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의식의 변동에 관한 사회학적 해석 : 직업특성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서우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다양한 직업특성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직업의식의 변동에 관한 사회학적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론적인 설명으로서는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 지식정보사회로의 직업구조변화에 따른 사회구조적 변화와 탈물질주의 가치관, 여가 중요도 증가, 연령대별 하위문화형성에 따른 문화적 변동이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06년 직업의식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젊은 층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전문관리직에 속해 있는 경우 내재적 외재적 직업특성을 중요시하는 절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사회구조적 변화가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탈물질주의 가치관은 내재적 직업특성의 중요도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여가중시 경향은 내재적 외재적 직업특성 모두의 중요도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령대별 하위문화의 영향은 내재적 특성에서 두드러지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resents sociological analysis on changes in job consciousness centering o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various job characteristics, Possible influences of increase in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changes in social structure due to the job structure changes in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postmaterialistic value, increase in importance of leisure, cultural changes due to formation of generational subculture were presented as theoretical explan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usign the 2006 KRIVET survey data, younger group, higher education level group and professionals tended to set high value on internal and external job characteristics. The influence of change in social structure on job consciousness was observed. And also the postmaterialistic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internal job characteristic importance and the tendency to put more importance on leisur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job characteristic importance

      • KCI등재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서울 소재 S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박윤희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1

        This study is about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career exploration and work experienc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mpact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of career exploration and indirect work experienc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the 3rd year 254 students who had taken a career and career choice courses were selected at the S university in Seoul in 2014.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e and post survey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were analyzed and open survey on indirect work experience was investigated for career conscious change of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xploration and work experience program impacted on the significant change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about career conscious changes through indirect work experience, the subjects understood the need to do to prepare for employment through the acquisition realistic career information, had set clear goals and to establish an action plan. Another was confident and positive thinking and could also form human networks. The career exploration and work experience program should be operated at the universities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orrect career choice and career realization. Also, indirect work experience through interview with professionals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of internship.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 관한연구로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간접적 직업체험을 통한 진로의식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위하여 2014년 1학기 서울 소재 S대학교에서 진로와 직업선택 교과목을 수강한 3학년 학생25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사전 사후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간접적 직업체험 실시 후 개방형설문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진로의식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은 대학생의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방형 질문지의 응답내용을 토대로 간접적 직업체험을 통한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현실적인 직업정보 습득을 통해 취업을 위해 준비해야할 사항에 대해 이해하였으며,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 또 취업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고 취업을 위한 인적네트워크도 형성할 수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인과의 만남을 통한 간접적 직업체험을 포함하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한 것으로 학생들에게 올바른 진로선택과 진로실현의 기회를 제공하기위해 대학은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다루는 학사운영을 보다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또 대학생들이 인턴십 기회를 갖기 어려운 현실에서 직업인과의 만남을 통한 간접적 형태의 직업체험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들의 직업인성에 대한 고찰-인문교육의 필요성 제언-

        권오상 ( Kwon O-sang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6 철학 실천과 상담 Vol.6 No.-

        현재 우리나라에 들어온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약 3만 명에 가깝다. 이 글은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에 들어와 직업교육을 받고 직업생활을 하면서 형성되는 직업의식을 고찰해 보고, 남한에서 보다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해 보기 위한 것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에서의 삶뿐만 아니라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에 들어오는 과정에서 많은 고통과 마음의 상처를 갖게 되며, 그러한 마음의 상처는 남한에 정착하여 직업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많은 영향을 준다. 또한 그들은 남한에서의 직업생활에서 차별적 대우, 의사 소통의 어려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런데 그들이 남한에서 받는 직업교육은 주로 직업생활을 위한 기능적 측면에 치우쳐 있어서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영국 등 서구 국가들은 개인의 직업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능위주의 직업교육과 더불어 인문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에 정착하여 살면서 그들의 상처를 치유함과 동시에 보다 긍정적인 측면의 직업 경쟁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는 인문교육이 필요하다. Recently,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amount to 30000. This thesis inquires into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prepare a stable vocational life of them. They undergo much sufferings and have illness in their mind in the process of exodus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Especially, the illness in their mind have a bad effect on resettlement and vocational life in South Korea. And They are hard put to it through discrimination and communication in South Korea. But vocational training that they receive in South Korea has limitations for a biased on the functional aspect. Consequently,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have a limitation for the healing of them. Recently, the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emphasize the humanities curriculum with the vocational training for the voc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individual. In those sense, the humanities curriculum is need for the healing of illness of the mind and voc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North Korean refugees.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2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정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86 No.-

        이 글은 여성을 둘러싼 일·가족 양립 문제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문제가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라는 역사적 맥락 위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일과 가족을 둘러싼 담론의 변화, 여성 노동시장 구조와 경제활동 형태의 변화,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라는 세 차원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담론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 상승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로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했지만,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 모색 없이 여성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담론이 형성되었다. 두 번째 여성 노동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1980년대 중반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급증했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여성 취업자의 연령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3차 산업으로의 집중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출생코호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고 M자형 곡선도 완만해지는 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과 직업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면, 여성의 경력지속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 경력지속의 장애요인에 대해선“육아부담”이라는 응답이 최근으로 올수록 오히려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코호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출생코호트가 다른 출생코호트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었으며, 남성 일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가족 양립 문제가 시대적으로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세대에 따른 차이도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1980년대 중반 이후 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젊은 세대들은 여성도 대학에 진학해서 졸업과 동시에 직업을 갖는 것이 당연한 생애경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높은 경제활동참가율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에 대한 높은 열망과는 다르게 결혼‧출산‧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 지속이 어려운 현실은 여전하다. 이렇듯 여성들이 경험하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최근세대로 올수록 더 커지고 있고, 이러한 괴리감으로 인해 여성들이 느끼는 일과 가족을 둘러싼 갈등의 체감지수는 이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와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issues. First, discourses on women's work have been changed since 1980s. Because of rapid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level, work-family balance issues became social issues but the problem were commonly considered an woman's personal matter. Second, in terms of women's labor market structure, in recent day the elder women over 40 years old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women employed in service industry have increased more than 80 percent. And the result of birth-cohort analysis to investigate generational differences shows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birth-cohort after 1970 has been higher and M-curve as an index of women's career interruption has been more gentle than earlier birth-cohort. Finally, in regard to social awareness of women's work, most people agreed that career development is just as important to women. However, many people thought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were still the strongest factor to interrupt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rk-family balance issues have been changed chronologically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tions(or birth-cohorts). Under the influence of recent changes in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re very strong but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are also very strong. Therefore, to solve work-family balance issues 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bor policies for women considering chronological change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 KCI등재

        실습을 통한 예비 행동지도사의 인식변화 연구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조정연 ( Jung Yeon Cho ),이성호 ( Seong Ho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2013년 3월부터 12월까지 행동치료 실습에 참여한 학생들 10명을 대상자로 하여 행동치료 실습 전.후 인식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식의 변화를알아보기 위한 연구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 된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면담자료를 전사하여 분석자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 학생들은 실습을 통해 대상자의 문제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행동지원의 이론과 가치에 대한 방향모색을 하였고, 후에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행동치료 직업의식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향후 행동치료실습과 예비행동지도사로서의 가치관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change before and after behavior therapy practices over the subjects of 10 students participating in behavior therapy practices from March to December 2013.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of perception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data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is to transcribe interview data and then perform the qualitative analysis using investigator triangulation. The results of such qualit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Participant students explored the directions of theories and values on behavior support to change subjects`` problem behaviors through practices, and then positively changed their perceptions on problem behaviors, and established the job consciousness of behavior therapy.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behavior therapy practices in the future and the formation of value view as prospective behavior instructors.

      • KCI등재

        실습을 통한 예비 행동지도사의 인식변화 연구: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조정연,이성호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change before and after behavior therapy practices over the subjects of 10 students participating in behavior therapy practices from March to December 2013.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of perception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data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is to transcribe interview data and then perform the qualitative analysis using investigator triangulation. The results of such qualit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Participant students explored the directions of theories and values on behavior support to change subjects' problem behaviors through practices, and then positively changed their perceptions on problem behaviors, and established the job consciousness of behavior therapy.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behavior therapy practices in the future and the formation of value view as prospective behavior instructors. 본 연구는 2013년 3월부터 12월까지 행동치료 실습에 참여한 학생들 10명을 대상자로 하여 행동치료 실습 전․후 인식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 된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면담자료를 전사하여 분석자 삼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 학생들은 실습을 통해 대상자의 문제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행동지원의 이론과 가치에 대한 방향모색을 하였고, 후에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행동치료 직업의식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향후 행동치료실습과 예비행동지도사로서의 가치관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