard of God’s Words for the Christian community. In particular, it is argued that Calvin’s positive and covenantal interpretation of the third use of the law is an essential foundation upon which he suggested the right meaning of true piety and pursued its realization in Christian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Calvin’s idea of true piety and its principles, which are contrasted with wrong teaching and practice of the Roman Catholic impiety. After this review, this study deals with Calvin’s suggestions of reforming worship service and Christian life, For Calvin, worship service is the expressive field of true piety, and Christian life is the disciplinal field of piety. In conclusion, significance of Calvin’s idea and practice of true piety for the Christian communities today is briefly mentioned. Criticizing the errors of the Roman Catholic rituals and teachings of Christian life, Calvin consistently argued that true piety had to start with the inner change which arises from the recognition of God’s sincere love. However, he never forget to emphasize that true piety should be manifested in the communal dimension and continuously exercised faithful to the God’s commandment. His emphasis on the communal character of piet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as the divine standard of practicing piety provide a general and effective lesson for every Christian community which has a high sense of the authority of scripture.

      • KCI등재

        保晩齋 徐命膺의 『參同攷』 硏究

        이대승(Lee Daese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0 道敎文化硏究 Vol.33 No.-

        이 글은 徐命膺(保晩齋, 1716쪽-1787)의 『參同攷』에 대한 연구이다. 서명응은 『주역참동계』(이하 ?참동계?)에 선천학의 내용이 담겨 있다고 보고 『참동고』를 저술하였다. 그렇다면 그는 『참동고』에서 『참동계』와 선천학을 어떻게 연결시키는가. 또 『참동계』에 내재하는 도교의 煉丹사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위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서명응의 ?참동계? 해설서인 「前三考」(「初擬攷」ㆍ「互體攷」ㆍ「因重攷」)에 나타난 주석 특징을 고찰하였다. 서명응은 「전삼고」 중 「초의고」에서 ?참동계?를 先天易學의 근원으로 긴밀하게 연결시키며 선천역학 사상을 중심으로 ?참동계?의 역학사상을 해석한다. 그리고 그는 「호체고」와 「인중고」에서 선천역학 사상을 인체에 적용한 인체관과 이를 바탕으로 연단을 논한 수양론을 전개한다. 그의 인체관은 「호체고」 제1장부터 제5장까지에서 다뤄지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건곤감리 사정괘를 인체의 폐장ㆍ비장ㆍ신장ㆍ심장으로 유비한 사유 체계이며, 여기에 심장(太極ㆍ中)을 중심으로 인체를 설명하는 사유 등이 섞여 있다. 서명응의 수양론은 「호체고」와 「인중고」 전반에 나타나는데, 그는 ?참동계?의금단법이란 易에서 淵源한 것으로 일반적인 丹家와 다르다고 표명하며, 자신의 인체관을 바탕으로 의학과 내단학의 사유를 융합한 선천학적 수양론을 전개한다. 서명응이 선천학의 사유를 통해 ?참동계?를 주해한 이유 무엇인가. 이는 18세기 서양의 과학기술이 조선에 유입되는 상황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당시 서양의 과학기술을 선천역학 사상을 통해 수용하였기에, 그에게는 선천학의 정통성의 확보가 필요하였다. 그런데 일찍이 주희가 선천학의 원류를 ?참동계?로 보았기에, 서명응은 주희의 관점을 계승ㆍ발전시켜 선천학 사상을 통해 ?참동계?를 주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o Myeong-Eung's Chamdonggo (參同攷) which he wrote to reveal that Zhouyi Cantong qi, contains aspects of xiantian-xue (先天學). The issue Seo faced was a way to connect Cantong qi with xiantian-xue and to comprehend the alchemy of Cantong qi as xiantian-xue. To do so, analysis is made of three parts of "Jeonsamgo" (前三考) in Chamdonggo as the main text: Chouigo (初擬攷), Hochego (互體攷), and Injunggo (因重攷). Seo Myeong-Eung explains the Cantong qi mainly through xiantian-yixue (先天易學) in Chouigo. Cantong qi scriptures are often interpreted as alchemy, but in Chouigo, Seo attempts to closely link his yixue thoughts on Cantong qi mainly through xiantian-yixue without interpreting Cantong qi scriptures as alchemy. In Hochego, Seo Myeong-Eung deals with the thought of the human body in chapters 1 to 5. Here he describes qian-kun-kan-li (乾坤坎離) as analogous to the lungs, the spleen, the kidney, and the heart, respectively, in the human body. In addition, his thought of the human body also contains oriental medicinal thought. In Hochego and Injunggo, Seo deals with the doctrine of self-cultivation. He considers Cantong qi's jindan-fa to have come from yi (易) and different from general danjia (丹家). He suggests a theory of xiantian-xue self-cultivation that based on his thought of the human body. Seo Myeong-Eung presents the logic of Cantong qi being related to xiantian-xue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Cantong qi through the persepctive of xiantian-xue. He interprets Cantong qi throught xiantian-xue perhaps for the reason that he need to secure the orthodox of xiantian-xue of Zhu Xi's ph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