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경남 진주지역의 청년운동과 진주청년동맹

        김희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2

        3ㆍ1운동 직후 등장한 진주의 청년단체들은 대략 3단계의 흐름을 거치며 1920년대 지역 사회운동을 이어갔다. 난립했던 초기 단체들은 이후 몇몇 선도단체들이 기성결사를 흡수하거나 조직을 증강시키면서 재편되었다. 이들 중 진주청년회는 기존조직에 진주청년구락부와 광진체육회를 병합하여 지역의 대표적 청년단체로 성장하였다. 진주청년회의 초기임원은 1921년 위원제로 전환 후 재구성 되었다. 그러나 근본적인 인적변화는 없었다. 유지, 자산가를 중심으로 동아일보 진주지국출신, 3ㆍ1운동 주도세력, 그리고 초기 사회주의자들이 가담한 형국이었다. 광의로 해석하면 이들은 전부 지역 유지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후의 행보와 사회적 역할을 고려한다면 모두를 동일성향의 집단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1920년대 중반 전국 청년단체 사이에 일어난 ‘혁신’의 분위기와 지역사회의 여건에 따라 진주 청년단체들도 변화의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다. 1925년 진주청련, 진주노총, 진주여청 등 사회주의 성향의 단체들이 결성되었다. 이 중 진주청련은 단체간의 공동전선 형성과 통일적 활동을 지향하며 출범하였으나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지도부내의 감정대립, 제2차 조공사건으로 인한 핵심인사의 피검 등 내,외적인 문제가 착종했기 때문이었다. 이에 1927년 초부터 진주청년회의 주도로 청년운동의 재활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 시점부터를 진주지역 청년운동의 제3기로 규정 할 수 있다. 진주청년회는 운동의 질적전환을 선포하고 개별단체들의 단일화 운동을 추진하였다. 이 사업의 성공과 군 단일 청년동맹의 조직 방침에 연동되어 1928년 진주청년회의 해체와 진주청년동맹의 결성이 순조롭게 이루어 졌다. 이 과정에서 1923년 이후 진주청년회를 이끌어 갔던 직업적 사회운동 세력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지주, 자본가들이 청년단체에서 이탈한 후 이들은 진주노동공제회와 사립일신고보 설립운동 등에 직, 간접으로 참여하면서 대중성을 이어갔다. 1925~1926년 동안 침체되었던 지역 청년운동이 활로를 모색하고 진주청총의 성립으로 이어지는 과정에는 이들이 지닌 대중적 역량과 명망성이 크게 작용하였다. 진주청년동맹은 면 지부를 설치하고 타 단체와 협동하여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1930년 말 경남 도연맹이 조선청총의 해소를 결의하자 진주청년동맹은 이를 즉각 수용하였다. 그리고 지역 농민조합과 연대하여 자체 해소작업에 착수하였다. 그 결과 1931년 3월 진주농민조합에 청년부가 설치됨으로 진주청년동맹의 조직과 활동은 해소되기에 이른다. This study deals with youth movement in Jinju during 1920’s. The youth movement of Jinju proceeded in three steps. First, youth organizations appeared and made foundation of youth movement after 3ㆍ1 Movemet. At the time, the most representative organization was Jinju Youth Group(晋州靑年會). The second time was around 1924. At this point, the civil rights movement in Jinju was developed dynamically. Several socialist organization appeared and the most representative organization was Jinju Youth Federation(晋州靑年聯盟). But in 1926, the youth movement in Jinju sinked into recession because of various problems. So new trend led by Jinju Youth Goup in 1927 started to revive youth movement and that was the third time. Jinju Youth Group worked actively and absorbed other organizations under the name of ‘Unification’. Jinju Youth Union was created thanks to these process in 1928. This work proceeded smoothly and did not conflict with other forces because Jinju is close to Japan and so it is advantageous to receive advanced ideas. Jinju Youth Union faithfully performed the role without conflict or confusion. They established branches and promoted socialist movement in collaboration with other organization. They directed student movement and helped raising their awareness. But in the end of 1930, their activity became impossible because su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Eventually young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Jinju Farmer’s Union(晋州農民組合) and Jinju Youth Union was dissolved. In conclusion the youth organizations that emerged after 3ㆍ1 Movemet lobbied with changing their system. Sometime they sinked into recession but relatively worked without conflict. The youth movement of Jinju was exemplary case of local youth movement history in Korea

      • KCI등재

        진주권번의 활동과 의의

        김영희 ( Kim Younghe )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5 No.-

        진주의 기생들은 1913년에 진주예기조합을 설립하였고, 1927년에 진주권번을 설립되었다. 1939년에는 지역유지에 의해 주식회사 진주권번으로 전환 되었다. 본 논문은 진주권번의 설립, 운영, 교육, 공연, 예인, 종목에 대해 연구하였고, 진주권번은 진주 공연예술의 전통을 계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진주권번의 의의를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주권번은 진주지역 공연예술의 전통을 보존하고 전승시켰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검무, 경남 무형문화재 제3호 한량무, 경남 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포구락무, 경남 무형문화재 제21호 진주교방굿거리춤이 전승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진주권번은 논개를 기리는 ‘의암별제’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했고, 수행했다. 1920년에 진주권번 기생들이 먼저 의기사 중수를 위해 진주지역에서 발기회를 조직했고, 1927년에 제향을 올리기 시작했다. 의암별제는 진주 지역민과 진주 기생의 자긍심을 고취시켰다. 셋째, 진주권번은 진주검무라는 소중한 공연예술의 유산을 전승하였다. 진주검무는 의암별제의 의례 과정 중에 헌무(獻舞)로 추어졌기에 진주권번의 기생들은 반드시 검무를 익히고 춤추었다. 진주검무가 무형문화재로 지정 당시 기생 출신 예인으로 팔검무가 가능했던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넷째, 진주권번의 기생들은 1919년 진주의 만세운동에 앞장섰고, 진주의 요리옥이나 진주권번의 불합리한 운영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동맹파업을 하기도 했다. 진주권번의 기생들은 기생이라는 처지임에도 수동적이기보다 주체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일제강점기 기생의 지위가 낮았음에도 진주의 공연예술과 문화를 전승한 진주권번의 예인들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진주권번이 지킨 문화 유산들은 우리 전체의 문화 유산이라고 하겠다 The gisaengs of Jinju established the Jinju Yegi Association in 1913 and were founded as Jinju Kwonbeon in 1927. And in 1939 it was converted to Jinju Kwonbeon Co., Ltd.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This paper studied the establishment, operation, education, performance, artist and lepatoris of Jinju Kwonbeon, and confirmed that Jinju Kwonbeon inherited the tradition of Jinju performance art.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Jinju Kwonbeon is as follows. First, Jinju Kwonbeon preserved and handed down the tradition of performing arts in Jinju area. This is because Jinju Geommu as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Hanryangmu, Jinju Pogorakmu, Jinju Gyobang Gutgeori Dance as Gyeongnam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ere handed down. Second, Jinju Kwonbeon tried to revive the "Uiam Byeolje" in honor of Nongae and carried it out. In 1920, the Jinju Kwonbeon gisaeng first organized an erection meeting in the Jinju area for the reconstruction of Uigisa. In 1927, they began to perform ancestral rites. Uiam Byeolje inspired the pride of Jinju locals and Jinju gisaeng. Thirdly, Jinju Kwonbeon passed down Jinju Geommu, a precious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During the Uiambyeolje Festival, the geomancy of Jinju Kwonbeon always practiced sword dance and danced. When Jinju Geommu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it was not a coincidence that the Eight sword dance of the entertainers from Jinju Kwonburn was possible. Fourth, the gisaengs of Jinju Kwonbeon took the lea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Jinju in 1919, and raised questions about the unreasonable operation of Jinju's restraunt or Jinju Kwonbeon and staged an alliance strike. It is meaningful that the gisaengs in Jinju Kwonbeon showed their self-reliance rather than passive, even though they were gisaengs

      • KCI등재

        기획논문 : 진주와 남명학의 세계 ; <진주낭군>의 전승 양상과 서사의 의미

        김종군 ( Jong Kun Kim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이 논문은 서사민요인 <진주낭군>의 전승 양상과 그 서사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이 작품의 기원과 작품명을 확정하고, 이 민요의 분포상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전반적인 사설의 구조를 비교하여 표준형과 변이형을 구분하고, 그 변이 양상과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비극적 결말을 맞는 며느리의 삶을 통해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의 삶과 그 서사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진주낭군>은 진주 기생 월정화 고사에서 기원한 진주 지역의 노래라고 보아야 한다. 아울러 그 제목도 현재 통칭되는 <진주난봉가>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벗고, 서사에 담긴 의미를 충실히 표출할 수 있는 <진주낭군>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진주낭군>의 전승지역은 현재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파악하면 영호남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충청 이북권역으로는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은 특성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사설은 순차적인 단순구조로 표준형의 사설을 비교적 온전히 유지하면서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그렇지만 표준형의 사설에서는 완결된 서사 맥락을 파악하기에 부족함이 있어, 서두부의 사설이 확대된 변이형을 가지고 그 완형의 서사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보다면 <진주낭군>의 서사적 의미는 고된 시집살이를 참아가며 남편의 출세와 사랑을 기대했던 여성이, 생각 없이 무심하게 행동하는 남편에게 자결로써 강하게 항거하여 남편을 각성시키고 영원한 사랑을 역설적으로 희구하는 강인함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서사 의미는 영남(경북)지역 내방가사 중 <규원가>류의 서사적 의미와 상통하며 향유 의식도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진주낭군>의 전승이 경북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lluminate traditional aspects of an epic folk song <Jinjunanggun(진주낭군)> and its the meaning of narrative. First, confirm the origin of this work and title, will try to look at the distribution situation of this folk song. And by comparing the structure of overall song lyrics, divide standard pattern and variant pattern, and will check aspects of the variation and the meaning. In terms of content through tragic ending daughters-in-law`s life,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women`s life as underprivileged and meaning of the narrative. Proceeded to discuss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Jinjunanggun(진주낭군)> can be found at the <Woljeonghwa(월정화)> published 『Koryosa(고려사)』 「Akji(악지)」. Through it, can be estimated that <Jinjunanggun(진주낭군)> is the song occurred in Jinju region. Second, the most appropriate name designated this work is <Jinjunanggun(진주낭군)>.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work by focusing occurred area Jinju, mainly has been handed down in the adjacent central south region. Fourth, as the song lyrics have sequential structure and simple structure, little variation, in the process which is said it, primarily have maintained standard pattern. Fifth,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of this work can be said strong protest about her husband`s betrayed and unjust tyranny. However at the end, by the device that does not end with hate, protest, yet paradoxically, is longing for her husband`s love. Thes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is the point which equals with Zenana lyrics of women`s literature.

      • KCI등재

        경남 통영 해수양식진주의 광택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조현구 ( Hyen Goo Cho ),김순오 ( Soon Oh Kim ),도진영 ( Jin Young Do ) 한국광물학회 2015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8 No.1

        통영산 해수양식진주를 광택과 모양에 따라 광택이 좋고 둥근(LR; Luster Round) 진주, 광택이 나쁘고 둥근(LLR; LackLuster Round) 진주, 바로크(LLB; LackLuster Baroque) 진주, 이핵(LTN Lackluster Two Nucleus) 진주로 세분하여 비중 측정, 현미경관찰, X선 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관찰 등을 통해 진주의 광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택이 좋은 진주는 광택이 나쁜 진주에 비해 비중이 약간 낮았지만 모두 상업적인 진주의 비중 내에 포함된다. 진주층 단면의 두께는 광택이 좋고 둥근 진주는 0.3 mm 정도로 균질한 반면, 광택이 나쁘고 둥근 진주는 각각의 진주층 두께는 균일하나 광택이 좋고 둥근 진주에 비해 두께가 얇다. 이핵 진주와 바로크 진주는 한 진주 내에서도 진주층 두께 편차가 상당히 큰 경향을 보였다. 진주의 표면은 광택이 좋은 진주가 광택이 나쁜 진주에 비해 아라고나이트 결정의 성장선이 좁고 선명하다. 광택이 좋은 진주는 광택이 좋지 않은 진주보다 아라고나이트 결정층의 결함이 적으며 배열이 평행하며 두께가 더 얇고, 표면과 내부에서 두께 차이가 작다. 능주층이 있는 경우 능주층과 진주층에서 아라고나이트 이외에 방해석이 포함되며, 광택이 나쁜 경우 방해석 함량이 매우 높다. 능주층이 없는 진주에서는 광택 여부에 상관없이 방해석이 없고 모두 아라고나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A mineralogical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uster of pearls was carried out using gravity measurement, optical microscope observation,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 divided the seawater cultured pearls from Tongyeong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based on luster and shape; good luster and round (LR), lackluster and round (LLR), lackluster and baroque (LLB), and lackluster and two nucleus (LTN) pearls. Pearls with high-quality luster had slightly lower specific gravity as compared to pearls with low-quality luster, but both these types of pearls are within the specific gravity range of commercial pearls. Regarding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mother-of-pearl layer, LR pearls showed a uniform thickness of about 0.3 mm in average. On the other hand, LLR pearls wer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thinner, but uniform thickness. LTN and LLB pearls showed a tendency of significantly large variation in thickness even within a single pearl. For the surface of pearls, pearls with high-quality luster showed narrower and clearer growth lines of aragonite crystals as compared to pearls with low-quality luster. Pearls with high-quality luster were characterized by fewer aragonite crystal lattice defects as compared to pearls with low-quality luster, and the former showed parallel arrangement, thinner thickness, and less difference in thickness on the surface and inside. If a pearl has a prismatic layer, it is composed of aragonite with calcite in the prismatic and nacreous layer, and calcite content is very high in the lackluster pearl. Pearls without a prismatic layer were devoid of calcite irrespective of their quality of luster, and were composed of aragonite.

      • KCI등재

        연구논문 : 일제하 진주지역 천도교(天道敎)의 문화운동

        김희주 ( Hee Ju Kim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5 No.-

        이 글은 진주지역에 천도교구가 성립되는 과정과 3.1운동 이후 교단이 추진하였던 문화운동의 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천도교의 뿌리인 경남서부지역의 동학은 1880년대 중반 진주 서안에 위치한 덕산에서 먼저 세력을 형성하였다. 호남과 인접한 덕산은 동학의 수용과정에 전라좌도, 즉 남접의 영향을 직접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덕산의 동학은 진주로 전파되어 1890년 이후 이 지역에 접소가 설치되었다. 1894년 농민항쟁을 거친 진주의 동학은 20세기 초 민회운동에 참여하면서 전기를 맞게 된다. 1904년 9월부터 주로 통문을 통해 진보회의 취지를 전하고 결성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그리하여 대략 10월 초에 진보회 진주지회가 조직된 것으로 보이며 같은 달에 집회가 개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관의 지속적인 방해와 함께 일진회 세력이 대두되자 그 해 연말 회원 상당수가 일진회에 흡수되기에 이른다. 1906년 동학은 천도교로 개명하고 일진회 세력을 축출한 후 23개의 지역 대교구를 설립하였다. 이때 진주는 영남에서 유일하게 대교구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진주지역 천도교단이 공식적으로 성립된 시점도 이로부터 보아야 할 것이다. 교구의 구성원은 1894년 9월 기포에서 ‘고승당산 전투’, 민회운동까지 경험하였던 지역 동학의 1세대들이 주를 이루었고, 중심인물은 전희순이었다. 진주대교구는 1914년 7월에 와서 7개의 산하교구를 관할하는 거점교단으로 재편되었다. 여기에는 당시까지 진주가 도청소재지로 경남지역 행정, 문화의 중심지였다는 사실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1910년대 진주교구는 교단을 정비하고 교직을 확충하며 세력증대를 기하였으나 기대만큼의 결과를 이루지 못했다. 따라서 3.1운동에서 진주의 천도교는 세력화되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였고 역할도 미미했다. 하지만 그로 인해 교단의 피해가 크지 않았다는 사실이 이후 이 지역 천도교가 약동할 수 있었던 조건이 되었다. 3.1운동 직후 중앙총부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진주에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가 조기 설치되었다. 1920년 4월 이를 개편, 발전시킨 진주천도교청년회가 성립되면서 지역 천도교의 문화계몽운동은 본격화되었다. 부인야학부를 시작으로 노동야학, 전교실, 강습소 건립 등 3.1운동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교육전도활동이 활기를 띠게 된다. 계몽운동의 전파수단이었던 강연회도 지역민의 관심 속에 성행하였다. 강연회는 초청인사뿐 아니라 진주교구의 간부들도 참여하여 호응을 받았다. 소년운동도 진주는 소년회를 전위로 한 천도교의 조직이 흐름을 좌우하였다. 천도교소년회를 제외한 일반 소년단체들은 진주지역에서 유명무실하였다. 지역사회에서의 존재감은 크지 않았으나 진주의 천도교는 대교구 설립 이후 단절 없이 교단의 기반을 유지하여 갔다. 그러한 토양위에 3.1운동 이후 박태홍, 김의진, 고경인 등 사회의식을 가진 일단의 ‘참여파’ 교인들이 가담하였다. 이들의 등장에 따라 진주지역 천도교의 대외인식과 활동지평도 한층 확장될 수 있었다. This study deal with establishing process and cultural movement of Chendo-gyo religious in Jinju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Dong hak that origion of Chendo-gyo was formed in Dugksan to the west of Jinju. so it was known throughout Jinju and being organized after 1890. Dong hak hsa changed to Chendo-gyo and founded local diocese of twenty three in 1906. That time uniquely Jinju had establis archdioceses in Gyeongsangnam-do. The meaningful members of diocese was pioneer of Dong hak in Jinju and central figure was Chen Hee Soon. The archdioceses of Jinju has grown a base wich had 7 dioceses in Gyeongsangnam-do in 1914. They fail to align an organization and expand a base, even though they made a grate deal of effort to do these thing for the entire 1910`s. As a result, Chendo-gyo of Jinju didn`t perform an important role in the 3.1 movement. However, it helped Chendo-gyo to make even batter grouth in this region sinse the damage was not grate. When Jinju Cheondo-gyo youth group was formed, the cultural movement began to germinate. Starting from night schools, temples and schools of doctrine were built one after another. Academic lectures, which were means of the cultrual movement, were very popular in the interests of people. The movement of the youth were also led by Cheondo-gyo in Jinju. All the young groups had little activity, except for Cheondo-gyo young group. Although Cheondo-gyo didn`t have a big sense of existence in Jinju, they have kept their base without a break since their foundation. Based on the condition, some people with social consciousness took part in Cheondo-gyo.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Cheondo-gyo could make a progress more and more in Jinju.

      • KCI등재

        일제하 진주지역 天道敎의 문화운동

        金希柱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5 No.-

        이 글은 진주지역에 천도교구가 성립되는 과정과 3.1운동 이후 교단이 추진하였던 문화운동의 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천도교의 뿌리인 경남서부지역의 동학은 1880년대 중반 진주 서안에 위치한 덕산에서 먼저 세력을 형성하였다. 호남과 인접한 덕산은 동학의 수용과정에 전라좌도, 즉 남접의 영향을 직접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덕산의 동학은 진주로 전파되어 1890년 이후 이 지역에 접소가 설치되었다. 1894년 농민항쟁을 거친 진주의 동학은 20세기 초 민회운동에 참여하면서 전기를 맞게 된다. 1904년 9월부터 주로 통문을 통해 진보회의 취지를 전하고 결성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그리하여 대략 10월 초에 진보회 진주지회가 조직된 것으로 보이며 같은 달에 집회가 개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관의 지속적인 방해와 함께 일진회 세력이 대두되자 그 해 연말 회원 상당수가 일진회에 흡수되기에 이른다. 1906년 동학은 천도교로 개명하고 일진회 세력을 축출한 후 23개의 지역 대교구를 설립하였다. 이때 진주는 영남에서 유일하게 대교구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진주지역 천도교단이 공식적으로 성립된 시점도 이로부터 보아야 할 것이다. 교구의 구성원은 1894년 9월 기포에서 ‘고승당산 전투’, 민회운동까지 경험하였던 지역 동학의 1세대들이 주를 이루었고, 중심인물은 전희순이었다. 진주대교구는 1914년 7월에 와서 7개의 산하교구를 관할하는 거점교단으로 재편되었다. 여기에는 당시까지 진주가 도청소재지로 경남지역 행정, 문화의 중심지였다는 사실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1910년대 진주교구는 교단을 정비하고 교직을 확충하며 세력증대를 기하였으나 기대만큼의 결과를 이루지 못했다. 따라서 3.1운동에서 진주의 천도교는 세력화되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였고 역할도 미미했다. 하지만 그로 인해 교단의 피해가 크지 않았다는 사실이 이후 이 지역 천도교가 약동할 수 있었던 조건이 되었다. 3.1운동 직후 중앙총부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진주에 천도교청년교리 강연부가 조기 설치되었다. 1920년 4월 이를 개편, 발전시킨 진주천도교청년회가 성립되면서 지역 천도교의 문화계몽운동은 본격화되었다. 부인야학부를 시작으로 노동야학, 전교실, 강습소 건립 등 3.1운동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교육전도활동이 활기를 띠게 된다. 계몽운동의 전파수단이었던 강연회도 지역민의 관심 속에 성행하였다. 강연회는

      • KCI등재

        담수진주의 보석학적 특성과 진주주얼리 디자인 제안

        김경진(Kyung-Jin Kim),김혜연(Hea-Ye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1

        주얼리 산업은 점차 다이아몬드와 진주의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활기를 띄고 있으며 최근의 진주 시장은 여러 종류의 진주들이 수입되어 규모가 확대되었다. 이에 진주의 보석학 특성을 파악하고 진주의 새로운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는 양식진주 중 흑회색(그레이)계열과 브라운계열의 담수진주를 보석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염색처리한 담수진주로 판명되었다. 현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초콜릿브라운과 그레이계열의 진주비즈를 사용한 디자인을 제안하고 CAD/CAM작업을 통한 예물 컨셉의 진주주얼리 디자인을 제안한다. With Jewelry industry is becoming active with gradual increase of transactions of pearl and diamond. The pearl market of recent times the size of that market was magnified because the pearls of various type are imported. The necessity of new design development and grasps properties of pearl is demanded clearly because like that. This research analyzed the cultivated brown pearl and black pearl which is sold from market with gemological Analysis. As result, it is ascertained the dyed fresh water pearl. I suggest the design which uses the chocolate brown color pearl beads which the consumers prefer and another pearl design which is concept of wedding gift through CAD/CAM works.

      • KCI등재

        운창 성계옥과 진주교방춤 복원의 의의

        성기숙 ( Sung Ki-sook )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5 No.-

        진주지역의 춤의 명인 운창(芸窓) 성계옥(成季玉, 1927-2009)은 경남 산청의 유학자 집안 출신으로 교편생활을 하다가 진주권번 출신 예인들에게 입문하여 본격적으로 춤을 체득하여 진주검무(晋州劍舞,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 진주한량무(晋州閑良舞,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의 예능보유자로서 진주교방춤의 보존 계승에 헌신하였다. 그는 무악(舞樂)뿐만 아니라 시서화(詩書畵)에도 두루 능통하여 팔방미인으로 통했다. 성계옥은 진주민속예술보존회를 이끌면서 진주한량무(제3호), 진주포구락무(晋州抛毬樂舞, 제12호), 진주선악(晋州仙樂) 등 진주교방춤을 발굴, 복원하여 경상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데 산파역할을 하였다. 또 임진왜란 때 나라를 위해 목숨을 버린 의기(義妓) 논개의 충절을 기념하기 위해 진주의암별제(晋州義巖別祭)를 복원하여 봉행하는 등 진주지역 전통춤 발전에 일생을 바친 선각자라할 수 있다. 성계옥에 의한 진주교방춤과 진주의암별제의 발굴 및 복원은 조선후기 정현석이 쓴 『교방가요(敎坊歌謠)』(1872) 문헌을 토대로 학술적 고증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있다. 고종 9년(1872) 진주목사 정현석이 쓴 『교방가요』는 조선후기 진주교방의 예악문화와 악가무, 그리고 선비들의 풍류세계를 가늠할 수 있는 귀중한 문헌으로 평가된다. 진주교방에서 전습된 악가무에 대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공연예술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교방가요』에 수록된 춤종목은 육화대(六花隊), 연화대(蓮花臺), 헌반도(獻蟠桃), 고무(鼓舞), 포구락(抛毬樂), 검무(劍舞), 선악(船樂), 항장무(項莊舞), 아박무(牙拍舞), 향발무(響鈸舞), 황창무(黃昌舞), 처용가무(處容歌舞), 의암별제가무(義巖別祭歌舞), 승무(僧舞) 등이다. 그밖에도 가곡과 가사, 판소리, 잡희, 잡요, 단가 등 음악과 다양한 춤에 대한 악부시체의 한역시와 함께 그 연행모습이 컬러 채색화로 그려져 있어 시각적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춤의 원형 복원에도 더없이 긴요한 문헌이라 할 수 있다. 『교방가요』는 한학에 조예가 깊었던 성계옥과 인연이 닿으면서 책 속의 옛 진주교방춤이 발굴, 복원될 수 있었다. 성계옥의 예술적 업적과 의의를 요약하면, 첫째, 『교방가요』에 토대한 진주교방춤의 발굴 및 복원을 통한 무형유산 전승에 기여한 점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조선후기 궁중정재가 진주지방으로 이식되면서 속화(俗化)된 양식적 변이양상을 조망케 한다는 점에서 무용사적으로 의미있는 업적이라 간주된다. 둘째, 임진왜란때 순국한 의기(義妓) 논개의 충절을 기리는 제례의식무인 의암별제를 발굴, 복원한 점을 들 수 있다. 『교방가요』의 해석을 통해 복원된 의암별제는 진주를 대표하는 전통예술축제로 자리매김되었다. 셋째, 진주민속예술보존회 활동을 통한 지역의 전통예술 보급과 확대 및 활성화를 견인하여 예향 진주의 브랜드 가치를 극대화하는 등 지역 문화계 지도자로서의 업적을 들 수 있다. 넷째, 성계옥은 단지 무용실기인의 범주를 넘어 학자이자 기획가, 행정가라도 해도 손색이 없다. 진주교방춤이 발굴, 복원되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까지에는 성계옥의 치밀한 기획력과 탁월한 역량에 힘입은 바 크다. 그는 『의암별제지(義巖別祭誌)』(1987) 발간을 비롯 차옥수와 공저로 『진주검무(晋州劍舞)』(2002)를 펴냈으며, 또 지난 2006년에는 증보판 『의암별제지(義巖別祭誌)』를 편찬하는 등 저술작업에도 의미 있는 족적을 남겼다. Unchang (芸窓) Sung Gye-ok (成季玉, 1927-2009), a master of dance in Jinju, is from a family of Confucian scholars in Sancheong, South Gyeongsang Province. During her teaching career, she was introduced to dance in full swing by the entertainers of Jinju Gweonbeon (Jinju Women Entertainers’ Union). She devoted herself to the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Jinju Gyobang dance as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word dance of Jinju (晋州劍舞,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2), Hanryang dance of Jinju (晋州閑良舞, Gyeongsangnam-do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3). She was widely versed in traditional court dance music (舞樂) as well a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詩書畵), thus she was known as a proficient person in many fields. Sung Gye-ok led the Jinju Folk Art Conservation Society to discover and restore Jinju Gyobang dances such as Hanryang dance of Jinju (No. 3), Pogurak dance of Jinju (晋州抛毬樂舞, No. 12) and Seonak dance of Jinju (晋州仙樂). She played a midwife role in designating these dances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Gyeongsangnam-do. She was also a visionary who devoted her life to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dance in Jinju, including the restoration and performance of Jinju Uiam Special Rite (晋州義巖別祭) to commemorate the loyalty of Nongae, a righteous gisaeng (義妓) who died for the countr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discovery and restoration of Jinju Gyobang dance and Jinju Uiam Special Rite by Sung Gye-ok is meaningful in that they were based on academic research based on the literature Gyobang Gayo (『敎坊歌謠』, 1872) written by Jung Hyeon-se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Gyobang Gayo, written by the Governor of Jinju Mok, Jung Hyun-seok in the 9th year of King Gojong (1872), is evaluated as a valuable document that can gauge the art culture and music of Jinju Gyob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well as the scholars’ taste for the arts. The historical value as a performing art is very high in that it is a record of the music dance transmitted in Jinju Gyobang. The dance categories in Gyobang Gayo are Yukhwadae (六花隊, dance with six flowers), Yeonhwadae (蓮花臺, lotus pedestal dance), Heonbando (獻蟠桃, peach offering dance), drum dance (鼓舞), Pogurak (抛毬樂), sword dance (劍舞), Seonak dance (船樂, sailing boat dance), dance of Xiang Zhuang (項莊舞), Abak dance (牙拍舞, dance with musical instrument Abak), Hyangbal dance (響鈸舞, dance with musical instrument Hyangbal), Hwangchang mask dance (黃昌舞), Cheoyong songs and dances (處容歌舞), songs and dances of Uiam Special Rite (義巖別祭歌舞), Buddhist dance (僧舞), etc. In addition, this document not only describes the music and dance of traditional vocal songs, Gasa (essay in verse), Pansori, performing arts, popular folk songs, Dan-ga (short version of Korean traditional three-verse poem), etc., in Chinese translated poems in Akbu poem-style, but also depicts their production and performances in color paintings. So it is not only a visually essential material but also an essential literature for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dance. The reason it was able to discover and restore the ancient dances of Jinju Gyobang through the book Gyobang Gayo was related to Sung Gye-ok, who was well versed in Chinese classics. To sum up the artistic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of Sung Gye-ok, first, it can be pointed out that she contributed to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heritage through the discovery and restoration of Jinju Gyobang dance based on Gyobang Gayo. This is considered a meaningful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dance in that it allows us to see the mutation of the style in a secular way (俗化) caused by the transplantation of court music into Jinju reg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cond, the discovery and restoration of Uiam Special Rite, a ritual dance dedicated to commemorate the loyalty of Nongae, a righteous gisaeng (義妓) who died for the countr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Restor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Gyobang Gayo, Uiam Special Rite was established as a traditional art festival representing Jinju. Third, her achievements as local cultural leader can be cited. For example, the activities of the Jinju Folk Art Conservation Society that have led to the dissemination, expansion, and activation of local traditional arts, thereby maximizing the brand value of Jinju, the hometown of art. Fourth, Sung Gye-ok goes beyond a simple dancer. She was a flawless scholar, planner and administrator. From the discovery and restoration of Jinju Gyobang dance, until it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ng Gye-ok's meticulous planning skills and outstanding abilities wielded great power. In 1987, she published Uiam Special Rite Magazine (『義巖別祭誌』), and Sword dance of Jinju (『晋州劍舞』) with co-author Cha Ok-su, in 2002. In 2006, she wrote an additional edition of Uiam Special Rite Magazine (『義巖別祭誌』), thus leaving meaningful marks on her writing activities.

      • KCI등재

        진주의 강역과 하부조직의 시기별 변화

        심혜영 ( Hyae Yeong Shim ),김준형 ( Jun Hyeong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진주의 역사와 문화의 특징을 언급할 때 흔히 거론되는 것 중에 ‘南冥學派의 본고장’, ‘1862년 농민항쟁의 선구적 지역’, ‘1894년 경남 서부지역 동학농민전쟁의 본거지’라는 표현들이 있다. 이런 상징적 표현은 진주의 강역이 조선시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변해왔음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고려시대에 진주는 경상도 界首官의 하나로서 경남 서부지역을 통할하는 지방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하면서 여러 고을을 통할하였다. 또한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많은 屬邑과 鄕ㆍ所ㆍ部曲 등의 任內를 고을 예하에 두고 있었다. 예종대 이후 진주목의 일부 속읍들이 독립해 나가기는 했지만, 昆明縣 등의 여러 임내가 조선왕조 초기까지 남아 있었다. 조선 건국 후에도 여전히 넓은 강역을 차지하고 있었던 진주는 여러 번에 걸쳐 그 강역이 축소된다. 1419년 진주의 속현 중 하나인 곤명현이 분리되고, 이후 진주 예하의 金陽部曲을 흡수하여 昆陽郡으로 독립해 나갔다. 조선후기 숙종대에 들어와서도 섬진강 일대의 관방을 강화하면서 진주목의 적량ㆍ진답ㆍ화개현ㆍ악양리가 하동으로 이속되었다. 을사조약 직후인 1906년 일제는 합리적인 지방제도 개혁을 내세우며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추진하게 되는데, 이때 진주의 강역은 대폭 축소된다. 즉 진주의 75면 중 25개 면이 산청ㆍ하동ㆍ고성ㆍ사천ㆍ남해ㆍ함안 등 주변지역으로 이속된다. 또 한일합방 직후인 1914년에는 전국의 군과 면ㆍ리를 통폐합하여 군과 면의 수를 크게 줄이는데, 이때에도 진주군의 영역 중 일부는 사천군으로 이속되었고, 1906년 진주에서 함안군으로 이속되었던 지역이 다시 진주로 편입된다. 이처럼 진주의 강역은 여러 시기에 걸쳐 점차 축소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When the history and culture of Jinju are mentioned, it is usually said that Jinju is ‘the place of origin of Nammyung school’, ‘pioneering region of farmers’ resistance in 1862’, and ‘the place of origin of Donghak(東學) peasant’s uprising in the western part of Kyungnam in 1894’. These symbolic expressions would be hard to understand without assuming that the territory of Jinju went through many changes from Joseon era to the modern era. In the era of Goryeo, Jinju was one of Gyesugwan(界首官) in Gyeongsang province, and played the central role in local administration and governing of many villages. In addition, it governed many Imnae(任內)s such as Sokeup(屬邑), Hyang(鄕)ㆍSo(所)ㆍBugok(部曲) to which local officials were not dispatched. Since the era of Yejong, some Sokeups in Jinju became independent, but many Imnaes such as Gonmyunghyun(昆明縣) remained until early Joseon Dynasty.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Joseon, Jinju occupied large territory, but the territory became reduced many times. In 1419, Gonmyunghyun, one of Sokeups in Jinju was separated, since then, Geumyang Bugok(金陽部曲) under Jinju was absorbed, and became independent to be Gonyang-gun(昆陽郡). In the era of Sukjong in the late Joseon, as the defense near Seomjin river was strengthened, Jeokryang(赤良)ㆍJindap(陳畓)ㆍHwahae(花開)ㆍAkyang(岳陽) were placed under Hadong(河東). In 1906, right after Eulsa Treaty, Japan promoted rational local governing system and pushed for rearrangement of administrative area, and the territory of Jinju at that time was largely reduced. In other words, 25 myuns of 75 were placed under nearby areas such as Sancheong(山淸)ㆍHadongㆍGoseong(固城)ㆍSacheon(泗川)ㆍNamhae(南海)ㆍHaman(咸安). Moreover, in 1914, right after the treaty annexing Korea to Japan, myunㆍri(面里) across the nation were merged or abolished, resulting in the large degrease of the number of gun and myun. At that time, some part of Jinju territory was placed under Sacheon-gun, and the area which was placed under Haman from Jinju in 1906 was merged into Jinju again. As these suggest, Jinju territory was reduced many times to become the current territory.

      • 춘당(春堂)김수악 춤의 예술화 과정 연구

        김미숙,민성희 영남춤학회 2015 영남춤학회誌 Vol.3 No.2

        본 연구는 영남 교방춤의 한 근원인 김수악의 생애와 예술관을 살펴보고,그의 춤 가운데 전승적 전통성을 지닌 진주교방굿거리춤과 진주검무,진주살풀이춤의 형성 및 예술화 과정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진주 교방춤과 무형문화재에 관한 선행연구 및 기고문,언론기사와 국립예술자료원에 소장된 김수악의 증언을 참고하여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 인문학적 방법을 채택하였다. 김수악은 예인이 춤에 담아내는 7가지 덕목을 마음,정신,공력, 인내,한,멋, 혼이라 지칭하였다. 이는 노자의 ‘무위자연’의 도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의 예술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의 예술관은 후학들의 지침이 되었으며 진주 교방춤이갖는 가치관이 되었다. 그의 대표적 춤인 진주검무와 진주교방굿거리춤,진주살풀이춤의 형성 및 예술적 형상화 과정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김수악이 진주 교방춤을 그대로 습득하여 보존한 것이 아니라 본인만의예술로 발전시켰다. 둘째,즉흥성이 강한 기방계열의 춤을 공연예술로 승화시키고 일부 문화재로 지정받을 정도로 격상시켰다. 셋째,그의 전승활동 또한 후학양성을 통해,혹은 학교 및 보존회를 통해 진주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춤 전문인을 배줄하였다. 이와 같이 그의 춤은 진주지역을 넘어 영남춤,더 나아가 한국 민속춤의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진주지역의 예술에 대한 그의 노력이 예술적 가치와 의의를 높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life and art view of Kim, su~ak, an origin of Yeongnam Gyobang dance, and considered formation and artistic activity process of Jinju gyobang gutgeori dance, Jinju geommu, and Jinju salpuri dance, which have folklore traditionally among his dances. As the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selected humanistic method mainly with literature research by referring to the advanced research, contribution, news article on Jinju gyobang danc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Kim, su-ak's testimony owned by National Art Archive. Kim, su-ak named 7 virtues that the artist contained in dance i.e. heart, spirit, Buddhist merit, patience, resentment, charm, and soul. This contained Lao-tzu's principle of 'Muwijayeon', which was reflected on his art as it was. His art view became the guide to the future students, also, value view of Jinju Gyobang danc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formation and artistic embodiment process of his representative dances, i.e. Jinju geommu, Jinju gyobang gutgeori dance, and Jinju salpuri dance. First, Kim, su-ak did not just accepted and preserved Jinju gyobang dance as it was, however he developed it as his own art. Second, he sublimated impromptu gibang dance into performance art, and enhanced some of them which were nominated as cultural assets. Third, he produced dance professionals in the whole country, as well as Jinju region, through transmission society or younger generation training, or school and preservation society. This way,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his dance had historical value of Yeongnam dance beyond Jinju region, furthermor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his efforts for Jinju art raised artistic value and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