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도시대 두창의 예방과 치료: 인두법의 수용을 중심으로

        김영수 의료역사연구회 2024 의료사회사연구 Vol.13 No.-

        본 논문에서는 일본에서 두창 유행에 대응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인두법이 도입된 과정과 그 전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인두법의 도입과 실천이 당대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에서 두창이 유행한 역사를 정리하고, 두창에 대한 예방책이라고 할 수 있는 인두법이 도입되고 전개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인두법이 도입된 시기는 18세기 중반이나, 약 반 세기에 걸쳐 인두법을 실천하는 과정이 진행되었다. 여러 의가들이 인두법에 도전했지만 일회성에 그치면서 오가타 슌사쿠(緖方春朔)가 인두법을 본격적으로 시행한 것으로 본다. 그는 인두법에 관한 경험과 지식을 종두필순변(種痘必順辨) 등의 의서에 담았다. 그는 일본에 들어온 중국식 인두법을 그대로 실시하기보다 일본의 기후환경을 고려하고, 종두효과를 높일 수 있는 독자적인 인두법을 전개했다. 다만 당시 두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은 인두법이라는 예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진단과 약으로 두창을 치료하는 것이었다. 오가타 슌사쿠가 인두법을 활발히 실시하던 시기에 막부는 의학관에 두과를 설치하여 이케다류(池田流)라는 두창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식을 확산시켰다. 방법은 달랐지만, 이와 같은 두창 예방과 치료를 둘러싼 경합은 19세기 초 일본에서 두창에 관한 의학지식과 경험이 축적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인두법은 처음에는 중국에서 들어왔으나, 점차 난학과 우두법에 관한 지식과 결합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되었다. 학문적, 기술적인 변화 속에서 난방의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인두법의 시도는 이후 우두법의 도입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동했다고 하겠다. 인두법을 도입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학문의 경계를 넘어선 19세기 초의 일본 의학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roduction of smallpox variolation (人痘法) as a means of addressing the smallpox epidemic during the Edo period in Japan. It also investigates the impact of smallpox variolation on Japanese society during the late Edo period. I begin by outlining the history of smallpox epidemics in Japan. Subsequently, I document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smallpox variolation, which was considered a valuable preventive measure against smallpox during that period. While smallpox variolation was introduced in the mid-18th century, it took about half a century for the practice to be effectively implemented. Several physicians attempted variolation during this period, but Ogata Shunsaku (緖方春朔) was renowned as the first to succeed on a large scale, particularly with children. He authored works such as “Shutohissunben (種痘必順辨)” to advocate for the effectiveness of variolation. Additionally, rather than simply adopting the Chinese method of variolation, he developed his own method that took into consideration Japan's unique climate and environment, hoping to enhance the efficacy of variolation. During that time, the prevailing response to the smallpox epidemic focused on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medicine rather than variolation. While Ogata Shunsaku actively practiced variolation, the shogunate established an institution within the medical department tasked with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mallpox. This institution propagated the Ikeda-ryu (池田流) method, which specialized in diagnosing and treating smallpox. Despite disparities in approaches, competition between smallpox prevention and treatment catalyzed the accumulation of relevant med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Japan during the early 19th century. Initially, variolation was introduced from China; however, over time, researchers experimented with it in various ways, integrating knowledge from Rangaku (蘭學) and cowpox inoculation (牛痘法). Responding to academic and technical developments, Ranpoi (蘭方醫) made diverse attempts at variolation that served as precursors to the eventual adoption of cowpox inoculation. Examining the process of variolation’s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elucidate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19th-century Japanese medicine that transcended disciplinary boundaries.

      • KCI등재

        의학지식의 수용과 변용 ― 종두법(種痘法)의 전래와 한문 우두서(牛痘書)를 중심으로 ―

        조정은 명청사학회 2018 명청사연구 Vol.0 No.49

        인류의 역사는 질병과의 투쟁사이다. 그 중에서도 천연두(天然痘, smallpox)는 인류역사에 가장 큰 족적을 남긴 무서운 전염병이었다. 쉽게 전염될 뿐만 아니라 걸리면 10명 중 3명이 죽을 정도로 치사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요행이 낫더라도 얼굴에 흉한 곰보자국을 남긴다. 물론 지금의 인류에게 천연두의 공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천연두 바이러스의 절멸을 선언하면서 천연두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인류가 천연두를 정복할 수 있게 된 것은 백신 개발을 통한 예방법이 성공한 덕분이다. 천연두 백신의 시초는 중국에서 시행된 인두법(人痘法)이다. 인두법이란 천연두 환자에게서 균을 채취하여 약하게 천연두를 앓아 면역을 만들게 하는 방법이다. 중국에서는 주로 관을 통해 코에 두가(痘痂)를 넣었다. 약 17세기부터 중국의 인두법은 러시아, 중앙아시아, 터키, 일본, 조선 등으로 전파된다. 다만 유럽에서 유행한 인두법은 중국식이 아닌 터키식 인두법으로, 팔을 째고 그 상처에 두묘를 넣는 방식이었다. 이 시기 종두법으로 대표되는 의학지식의 전파는 주로 바다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특히 해양교통의 발전은 인두법보다 우두법(牛痘法)의 확산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우두법의 관건은 신선한 백신의 공수에 있다. 교통이 발전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인두법에 만족했을지라도 이후 신선한 우두백신의 운반이 가능해지자 종두접종의 대세는 점차 우두법으로 바뀐다. 우두법의 중국내 확산은 종두서의 번역과 출판 덕분에 가능했다. 알렉산더 피어슨(Alexander Pearson)의 『영길리국신출종두기서(咭唎國新出種痘奇書)』는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한문으로 번역되어 우두법을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구희(邱熺)의 『인두략(引痘略)』은 중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우두법을 설명함으로써 중국인들이 쉽게 우두법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왔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두법이 곧바로 중단된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20세기 초까지도 여전히 인두법이 행해졌다. 우두법은 팔을 째고 그 상처에 두묘를 집어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교적 관념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이 들여온 기술에 대한 기피, 완종법을 실시할 의료종사자의 부족도 우두법 접종을 망설이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중국과 달리 일본에서는 우두법이 들어오자 인두법을 실시하던 사람들도 곧 우두법으로 방식을 바꾸었다. 이제까지 선행연구는 우두법의 빠른 수용이 가능했던 원인으로 인두법을 통해 백신이라는 관념을 체득하고 있었다는 점, 난학의 수용으로 서양의학에 대해 거부감이 적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국에서 건너온 한문 종두서의 영향력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한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문제없이 읽고 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신정두종기법(新訂痘種奇法)』과 『산화신서(散花新書)』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의 의사들은 원문 그대로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서양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종두법을 수정, 보완하였다. 『신정두종기법』은 『영길리국신출종두기서』의 설명이 부족하다고 여겨 종두를 채취하는 모습이나 묘장의 보관법을 묘사한 그림을 추가하고 종두 접종 시 주의점을 덧붙여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산화신서』 또한 『인두략』의 번역에 그치지 않고 본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medical knowledge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 East Asia, the propagation of Variolation(人痘法) and Vaccination(牛痘法) as an example. Variolation was the first method used to immunize an individual against smallpox(Variola) with material taken from a patient. Smallpox was a devastating infectious disease in former times. On average, 3 out of every 10 people who got it died. Those who survived were usually left with scars. It is unclear when the variolation began in China, but at least it was generally practic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is method was introduc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by sea until 1720s. In Japan, a Chinese inoculator Li Jen-Shan(李仁山) proposed the method of Chinese style variolation after a severe smallpox outbreak in Nagasaki in 1744, but it was not popular except for some areas. On the other hand, vaccination with cowpox developed from an experiment carried out by an English country doctor, Edward Jenner in 1796. Unlike the old Chinese style variolation, Jenner’s vaccine quickly spread throughout Asia, including China and Japan. Alexander Pearson’s small book was translated into Chinese YingjiliguoXinchuZhongdouQishu(咭唎國新出種痘奇書)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forming the Jenner’s vaccine in China. But the Chinese doctors understood that Jenner’s vaccine was based on the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for example YindouLue(引痘略). Japanese doctors were relatively tolerant of Jenner’s vaccine acceptance.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they had learned the concept of vaccines through the Chinese Variolation and the acceptance of Rangaku has made it less resistant to Western medicine. But the influence of Chinese Vaccination Books should not be overlooked, because it is a Chinese character, and Japanese was able to understand it without problems. In addition, Japanese doctors not only introduced the original texts, but also revised and supplemented them with western medical knowledge, as can be seen in the "Sinteitousyukihou(新訂痘種奇法)" and "Sankasinsyo(散花新書)". Here we can see how medical knowledge continues to build vitality and develop.

      • KCI등재

        한국 종두법의 발전과 의학 기술의 문제: 인두법에서 우두법으로 전환과 의학 지식과 기술의 간극

        신규환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10 No.1

        한국에서 인두법과 우두법은 우열론과 이분법적 시각에서 이해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인두법의 근대성과 역사적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인두법과 우두법 모두를 소개했던 정약용의 역할 역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인두법과 우두법이 확산될 수 있는 의학적 기반은 매우 취약했다. 여기에는 서학에 대한 정치적 탄압, 의학 지식 네트워크의 결여, 관민의 지원 부족, 두묘 확보와 접종 기술 등 여러 가지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이 글은 그 중에서도 두묘의 채취 및 보관, 접종 기술 등 그동안 종두법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원천기술의 중요성에 관심을 두었다. 두묘 없이 종두는 불가능하다. 인두법은 두창 환자에게서 두묘를 채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두묘의 확보에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인두묘의 경우에는 시묘와 숙묘사이에 안정성의 문제와 기술적 난이도가 존재하였다. 우두법 역시 우두묘 확보가 관건이었는데, 19세기 전반까지 한국에서 우두묘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 자체 생산도 불가능했고, 해외에서 들여온 우두묘는 쉽게 부패해서 효과가 없었다. 두묘가 확보되지 않는 한, 아무리 우수한 종두법이 있다 해도 쓸모가 없었다. 인두법과 우두법은 이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발전적인계승 관계에 있었다. 그러나 정확히 말하자면 우두법에 사용된 인두법은 중국식 인두법이 아니라 서양식 인두법이었다. 중국식 인두법은 두가를 콧 속에 불어넣는 방식이었던 것에 비해, 서양식 인두법은 팔뚝 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에 우두묘를 접종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서 인두법에서 우두법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왜 우두묘를 접종해야 하는지와 왜 팔뚝의 피부를 절개해야 하는지 설명이 필요했고, 더 나아가 두묘의 확보와 접종 기술의 전수라는 의학 기술적 장벽도 넘어서야 했다.

      • KCI등재

        18세기 초 인두접종 지식과 기술 도입 다시보기: 런던과 보스턴을 중심으로

        이현주 의료역사연구회 2023 의료사회사연구 Vol.11 No.-

        London and Boston were inarguably the two most important centers in the early history of smallpox inoculation in the West. Moving from simple to complex, this article reexamines the conventional story of the adoption of smallpox inoculation, diving more deeply into the knowledge of early experimenters and their practice of the technology. Before the introduction of smallpox inoculation in London by the famous Lady Mary Montagu and Dr. Charles Maitland and in Boston by Rev. Cotton Matter and Dr. Zabdiel Boylston, knowledge of the practice had already circulated in the transatlantic world by word of mouth. Information about the methods and techniques of inoculation was inconsistent and complex, but early experimenters did not exclude such methods, which were later considered to be non-Western in style. Surgical tools and inoculation methods were transformed through practice, and imperfection in written knowledge and technical complexity at the practical level were ingrained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history of smallpox inoculation. 런던과 보스턴은 의심할 여지없이 서양의 초기 인두법(smallpox inoculation)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두 중심지였다. 이 논문은 인두법의 채택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지식과 기술이라는 측면에서 재검토한다. 초기 런던과 보스턴에 알려진 인두법 지식과 인두법의 실제에 대해 더 깊이 파고드는 것을 통해 이 글은 초기 인두법 기술이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복잡한 과정을 거쳐 정착되었음을밝힌다. 유명한 레이디 메리 몬태규(Lady Mary Montagu, 1689-1762)와 찰스 메이틀런드 의사(Dr. Charles Maitland, 1668-1748)가 런던에서, 그리고 코튼 매더 목사(Rev. Cotton Mather, 1663-1728)와 자브디엘 보일스턴 의사(Dr. Zabdiel Boylston, 1676-1766)가 보스턴에서 인두 접종을 시도하기 전에 횡대서양 세계에는 인두법에 대한 지식이 이미 퍼져있었다. 이러한 정보는 무역과 인적 이동, 그리고 지 식 네트워크를 타고 입소문과 문헌을 통해 런던과 보스턴에 전해졌다. 그러나 이 시기 인두 접종 기술에 대한 묘사는 그 기원과 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서술하고 있어 일관성이 부족했고 기술 재현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못해 구체성이 떨어졌다. 더불어 네트워크 접근성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과 질에도 차이가 있었다. 인두법은 런던과 보스턴에 두창이 유행했던 1721년과 1722년 사이에 처음으로 실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적일 수밖에 없었던 초기 인두법의 역사에서 두 도시의 인두법 선구자들은 후일에는 비서구적 스타일로 간주되는 인두 접종 방식도 배제하지 않았다. 또한 이들에게 전해진 지식이 인두 접종의 세부 사항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에는 불완전했기 때문에 인두 접종 방법과 도구는 거듭된 실행과 경험을 통해 변형되었다.

      • KCI등재

        이종인의 『시종통편』과 인두법의 보급

        박훈평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2 다산학 Vol.- No.40

        경기도 포천 출신의 이종인(1756~1823)은 인두법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1817년 『시종통편』을 저술하였다. 이종인은 왕실의 후예이면서 근기남인 핵심 가문 출신이었다. 본고에서는 왜 양반 가문의 적자인 이종인이 의업에 종사했는가, 그의 의학관은 무엇인가, 조선에서 인두법의 조선 확산이 가능했던 까닭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종인의 증조부는 덕흥대원군의 봉사손을 지냈고, 조부는 문과에 장원한 이였다. 그러나 이종인의 조부가 역모로 죽으면서 유학을 통한 출세의 길이 닫혀 있었다. 결국 이종인에게 의업은 좋은 선택지였다. 남인계의 유의적 전통이 그의 선택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이나 그근거는 명확하지 않다. 『시종통편』은 청대 중국 의서를 편리성과 간결성에 초점을 두고 재편하고자 했다. 이종인이 별도의 의서를 저술하였던 까닭은 조선의 실제상황에 알맞은 인두법 지침서가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인두법이라는새로운 기술이 나오고, 그에서 파생된 새로운 의학지식이 필요한 시대적 상황에 이종인은 대응했다. 19세기 초 인두법의 확산은 지식인 계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정약용, 박제가, 이종인, 한방렬이 그 사례이다. 인두법이 그들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면서, 피지배층 또한 더욱 쉽게 인두법을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 이종인의 가문은 정약용을 비롯한 다른 근기남인인물들과 활발한 교류의 배경이 된다. 결론적으로 인두법의 수용과 확산은 실학을 기반으로 한 지식인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전파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이종인은 『시종통편』을통하여 새로운 의학기술에 대응하는 지침서를 만들었다. 『시종통편』은단순히 새로운 인두법 지식을 소개함에 그치지 않고 기존의 의학 지식을 실제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조선에 알맞게 재편한 지침서였다. 즉 인두법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나오고, 그에서 파생된 새로운 의학지식이필요한 시대적 상황에 이종인은 실사구시적으로 대응했다. 이종인은유의이자 의학을 몸소 실천한 실학자로서 새롭게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그를 단순히 포천의 향의로서 인두법 보급 과정에 등장하는 보조적인 인물로만 보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 KCI우수등재

        18세기 북미 두창 팬데믹 시기 영국군과 인두접종(smallpox inoculation) -의사 존 제프리(Dr. John Jeffries, 1745-1819)의 기록을 중심으로-

        이현주 한국서양사학회 2022 西洋史論 Vol.- No.152

        In her distinguished book Pox Americana: The Great Smallpox Epidemic of 1775-82 (2001), American historian Elizabeth A. Fenn gauged the scale of the eighteenth century smallpox epidemic by seeing individual outbreaks as linked events and examining the political, military, and medical implications of an epidemic during the Revolutionary War. Benefiting from her contribution, but switching from a macro perspective to a micro approach, this article addresses underexamined or undiscussed issues regarding smallpox inoculation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smallpox pandemic through the records of Dr. John Jeffries, an American loyalist doctor who served in the British Army as medical personnel. His odyssey as a loyalist during the Revolutionary War and the military and medical records left by him allow us to visit different times and locations where smallpox was spreading and inoculation was practiced. Based on these materials, this study illuminates the British Army’s policies and practices concerning smallpox inoculation for loyalist refugees, camp followers, and prisoners of war in sieged Boston and in Halifax, a British garrison town in Nova Scotia, Canada. In doing so, this article argu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wartime smallpox inoculation as a method of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from a more comprehensive and complex perspective that includes not only the immunization of combat soldiers but also that of noncombatants, especially children. 미국의 역사학자 엘리자베스 A. 펜(Elizabeth A. Fenn)은 2001년에 출판된 자신의 저서 『폭스 아메리카나: 1775-82 두창 대유행』에서 18세기 미국독립전쟁 동안 유행한 두창이 실질적으로 전 북미를 휩쓴 팬데믹이 있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펜의책은 국지적이라고 생각되었던 두창 발발 케이스 간의 연관성을 추적해 거시적 관점에서 북미 두창 유행의 규모를 밝히고, 독립전쟁 기간 동안 두창 유행의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 의학적 함의를 연구한 저작으로 18세기 미국사에 기여한 바가 크다. 본 연구는 펜의 사학사적 공헌에 더해, 그러나 펜의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접근으로 그 방법을 달리해 18세기 북미 두창 유행의 시대를 재조명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전쟁기 영국군에서 의료인으로 활동한 미국인 충성파 의사 존 제프리의 기록을 중심으로 영국군 주둔지에서 두창 통제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는 독립전쟁 기간 동안 제프리의 충성파로서의 여정과 그가 남긴 군사 및 의료 기록을 통해 봉쇄된 보스턴과 캐나다 노바스코샤에 위치한 영국군 주둔지에서 두창 유행의 양상과 인두접종 실시 방법을 재구성한다. 특히 본 논문은 영국군 내 전투요원뿐만 아니라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았던 피난민, 종군민간인, 그리고 전쟁포로에 대한 영국군의 두창 통제 정책과 인두접종의 사례를 발굴하는 것을 통해 전쟁기 군에 의한 두창 통제와 인두접종에 대한 논의가 전투요원과 비전투요원(특히 아동)을 포함하는 포괄적 관점에서 논의되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한다.

      • KCI등재

        19세기 『학봉종가 한글편지』에 나타난 질병 관련 어휘에 관한 고찰

        이승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한국문화 Vol.0 No.8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isease-related vocabulary of Hakbongjongga Hangeul letters in the 19th century, and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exical history and life history. Hakbongjongga Hangeul letters shows regional and colloquial features as well as typical features of the 19th century language. It is also an important resource in the study of life history because it shows various daily lives. In terms of the study on lexical history, the disease-related vocabulary of Hakbongjongga Hangeul letters shows a strong tendency to use Sino-Korean words rather than Native Korean words. As the replacement of Native Korean words with Sino-Korean words is a general change from Medieval Korean to Modern Korean, we can see that the disease-related vocabulary of the 19th century also followed that main stream. In addition, Hakbongjongga Hangeul letters shows dialect forms for some disease words,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literal materials. In terms of the study on life history, through the words ‘pi-u(피우)’ and ‘jongdu(죵두)’, it can be examined for way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word ‘피우’ shows that there was a custom to evacuate people to another area to prevent the epidemic, especially smallpox and measles. In addition, the word ‘죵두’ shows that it was common to get inoculation against smallpox at that tim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oculation was variolation(人痘法), an old method of immunizing individuals against smallpox by infecting them with substance from patients.

      • KCI등재

        청말 의료선교사의 눈으로 본 두창과 종두법

        曺貞恩 ( Jo¸ Jeong-eun ) 명청사학회 2021 명청사연구 Vol.- No.56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Chinese people's and foreign medical missionaries' perceptions on vaccination and their effects on the transmission of Jenner's vaccine, from the records of Chinese smallpox and vaccination in the late Qing dynasty, which medical missionaries left. Furthermore, it also examines how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interacted with the modern one, by exploring medical missionaries, Chinese people, vaccination and variolation. The Jenner's vaccine is a vaccination method for preventing smallpox by using the smallpox virus extracted from cows. Chinese people already knew the concept of vaccination through variolation, so Jenner's vaccine was the best method for introducing the modern medicine. Medical missionaries who first introduced the modern medicine into China also intended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modern medicine and show Christian mercy to Chinese people, by using Jenner's vaccine. Medical missionaries left a variety of records regarding the prevalence of smallpox and vaccination. In China, smallpox was an infectious disease that was always prevalent in all areas. Chinese people believed that they could not but experience smallpox once at least in their life. In addition, it can be found that vaccination and re-vaccination for missionaries were emphasized, since smallpox was a disease which also seriously threatened foreigners. Medical missionaries made various efforts to extend Jenner's vaccine, by publicizing it through a variety of media and freely vaccinating people in vaccine stations or mission hospitals constructed in cooperation with local merchants, elites and officials. In addition, medical missionaries and mission hospitals secured vaccine lymph, by using their domestic and foreign networks and contributed to extending Jenner's vaccine by instructing Chinese physicians about how to use Jenners' vaccine. On the other hand, an aspect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can be observed, in that vaccine stations were built in the traditional Chinese temples and Chinese people and foreign medical missionaries performed vaccination together. Jenner's vaccine was, however, not easily practiced. At the initial stage, medical missionaries also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The vaccination was often failed, due to corruption of vaccine lymph and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native vaccinators and use of unhygienic tools. Medical missionaries made efforts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Jenner's vaccine, by continuously investigating why the vaccination was failed and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Chinese people's high reliability of variolation was an obstacle to the extension of Jenner's vaccine. Medical missionaries introduced various cases of variolation, indicating that variolation was generally conducted at that time. In such record, they emphasized the advantage of vaccination, listing the cases of victims who were dead or lost their eyesight due to variolation. Different from them who recognized that the variolation and the traditional notions about it should be abandoned, however, Chinese people who learned Jenner's vaccine from them attempted to accept it within the traditional notions which they had long trusted and preserved. In particular, YindouLue(引痘略) applied the taidu (胎毒) theory, the Yin-Yang theory, periods of vaccination and the restriction on foods after vaccination to Jenners' vaccine. Medical missionaries, however, could not understand such a restriction and explained Chinese people that Jenner's vaccine, different from variolation, could be applied to them regardless of any seasons and it was not necessary to choose foods after vaccination. On the other hand, xieqi(邪氣), a traditional medical concept was also used to explain the causes of smallpox, where the germ theory did not still appear. In order to extend the use of Jenner's vaccine, medical missionaries thus criticized variolation, while using the traditional concept. In spite of such an effort, however, it was not easy to help Chinese people understand the Western way of thinking, since there was a cultural gap which could not be narrowed, between medical missionaries and Chinese people, as in the case of perceptions on re-vaccination and pockmarks. The issue of how to narrow the cultural gap between them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localization of the Western modern medicine with the main focus on Jenner's vaccine.

      • KCI등재

        Public Health and the Emergence of New Clinical Settings for Smallpox Inoculation in Boston, 1753 to 1764

        이현주 한국미국사학회 2016 미국사연구 Vol.43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ston’s public health policy and law and changes in the practice of smallpox inoculation from 1753 up to the 1764 smallpox epidemic. In concentrating on the lack of change in public health policy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 historians have dismissed the importance of nearly a decade of these inter-epidemic interval years and the changes that did occur during the 1764 epidemic.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inoculation hospitals were adopted in Boston and how these new clinical settings influenced the change of inoculation practices. In delving into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will have focused examination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inoculation sites from private spaces to public spaces. It argues that the public profile of inoculation was important in stimulating physicians’ and patients’ comparisons of different inoculation methods and treatment. Secondly, it shows that Boston’s public health decisions were not necessarily an accurate manifestation of individual decisions. Despite the town’s collective decision for rigid regulation of inoculation methods and rejection of the proactive use of inoculation technology, the majority of Bostonians welcomed smallpox inoculation. Thirdly, it hopes to connect local medical history to a larger political context; it argues that the French and Indian War and the emergence of revolutionary conflict between American colonies and Britain partly impacted the dynamic tension in Boston between public health concerns, private practice, inoculation technologies, and inoculation hospitals.

      • KCI등재

        Smallpox, Numeric Data, and Calculating Risk in Colonial Boston, 1720s∼1750s

        이현주 한국미국사학회 2016 미국사연구 Vol.44 No.-

        By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quantification had been integrated as a useful method for analyzing medical questions in England and America. After the introduction of smallpox inoculation in the early 1720s, physicians and intellectuals assessed smallpox and inoculation data. This article explores how numeric data and quantitative analysis were used in the discussion of smallpox and inoculation during the several decad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inoculation. It focuses on Boston, the historic site where inoculation unfolded for the first time in American history. Bostonians quantified the mortalities of community-acquired smallpox and inoculated smallpox. They defended inoculation, arguing that it was less risky than natural exposure. In a nutshell, this argument based on risk calculation did not convince everyone. Statistical data show that by the 1764 epidemic, the proportion of the inoculated to the entire population was quite low. Reports in local newspapers also proved that fear of inoculation persisted, and supporters of inoculation were not able to quell the outcry from anti-inoculators. Furthermore, the Boston public health authority resisted embracing inoculation as an ordinary medical practice.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assessment of numeric data reached to population levels in 1752. The compiled data helped Bostonians examine their current practice of inoculation from a new perspective. Analyzing and discussing numbers enabled them to ask meaningful questions about the management of inoculation in practice and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ractice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