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언의 해석학적 결론으로서의 잠언 30-31장 연구: 아굴, 르무엘, 현숙한 여인 본문의 통전적 읽기

        김희석 ( Kim Hee Su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1 No.-

        본 논문은 잠언 30:10-33의 본문을 연구한 후 그 결과를 잠언 30-31장에 대한 필자의 선행연구에 통합하여 잠언 30-31장을 잠언서 전체의 해석학적 결론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잠언 30:10-33이 숫자 잠언을 비롯한 다양한 잠언들을 통해 보여주는 통찰은 다음과 같다: 11-13절은 인간관계의 주제에 대해 알려주는데, 우리가 우리의 욕망을 통제하지 못할 때 그 욕망에 사로잡히게 됨을 보여주고, 24-33절은 지혜에 대해 가르치는데, 우리가 지혜를 통해서만 강함에 이를 수 있으며 미련함은 공동체를 멸망시킴을 알려준다. 잠언 30:10-33은 여러 가지 다양한 문학적 기법을 통해 상당히 잘짜여진 논리적 흐름을 드러내면서 욕망과 지혜를 대조시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러한 잠언 30:10-33에 대한 이해는 잠언 30:1-9 및 잠언 31장의 본문이해와 연결되어야 한다. 첫째, 잠언 30:1-9는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고찰 하고 순종해야 함을 알려주는데, 이는 수직적인 하나님과의 관계적 올바로 유지해야 함을 보여준다. 둘째, 잠언 30:10-33은 이웃과의 수평적인 관계를 보여주는데, 강함과 선함은 오직 지혜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잠언 30장 전체는 수직적 관계와 수평적 관계를 아우르면서 통전적인 지혜의 삶을 논하고 있는 것이다. 잠언 31:1-9는 잠언 30장의 메시지를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예시인데, 포도주와 잘못된 여인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잠언 30장의 아굴의 가르침을 지킬 수 있음을 알려준다. 우리가 거절해야 하는 여인 즉 우리가 거절해야 하는 잘못된 욕망에 대한 부정적 묘사이다. 이에 비해 잠언 31:20-31은 현숙한 여인에 대한 묘사를 통하여 우리가 선택해야 하는 여인, 즉 우리가 적용해내야 하는 선한 소원에 대해 알려준다. 즉 잠언 30장이 하나님과의 관계(1-9절) 및 이웃과의 관계(10-33절)에 대해 통전적 지혜의 삶을 가르친다면, 잠언 31장은 30장의 내용을 적용해 나가면서 지혜로운 삶에 대한 방법으로 잘못된 여인(1-9절)에게서 벗어나 올바른 여인(10-31절)을 선택할 것을 제시하고 있는 상징적 가르침이다. 이러한 잠언 30-31장의 내용은, 여호와를 경외하는 신앙을 지님으로써 지혜를 얻을 것을 명령하는 잠언 1-9장의 해석학적 렌즈와 더불어 잠언서 전체 구조에서 매우 선명한 해석학적 봉투구조를 구성해 낸다. 1-9장에서 여호와 경외가 지혜의 출발점이므로 여호와 경외 신앙을 통해 지혜와 결혼해야 함을 배운 잠언의 독자들은, 10-29장의 다양한 일상생활에 대한 가르침을 거친 후, 30-31장에서는 통전적인 지혜를 삶에 적용하는 여러 예시들(30장) 및 거짓지혜를 버리고 참 지혜와 결혼한 지혜로운 인생으로 우뚝 선 최종적 그림을 배움으로써(31장) 지혜의 길로 달려가게 될 힘과 용기를 얻게 된다.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text of Prov 30:10-33 and thereby integrate it with this writer`s previous studies on Proverbs 30 and Proverbs 31 in order to understand Proverbs 30-31 as a hermeneutical conclusion to the book of Proverbs. First of all, Prov 30:10-33 shows the followings: vv.11-13 teaches on the subject on relationship with humans, in the sense that we should control our desire not to get trapped by it; vv. 24-33 teaches on wisdom that we can only reach greatness through wisdom, while foolishness destroys communities. This understanding of Prov 30:10-33 should be connected with other parts of Proverbs 30-31. First, Prov 30:1-9 teaches that we should ponder on the word of God and obey it, which pictures how we should maintain our relationship with God. Second, Prov 30:10-33 deals with relationship with humans, stating that greatness and goodness would be granted only through wisdom. Proverbs 30 in its entirety teaches relationship with God and relationship with humans. Prov 31:1-9 is a methodological application that shows how we should utilize Agur`s teachings given in Proverbs 30. By getting away from wine and a wrong woman, we should sincerely apply the teachings of Proverbs 30. Prov 31:1-9 depicts a woman to be rejected, or the wrong desire to be rejected, while Prov 31:10-31, by presenting the woman of valor, suggests a woman to be chosen, or the good desire to be applied. In other words, Proverbs 30 explains wisdom by teaching on relationship with God(vv.1-9) and relationship with humans(vv.10-33) and thereby Proverbs 31, with a purpose of applying the wisdom taught in Proverbs 30, suggests a method in a two-fold way: first, get away from a wrong woman (vv.1-9) and choose a right woman (vv.10-31). While Proverbs 30 is a straightforward explanation on life based upon wisdom, Proverbs 31 appears to suggest a way to get wisdom by giving a symbolic case of a man who has obtained true shalom by getting married to the right woman.

      • 잠언 분석을 위한 해석학적 제안 -주제적, 전체론적, 세부적 접근

        김성진 ( Sung Jin Kim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ACTS 신학저널 Vol.26 No.-

        본 연구는 구약 잠언서에 대한 해석학적 제안으로 세 가지 접근법을 제안한다: 주제적, 전체론적, 세부적 접근법. 이러한 접근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잠언 안의 인간관계의 핵심인 “우정”이라는 주제를 예를 들어 세 가지 접근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주제적 접근(topical approach)은 잠언이 전하고자 하는 특정한 주제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돕기 위한 해석학적 접근이다. 잠언서의 문학적 특징인 유사한 잠언의 반복을 해석학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더 포괄적인 잠언의 메시지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 주제별 접근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의 방법론은 전체론적 접근(macro-level approach)으로, 잠언 1-9장과 10-31장이 갖는 이중적 구조를 “일반적-구체적” 원리로 접근하여 잠언 1-9장은 다양한 삶의 원리에 대하여 일반적인 진술을 제시하는 반면, 10-31장은 개별적 잠언들을 통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적용과 예를 제시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문학적 이중구조를 바탕으로 “우정”이라는 주제를 분석하여 잠언의 내재적인 문학구조 속에서 인간관계의 가르침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세부적 접근(micro-level approach)은 잠언 안에 나타나는 개별잠언들이 아무런 문학적 통일성 없이 배열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문학적 연결성(예를 들면, 주제, 키워드, 단어쌍, 대조, 문학적 상황 등)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여 개별잠언들 가운데 의미단락을 찾고 그것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법이다. 이러한 세 가지 접근법은 이론적이라기보다는 실질적인 것으로 잠언서를 잠언서의 문학적/선학적 구조 속에서 해석하고 설교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book of Proverbs has intrinsic difficulties due to its literary feature that it consists of a number of discrete sections. The literary incoherence causes difficulties for understanding not only its individual meaning, but also meaning of the text as a whole. As a hermeneutical suggestion for Proverbs, this study proposes three approaches to the book of Proverbs: topical, macro-level, and micro-level approaches. In oder to apply these approaches, this study will utilize the theme of friendship in the book of Proverbs. First of all, the topical approach intends to analyze specific theme in Proverbs in a holistic way. It takes a recurring theme in Proverbs and isolates the relavant proverbial sayings, then reorganizes the collected sayings by repetitions and thematic importance. This approach helps the readers interact with the entire text when they deal with a specific topic. Secondly, macro-level approach adopts the literary thesis that Proverbs 1-9 plays an introductory role for Proverbs 10-31. In the application of this hermeneutical principle, this study argues that chs. 1-9 contains general and abstract principles on life and chs. 10-31 express concrete and practical teachings on life principles. Thirdly, micro-level approach analyzes proverbial sayings based on both thematic coherence and structural coherence. To apply this approach, this study analyzes Prov 27:1-17 and argues that Prov 27:1-17 forms a friendship poem based on an evident thematic coherence (i.e., “true friendship”) and syntactic cohesion(i.e., a “proverb poem”).

      • KCI등재후보

        잠언 10-31장의 문장잠언(sentence sayings)에 대한 해석학적 제언

        김성진 ( Sung Jin Kim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ACTS 신학저널 Vol.27 No.-

        본 논문은 잠언 10장 이후에 나타나는 개별잠언들에 대한 해석학적 제언으로 개별잠언을 보다 큰 문맥 속에서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세 가지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는 키워드 중심의 방법론이다. 키워드를 중심으로 형성된 의미단락을 파악하고 이 의미단락 안에서 개별잠언들이 모아져 형성하는 보다깊은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는 구조를 통한 연구방법이다. 히브리 시가 시적 구조에 의미를 담고자 하는 문학적 특징에 기반하여 개별잠언들이 연결하여 형성하는 다양한 문학구조를 파악한다면 개별잠언의 표면적 해석을 넘어 연결된 개별잠언들이 특정한 구조 속에서 생성하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 방법론은 상황을 재구성하여 개별잠언들이 특정한 사회적, 문학적 상황 속에서 서로 연결되어 형성하는 의미단락을 발견하고 그 상황 속에서 개별잠언들을 해석하는 방법론이다. The book of Proverbs has been understood as a collection of individual sayings without having structural cohesion and thematic coherence. This lietrary difficulties cause hermeneutical problems in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Proverbs, especiall proverbial sayings in Prov 10-31. In contrast to this argument, this study proposes holistic approaches to proverbial sayings in Prov 10-31. The rationale for this study is that authors or editors of the book of Proverbs collected individual sayings and arranged them utilizing various liteary methods to produce effective meanings. Accordingly, in order to interpret proverbial sayings, first of all, we need to understand various literary devices used in arrangement of proverbial saying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lists three literary methods adopted in arrangement of proverbial sayings in Prov 10-31.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literary methods is keyword. Authors and editors of Proverbs collected individual sayings which contains specific words linked thematically, then arranged them as a meaning group to produce teaching on a specific topic. Secondly, literary structure had an important role in both collecting and arranging proverbial sayings. In Prov 10-31, various types of structural patterns appear, such as acrostics, chiasm, inclusio etc. By using these structural patterns, authors intended to arrange individual sayings in cohesive manner. Thirdly, reconstruction of context is necessary to interpret proverbial sayings in Proverbs. Each individual sayings were collected within a certain literary context. Thus, reconstruction of original contex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 role of individual sayings in a collection.

      • KCI등재후보

        잠언 1-9장의 해석학적 기능과 신학적 함의

        김희석(Hee Suk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1 Canon&Culture Vol.5 No.1

        본 연구는 잠언 1-9장이 잠언 전체의 해석학적 서론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 주제는 학계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잠언 1-9장의 본문이 실제로 어떻게 해석학적 서론을 구성하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본문 중심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필자는 잠언 1-9장이 제시하는 해석학적 틀은 잠언 10-31장의 개별 잠언들이 드러내는 해석학적 문제점들(상황성, 고대 근동 지혜 문헌과의 관계, 신적 보응과 공의에 대한 문제 등)에 대한 대답을 제기하는 과정 안에서 구성된다고 본다. 이 해석학적 문제점들은 개별 잠언들이 원래의 역사적 상황들에 대한 설명 없이 텍스트 안에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잠언 1-9장이 구성하는 해석학적 틀은 4-9장의 본문 흐름을 주의 깊게 연구할 때 알 수 있다. 잠언 4-9장은 잠언 1장 8절-3장 35절에서 보여주는 ‘행위-보상 연관 관계’를 수정,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을 통하여 1-9장의 해석학적 틀이 구성된다. 이 과정은 두 단계를 거친다. 첫째, 잠언 4-7장에서 지혜 여인과 음녀가 서로 구별되기 어려울 정도로 유사하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4-6장은 독자로 하여금 바른 여인을 선택하고 잘못된 여인을 거절하도록 교육한다. 잠언 7장은 음녀의 거짓됨이 대단하여 음녀와 지혜를 구별할 수 없도록 만든다는 점을 제시하여 잠언 5-6장의 가르침을 반전시킨다. 즉, 잠언 4-7장은 선택과정에 있어서의 인식론적인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잠언 8-9장은 독자들로 하여금 음녀가 차용할 수 없는 지혜의 본질적인 특성을 보여준다. 지혜는 여호와와의 관련성, 그리고 여호와께서 창조하신 피조 세계와의 관계성을 그 본질로 한다. 지혜를 찾기 위해서는 여호와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혜의 두 가지 정체성이 바른 선택을 위한 인식론적인 관점으로 제시되며, 이 인식론적 관점이 잠언 10-31장의 개별 잠언을 해석하는 틀로 작용한다. ‘신학적으로 형성된 인식론적 틀’로서의 해석학적 관점이 ‘개별 잠언들의 역사적 정황’이라는 해석학적 문제점의 근원을 대체하게 된 것이다. 이런 신학적 인식론으로서의 해석학적 패러다임은 잠언 10-31장의 개별 잠언들의 해석의 열쇠가 될 뿐 아니라, 나아가 우리 삶의 해석의 기준으로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way Proverbs 1-9 establishes a hermeneutical framework for the book of Proverbs. Though this topic has been sporadiclly discussed in scholarship, how the text of Proverbs 1-9 actually establishes a hermeneutical framework still needs to be examined more thoroughly. I argue that Proverbs 1-9 purposefully provides a specific hermeneutical lens to enable the readers to cope with interpretive issues of individual proverbs in Proverbs 10-31, such as situationality, influence of the ANE wisdom literature, and the problem of divine retributive justice. These issues mainly originate from the loss of original settings, which are crucial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individual proverbs in Proverbs 10-31. It is my contention that an interpretive lens arises from the textual intentions of Proverbs 4-9, which purport to revise the arguments of Prov 1:8-3:35 that strongly supports the deed-consequence nexus. This hermeneutical lens is established in two steps. First, Proverbs 4-7 postulates that Lady Wisdom and the Strange Woman are not easily distinguished. While Proverbs 4-6 strategically urges the readers to choose the right woman and reject the wrong one, Proverbs 7 reverts this textual flow to argue that the Strange Woman is too deceptively attractive to be differentiated from Lady Wisdom. In a word, Proverbs 4-7 draws attention to an epistemological difficulty in a decision-making process. Second, Proverbs 8-9 functions to enable the readers to discern Lady Wisdom by making clear her true identity that the Strange Woman cannot deceptively appropriate, which consists of religious particularity and influential universality. Wisdom is characterized by its close relationship with YWHW and its role in the world created by YHWH. This identity of Wisdom establishes an epistemological lens for making a right decision and functions as a hermeneutical framework for the individual proverbs in Proverbs 10-31. The lost original settings of individual proverbs in Proverbs 10-31 are to be replaced by this lens, called in this study a theologically shaped epistemological framework, which accordingly copes with the aforementioned interpretive issues in Proverbs 10-31. This hermeneutical lens functions not only for the interpretation of proverbs but also for the interpretation of our contemporary life per se.

      • KCI등재

        지혜자의 자기성찰

        유선명(Sun Myung Lyu)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7 Canon&Culture Vol.11 No.1

        잠언 30:15-33은 문학적으로 매우 특별한 선집들 사이에 끼인 어정쩡한 격언 모음으로 간주되곤 한다. 아굴의 어록(30:1-9), 르무엘 모친의 가르침(31:1-9), 그리고 정교한 알파벳 시로 구성된 현숙한 여인 찬가(31:10-31)에 비교할 때 이 단락을 숫자잠언의 형태적 공통성 외에는 일관성이 결여된 (머피의 평가) “사소한 어록집”(팍스)으로 부르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잠언 30:21-23의 해석맥락을 “천지개벽”이라 불리는 급작스런 사회격변에서 찾은 밴레이븐의 해석은 나름의 타당성이 있지만 매우 제한된 범위에서만 분석이 시도되었다. 본고는 잠언 30장의 숫자잠언 전체가 알려진 것보다 더 분명한 문학적 통일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격변 상황의 반영물로 해석가능하다고 논증한다. 통상적으로 질서와 조화를 암시하는 숫자잠언이 이 장에서는 자신들의 세계관이 도전과 조롱의 대상이 되는 현실을 대면한 지혜자들의 불편함을 드러내는 도구로 사용되는데, 가족의 충성(15-17절), 성도덕(18-20절), 사회계층(21-23절), 공적 영역의 봉사(24-28절), 그리고 왕정의 견실함(29-31절) 등 영역에서 전통적인 지혜의 가르침이 위기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비록 전도서에서 보이는 환멸감까지 가지는 않아도 잠언 30장은 잠언 전체를 지배하는 도덕적 낙관주의의 좌절 즉 사람이 지혜에 의해 의롭고 슬기로운 인격체로 빚어진다는 신념에 제동을 거는 지혜자들의 자기성찰을 담고 있다. 이 잠언들에서 감지되는 괴리감과 약간의 냉소는 이 본문 주위에 보이는 아굴의 경건, 르무엘 왕 모친의 전통적 엘리트 성향, 그리고 현숙한 여인 찬가에 드러난 고요함과 대조를 이룬다. 잠언 형성의 마지막 단계에 속한 이 수집물은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신념체계가 흔들리는 상황을 그대로 직시하며 지혜의 행보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잠언 전체의 가르침에 깊이를 더해준다. Prov 30:15-33 as a whole is considered a loose collection of sayings that sits somewhat awkwardly between compositions that have remarkable literary features. Compared to its literary neighbors in Prov 30 namely the Words of Agur (30:1-9), the Teaching of Lemuel’s Mother (31:1-9), and further the stylized acrostic poem of The Woman of Valor (31:10-31), this “miscellany of epigrams” appears to have little cohesion (M. Fox), except that they are gathered along the common form of numerical sayings (R. Murphy). R. Van Leeuwen has argued, successfully albeit with limited scope, that sayings in 30:21-23 describe abnormal situations that betray “the world upside down.”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Van Leeuwen’s dictum can be applied to the entirety of the numerical sayings, with the implication that the sage-editor(s) behind these sayings meant to express the frustration of watching their sapiential outlook of the world being challenged and mocked to their displeasure. Couched in the form of numerical saying typically used to convey the sense of order and harmony, these sayings in the canonical shape show how the wisdom teaching is frustrated in the areas of familial loyalty (15-17), sexual morality (18-20), social positioning (21-23), nobility in public service (24-28), and integrity of kingship (29-31). Although it does not register disillusionment found in Qohelet, the passage nevertheless reveals ethos of self-reservation in contrast to the general optimism of Proverbs regarding the power of wisdom shaping ethical (“righteous”) and prudent (“wise”) characters. The tint of cool detachment and sarcasm in that reflection makes the passage stand out when seen in the light of the pietistic Agur, the elitism and traditionalism of Lemuel’s Mother, and the harmonized serenity of Prov 31:10-31. As a layer of final additions to the main body of proverb collection, the numerical sayings in 30:15-33 add depth to the sages’ teaching as it shows how one can look straight into the world facing the challenge to his cherished system of belief. This deserves to be called true wisdom at work.

      • 잠언서에 나타난 여성의 지혜 : 잠언 8:22-31 & 31:10-31

        박종수 강남대학교 1994 論文集 Vol.25 No.1

        지금까지 잠언서에 나타나는 여성지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필자 나름대로의 "하나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제안은 언제나 새로운 또 다른 비판과 해석을 요구하게 된다. 왜냐하면 "진리"라고 하는 것은 한 곳에 머물기를 원하지 않으며(욥기28 : 13-22). 새로운 환경에서 늘 새롭게 우리에게 다가 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가 잠언서에 나타난 여성지혜의 정체와 역할을 살펴 본 첫째 목적은 그 여인지혜의 온전한 실체를 밝히기 보다는 그 여인지혜를 소개하는 히브리 시인의 목적과 잠언서 전반에 흐르는 여성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하는 데 더 큰 목적이 있다. 잠정적인 결론은 잠언 8:22-31은 여인지혜의 신성(神性) 즉 "모든 피조물보다 선재한 야훼의 또 다른 모습인 영적인 존재, 즉 지혜"에 대한 찬양시라고 말할 수 있으며, 조심스럽지만 가능성 있는 제안으로는 잠언 31장의 현숙한 여인은 그 "여성지혜의 실재적 예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히브리 시인의 의도는 무엇일까? 잠언서 전반에 흐르는 분위기는 남성중심적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아비의 훈계를 어미의 훈계보다 늘 앞세우며, 남자보다는 여인을 조심하라는 편견을 들 수 있다고 필자는 지적한 바 있다. 잠언서 전체를 통해 볼 때 31장의 현숙한 여인은 사실 지혜로운 여인의 대표자격이 되며(잠언 14:1), 음녀와 이방여인과 대조되는 사람으로 그려진다. 이 음녀와 이방여인에 대한 언급은 잠언의 곳곳에서 발견된다. 잠언 7장은 그 음녀의 행위에 대해 자세하계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잠언 5: 20에서는 음녀와 이방여인을 아무런 구별없이 동일시 하고 있다. 이 이방여인의 정체는 무엇인가? 왜 잠언서의 기록자는 이방여인을 음녀와 동일시 했는가? 우리는 잠언서에 나타나는 음녀에 대한 정보와는 달리 이방여인에 대한 어떤 정보도 얻을 수 없다. 그 이방여인은 이유도 없이(?) 음녀와 같은 타락한, 저주받은 존재요, 사람들로부터 버림받아야 할 존재이다. 그 이방여인은 잠언 6:24에서 악한 계집과 동일시된다. 스코트는 잠언 6 : 16이 우가릿 문헌에 나타나는 셈족이 즐겨 사용하는 호교론적 표현과 평행구를 이룬다고 주장하면서, 야훼가 싫어하는 것을 행하는 자가 곧 음녀요, 이방여인임을 암시한다. 결국 그 이방 여인은 구체적인 악한 행동 때문에 음녀와 동일시되는 것이 아니라 이방신을 섬김으로 해서 경계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민족의 정체성과 야훼신앙이 절실히 요구되던 기원전 2-3세기 경에 잠언서의 편집자는 이러한 사회적인 요구사항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잠언들은 편집하면서 여인지혜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했다. 왜냐하면 남녀를 불문하고 쓰러져가는 유대의 앞날을 걱정하면서 여인들의 역할에 민족적이자 종교적인 헌신을 기대했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에스더서를 들 수 있는데 이것 역시 동시대에 편집되어 성문서의 일부로 정경속에 포함된 것이다. 이경숙 교수가 지적한 대로 비록 에스더는 모르두개의 지시를 받긴 했지만, 그 시대의 유대인에게 모범이 되는 이상적인(ideal) 여인임에는 분명하다. 캠프가 주장한 바와 갈이 잠언서가 편집될 당시에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확대됐다는 사실은 문헌상 분명하지 않지만, 적어도 잠언서 기자는 유대의 구원과 희망에 여성의 역할 특히 여성지혜의 역할에 상당한 기대를 했음이 분명하다. 그와 동시에 그는 지혜의 신적인 속성을 하나님과 동등하거나 하나님의 또 다른 속성으로 묘사함으로써 지혜가 이방사상과 구별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결론에 대신하여 잠언서의 기자와 오늘날 여성신학이 요구하는 과제를 대질시키고자 한다. 과연 잠언서 기자는 오늘날 여성해방을 위해 일조하고 있는가? 아니면 그 역시 가부장적인 전통속에서 여전히 여성의 인권을 고려하지 않은 여성해방의 장애자로 남아 있는가? 이러한 양자택일 식의 질문은 우리의 의도와는 거리가 멀다. 왜냐하면 진리는 새시대의 요구에 새롭게 응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진리의 본질은 초월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초월적인 진리는 현재의 실존에 응답해야만 한다. 성서의 기록은 그 "진리를 내포한다(contain)." 그 진리에 대한 해석은 우리의 몫이다. 잠언서에서 말하고 있는 여인지혜나 현숙한 여인은 분명히 여신(goddess)을 드러내기 위하여 소개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담지하는 신적인(神話的) 언어와 전통마저 무시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그런 언어가 지혜의 모습을 보존하고 강인하게 우리의 뇌리에 살아 움직이기 때문이다. 성서 기자는 이 점을 간과하지 않고 여성지혜를 과감히 소재하고 있다. 잠언서의 대부분은 아직도 여전히 이유없이 이방여인을 악녀라고 소개하는 남성중심적 편견이 남아 있긴 하지만, 적어도 잠언 8장과 31장의 여인지혜의 모습은 오늘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그것은 1) 첫째, 제한된 사회적·종교적 여건 속에서도 성서기자는 여성지혜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지혜를 구원의 매개체로 삼고자 한다. 2) 둘째, 시대적 여건으로 말미암아 비록 남성 중심적인 사고를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지만, 지혜의 신성에 나타난 야훼의 남성성과 여성성을 동시에 강조함으로써 구원사역에 있어서의 성차별을 배제한다(특히 잠언 31장). 3) 셋째, 타문화권의 지배를 받는 상황에서(주전 2-3세기) 성서기자는 야훼신앙의 정통성과 순수성을 치키고자 애쓰고 있다. 4) 넷째, 오늘의 여성해방을 기대하는 모든 이들에게 여성지혜의 모든 희망적인 예시를 주저없이 과감히 밝힘으로써 여성이 소외되지 않는 사회, 여성이 구원자로 등장하는 사회, 동시에 여성이 찬양받은 사회에로의 길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성서의 메시지를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고무적이며, 성서가 기독교 전통안에서 여전히 살아 움직이는 가치있는 "거룩한" 책임을 보여준다. 그것은 성서가 이미 기독교인에게 자기 문화의 일부요, 살과 피의 일부가 된 것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잠언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김창대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본 연구는 오늘날 교회 강단에서 도외시되는 잠언 설교를 위해서 설교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잠언 해석들을 저자, 독자, 그리고 본문이라는 세 가지 축에서 조명했다. 저자의 축은 잠언 경구들 배후에 있는 저자와 그가 속해 있는 역사적 배경을 추적하는 방식을 통해 잠언의 경구들의 의미를 어떻게 파헤치려고 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저자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관심은 잠언 해석에서 많은 유익한 점을 낳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설교자에게 별로 유익을 주지 못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독자의 축은 잠언 해석을 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서 잠언 경구들을 해석한다는 약점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잠언 설교를 위한 경구 해석은 기본적으로 본문 자체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문 자체에 관심을 둔 설교 방법론도 두 갈래가 있다. 하나는 잠언에 나오는 경구들을 주위 문맥과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이해하고 그것을 강단에서 선포하는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잠언의 경구들을 주위의 문맥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방식이다. 오늘날 잠언 해석은 후자의 방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즉 잠언의 경구들을 따로 따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그 경구들이 속한 단락의 경계를 정하고 그 단락 속에서 경구들을 의미를 파헤치려는 시도이다. 이런 시도는 자칫 주관적 흐름으로 치우칠 수 있는 잠언 설교를 문맥이라는 방패막이를 통해 객관적으로 경구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오늘날 잠언 연구는 단락의 경계 속에서 그 단락 안에 수사적 구조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이런 새로운 잠언 연구의 경향에 맞추어서 잠언 설교도 단락의 경계를 정하고 수사적 구조를 밝히는 방식으로 전개된다면 더 풍요로운 설교 대지를 청중들에게 제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잠언의 전체적 지혜는 공동체를 세우는 데에 있다는 것을 관찰하고 그런 관점에서 잠언의 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olves around the presentation of a methodology regarding how to preach Proverbs. For this, our first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the previous interpretations of the book of Proverbs in terms of the following three angles: author, reader, and text. The angle of author in interpretation of the Proverbs has aimed at an exploration of who was the author of a text and what were its historical backgrounds in an effort to cull out the meaning of the text. This attempt reveals the weakness that it has very few to contribute to delivering the messages of Proverbs on the pulpit. On the other hand, an emphasis on the angle of reader in studies of the Proverbs entails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verbs can be influenced under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reader in reaching the meaning of text. With these observations in mind, our study attempts to validate the claim that preaching Proverbs should be conducted by attending to the text itself.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its attention on the text in line with the recent trend which presupposes a unity behind the arrangement of the sayings in the book of Proverbs. In other words, this work argues that the sayings as they stand in the book of Proverbs were canonically shaped to constitute a coherent whole. It goes on to emphasize that for the preaching of a proverb (or saying), the preacher should demarcate a unit of which the proverb forms a part, and then explore a rhetorical structure of the unit. Such procedures facilitate the preacher to make sermon subjects richer. After this, the preacher is enabled to connect his sermon subjects to the overarching theme of Proverbs, that is, the theme of builidng up of a community, because the wisdom as presented in the Proverbs is defined as a harmonious relationship on the part of a human with the community as well as God.

      • KCI등재

        기독교대학 학생들을 위한 잠언 교육 방안

        김광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기독교교육논총 Vol.23 No.-

        The Proverbs is good for all generations, and particularly it may provide the young generation with learning how to live in their own community with fearing God. Therefore its education needs to be available in family as well as school in spite of the current time spirit. It is very important to instruct it to the college students, in which their systems of Christian value are being formulated.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worth of the Proverbs and methods to instruct it have been focused on in the Christian education as well as the Old Testament. This research analyzes current issues to find ou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of the Proverbs for the Christian college students, whose time spirit is dominated by the postmodernism. The distinctive features of postmodernism, its theological consequences, and its correspondence to the Proverbs are analyzed. And based on its communicative principles this formulates the third alternative of the “sapiential mode approach” including the traditional instructive approach such as lecture or sermon and the experience focused approach such as counseling or discussion. Its educational principles and methods for the Christian college students are elaborated. This research has a couple of contributions. The one shows current trend in the academic researches in the Proverbs education through reviewing both the Biblical research and the Christian education. The other suggests methods and methodologies of the Proverbs education for the Christian college students, whose religious background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ontributes to research and practice of the Proverbs education in the Christian college. 잠언은 모든 세대들의 지혜를 위한 책이지만 특별히 젊은 세대들이 즐겨 읽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으로서 그들이 속한 공동체에서 어떻게 살아야하는 것을 배울 수 있는 책이다. 그러한 이유에서 잠언 교육은 어느 시대와 상관없이 다음 세대가 속한 가정, 학교에서 행해져야한다. 특히 기독교적 가치관 형성의 중요한 시기인 청년기에 속한 대학생들에게 가르쳐야한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와서 잠언의 가치와 젊은이들에게 효과적으로 잠언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데 그것은 시대적인 요청에 의해 이루어지는 성서학의 ‘지혜문학’ 연구와 기독교교육학의 ‘지혜교육’ 연구들이다. 이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정신 속에 살고 있는 오늘의 기독교대학의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잠언교육 방안을 찾기 위해 몇 가지 문제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들을 살펴본다. 먼저 ‘포스트모던시대와 잠언의 특징’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과 신학적 대응, 그리고 이와 연관된 것으로 잠언의 내용, 교육 방법, 목적을, ‘잠언의 지혜양식’에서는 진리를 전달하고 실천케 하는데 있어 전통적인 두 양식인 전통중심 교육적 접근(강의, 설교)과 경험중심 교육적 접근(상담, 토의)의 장단점과 그 대안으로서의 제3의 양식인 잠언이 제시하는 ‘지혜 양식적 접근’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상에서 제기한 이론적 기초에 따라 오늘날 기독교대학이 감당해야 할 대학생들을 위한 잠언교육의 방안과 방법들을 찾아본다. 이 연구는 다음 두 가지 점에서 기여할 수 있다. 첫째는 잠언에 대한 성서학과 기독교교육학의 접근이론을 살핌으로 잠언교육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의 흐름과 방향성을 알게 된다. 둘째,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지니고 있는 기독교대학 학생들에게 어떻게 잠언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과 방법들을 제안하게 된다. 이를 통해 기독교대학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잠언교육의 연구와 실천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잠언 격언(Proverbial Sayings)에 대한 해석학적 제안

        김성진(Sung-Jin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3 Canon&Culture Vol.7 No.2

        본 논문은 잠언 10장 이후에 나타나는 ‘문장 잠언(sentence saying)’에 대한 새로운 해석학적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잠언 10자 이후의 문장 잠언은 독립된 ‘잠언 경구(proverbial saying)’들이 질서 없이 배열되어 문학적 통일성이 부족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 결과 이 부분을 해석할 때 전체적인 관점보다는 한 문장 중심의 해석이 주를 이루었다. 잠언 27장 1-17절은 형태론적으로는 ‘잠언시’의 형식을 띄고 있으며, 의미론적으로는 ‘우정’이란 주제를 중심으로 잠언 경구들을 모은 ‘우정시’이다. 이 시는 구조적으로 비슷한 형식을 갖는 두 개의 연으로 구성되었다.(1연: 1-10절, 2연: 11-17절). 이 ‘우정시’에서 강조하는 것은 진정한 가치이다. 진정한 친구는 의미 있는 인생을 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이러한 우정의 가치를 강조하고자 두 가지의 친구의 유형을 제시한다. 즉,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친구는 멀리해야 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친구는 찾고 추구해야 함을 가르친다. 또한 이 잠언시는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그러한 참된 친구가 되도록 권면하고 있다. 현대 사회의 많은 문제점이 인간관계의 단절에서 비롯됨을 생각할 때, 진정한 친구를 갖는 것은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중요한 첫 걸음이 될 수 있음을 이 우정의 시는 강조하고 있다. A New Approach to Proverbial Sayings in the Book of Proverbs: Text-Linguistic analysis on Friendship Poem(Proverbs 27:1-17) This study contends that Prov 27:1-17 forms a friendship discourse based on an evident thematic coherence (i.e., “true friendship”) and syntactic cohesion (i.e., a “proverb poem”). As a “proverb poem,” this section comprises individual sayings that are isolated, but can be pieced together by the theme of friendship. This poem consists of two stanzas (vv. 1-10 and vv. 11-17) that share a similar structural pattern in developing the theme of friendship. In this view, Prov 27:1-17 discusses true friendship as an essential element of a meaningful life. Prudence in choosing a good friend in life is emphasized because such mutually enriching friendship not only makes human life meaningful, but also contributes towards the development of human character. In terms of the canonical function, this poem on friendship climaxes and summarizes the friendship teachings in Proverbs in al culmination of the various dimensions of friend-ship, which are addressed in the previous sayings.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study utilizes two methods: textlinguistics and Hebrew poetic analysis.

      • KCI등재

        잠언 1-9장에 나타난 여인 모티프 연구 : “지혜 여인”과 “음녀”의 문학적/신학적 기능

        김성진 ( Kim Sung Ji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8 ACTS 신학저널 Vol.36 No.-

        본 연구는 잠언에 나타나는 여인 모티프가 갖는 문학적/신학적 기능에 대한 분석이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잠언에 나타나는 다양한 여성들의 정체와 역할에 대해 신화적이나 사회문화적 접근으로 이해하려던 시도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잠언안에서 여성 모티프가 갖는 문학적/신학적 기능을 살펴봄으로 여성 모티프의 역할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잠언에서 여인은 잠언의 중심 주제인 “지혜”가 의인화 된 “지혜 여인”과 이 지혜의 상대적 개념인 “어리석음”, “미련함”이 의인화되어 나타나는 “음녀”(“이방 여인”)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잠언에 나타나는 여성 모티프를 잠언 1-9장의 화자인 아버지와 청자인 아들 사이에 형성된 문학적 배경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아버지는 삶의 중심 원리인 “지혜”를 아들에게 교육하고자 “실재적 상징”이라는 수사학적 방법을 통해 지혜라는 추상적인 원리를 지혜 여인으로 발전시켰고 지혜 여인과 대조되는 다양한 여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아들로 하여금 합당 한 선택을 함으로써 삶의 원리인 지혜를 체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이러한 가르침은 합당한 배우자 선택이라는 지혜가 가장 필요한 상황 속에서 아들의 결혼 전, 배우자 선택 상황, 그리고 결혼 관계의 세 단계를 통해 전개 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잠언에 나타나는 지혜 여인과 음녀의 모티프는 단순히 배우자를 선택하는 문제를 뛰어넘어 삶의 원리인 지혜를 얻는 것과 실재의 삶 속에서 가장 중요한 선택인 배우자 선택의 문제를 동시에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잠언에 나타나는 여인 모티프는 잠언 1-9장의 문학적 구조를 형성하며 더 나아가 잠언의 중심 주제인 지혜를 가장 실재적인 방법으로 교육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사용된 의인화 기법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n in-depth analysis of the literary and theological function of woman motif in Proverbs 1-9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ension between Woman Wisdom and her rival Woman Folly. One of the striking features of the book of Proverbs is the active and decisive roles of woman figures. These features of women are unique in the Old Testament in that women are usually subject to male supremacy. In Proverbs, various female characters such as “wisdom lady”, “woman folly”, “the adulterous woman”, and “the strange woman” appear as active agents having crucial roles in both individual and communal contexts. Even before exploring the roles of these woman figures, we need to recognize the identities of these woman in the book. Woman figures mainly appear in the instructions of the opening nine chapters of the book. In order to identify these women, scholars suggest mythical and socio-cultural approaches. In this understanding, woman characters are regarded as reflections of either goddesses in ancient myths or social minorities, such as foreign women or forbidden community members. However, these approaches show intrinsic limits as they have tried to analyze the woman figures from external perspectives rather from the context of the book of Proverbs. Thus,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woman motif within the context of Proverbs 1-9, in which a father teaches wisdom to his son. Women figures in Proverbs, indeed, are literary devices which represent the choice made by the young men. For pedagogical purposes, the father utilized “realistic symbolism” by personifying the abstract concept of wisdom and folly as a woman. Both woman wisdom and woman folly gradually reveal their identities and role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in Proverbs 1-9. By doing this, the tension between woman wisdom and woman folly forms the structure of Proverbs 1-9. The question of identity of woman figures also raises the question of the roles of them in the book of Proverbs. In fact, the distinctions between woman wisdom and her rival woman folly is at the heart of the teaching of wisdom. This two types of woman competitively invite the son into a relationship with them. In this context, the young man, a son in Proverbs 1-9, is called on to make a choice between these two women. The choice between woman wisdom and woman folly plays a pivotal role in forming the literary structure and theology of the book of Proverbs. When Proverbs 1-9 is understood in this way, we can get the roles of woman motif in Prove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