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백규의 수사학적 경전해석 - 『맹자차의(孟子箚義)』를 중심으로 -

        유민정 ( You Min Jung ) 퇴계학연구원 2018 退溪學報 Vol.143 No.-

        본 논문은 존재 위백규(1727∼1798)의 『孟子箚義』에 대한 연구로 그 특징과 경학사적 가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孟子箚義』의 가장 큰 특징은 경전의 문장에 수사적 비평을 했다는 점이다. 어휘 배열과 문장 구성, 그리고 표현 기교 등에 초점을 두고 경전의 문장을 해석하였다는 의미로, 본고에서는 이를 ‘수사학적 경전해석’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그의 수사학적 경전해석은 대부분 객관성과 타당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孟子箚義는 경학사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과 의의가 있다. 기존의 『孟子』해석은 주로 의리ㆍ훈고ㆍ고증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경문의 수사 방면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주석서는 매우 드문 것으로, 중국에서는 청대 우운진의 『孟子論文』이 대표적이며 한국에는 위백규의 『孟子箚義』가 있다. 나아가 우운진의 『孟子論文』과 비교해본 결과, 『孟子箚義』에서 보이는 수사학적 경전해석들은 세밀성과 심층성을 띠고 있었다. 단순히 경문의 수사법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맹자가 ‘왜’ 그러한 단어와 문장 구조, 표현 기교 등을 선택했는지 고심한 결과이다. 이는 동아시아 수사학적 경전주석서 내에서도 다양성이 존재함을 방증하는 것이다. 아울러 조선 경학의 특수성이 발현된 것이기도 하다. 한편 그의 수사학적 경전해석이 객관적 자료에 의한 고증이 아닌 주관적인 추론이라는 점에서 자의적 요소를 띠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주석이 폄하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일정한 흐름과 체계를 갖고 조선에서 드물게 ‘수사학적 경전주석서’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그 독자성과 의의가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Chonjae 存齋 Wi Paekkyu 魏伯珪's rhetorical commentaries on the Mengzi 孟子 (the book of Master Meng). Wi Paekkyu (1727-1798) lived during the reign of King Yongjo and King Jongjo, when several institutional reforms were carried out during the Choson dynasty. Unlike other scholars of the Zhu Xi School in Choson who emphasized Zhu Xi 朱熹's commentaries and moral principles 義理, Wi Paekkyu interpreted the Confucian classics based on the original text (jingwen 經文) and its context (wenyi 文義). A major feature in Maengja Ch’aui’s structure tells us that he interpreted the Mengzi rhetorically. Wi Paekkyu put a lot of effort into analyzing the meaning of a word, the syntax, and the tone in the composition. This shows that he was not confined to conventional rules and that he thought without formality and constraint because of his self-discipline and academic foundation. In the field of Classical studies, Maengja Ch’aui is considered to be more significant and valuable than others commentaries. Existing interpretations of Mengzi were only tied up with philosophy (yilixue 義理學: the pursuit of moral and philosophical principles) or philology (kaozhengxue 考證學). Current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only few rhetorical commentaries, including the Maengja Ch’aui and the Mengzi Lunwen 孟子論文 written by Niu Yunzhen 牛運震 in the Qing period. After a comparative study, Maengja Ch’aui is found to be more complicated and profound than Mengzi Lunwen. Not limited only to the literal comments, it also explains Mencius’s choice of words, sentences and structures to embody his idea. This goes to show that diversity exists in East Asian rhetorical commentaries and that the Confucian classical studies during the Choson dynasty had unique characteristics. Meanwhile, Wi Paekkyu's rhetorical commentaries seem arbitrary, because they rely on subjective assumptions, not on objective inference. However, it can't be devalued. Rather, Maengja Ch’aui should be more appreciated because it has a consistent and systematic framework and it opened up new prospects in the field of Choson Classical studies.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목민서에 나타난 호남지방

        이해준(Lee HaeJun) 역사문화학회 200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0 No.1

        다산 정약용은 1801년-1818년까지 18년의 전라도 강진의 귤동에서 유배생활을 하면서 3대 저술을 완성하였다. 茶山의 牧民書들은 그가 ① 직접 목격하고 겪은 체험에 토대하여, ② 일반인이 지닐 수 없는 한 차원 높은 식견에서 정리되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그의 저술 작업에는 항상 제자 10수 명이 함께하였다는 사실에서 보듯이 다산의 주변에는 실학적 분위기를 성숙시켜왔던 호남의 재야지식인군이 있었고, 특히 호남실학의 3걸로 일컬어 졌던 위백규ㆍ황윤석ㆍ하백원과 같은 인물들은 다산에 앞서 호남실학을 꽃피웠다. 이 글은 다산의 목민서에 호남지역 실상이 어떤 모습으로 반영되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서 지역문화 연구에서 자료 정리와 성격 규명의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Dasan, Cheong Yakyong completed three distinguished books during his 18 years of exile in Gyuldong, Gangjin in Jeonla-do in the year 1801-1818. During this time, unarguably, he developed quite a close affection with this region and that is well reflected in his books. His books are significant since those are based on ① his own personal experience and ② hol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gion that can not be compared with that of any other ordinary people. Large part of his experience is actually based on this region and he frequently mentioned the name 'Honam' in his books. During the exile in Gangjin, he recoded very small details about social aspects and his book, 'Mokminseo' presents problems and proposes suggestions. It is said that in his writing work, about 10 people who followed his ideas participated. Dasan was with an intellectual who studied a realism in Honam and as an intellectual out of office, they provided critical voices towards the government at the latter part of Choseon dynasty. Tree renowned realists in Honam, Wee Baekgyun, Hwang Yunseok and Ha Baekwon flourished a realism ahead of Dasan. Actually it is quite probable that many others studied a realism in Honam before them. In Mokminseo, Dasan clearly recoded what he witnessed, heard and experienced in the region. Many of the examples and quotations he presented in his books, for instance, are either from Chinese books or from history books but considerable part of them are also from his own experiences in Honam.

      • KCI등재
      • KCI등재

        호남실학의 전개양상과 성격

        하우봉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6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 practical studies was developed around Gyeonggi and Honam area. Both of them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have influenced and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Although Yu Hyongwon(柳馨遠) was born in Seoul, he spent 20 years of his life in Jeolla-do Buan where he completed the “Bangyesurok(磻溪隨錄)”, Therefo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lhak can not distinguish the connection with Honam area from its occurrence. On the other hand, the late Chosun dynasty silhak was fruitful by being confined by Chung Yakyong(丁若鏞). Jeolla-do Gangjin is the place where his ideas have been fruitful.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Honam was the living and fruitful area of Chosun dynasty silhak. Geungi Silhak(近畿實學) and Honam Silhak(湖南實學)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ince the early formation process, and there have been exchanges from the beginning.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different and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quate them. Particularly, it is problematic to recognize Honam Silhak as a large category of Giho Silhak(畿湖實學). Identification of its identity will help expand the implications and outlook of the Silhak.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eungi Silhak centered on Seoul and Gyeonggi-do are open to nature through the western science introduced from the Ching China(淸). They positively embraced new ideas and introduced the theory of systemic reform. In addition, the Bukhakpa(北學派) based on Seoul had a mercantile character to protect the city's self-employed craftsmen and merchants. On the other hand, Honam Silhak has a tendency to be indigenous based on Jeolla-do's regional background. Honam Silhak scholars tried to reform the contradictions of rural society, so they were strong in order to protect the interests of independent self-farmers. Another characteristic of Honam Silhak is the encyclopedic aspect that aims for erudition. Yu Hyongwon, Shin Gyungjun(申景濬), Hwang Yunseok(黃胤錫), Wi Baekgyu(魏伯珪) left a vast amount of writings. As an encyclopedist, they can be evaluated as a practical ideological movement. In particular, their studies are aimed at practicality and welfare, and also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they lead to Korean studies. 조선후기의 실학은 경기지역과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양자는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으며 처음부터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였다. 조선후기의 실학의 비조인 반계 유형원은 서울에서 출생했지만 생애 후반기 20년 간을 전라도 부안에서 보내면서 반계수록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조선후기 실학은 그 발생에서부터 호남과의 연관성을 빼놓을 수 없다. 한편 조선후기 실학은 다산 정약용에 의해 집대성되면서 결실을 맺었다. 그런데 다산의 사상이 18년에 걸쳐 결실을 맺은 곳은 전라도 강진의 다산초당이었다. 근기실학과 호남실학은 반계에 의해 일차 연결되었고, 다산에 의해 다시 집대성되었다. 이런 점에서 호남은 조선실학의 산실이자 결실을 이룬 지역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근기실학과 호남실학은 초기 형성과정에서부터 깊은 연관성이 있고 다산에 이르기까지 교류가 이어졌지만, 동시에 다른 점이 있으며, 각기 특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양자를 동일시해서는 곤란하다. 특히 호남실학을 기호실학이라는큰 범주에 넣어 인식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 독자성을 밝히는 것이 실학의 내포와 외연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양자의 특징을 비교해 보자면,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하는 근기실학은 청으로부터 유입된 새로운 사조인 고증학과 서양과학을 통해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그들은 북학과 서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육경고학, 양명학, 고증학 등을 발전시켰고, 보다 근본적인 체제개혁론을 제시하였다. 또서울을 근거지로 하는 북학파는 이용후생을 중시하며 도시의 자영수공업자와 상인을 보호하기 위한 중상주의적 성격을 띠었다. 이에 비해 호남실학은 전라도 라는 지역적 배경과 풍토를 바탕으로 토착성과 자생성이 강한 경향성을 지니고 있다. 호남실학은 농촌사회의 모순을 개혁하고자 했기 때문에 독립자영농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농주의적 성격이 강하였다. 호남실학의 또 하나의 특징은 박학을 지향하는 백과전서적 면모이다, 반계를 비롯해 신경준, 황윤석, 위백규 등은 모두 성리학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당대의 박물학자 내지 백과전서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 다. 신경준, 황윤석, 위백규가 보여준 백과전서적인 박학성은 중요한 실천적 사상운동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그들의 학문은 실용성과 이용후생을 지향하고 있으며, 또 국학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신경준과 황윤석, 위백규의 지리학, 언어학, 역사학, 자연과학 등의 연구는 탁월한 성과로서 國學 분야의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 KCI등재

        存齋 魏伯珪의 향촌공동체 운영과 「農歌」

        신성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1

        Wee family had continuously made effort to maintain the rural com- munity since they had moved to Jangheung area. The very first priority for Wi Baek-gyu is also to maintain the community. That is why he had become a leader of the community by himself. To keep his own value through his whole life is more important than to work for the central government for him. <Farmer’s Song> is a reflection of his ideal rural community society. According to this song, the utopia of 魏伯珪 includes a rural life to share the mutual benefit and no worry to be starved to death. 본고는 전라남도 장흥 지역의 사족 存齋 魏伯珪(1727~1798)의 鄕村社會에서의 활동을 다시금 검토하고, 그 과정에서 산출된 작품인 「農歌」에 대한 새로운 독법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위씨 일문은 장흥 지역으로 근거지를 옮긴 이후 共同體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이런 共同體의 유지는 魏伯珪에게 있어서도 최우선적인 가치였다. 그렇기에 스스로가 共同體의 구심점으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다. 즉 中央政界로 진출하지 못한 불우한 삶을 살았던 것이 아니라 우선시했던 가치를 지키는 의미 있는 삶을 살았던 것이다. 「農歌」는 魏伯珪가 생각했던 鄕村共同體의 이상적인 모습을 담고자 했던 것이며, 그 이상에는 生存限界線이 유지되는 安定感과 互惠性이 발현된 同樂이 자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존재 위백규의 「격물설(格物說)」 <상론(尙論)> 연구-작품 내적 논리와 특징적 수사를 중심으로

        박동주 ( Dong Ju Par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7 No.-

        본고의 목적은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1727~1798)의 「격물설(格物說)」 <상론(尙論)>을 ‘작품 내적 논리(論理)와 수사(修辭)’적 관점에서 살피고, 그 문학적 의미와 가치를 해명하는 것이다. 중국 고대의 역사인물 논평 105항목을 모아놓은 <尙論>은, 그가 추구한 인간학적 논리와지향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주지하듯, ‘격물(格物)’은 주자 성리학의 대표적인 지식 추구방법 가운데 하나다. 궁경(窮經)·응사(應事)·상론(尙論)을 그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삼는다. 위백규의 <상론>도 기본적으로이러한 사상적 기반과 논리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가 추구한 인간학적 논리는 결국, 윤기(倫紀)의 발현(發現)에 얼마나 도움이 된 인물인가를헤아리는 데서 찾아진다. 하늘에 오행(五行)이 있듯 인륜(人倫)에 오륜(五倫)이 있으며, 이를 거스르지 않는 것만이 인간 본연의 덕성을 기르고 관계를 돈독하게 하며, 처세를 어긋나지않게 하는 방법이라 보았다. 그렇지 못하다면, 공명과 부귀, 명예와 덕망과 재주가모두 하잘 것 없는 것이 되고 만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한편, 위백규의 인물평에서는 윤리적 딜레마에 처한 개인의 선택문제가 자주 거론된다. 이때에 위백규의 글쓰기는 人道와 人倫을 밝히기 위해, 가장 적절한 방법을 찾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단순한 시비(是非) 판단이나 호오(好惡)의 평가를 넘어,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가설적’ 글쓰기는, 정형화된 인식과 논리를 재고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정통 사론(史論)에서 찾아볼 수 없는 파격적인 형식이면서, <상론(尙論)>의 문학적 가치와 의미를 드러내는 핵심 요소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logics and rhetoric characteristics’ of <Sangron> in 「Gyeokmoolseol」of Jonjae Baek-gyu Wi (1727-1798) and explain the literary meaning and value. <Sangron>, which collects 105 comments for Chinese ancient historical personals, is remarkable to examine his anthropological logics and aims. As generally known, ‘Gyeokmool (格物)’ is one of representative methods pursuing knowledge in Chu Hsi`` Neo-Confucianism. For the specific methodologies, there are ‘Gunggyeong (窮經: studying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Eungsa (應事: explore the world and principles of things)’, and ‘Sangron (尙論: one criticism about historical figures)’. <Sangron> of Baek-gyu Wi also basically keeps to the point those ideological backgrounds and logics. His anthropological logics are to understand how an individual have good influence on appearance human virtue and moral laws. As there are Five Elements in heaven, there are Five Relationships in moral laws ; and it should not be resisted to raise virtue of human nature, build close relationship, and obtain worldly wisdom. If not, fairness and wealth and fame, moral influence, and talent would become useless according to his opinion. Meanwhile, matters of individual’s selections in the cases of ethical dilemmas are frequently mentioned in the personal criticism of Baek-gyu Wi. Here, Baek-gyu Wi’s writing seek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show human virtue and moral laws. Beyond simple discrimination of right and wrong and evaluation of like-dislike, the ‘hypothetic’ writing suggests various alternatives, taking functions to reconsider standardized recognitions and logics. It is unprecedented form that cannot be found in the traditional historical essay and core element showing literary value and meaning of <Sangron>.

      • KCI등재

        存齋 魏伯珪의 性理說 연구

        朴鶴來,邊柱承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3

        存齋 魏伯珪(1727~1798)는 18세기 호남 유학을 대표하는 성리학자 중 한 사람이다. 當代부터 대표적인 성리학자들로부 터 높은 평가를 받았던 그의 학문은 1970년대 이후 한국학 연구자들로부터 적지 않은 관심을 받았다. 그의 현실개혁론 을 중심으로 역사학 연구를 비롯하여 4백여 편에 이르는 그의 시를 대상으로 하는 문학연구가 활성화되었으며, 그의 經 學觀에 대한 연구도 적지 않게 시도되었다. 하지만 위백규에 대한 연구 성과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간과된 영역은 그의 학문 전체에서 토대로 기능하는 性理說 영역이다. 그는 18세기 호락논쟁의 과정에서 湖論을 대표하는 성리학자였던 屛 溪 尹鳳九(1681~1767)의 문인이었으며, 그로부터 적지 않은 학문적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왕의 여러 연구 논 문과 유학사에서는 그의 성리설에 대해 간단히 언급했을 뿐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에 주목하여 그의 성리설을 본격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는 조선성리학의 최대 논 쟁인 四端七情論爭을 비롯하여 人心道心論爭, 人物性同異論爭 등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피력한 여러 논설들과 서신을 남겼으며, 더욱이 이러한 논쟁의 기반이 되는 理氣論的 입장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본고에서는 당대 기호학계 및 호남 유학의 지형, 가학적 배경, 그리고 윤봉구를 통한 그의 학문 형성 등을 검토하여 그의 성리설 형 성 배경을 정리하였다. 아울러 조선 성리학의 주요 논쟁에 대한 그의 입장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의 성리설의 대체를 확 인하였으며, 나아가 현실 세계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과 이에 따라 제기된 현실 개혁론이 성리설과 어떤 유기적 연관성 을 갖는 지에 대해 시론적인 분석을 가하였다. 그리고 학계 일각에서 위백규의 학문적 경향을 두고 성리학과 실학이라 는 양분된 시각에 대해 성리설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春秋大義와 禮訟의 기억 - 宋時烈과 魏伯珪

        오항녕(Oh Hang-nyeo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泰東古典硏究 Vol.27 No.-

        본고에서는 장흥의 선비 존재 위백규의 〈기해의례변〉과 〈춘추대의변〉 을 중심으로 기해예송과 송시열의 춘추대의를 둘러싼 논의를 위백규가 그 사실을 어떻게 이해했고 기억했는지 살펴보았다. 위백규는 병계( 溪) 윤봉구( 九 1681년~1767년)의 제자였다. 윤봉구는 송시열의 제자인 수암( ) 권상하(權 1641~1721)의 제자였으므로, 스스로 후미진 장흥 땅에 살고 있다고 했지만 위백규 역시 당색으로 보면 노론에 속하는 인물이었다. 이런 학맥 때문인지 위백규는 기해예송에서 기년설을 타당하다고 보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기년설은 현실적으로 장자가 설 때마다 삼년상을 반복할수 없다는 종법에 대한 실용주의적 해석에 기반하고 있었다. 위백규가 보기에 효종의 정통성 문제는 복제논쟁의 핵심이 아니었다. 오히려 효종의 정통성을 복제논쟁을 통해 확증할 뿐이었다. 이런 그의 관점은 왕가와 사가에 공히 적용 되는 보편주의 종법관으로 귀결되었다. 춘추대의에 대한 논의는 송시열에 대한 세간의 의혹, 즉 송시열의 춘추대 의, 북벌대의의 진정성에 대한 의혹을 ‘손님의 질문’이라는 형식으로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런 질문은 당대에도 송시열에 대한 비난과 의혹이 계속되었 음을 보여주는데, 그 배경에는 송시열이 살던 현실과 나중에 만들어진 표상의 괴리, 또 명청 교체와 복수설치의 좌절이라는 현실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나타난 외상이 깔려 있었다. 그 외상은 창조적으로 나타날 수도 파괴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었는데, 위백규는 냉소적인 ‘손님의 질문’을 비생산적인 것으로 판단했고 옳게 보지 않았다. 이런 질문이 나오는 데에는 송시열을 과도하게 숭봉 하는 사람들의 탓도 있지만, 사람에 대한 미움과 춘추대의를 구분하지 못하는 세태, 즉 무너진 인심에 있다는 것이 위백규의 생각이었다. 망하지 않는 나라가 없고, 대의가 늘 펼쳐지는 것은 아니다. 주자도 송나라가 망하는 상황을 알고 있었다. 당시 대부분 조선의 식자들이 그러했듯이 송시 열도 명나라의 멸망을 받아들였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춘추대의에 따르면 명나라가 멸망한 상황에서 조선의 자립성만 남는다. 주자가 살던 송나라는 망했 지만 송시열이 살던 조선은 남아 있으니까. 이 점은 위백규가 만났던 군주 정조의 인식과 궤를 같이 한다. 그래서 위백규는 하늘의 기강과 사람의 윤리를 우주 사이에서 떠받쳐 지탱하면서 만세토록 사라지지 않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I studied On Dispute on Ritual of Gi-Hae(1659) and On Great Cause of the Spring and Autumn of Wie Baek-Gyu who lived in Chang-Hung in 18th Century Joseon. Wie was a disciple of Yoon Bong-Ku. Yoon was a member of No-ron that was a political and academic party following Song Si-Yeol as a Master. In this respect, Wie supported the One-year Mourning theory on the ritual of Gi-Hae. His One-year Mourning theory was based on the practical interpretation on the principle of succession that we couldn t do the One-year Mourning everytime when the eldest son stood. According to his idea, the legitimacy of King Hyo-Jong was not the point of the Dispute on Ritual of Gi-Hae, On the contrary, That was the rationalization of the legitimacy of King Hyo-Jong. His view was led to emphasize the equality of Jong-Phup adoption which insisted not only the common family but also the royal family should follow the Jong-Phup. In his On Great Cause of the Spring and Autumn , Wie introduced a suspicion of Song Si-Yeol who was a symbol of Buk-Bul that aimed the reconstruction of self-respect of Jo-Seon against Qing China that invaded Jo-Seon twice and forced the sovereign and subject relation to Jo-seon. The background of this suspicion reflected the estrangement between the contemporary reality of Song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future generation, the trauma of the defeat of the war. The trauma might appear as creative power or destructive one. Wie judged the suspicion, the sneer on Song as the non-pregnancy one. Wie considered that this sneer showed the degrade of virtue There was no state without ruin, and the cause were not always realize. Song also knew the defeat of Ming China and accepted the change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terestingly, after the defeat of Ming China, according to Chunchu-Daeyi, the independence of Jo-Seon remained. Wie was in accordance with the view of King Jeong-Jo. Wie aimed the persistency of fundamental principle and ethic among Heaven, Earth, and Human.

      • KCI등재후보

        存齋 魏伯珪의 格物說

        오항녕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2 泰東古典硏究 Vol.28 No.-

        본고에서는 18세기 조선에 살았던 존재 위백규(存齋 魏伯珪, 1727~1798)의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견해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위백규는 자신의 문집인 『존재집(存齋集)』의 4권(12권~15권)에 걸쳐 「격물설(格物說)」이라는 논설을 남겼다. 이 논설에서는 천지(天地)부터 인간의 삶 일반, 주체인 나[我], 각종 동물과 식물에 이르기까지 탐구하면서 다양한 대상과 주제에 대한 평론과 설명을 덧붙였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보아, 그의 이러한 연구와 관찰은 당시에 매우 독특하고 드문 경우였다. 그렇지만 동시에 위백규의 「격물설」은 성리학의 오랜 전통의 결과이기도 하였다. 조선 성리학자들은 성(性)-정(情), 인간-자연, 성인과 범인 등에 대한 추상적, 이론적 논쟁의 한편으로, 자신들이 살고 있는 세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 아니, 그 논쟁의 물질적 토대가 자연학, 의학적 베이스라고 하는 편이 옳을 듯하다. 위백규는 일상의 소학(小學), 인체에 대한 의학(醫學), 벌레, 수목, 동물에 대한 자연학(自然學)적 관찰을 계속했다. 그는 태극, 음양, 오행 사상을 기반으로 한 이기론(理氣論)과 이일분수론(理一分殊論)에 입각하여 우주와 자연계, 인간을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위백규의 논설은 성리학적 격물설에 대해 도덕주의라고 평가했던 학계 일반의 관점이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과학과 가치를 분리시키는 근대 철학의 이분법적 사유에 기초한 도덕주의적 해석에 내재한 오리엔탈리즘적 성격을 돌아보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위백규의 「격물설」에 대한 논의는 조선후기 사상계의 이해에 관한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격물설」은 대상에 대한 관찰을 전제로 한 지식의 축적과 체계화이다. 이는 「격물설」 중 일부인 위백규의 「상론(尙論)」에도 적용될 것이다. 이치[理]와 형세[勢]의 긴장을 놓치지 않고 포착하며 이루어지는 사론(史論)을 규범적으로만 해석하기는 어렵다. 위백규는 스스로 성리학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그는 「격물설」만이 아니라, 「독서차의(讀書箚義)」에서 보듯이 관심 영역을 확장시키고 다른 학자들에게서 볼 수 없는 견해를 제시한다. 같으면서도 달라져가던 시대를 산 것이다. 지금까지 조선 사상사 연구에서 나타났던 근대주의적 목적론을 씻어내고 위백규를 보면 어떤 접근방법이나 관점이 가능할까? 앞으로의 과제가 아닐까 한다. 본고에서 「격물설」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위백규란 사상가의 면모를 드러내기는 부족하다. 그의 의학, 음악론, 예론, 언어학, 역사학, 자연학은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I studied a theory of the gaining knowledge of Wie Baek-gyu who lived in Chang-Hung in 18th Century Joseon. In his anthology vol.12~15, he wrote a lot of comments and reviews about the being in the world from heaven and earth, human, to insects. In view of quality and quantity, the study and observation like these was a very particular and rare case at that time. However it was an inevitable result in the longrun tradition of the gaining knowledge theory of neo-confucianism. In parallel to the abstract and theoretical debates around the nature-passion, the nature of human-thing, the heart of the sage-common being, the scholars of Joseon studied his world concretely more and more. Wie Baek-gyu observed things of universe like heaven and earth, four season, 24 solar terms, five-elements, a vaginal itch. And he also observed almost all the things he met in his daily life. Needless to say human-relationship, insects, trees, grasses, birds, fishes and animals were the objects of his study. His study was based on the nature itself, Physica. The neo-confucianism presupposed the medical science from the beginning in its main frame like the nature-passion. Actually, he explained the movement of five-elements by the terms of the medical science such as the liver, the gall, the kidney etc. In this respect, the opinion that understands the view of Wie Baek-gyu as moralistic only can be correct partly. On the contrary, his study was the rational one primarily, and on this base he extended his observations to the moralistic realm.

      • KCI등재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의 독사론(讀史論) - 「상론(尙論)」과 「대명기(大明紀)」를 중심으로 -

        오항녕 전북사학회 2013 전북사학 Vol.0 No.42

        Wie's opinion about history Sang-lon(尙論) were a part of On Ephistemologyg(格物說). Sang-lon was a genre of ‘reading history', so to speak historical commentaries. He wrote a lot of commentaries of history about policies, persons, kings, accidents etc., from Han-Dynasty of China to Ming-Dynasty. Especially, I found a new material to be regarded disappeared, which is named ‘Ming-History'. In Sang-lon Wie discussed the Royal's Road(王道) and the Rule of Force(覇道), the Great man(君子) and the Small man(小人). He respect rather the Three-Dynasties than Han-Dynasty or Dang-Dynasty. And he estimated highly the life-style of fairness. In the center of his opinion, the peace of people's everyday-life was emphasized. These trend of commentary continued to in Ming-History. The commentaries of Ming-History was in stream of the traditional view of history. He uttered the personality of the king, the importance of cultured bureaucrat, the prohibition of participating politics of the eunuch. Secondly, his commentaries gave us a reality of ‘the submission to Ming-Dynasty' of Joseon Dynasty. He criticized the realities of Ming-Dynasty severely. Hoever he had a great appreciation to the Ming's engagement in Imjin Invasion of Japan. In this respect, his idea of ‘the submission to Ming-Dynasty' was not a kind of blindness, but of the impressive experience. In base of clear distinct of the facts and commentaries, he discussed the history under the strain of principle(理) and situation(勢). Wie thought himself neo-confucian scholar and neo-confucianism Sil-hak(實學). In conclusion he read history as realistic base of social re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