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직무몰입과 학습효과 예측변인으로서의 동기변인 규명

        주영주,하영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직무몰입과 학습효과를 예측하는 동기변인들과 그 하위요인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인학습자 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 자기조절학습 수행력, 참여동기, 성취동기가 학습효과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규명되었다. 하위변인의 분석결과, 자기조절학습수행력은 초인지적 수행력과 자원관리 수행력이, 참여동기는 내재적 참여동기가, 성취동기는 개인지향 성취동기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참여동기,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수행력이 직무몰입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하위변인에 대한 분석결과, 참여동기는 내재적 참여동기와 외재적 참여동기가, 성취동기는 개인지향 성취동기와 사회지향 성취동기가,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조절학습수행력은 초인지적 수행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효과와 직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성인 학습자의 내적 동기변인들을 강화시킬 수 있는 조직환경과 학습내용, 교육방법 및 전략을 최대한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motivation variables and their subordinate elements predict learning effectiveness and job involvement. In order to find answers, devices were developed, tes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used for testing variables for 289 adult learners. As a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are the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of learning effectiveness. A meta-cognition capability and resources-management capability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 intrinsic participation motiv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 individual-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re the significant variable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achievement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re the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of job involvement. A intrinsic and external participation motiv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 individual-oriented and social-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 self-regulated and academic efficacy between self-efficacy, and only meta-cognition capability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re the significa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organiz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cs for strengthening intrinsic motivation variables.

      • KCI등재후보

        노인의 문해교육 참여동기, 동기충족도, 자아존중감

        안수인(An Su In),이동수(Lee Dong soo),한정란(Han Jung ran) 한국노년교육학회 2018 노년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 마을학교 문해교육에 참여한 비문해 노인 (N=181)들을 연구대상으로, 노인 문해교육 참여동기와 동기충족도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문해교육 참여가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의하면, 첫째, 문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의 비문해의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이었고, ‘부모님의 태도’, ‘시대적 환경’ 등의 순이었다. 이로 인해 받는 어려움으로는 ‘공적 업무에서의 어려움’, ‘자녀 교육’, ‘일상생활의 불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해교육 참여동기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에서 참여동기보다 참여 후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해교육 참여기간에 따라서는 참여동기, 동기 충족도, 동기 대비 충족도 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문해교육 참여 후에 참여자들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다섯째, 교육 전 자아존중감에는 동기미충족집단과 동기충족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후 자아존중감에서는 동기미충족집단보다 동기충족집단이 더 높았으며, 교육 전후의 자아존중감 변화 역시 동기충족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해교육에 대하여 국가차원의 정책적 변화와 개발의 노력이 지속 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안정적인 예산확보와 교육 프로그램들을 강화하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ulfillment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literacy education for the elderly (N=181) who took the literacy education at the Seosan City School in Chungcheongnam-do, Korea. Research findings: First, the main reasons for the illiteracy of the subjects were ‘economic difficulties,’ followed by ‘parents attitude’ and ‘historic environment. Second, overall participation motivation in the literacy education was high. Among all factors, satisfaction after the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ticipation motivation. Third, based on the period of literacy education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omains such as participation motivation, motivation fulfillment and fulfillment as compared to motivation. Fourth, after literacy education participation, the participants self-esteem significantly increased.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ion between non-fulfillment group and the fulfillment group, but after the education, self-esteem was higher in the fulfillment group, and change of self-esteem after the education, too, was greater in the motivation fulfillment group.

      • KCI우수등재

        승마 참여동기, 참여제약, 지속의도 및 참여수준의 관계

        김봉수 ( Kim Bong-su ),양명환 ( Yang Myung-hwa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승마 참여 동기와 참여수준 간의 관계에서 참여제약, 지속의도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승마 동호인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251명을 연구대상을 선정하였으며, 대상자들은 참여동기, 제약, 지속의도 및 참여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완료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18.0, SPSS PROCESS Macro 연속다중매개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즐거움 추구 동기는 개인내 제약과 지속의도를 경유하여 승마 참여수준에 부(-)의 간접효과를 유발하였으며, 지속의도 또한 즐거움 추구동기와 승마 참여수준 간의 유의한 정(+)의 간접효과를 미쳤다. 둘째, 건강·체력 동기는 대인간 제약과 지속의도를 경유하여 승마 참여수준에 정(+)의 간접효과를 유발하였으며, 지속의도 또한 건강·체력동기와 승마 참여수준 간의 유의한 정(+)의 간접효과를 미쳤다. 셋째, 직업적 동기는 대인간 제약과 지속의도를 경유하여 승마 참여수준에 부(-)의 간접효과를 유발하였으며, 지속의도 또한 직업적 동기와 승마 참여수준 간의 유의한 정(+)의 간접효과를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articipation constraints and persistence inten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level.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1 adults participating in horseback riding hobbyist activiti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onnaire assessing participation motivation, constraints, persistence intention, and participation leve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18.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Pleasure-seeking motivation caused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horseback riding participation through intra-individual restrictions and persistence intentions. Persistence intention also caused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between pleasure-seeking motivation and horseback riding level. Health and fitness motivation cause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the level of horseback riding participation through interpersonal constraints and persistence intention. In addition, persistence intention had a positive indirect effect between health· fitness, and horseback riding. Occupational motivation caused negative indirect effects on the level of horseback riding participation through interpersonal constraints and persistence intention. Seventh, social motiv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level of horseback riding through participation constraints and persistence intention, but indirect effects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through persistence intention were significant.

      • KCI등재

        도시지역 연소노인들의 사회참여와 동기 요인간의 관련성

        한경혜(Gyounghae Han),김주현(Joohyun Kim),박경숙(Keongsuk Park),Hiroko Akiyama, 이재인(Jaein Lee)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4

        이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ㆍ60대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참여와 관련된 다양한 동기 측면들을 살펴보고, 동기 요인과 사회참여 정도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광주, 청주, 전주의 4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ㆍ60대 남녀 1,7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회참여 정도는 11가지의 조직화된 활동에 대한 참여 여부를 통해 파악하였고, 사회참여와 관련된 동기는 자기지향 동기와 관계지향 동기, 그리고 사회지향 동기의 세 가지 동기 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동기수준을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동기 요인 중 자기지향 동기와 관계지향 동기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ㆍ60대의 연소노인들이 자신의 삶을 향상시키고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바램이 큼을 시사한다. 둘째, 동기 요인과 사회참여 정도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관계지향 동기와 사회지향 동기가 높을수록 사회참여의 정도가 높았지만, 자기지향 동기는 사회참여 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사회참여의 정도나 유형, 그리고 동기 수준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상이한 양상을 보였지만, 동기 요인과 사회참여 정도간의 관련성에서는 젠더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50ㆍ60대의 연소노인들이 타인과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고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동기에서 사회참여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노년기 사회참여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참여 활동들을 통해 즐거움을 얻고 스스로의 삶의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young-old adults residing in urban area with a focus on the effects of various motiv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motivations of social participation. Self-oriented motivation, network-oriented motivation, and society-oriented motivation were considered as motivations of social particip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836 men and 877 women aged 50-69.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2009.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s and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using the SAS program.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etwork-oriented motivation and society-oriented motivat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2) Although men and women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patterns of social participation, gender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motiva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network-oriented motivation and society-oriented motivation are important for facilita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young elderly. Fur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생활체육 검도수련자들의 참여동기가 운동몰입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원화식(Won, Hwa-sik),박동철(Park, Dong-Cheol) 대한검도학회 2017 대한검도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검도수련자들의 참여동기 및 운동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생활체육검도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광주, 전남에 검도장서 수행하고 있는 성인 남성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으로 2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 목적에 따라 전산 처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운동몰입, 생활만족의 차이 검증에서 연령에 따른 참여동기, 운동몰입, 생활만족 요인 모두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참여동기는 내적동기, 외적동기 생활만족은 심리적, 사회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참여동기는 내적동기, 외적동기 운동몰입은 인지몰입 생활만족은 심리적, 사회적 만족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빈도에 따른 참여동기는 내적동기, 외적동기, 생활만족은 심리적, 사회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동기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몰입의 하위 요인 중 인지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적동기에서 정적인 무동기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에 내적동기, 외적동기에서 정적인 무동기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동기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적동기, 외적동기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의 하위 요인 중 신체적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적동기, 외적동기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사회만족에 내적동기가 정적인 무동기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생활만족에 내적동기, 외적 동기에서 정적인 무동기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몰입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의 전체 요인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여동기 하위 요인 중 내적동기는 운동몰입과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외적동기는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은 도출할 수 있으며, 운동몰입도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offer a base data line for vitalizing amateur kumdo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port commitment of kendo trainees on their life satisfactions. For the purpose, it selected adults, who trained kendo at kendo school in Gwangju and Jeonnam from October to November, 2015, as a population and extracted 200 samples with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did a survey. The answers from 190 people were used as final data, excluding 10 samples, untrustworthy or non-response, and did computer processing on them with SPSS WIN 2.0,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e test were done f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verify the impacts among facto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all factors including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age at a difference tes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sport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recognitive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t sport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educational backgrounds. The recognitive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have meaningful differences at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port commitment, depending on occupations. The internal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sport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show meaningful differences at participation motivation, depending on career.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suggest meaningful differences at participation motivation, depending on how often they train kendo. Secondly, it is shown that,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s, the internal motivation has a static impact on sport commitment and amotiv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it. The result 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recognitive commitment, sub factor of sport commitment, shows that the internal motivation and static amotivation negatively affect it and the internal, external motivation and static amotivation have negative impacts on behavioral commitment. Thirdly,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have a static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amotivation has a bad effect on it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s. The result on the impa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physical life satisfaction, sub factor of life satisfaction, shows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have a static impact on it and the internal motivation and static amotiva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social satisfaction and all motivations, such as the internal, external motivation and static motivation, negatively affect social life satisfaction. Fourthly, sport commitment has a differe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t is found that all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have static effects.

      • KCI등재

        동화구연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경자 ( Kong¸ Kyung-ja ),주동범 ( Ju¸ Dong-beom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구연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한국국학진흥원(이야기 할머니 대상)과 부산광역시 내의 복지관, 지자체 평생학습관, 평생교육원, 문화센터 등에서 동화구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214명의 60세 이상 노인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동화구연 프로그램 참여 동기,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동화구연 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력에서는 전문대졸 이상이 중학교 졸업 이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외부활동에서는 활동이 많은 편이 적은 편보다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 횟수에서도 1∼2회나 3∼4회보다 5회 이상 참여가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화구연 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동화구연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학습지향성 동기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그러나 활동지향성 동기와 목표지향성 동기는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동화구연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활동지향성 동기와 학습지향성 동기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목표지향성 동기는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주요 연구결과는 노인복지 문제, 노인복지관련 재원 문제, 노인의 평생교육기회 등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airytale oral narration program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he elderly’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sample of analysis is 214 the elderly over 60 age who participate in fairytale oral narration program in The Korean Studies Institute(storymama), social welfare center in Busan, local government’s lifelong learning center,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and culture center. These wer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including fairytale oral narration program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main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in participation motiva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t there is difference in self-esteem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icating that the elderly with 2-year college graduation over is higher than that with middle school graduation below, the elderly with activity much is higher than that with activity less, and the elderly with 5 times over particiaption is higher than that with 1-2 times or 3-4 times participation. Secon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fairytale oral narration program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ird, for the influenc of fairytale oral narration program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he elderly’s self-esteem, learning-oriented motivation influenced self-esteem positively. But activity-oriented motivation and goal-oriented motivation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steem. Finally, for the influenc of fairytale oral narration program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activity-oriented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But goal-oriented motivation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ese main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aspects of the elderly’s welfare, the elderly’s welfare-related budget, and the elderly’s lifelong educational opportunity.

      • KCI등재

        휠체어 테니스 선수들의 수행수준과 선수경력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박성희 ( Sung Hee Park ),정이루리 ( I Ru Lly Je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국내 휠체어 테니스 선수들을 대상으로 수행수준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과 운동참여 동기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선수경력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운동참여 동기수준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3년 코리아오픈 휠체어 테니스 대회에 참가한 총 44명의 국내 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회 참여 신청 차 경기장을 방문한 선수들에게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 설문지와 참여 동기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분석을 사용하였고 수행수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참여 동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수경력과 신체적 자기개념 및 참여 동기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선수 집단은 비전문선수 집단에 비해 신체적자기개념과 참여 동기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수경력과 자기존중감, 학습동기, 정화동기, 친화동기, 즐거움동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신체적 자기개념과 참여 동기 사이에는 스포츠 유능감과 학습동기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 존중감과 신체전반 모두 학습동기, 건강 및 체력동기, 즐거움동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휠체어 테니스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및 운동지속 의지를 강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동기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휠체어 테니스 선수들의 수행향상을 필요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역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differences exist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level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the career years of wheelchair tennis play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4 Korean wheelchair tennis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3 Korea-Open Wheelchair Tennis Tournament. For data analysis, w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Korean-version of physical self-concept questionnaire and the wheelchair tennis participation motivation survey they responded before the tournament started. To examine participants` demographic informa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if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levels,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sed. Also, in order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years, self-concep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Results indicated that a group of professional wheelchair tennis players comprehensively showed higher levels of physical self-concep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compared to a group of non-professional wheelchair tennis players a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ir career years and self-respect, learning motivation, purification motivation, friendship motivation, and enjoyment motivation. Also,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ports competency and learning motivation and that both self-respect and entire physical competenc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o learning motivation, health and fitness motivation, and enjoyment motivat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found that a level of various motivation elements should be increased to strengthen adherence to wheelchair tennis, which will help develop counseling programs needed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국민체육센터 참여동기와 서비스 품질이 만족도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이호훈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 동기 및 서비스 품질이 만족과 판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전국스포츠센터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D도시에서 신체 활동에 참여하는 286 명의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는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따라 서비스 품질과 참여 동기에 차이를 찾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참여 동기와 서비스 질이 판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따라서 연구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 동기는 남성이 '성취감과 기술 개발', '사회적 접촉'과 '외적 과시'의 의미에서 여성보다 높은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에 따른 참여 동기는 고학력자의 경우 '성취감 및 기술 개발', '상태' 및 '건강한 운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 통계 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차이 중 성별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인식에 있어서 남성은 '접근 성'이 외의 '제도', '프로그램', '리더'에서 여성보다 우위에 있다. 연령이 낮을수록 직업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인정은 주부보다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다. 셋째, 참여 동기는 국립스포츠센터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영향을 받은 세부 요인은 '성취감'과 '상태'로 구체적으로 제안되었다. 넷째,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하위 요인 중, '프로그램'및 '리더'는 일반적으로 만족도 및 판매에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National Sports Center extended nationwide by examining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rvice quality of it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Participants engaging in physical activities in D distract, D city are currently selected as the population the convenience sampling belonging to non probability sampling is used to include 286 participants in the final study.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re conducted to find differences according to service quality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depending on demographics feature,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is implemented to verify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ervice quality on repurchase. Therefore,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s feature, males show stronger differences than females do in 'sense of achievement and skill development', 'social contact' and 'external ostentation', and for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depending on scholarship, highly educated persons exhibit higher 'sense of achievement and skill development', 'condition' and 'healthy fitness'. Second, for the recognition of service quality depending on gender among the differences of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demographics feature, males are superior to females in 'institution', 'program' and 'leader' other than 'accessibility'. The lower age, the higher recognition of service quality by jobs. Overall, students' recognitions are higher than those of housewives. Thir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seems to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for the National Sports Center. The affected sub-factors are specifically suggested as 'sense of achievement' and 'condition'. Likewise, it is found to affect the repurchase, but the only sub-factor, the 'condi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Fourth, the satisfaction for service quality seems to have an effect on the repurchase. Among sub-factors, 'institution', 'program' and 'leader' commonly affect the satisfaction and the repurchase.

      • KCI등재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가 인식하는 참여동기, 교육적 가치, 만족도, 지속적 참여의도 간의 관계

        박원주,빙원철 국기원 2020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motivation, educational value, satisfaction and continuing participation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thus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aturated taekwondo stadium .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ents of their childre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parents of children receiving taekwondo training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were selected as a sample. The conclusions draw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to participate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values. Second, the motivation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to participat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Third, the educational value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continuously. Fifth, the satisfaction level of Taekwondo trainees' par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port. Sixth, it was shown tha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slightly more effective i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participation through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than it was in the medium of continuous participation through educational valu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value affected by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continued involvement as a medium of satisfaction than in the direct effect of the intention for continuing participation. Finally, the effect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parameters educational value and desirability had a partial repurchase effect.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가 인식하는 참여동기, 교육적 가치, 만족도, 지속적 참여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태권도장의 효율적 운영방안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충청도 지역의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 600명을 선정하여 최종 51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는 IBM SPSS 20.0, AMO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참여동기가 교육적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교육적 가치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교육적 가치가 지속적 참여의도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의 만족도 가 지속적 참여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참여동기는 교육적 가치를 통해 만족도를 매개로 지속적 참여의도에 효과가 있는 것보다 만족도에 직접적인 효과를 통해 지속적 참여의도에 효과가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 수련생을 만족시키는 도장운영은 개개인의 참여동기를 파악하여 교육적 가치를 높이고 높은 만족도를 통해 수련생을 태권도 수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강건너기 수영대회의 참여동기 비교

        김동현,육현철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아동과 성인의 한강건너기 수영대회 참여동기를 분석하고, 두 집단 간의 참여동기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1회 중구 어린이 한강건너기 수영대회와 2017 한강크로스 스위밍 챌린지 참가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편의표본 추출을 이용해 아동 63명, 성인 54명을 표집하였다.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해 한강건너기 수영대회의 참여동기를 수집하였 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자료는 일반영역의 백분율과 세부영역의 내용을 기준으 로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참여동기는 총 91개의 원자료, 24개 세부영역 그리고 8개의 일반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영역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순수 욕구, 자기도전, 주요타자의 영향, 의미있는 경험, 대회 부산물, 심리자원 획득, 한강의 상징성, 기타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의 참여동기는 총 111개의 원자료, 28개 세부영역 그리고 9개의 일반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영역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자기도전, 한강의 상징성, 주요타자, 오픈워터스위밍, 의미있는 경험, 순수 욕구, 심리자원 획득, 대회 부산물, 기타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과 성인의 참여동기를 백분율을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순수 욕구에서 아동이 성인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한강의 상징성에서는 성인이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오프워터스위밍에서는 아동의 참여동기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아동과 성인은 세부영역의 내용 측면에 서 일부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한강건너기 수영대회의 참여동기를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to compare among thos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1st Jung-gu Children's Han River Crossing Swimming Competition and the Han River Cross Swimming Challenge held at the Han River Jamsil Bridge in 2017. Participants consist of 63 children and 54 adults. Participants were asked by participation motivation using the open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ductively and than compared based on percentage in main category or contents in sub category.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s participation motivation showed 91 row data, 24 sub category and 8 main category, and consisted of Pure desire, Self-challenge, Important other, Significant experience, Competition by-product, Psychological resource, Symbolism of the Han River, and Other depending on the frequency. Second, adult's participation motivation showed 111 row data, 28 sub category, 9 main category, and consisted of Self-challenge, Symbolism of the Han River, Important other, Open water swimming, Significant experience, Pure desire, Psychological resource, Competition by-product, and Other depending on the frequency. Third, the comparison of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percentage in Child and Adult were that chid's motivation percentage was more than adult's motivation percentage in Pure desire, on the other hand, adult's motivation percentage was more than child's motivation percentage in Symbolism of the Han River and Only adult's motivation appeared in Open water swimming. Also two groups were differences in sub category content. The abov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the Han River Cross Swimming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