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朱子家禮』에 내재된 方位觀과 秩序儀式에 관한 연구 — 通禮 및 冠禮와 昏禮를 중심으로 —

        지현주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4 No.-

        주희의 『가례』는 통례 및 관혼상제의 의식절차와 의식행위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의식과 절차의 大意는 宗法을 위주로 한다고 그의 제자인 황씨는 전한다. 이 점에 있어서 본고는 『의례』를 經으로 삼고 俗禮를 절충한 주자가례의 질서의식이 과연 종법의 질서에 따른 의식인가를 문제 삼았다. 고례와 家禮書에 흐르는 위계질서가 종법이라면 방위로써 규정한 의식은 무엇을 가리키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종법의 위계질서로 말해지는 유가의 의례가 과연 천지자연의 권위에 의탁한 결과라면 이 천지자연과 방위는 어떤 관계로 설정되었는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물음에서 본고는 우선 방위가 예제의 도구로 쓰인 점에 주목하였고, 禮書에서 방위배열로서 위계질서가 천문현상과 관련이 있음을 주자가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허다한 典禮가 모두 하늘이 드러내지 않은 것이 없다는 禮制에 대한 담론이 실제로 하늘이 드러낸 것인가에 의문을 가지면서 방위로 구분되는 천문현상을 통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지학적 검증이 일차적으로 요구되는데 반드시 유가의 글이 아니어도 무방할 것이다. 왜냐하면 고대 중국의 자연현상을 관측한 기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실 주로 도가에서 자연 및 천문현상을 관찰하였는데 東晋代 葛洪의 天論에는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가운데 南中하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천체의 관측 현상은 오늘날에는 천체의 겉보기 운동으로 동일하게 보이며 ‘日週運動’이라 불린다. 본고는 천체의 운행 현상에 따라 구분된 방위배열이 가공동체의 위계질서와 의식행사별 제자리에 적용된 질서의식이라는 점에서 주자가례를 파악하였다. 예컨대, 관자의 자리에서 長子와 衆子를 구별하여 정한 위치와 주인⋅주부의 東階와 西階에서 동서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원리를 천체의 일주운동에서 찾을 수 있었다. 특히 북극성은 우주방위 및 사방위의 중심이 되어 천자, 군자, 왕, 종가에서 조상신의 방위는 북쪽에서 남향하게 되었다. 그래서 제천의례이든, 관혼상제이든지간에 모든 의례에는 하늘과 인간의 합일을 지향하는 뜻이 있다. 따라서 예의 근원에 하늘이 있고 하늘을 본받은 뜻이 의례의 방위관과 질서의식에 내재되어 있음을 주자가례에서 밝혔다. 본고는 기존의 고전 의례연구에 더하여 천문현상으로서의 天然의 질서의식을 검토하였으며, 이것은 예학연구의 실증적 방법이며 학제간 연구에 해당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가례』의 의례의식에도 유교의 천인합일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가례』의 의식 절차와 행위 양식에 있어서는 방위에 내재된 질서의식을 통해 나누어지고 모이고 나열되는데 이 부분은 주로 천체의 일주운행으로 실증하였다. 이러한 운행질서에 따른 의식의 방위배열은 각 편의 의식을 특징적으로 분류한 기준이 되었다. 그리고 본고는 『가례』에서 의식의 형식인 방위를 方과 位의 결합으로 그 뜻을 구분하였고 이를 천연의 질서와 인간의 질서를 결합시킨 용어로써 해석하였다. 따라서 주자가례는 종법의 의례의식이면서 천문현상으로 밝혀진 방위관념에 따라 천연의 질서를 본 딴 질서의식이라 할 수 있으며, 주자가례에 드러난 위계질서는 천문현상이라는 천연의 질서가 내재된 본체 위에 종법의 옷을 입은 인문의 질서라고 할 수 있다. Li(禮) is the projected natural & spatial order onto humanity. According to Korye[old-Li],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is a kind of Li, made by the Saint, because of teaching a rite of passage[冠昏喪祭]. Common compass[方位] from Korye[old-Li] to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can be described from its content of Zhu-xi's Family Courtesy. It will verify what formality of Karye[家禮] makes up the compass, and verify to be a principle as a phenomenon from the astronomical phenomena.[天文現象] In such that, this paper examined whether an order-ceremony of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emulate a phenomenon from the astronomical phenomena or not. Because of discourse that Li is made of a phenomenon[象] from the Heaven' order. The point of this paper is focus on the rite in the Li is made of a phenomenon[象] from the Heaven' order. So I tried to verify the truth at the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that a Human's rite is related to the order of the celestial bodies and many celestial bodies forward to being a star of Polar. Generally Karye[家禮] included old-Li is described a order-ceremony by compass. It is important that the order-ceremony is born at any time among moving of the celestial bodies in the heaven. So this paper try to verify at the ceremony procedures and conduct of Family Courtesy what to imitate the those orders of Heaven. This study sought to reveal the truth that the location of the host and hostess are fixed at the East & the West, according to the diurnal motion in the celestial bodies's order. Also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location of the coming of age in the future is different from primogeniture to the other son, where it is located at the east of sunrise and the west of sunset. The order as if the cosmos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tion at the east to the west and the location a little at the north outer the room[房] to the south. And figuratively comparing the polaris to virtue[德] in the Confucianism which the north star's location is unchanged will be true by astrophysics and historic records. Therefore, the north in the Karye[家禮] would be the location of forebears[祖上神] as the highest elder. Based on such assump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rgued that most of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is modeled on an original form the Heaven's order. Second, Space of star and constellation in the Heaven is described as compass have to realize what kind of a ceremony of order. An order-form as a seat and direction is meaning to a relationship. Those of them are considered in a ceremony of order at the same time. Therefore, point of compass is ordered inter-space or counter-space as like yin[陰] and yang[陽] in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at the same time what is in order by the move-direction in the order of the celestial bodies, human used to be reflected those of them. The results that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日月星辰] move to the left or to the right, is decided passing location in which east, west, south[方位] out of north. Most of all, Confucian ideas what Man is accord with Heaven is concerned to a rite of passage[冠昏喪祭], practically this paper found out at the Karye[家禮] include old-Li.

      • KCI등재

        일반 논문 :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내재된 방위관(方位觀)과 질서의식(秩序儀式)에 관한 연구 -통례(通禮) 및 관례(冠禮)와 혼례(昏禮)를 중심으로-

        지현주 ( Hyun Joo Ji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4 No.-

        주희의 『가례』는 통례 및 관혼상제의 의식절차와 의식행위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의식과 절차의 大意는 宗法을 위주로 한다고 그의 제자인 황씨는 전한다. 이 점에 있어서 본고는 『의례』를 經으로 삼고 俗禮를 절충한 주자가례의 질서의식이 과연 종법의 질서에 따른 의식인가를 문제 삼았다. 고례와 家禮書에 흐르는 위계질서가 종법이라면 방위로써 규정한 의식은 무엇을 가리키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종법의 위계질서로 말해지는 유가의 의례가 과연 천지자연의 권위에 의탁한 결과라면 이 천지자연과 방위는 어떤 관계로 설정되었는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물음에서 본고는 우선 방위가 예제의 도구로 쓰인점에 주목하였고, 禮書에서 방위배열로서 위계질서가 천문현상과 관련이 있음을 주자가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허다한 典禮가 모두 하늘이 드러내지 않은 것이 없다는 禮制에 대한 담론이 실제로 하늘이 드러낸 것인가에 의문을 가지면서 방위로 구분되는 천문현상을 통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지학적 검증이 일차적으로 요구되는데 반드시 유가의 글이 아니어도 무방할 것이다. 왜냐하면 고대 중국의 자연현상을 관측한 기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실 주로 도가에서 자연 및 천문현상을 관찰하였는데 東晉代葛洪의 天論에는 해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지는 가운데 南中하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천체의 관측 현상은 오늘날에는 천체의 겉보기 운동으로 동일하게 보이며 ‘日週運動’이라 불린다. 본고는 천체의 운행 현상에 따라 구분된 방위배열이 가공동체의 위계질서와 의식행사별 제자리에 적용된 질서의식이라는 점에서 주자가례를 파악하였다. 예컨대, 관자의 자리에서 長子와 衆子를 구별하여 정한 위치와 주인·주부의 東階와 西階에서 동서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원리를 천체의 일주운동에서 찾을 수 있었다. 특히 북극성은 우주방위 및 사방위의 중심이 되어 천자, 군자, 왕, 종가에서 조상신의 방위는 북쪽에서 남향하게 되었다. 그래서 제천의례이든, 관혼상제이든지간에 모든 의례에는 하늘과 인간의 합일을 지향하는 뜻이 있다. 따라서 예의 근원에 하늘이 있고 하늘을 본받은 뜻이 의례의 방위관과 질서의식에 내재되어 있음을 주자가례에서 밝혔다. 본고는 기존의 고전 의례연구에 더하여 천문현상으로서의 天然의 질서의식을 검토하였으며, 이것은 예학연구의 실증적 방법이며 학제간 연구에 해당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가례』의 의례의식에도 유교의 천인합일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가례』의 의식 절차와 행위 양식에 있어서는 방위에 내재된 질서의식을 통해 나누어지고 모이고 나열되는데 이 부분은 주로 천체의 일주운행으로 실증하였다. 이러한 운행질서에 따른 의식의 방위배열은 각 편의 의식을 특징적으로 분류한 기준이 되었다. 그리고 본고는 『가례』에서 의식의 형식인 방위를 方과 位의 결합으로 그 뜻을 구분하였고 이를 천연의 질서와 인간의 질서를 결합시킨 용어로써 해석하였다. 따라서 주자가례는 종법의 의례의식이면서 천문현상으로 밝혀진 방위관념에 따라 천연의 질서를 본 딴 질서의식이라 할 수 있으며, 주자가례에 드러난 위계질서는 천문현상이라는 천연의 질서가 내재된 본체 위에 종법의 옷을 입은 인문의 질서라고 할 수 있다. Li(禮) is the projected natural & spatial order onto humanity. According to Korye[old-Li],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is a kind of Li, made by the Saint, because of teaching a rite of passage[冠昏喪祭]. Common compass[方位] from Korye[old-Li] to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can be described from its content of Zhu-xi`s Family Courtesy. It will verify what formality of Karye[家禮] makes up the compass, and verify to be a principle as a phenomenon from the astronomical phenomena.[天文現象] In such that, this paper examined whether an order-ceremony of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emulate a phenomenon from the astronomical phenomena or not. Because of discourse that Li is made of a phenomenon[象] from the Heaven` order. The point of this paper is focus on the rite in the Li is made of a phenomenon[象] from the Heaven` order. So I tried to verify the truth at the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that a Human`s rite is related to the order of the celestial bodies and many celestial bodies forward to being a star of Polar. Generally Karye[家禮] included old-Li is described a order-ceremony by compass. It is important that the order-ceremony is born at any time among moving of the celestial bodies in the heaven. So this paper try to verify at the ceremony procedures and conduct of Family Courtesy what to imitate the those orders of Heaven. This study sought to reveal the truth that the location of the host and hostess are fixed at the East & the West, according to the diurnal motion in the celestial bodies`s order. Also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location of the coming of age in the future is different from primogeniture to the other son, where it is located at the east of sunrise and the west of sunset. The order as if the cosmos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tion at the east to the west and the location a little at the north outer the room[房] to the south. And figuratively comparing the polaris to virtue[德] in the Confucianism which the north star`s location is unchanged will be true by astrophysics and historic records. Therefore, the north in the Karye[家禮] would be the location of forebears[祖上神] as the highest elder. Based on such assump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rgued that most of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is modeled on an original form the Heaven`s order. Second, Space of star and constellation in the Heaven is described as compass have to realize what kind of a ceremony of order. An order-form as a seat and direction is meaning to a relationship. Those of them are considered in a ceremony of order at the same time. Therefore, point of compass is ordered inter-space or counter-space as like yin [陰] and yang[陽] in 家禮(Zhu-xi`s Family Courtesy). at the same time what is in order by the move-direction in the order of the celestial bodies, human used to be reflected those of them. The results that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日月星辰] move to the left or to the right, is decided passing location in which east, west, south[方位] out of north. Most of all, Confucian ideas what Man is accord with Heaven is concerned to a rite of passage[冠昏喪祭], practically this paper found out at the Karye[家禮] include old-Li.

      • KCI등재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예학 논의

        한재훈(Han, Jae Hoo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퇴계와 고봉 사이에 있었던 예학 관련 논의를 왕실과 사가의 종법질서에 관한 사안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왕실의 종법질서를 두고 퇴계와 고봉은 진지한 논의를 주고받았다. 먼저, 선조는 본생부모인 덕흥군과 하동정씨에 대한 호칭으로 ‘황(皇)’자를 사용했는데, 퇴계와 고봉은 이것이 타당한지 여부를 두고 논의를 개진했다. 다음으로는, 선조가 덕흥군 사가에 사당을 세우고 치제(致祭)를 하면서 제물도 관에서 공급하고 헌관도 관리를 파견하고자 한 사안에 대해서도 퇴계와 고봉은 논의했다. 사가(사대부가)의 종법질서 문제를 두고도 퇴계와 고봉은 논의를 주고받았다. 사당에서 체천이 시행될 때 친진한 신주를 빼내는 이른바 ‘조천’을 하는 과정에서 할머니와 어머니의 생존 상황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그리고 이 문제와 연동되어 제기된 ‘총부주재(冢婦主祭)’ 문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퇴계와 고봉은 심도 있는 논의를 전개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퇴계와 고봉은 각자의 예학적 입장을 세련되게 발전시켰을 뿐 아니라, 16세기 조선의 예학적 수준을 제고하는 토대를 구축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debates on Yehak(禮學), which are ritual studies, between Yi Hwang and Ki Dae-seung. Yi Hwang and Ki Dae-seung debated about clan rules of the royal family. First, Yi Hwang and Ki Dae-seung discussed if it was appropriate for King Seonjo(宣祖) to use the word “Hwang (皇)” to address his natural father Deog-heung gun(德興君) and natural mother Mrs. Cheong. Next, Yi Hwang and Ki Dae-seung questioned whether it would be appropriate for King Seonjo to set up a shrine in his private residence, provide food for the memorial service, and dispatch officials to the ancestral shrine. Yi Hwang and Ki Dae-seung also exchanged views regarding the clan rules of the nobility family. They discussed two subjects: 1) How to reflect the survival of the grandmother or mother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ancestral tablet (神主) in the shrine and 2) how to respond to the problem of the first son"s wife holding a memorial service. Yi Hwang and Ki Dae-seung not only developed their respective positions of Yehak through this process, but also raised the level of Yehak in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후기 호주승계방식의 변화와 종법질서의 확산

        정지영(Jung Jee-young) 한국여성학회 2002 한국여성학 Vol.18 No.2

        이 글은 17ㆍ8세기에 주자학적 종법 질서에 따른 부계직계 질서가 확산되는 과정을 『단성호적』의 호주 승계 관행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호주(남편 또는 아버지)가 죽은 뒤에 17세기에는 과부(어머니)가 다음 호주로 기재되지만, 18세기 이후에는 그 아들이 호주로 기재된다. 이는 종법 질서를 강조하는 주자학적 이념에 맞게 바뀐 국가의 행정 지침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다. 호주 승계에 종법의 원리가 적용된 것은 주자학적 관념이 양인, 천인에게까지 전파ㆍ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변화가 실현되는 데는, 여성은 호주가 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성 차별적 인식과 어머니를 모시고 보호해야 한다는 효의 명분이 함께 작용했다. 아들을 가진 과부는 스스로 호주가 되지 못하고 아들의 어머니로 기재되어야 했지만, 아들의 어머니로서 재산 관리권을 가질 수 있었다. 조선후기에 여성은 오직 아들의 어머니일 때, 가족과 사회 안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을 수 있었다. 결혼을 하지 않거나 아들을 갖지 못한 여성의 자리는 그만큼 좁아지게 된 것이다. 남성 중심의 가부장체제가 강화되면서 여성은 호주의 자리에서 배제되었고, 또 남성 중심의 호주 승계는 성 차별적 지배 원리를 사람들에게 설파하는 매개가 되었다. This essay examines the process how the patriarchal order strengthened and expanded in the 17-8th century Chosun through tracing changes in the practice of succeeding householder. When we look at Dansung Hojuk(the household resisters of Dansung County, Kyoungsang Province from 1678 to 1789), we can find that the cases in which a woman was recorded as a householder covered 6-11 % of the whole cases. In Dansung Hojuk, a woman as well as a man was recorded as a householder, and even a woman who had a married son was also recorded as a householder. Examining the succession to the householder, we can find some distinction betwee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he eighteenth century. It was general in Chosun society that, in a nuclear family, a father and husband was recorded as the householder of his family. When the father and husband died, leaving his wife and son, the widow was recorded as the householder in the seventeenth century. However,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son was recorded as the householder in the same case as mentioned above. The government's guidelines to make out the household resisters (hojuk) read, "Though the widow manages the household affairs, if she has a grown-up son, he is entered as a householder." The government's policy of recording a male as a householder led to the decrease of female householders in the eighteenth-century Dansung Hojuk. The late-seventeenth-century Dansung Hojuk recorded the oldest of the family as the householder regardless of sex. However, since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the oldest 'man' was recorded as a householder. This change may have been the product of a gender-segregating policy of Neo-Confucianism. The practice, which was based on the Neo-Confucianism led by the upper class (yangban), was applied even to the executive document of hojuk in the eighteenth century. That is significant for it paved the way for the expanding Neo-Confucian order even to the lower strata of society. Even though the son, instead of his mother, represented the household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authority of supervising the household affairs in the family was still on the mother. It seems to me that the women with sons could be still recognized of their authority such as that of supervising their sons' inheritance even though they could not be recorded as householder. This could have minimized the possible resistance of women against the change in succession of householder. With this change of the rule of succession to the householder, there followed several other changes of women's role. First of all, without the official responsibility of the family, women concentrated on the affairs in the household instead of showing themselves in the affairs outside. With the increasing pressure of the gender-segregating Neo-Confucianism, women's activity was limited to the household affairs. And secondly, female role as a mother of a son became more emphasized than as a wife of a man. Losing the right to be the householder, a woman could be recognized in the family and society only as the mother of her son. That resulted to narrow the position of women, expecially who did not marry or had no son.

      • KCI등재

        조선조(朝鮮朝) 후기(後期) 종적(縱的) 질서(秩序)와 학예(學藝)의 공론장(公論場) -지식의 생성ㆍ유통과 관련하여-

        진재교 ( Jin Jae-kyo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5 No.-

        17세기 전란 이후 조선조는 종적 체계를 통한 사회 질서의 재구조화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정치·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서원과 사승 관계를 강조하고, 종법과 가학을 중시하는가 하면, 친족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고 다양한 족보편찬을 통해 종적 질서와 체계를 보여주었다. 종적 질서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사회를 재 구조화하는 과정에서의 종적 질서와 체계는 순기능 보다 역기능이 많았다. 일부 횡적 질서를 위한 사유와 실천도 있었지만, 그 성과는 적었고, 그마저도 새로운 지식의 생성 공간을 형성하지 못하고, 공간마저도 경직성과 폐쇄성을 드러내고 말았다. 조선조 후기 지식의 생성 공간은 갈라파고스와 다름없었고, 필기와 유서는 이러한 갈라파고스 공간에서 다수의 독자를 쉽게 만나지 못하였다. 종적 질서와 체계는 지식·정보유통과 확산, 지식을 향한 다양한 시선을 가로막고,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지식의 확장에도 걸림돌로 작용하였으며, 신분과 관계없이 다양한 인물과 交遊하는 것도 제한하고 말았다. 이러한 종적 질서와 가치체계를 전복할 수 없었던 것은 횡적인 인적 관계망을 통한 학술과 문예 공론장의 부재가 조선조 후기 지식 장을 견인하였기 때문이다. After the war in the 17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pursued a restructuring of social order through a vertical system. In such a political and social atmosphere, he empha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owon(書院)’ and master-disciple relationship, emphasized religious practices and ‘Gahak(家學)’, promoted a sense of kinship community, and showed vertical order and system through various genealogy compilations.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society in a way that builds vertical order, the vertical order and system had more dysfunctional functions than good functions. There were some thoughts and practices for horizontal order, but the results were small, and even that did not form a space for generating new knowledge, and even the space revealed rigidity and closedness. The space for generation of knowled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no different from that of the Galapagos, and ‘Yuseo(類書)’ and ‘Pilgi(筆記)’ could not easily meet a large number of readers in this space of Galapagos. The vertical order and system blocked the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various viewpoints toward knowledge, and acted as a stumbling block to the expansion of knowledge through human networks. This vertical order and value system could not be overturned because the absence of a public forum for academics and literature through a horizontal human-relationship network led the knowledge fie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후기 종부권의 성격과 의미-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에 대한 예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김보람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1

        본 연구는 조선전기 총부권과의 연속적인 이해를 고려하면서,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의 강화라는 맥락 속에서 조선후기 종부권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을 둘러싼 예학적 논의들을 통해 종법적 논리 속에서 종부에게 부여된 지위와 그에 따른 역할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종부들은 남편이 무후로 사망한 이후에도 가계계승 문제, 즉 봉사와 입후 문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봉사권과 입후권으로 대표되던 조선전기 총부권이 조선후기의 종부권으로 전환된 것이지만, 부계질서의 심화와 함께 종부들은 기존 권한의 축소를 경험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축소된 범위 내의 종부권에 한해서는 종법적 논리 속에서 오히려 확고하게 보장되었던 측면이 있었다. 특히 ‘종자의 처’로서 종부의 위치는 종부의 봉사권과 입후권이 긍정되는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조선 전․중기 총부권이 고려 이래의 제사 관행과 국속의 차원에서 주장되었다면, 조선후기 종부권 논의는 종법적 가계계승의 논리 속에서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였다. 후기로 갈수록 종자와 지자의 구분이 엄중해지고, 지자의 탈종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는 분위기 속에서, 종자의 처라는 종부의 위치와 그에 따른 역할은 지자로부터 종통을 지킬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간주되었다. 종법적 가계계승 질서 속에서 종부는 지자에 대하여 종자 계열을 대표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었다.

      • KCI등재

        『계암일록』에 나타난 17세기 예안현 사족들의 의례생활

        박종천(朴鍾天)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4

        『계암일록』은 근40년에 걸쳐 작성된 17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일기로서, 예안지역 선비들의 일상생활을 미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가례家禮의 변화에 따르는 거시적친 사회구조의 변동을 드러내는 자료로서도 주목할 만한 내용을 보여준다. 이러한 일기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교질서의 복합적 구조와 역동적 변화, 예교적 주체의 형성 과정과 방식에 대한 해명을 위한 시론으로서, 『계암일록』에 나타난 17세기 예안현 사족의 의례생활을 검토했다. 특히 종법적 인식의 진전에 따른 가례 실천의 양상, 경敬의 의례적 효과와 유교적 의례화의 특징적 양상, 공사公私의 의례적 질서와 사회적 갈등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첫째, 『계암일록』은 4대봉사와 부계 적장자 중심의 종법적 인식의 진전에 따른 가례의 실천, 특히 사시제와 삭망제의 정기적 제사 봉행, 사당과 재사를 중심으로 한 의례적 공간 질서 정착, 남귀여가혼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친영親迎을 일부 수용하는 혼례의 변화와 더불어 반혼返魂을 중심으로 하는 상례 등을 상당히 철저하게 실천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계암일록』에 보이는 17세기 전반 사족들의 의례생활이 변화하는 방향과 양상은 의례문화의 시간적 중심, 공간적 성소, 인간적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유교화를 전면적으로 진전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계암일록』은 과거시험과 제사 기간 전후로 부친에 대한 꿈을 집중적으로 꾸는 사례를 통해 가부장적 질서가 경건한 재계를 통해 내면화하여 몸은 물론 마음과 무의식에까지 침투하여 꿈에 투사되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는 퇴계가 강조했던 경의 의례적 효과가 무의식까지 영향을 주는 것이기도 하다. 셋째, 『계암일록』은 예교적 이상을 구현하는 몸짓의 차별적 실천인 유교적 의례화 양상을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매년 신년마다 이루어진 의례적 실천은 동심원적 친족관계망을 시간적 소급의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문중이라는 가부장적 대가족구조의 사회적 확산의 토대가 되었다. 넷째, 『계암일록』은 유교적 전통사회의 사회적 위계질서를 구성하는 두 축인 국國과 가家가 의례를 매개로 하여 공公과 사私의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양상을 잘 보여주었다. 예안현의 사족들은 영역적 개념이 아니라 가치적 개념으로 공사구분을 하면서 충 이전에 효를, 존존尊尊 이전에 친친親親을 실현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 KCI등재

        묵자(墨子)의 정치적 이상상은 민주적인가?

        윤대식 ( Dae Shik Youn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008 비교민주주의연구 Vol.4 No.1

        일반적으로 묵자(墨子)의 사상은 유가의 종법질서를 비판하고 겸애와 교리에 기초한 평등한 공동체를 지향했다고 평가된다. 이로 인해 묵자를 동아시아에서 민주적인 정치교의의 고대적 원형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묵자의 정치적 이상상은 반유가적인 동시에 유가적이며, 평등주의적인 동시에 차별적인 질서관을 내포한다. 그것은 묵자 자신의 의도가 합리적 인간을 행위자로 하는 군주-신민의 호혜적 관계에 기초한 질서를 전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묵자의 정치적 이상상은 질서에 내재한 차별을 명확히 인지시켜 신민으로 하여금 공동체의 정의실현을 위한 규범적 행위자로 순응할 것을 요구한다. 그것은 명실론의 핵심내용이며, 묵자사상 이해의 전제이기도 하다. 즉 묵자의 겸애와 교리의 정치교의는 논변의 방식으로부터 공리적 유추의 결과이며, 유가와 동일한 질서의 합리적 근거를 진전시킨 것이다. 최종적으로 묵자의 정치적 이상상의 실현여부는 ‘누가 겸애와 교리를 먼저 이행해야 하는가’에 의해 결정되며, 그 해답은 현실군주이다. 결국 묵자의 겸애와 교리의 교의는 군주-신민의 차별적이고 계서적인 권력구조 내에서 공리(功利)를 공리(公利)로 전환시키는 합리적 운영원리로 제시된 것이다. 묵자의 이상상은 유가보다 더 복고적일 뿐이다. Mozi, who was a thinker and activist in ancient china, constituted a special political doctrine with universal love(chien ai) and mutual profits(chiao li). From this, people have evaluated Mozi as the first deomcratic supporter in the context of East Asia. But in the light of political vision, Mozi`s aim was recovering confucian order which called Zhou li. Mozi`s political vision was the well-ordered society based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rince and subjects with duty. The premise for achieving Mozi`s vision was logic with clear concepts. Mozi`s political doctrine with universal love and mutual profits was the logical conclusion by induction and deduction. Therefore Mozi`s political doctrine only had more advanced rationality than Confucius` and had more retrogressive factors than Confucius`.

      • KCI등재

        『계암일록』에 나타난 17세기 예안현 사족의 의례생활

        박종천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4

        Gyeam Illok(Daily Records of Gyeam Ryung Kim)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diaries from the 17th century, written over nearly 40 years. This diary is important as it shows not only the daily life of classical scholars in Yean Region at a micro level, but also shows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caused by changes in family rituals at a macro lev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diary, this paper examines the ritual life of the aristocrats in the 17th century in Yean Region described in Gyeam Illok to clarify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forming subjectivity in ritual property as well as to reveal the composite structure and dynamic change in the order of the ritual property.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various aspects such as practicing family rituals with enhanced recognition on clan rules, ritual effects of the piety and particularity of Confucian ritualization, and public and private ritual orders as well as the social conflicts of the time. Firstly, Gyeam Illok thoroughly practiced the family rituals in accordance with the four generation rules and clan rules focusing on the agnatic eldest legitimate son. In particular, regular rituals such as the seasonal rites and Sangmangje(朔望禮, a ritual performed on the 1st and 15th day of every lunar month), establishing ritual orders focusing on shrines and ancestral rites, and practicing the wedding ceremony focusing on Namgyiyeoga(男歸女家, a son-in-law’s living with his wife’s family) accommodating a part of the idea of Chingyeong(親迎, an act of inducting the bride to the groom’s home) as well as the funeral ceremony focusing on Banhon(返魂, finding a new place for the soul of the deceased) were strictly respected. Accordingly, the aspects and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he ritual life of the aristocrats in the early 17th century effectively set the timing, spatial sanctum and human network of ritual culture, and advanced Confucianism overall. Secondly, the author dreamed of his deceased father before and after the ancestral rite or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 which shows the internalization of the patriarchal order in his mind through pious purification, as this was immersed not only into the body and mind of the author, but even into his unconsciousness. It proves the ritual effect of the piety emphasized by Toegye in the unconsciousness. Thirdly, Gyeam Illok dramatically shows Confucian ritualization, a differentiated practice of materializing the ritual ideal. Ritual practices performed every year periodically renewed the concentric network of relatives in a retroactive manner,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xpansion of a patriarchal extended family system in society called a clan. Finally, Gyeam Illok clearly shows the mutual influence and tension between the nation and the family (or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two axis of social hierarchy of traditional Confucian society, using the ritual as a medium. The aristocrats in the Yean Region distinguished public and the private matters by the concept of value, not by that of influence, and they showed an attitude of weighing filial piety or blood ties more than loyalty or social rank. 『계암일록』은 근40년에 걸쳐 작성된 17세기 전반의 대표적인 일기로서, 예안지역 선비들의 일상생활을 미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가례家禮의 변화에 따르는 거시적인 사회구조의 변동을 드러내는 자료로서도 주목할 만한 내용을 보여준다. 이러한 일기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교질서의 복합적 구조와 역동적 변화, 예교적 주체의 형성 과정과 방식에 대한 해명을 위한 시론으로서, 『계암일록』에 나타난 17세기 예안현 사족의 의례생활을 검토했다. 특히 종법적 인식의 진전에 따른 가례 실천의 양상, 경敬의 의례적 효과와 유교적 의례화의 특징적 양상, 공사公私의 의례적 질서와 사회적 갈등 양상 등을 살펴보았다. 첫째, 『계암일록』은 4대봉사와 부계 적장자 중심의 종법적 인식의 진전에 따른 가례의 실천, 특히 사시제와 삭망제의 정기적 제사 봉행, 사당과 재사를 중심으로 한 의례적 공간 질서 정착, 남귀여가혼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친영親迎을 일부 수용하는 혼례의 변화와 더불어 반혼返魂을 중심으로 하는 상례 등을 상당히 철저하게 실천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계암일록』에 보이는 17세기 전반 사족들의 의례생활이 변화하는 방향과 양상은 의례문화의 시간적 중심, 공간적 성소, 인간적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유교화를 전면적으로 진전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계암일록』은 과거시험과 제사 기간 전후로 부친에 대한 꿈을 집중적으로 꾸는 사례를 통해 가부장적 질서가 경건한 재계를 통해 내면화하여 몸은 물론 마음과 무의식에까지 침투하여 꿈에 투사되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는 퇴계가 강조했던 경의 의례적 효과가 무의식까지 영향을 주는 것이기도 하다. 셋째, 『계암일록』은 예교적 이상을 구현하는 몸짓의 차별적 실천인 유교적 의례화 양상을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매년 신년마다 이루어진 의례적 실천은 동심원적 친족관계망을 시간적 소급의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문중이라는 가부장적 대가족구조의 사회적 확산의 토대가 되었다. 넷째,『계암일록』은 유교적 전통사회의 사회적 위계질서를 구성하는 두 축인 국國과 가家가 의례를 매개로 하여 공公과 사私의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양상을 잘 보여주었다. 예안현의 사족들은 영역적 개념이 아니라 가치적 개념으로 공사구분을 하면서 충 이전에 효를, 존존尊尊 이전에 친친親親을 실현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 KCI등재

        『석명』 해석에 보이는 유가 철학적 인식 특징:전통적 윤리관을 중심으로

        나도원(Na, Do-Won)(羅度垣)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4 No.-

        본고는 『석명』에 수록된 글자 중에서 유가철학적 인식의 특징이 보이는 글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漢朝의 신유학은 정치의 시녀로 전락하였다는 점과 도가와 법가 등 여러 사상이 혼재되었다는 점 등에서 非儒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하지만 漢朝의 유학과 사상, 문화 등은 이후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문화적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우리는 반드시 다양한 각도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석명』의 字釋은 그 당시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대한 작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석명』의 仁·誼·禮와 德에 대한 관념, 그리고 선악과 시비에 대한 유희의 해석에는 선진유학의 전통적인 유가철학적 관점과 더불어 동중서의 신유학적 관점도 함께 공존하고 있어서 동중서의 유학관이 유희가 살았던 漢朝 말기까지 널리 퍼져 있었고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Shi-Ming (釋名) is a classification vocabulary book compiled by Liu Xi (劉熙. 160~?), a scholar of Chinese classics of the late Han dynasty, and is a vocabulary dictionary of Chinese Exegetics that interprets all of the listed Chinese characters using 聲訓法, which interprets title letters similar in their reading sounds. Since LiuXi (劉熙) studied Chinese classics, Shi-Ming (釋名) has its Confucian interpretation, through which I am to examine the changes compared to the perspective of 『春秋繁露(Chunqiufanlu)』, a representative book of Neo-Confucianism. By content of Shi-Ming (釋名),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nature theory, Liu Xi (劉熙)’s interpretation of Shi-Ming (釋名) on the ideas of 仁, 誼, 禮 and 德 reflects both the view of traditional Confucianism of the Pre-Qin period (先秦) and Neo-Confucianism, indicating that the Confucian viewpoint of Dong Zhongshu (董仲舒) was widespread and influencing until the end of Han dynasty. This view has been passed on and developed since the Pre-Qin period (先秦), but it seems to have become more solid and commonplace by the time of Han dynasty. Shi-Ming (釋名) is a classification vocabulary book compiled by Liu Xi (劉熙), a scholar of Chinese classics of the late Han dynasty, and is a vocabulary dictionary of Chinese Exegetics that interprets all of the listed Chinese characters using 聲訓法, which interprets title letters similar in their reading s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