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질오염총량제 토지계 발생부하량 산정방식의 개선방안 연구

        류지철 ( Jichul Ryu ),금동혁 ( Donghyuk Kum ),한미덕 ( Miduck Han ),박배경 ( Baekyoung Park ),김용석 ( Youngseok Kim ),임경재 ( Kyoung Jae Lim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우리나라 수질개선을 위한 유역관리 대책인 수질오염총량제는 수계에서 발생되어 하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염원을 총 6종류(생활계,축산계,토지계,산업계,매립계,양식계)로 나누어 정의하고 있으며, 각각의 오염원을 점과 비점오염원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또한 6개의 오염원에서는 각각 발생부하량을 산정하여 최종 점/비점 배출부하량을 산정하며, 이 중 토지계 오염원은 타 오염원에 비해 비점오염원에 의한 배출부하량 비율이 높고, 비점저감시설의 삭감부하량산정에도 이용되기 때문에 토지계 발생부하량 산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은 비점오염원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현재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서는 토지계 발생부하량의 산정을 위해 지적도를 기초로 한 총 5개지목(전,답,임야,대지,기타)에 따른 토지계 발생원단위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하지만, 5개 지목에 의한 발생원단위는 28개 지목을 5개로 재분류 한 것이기 때문에 토지계 발생부하량 산정에 있어 불확실성을 내포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총량제가 시행되고 있는 지역 내 1) 기존 5개지목에 의한 발생원단위와 23개 중분류 토지피복에 의한 발생원단위를 적용하여 각각 토지계 발생부하량을 산정하고, 2) L-THIA모형을 이용하여 5개지목 원단위에 의한 발생부하량 산정의 불확실성을 분석하여 이러한 불확실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수질오염총량제 내 토지계발생부하량 산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기존의 토지게 산정 방식으로 산정한 토지계 BOD 발생부하량은 중분류 토지피복에 의한 발생부하량 보다 3배 이상 높은 부하량 결과를 보였고 이와 같은 이유는 중분류 토지피복 기준 원단위들은 대지 원단위가 세분화되어 있지만 기존의 수질오염총량제 대지 원단위는 세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수질오염총량제의 토지계 원단위 산정방식 개선에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논구획 지대의 장기 모니터링에 의한 오염부하량 산정

        김영주 ( Young Joo Kim ),최진규 ( Jin Kyu Choi ),손재권 ( Jae Gwon Son ),윤광식 ( Kwang Sik Yoon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는 유역의 효율적인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2005년부터 2010년까지 6년간 영농기간인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논 구획 지대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질소와 인산의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행정구역상 전북 순창군 적성면에 위치하고 섬진강 수계내의 용ㆍ배수로가 콘크리트 수로로 구성되고 경지정리가 잘 이루어진 8.06 ha의 양수장을 수원공으로 하는 관개논 구획이며,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논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을 시기별로 산정하였다. 시험지구의 강수량(5월-9월)을 보면 2008년에 가장 적은 585.4 mm를, 2009년에 가장 많은 1,316.8 mm로 6년 동안 평균 강수량은 973.3 mm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논에서의 관개량과 유출량은 2005년 702.0 mm와 730.6 mm, 2006년 596.0 mm와 737.4 mm, 2007년 1,013.2 mm와 1,349.3 mm, 2008년 1,333.4 mm와 864.0 mm, 2009년 912.6 mm와 868.4 mm, 2010년 868.3 mm와 1,000.4 mm이었다. 수계오염에 영향을 끼치는 논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을 영농 활동이 진행되는 시간과 연계하여 월별로 산정한 결과, 연구기간의 월별 T-N 오염부하량은 5월 2.5 kg~41.0 kg으로 평균 16.9 kg, 6월 3.4 kg~28.4 kg으로 평균 15.0 kg, 7월 5.0 kg~42.6 kg으로 평균 23.1 kg, 8월 12.4 kg~43.2 kg으로 평균 28.2 kg, 9월 5.7 kg~47.2 kg으로 평균 14.5 kg으로 강수량이 많았던 8월과 7월 순으로 큰 오염부하량을 나타내었으며, 단위면적당 T-N 오염부하량은 9.0 kg/ha~25.1 kg/ha으로 평균 13.6 kg/ha로 나타났다. 한편, 월별 T-P 오염부하량의 변화는 5월 0.2 kg~7.4 kg으로 평균 2.9 kg, 6월 0.4 kg~4.9 kg으로 평균 2.5 kg, 7월 0.6 kg~7.8 kg으로 평균 4.1 kg, 8월 1.9 kg~7.8 kg으로 평균 5.0 kg, 9월 0.7 kg~8.7 kg으로 평균 2.5 kg으로 T-N과 같은 강수량과 비례하여 큰 오염부하량을 나타내었다. 단위면적에 따른 T-P 오염부하량은 1.4 kg/ha~4.5 kg/ha으로 평균 2.3 kg/ha를 나타내었다. 각 연도의 동일한 시기인 월별 오염부하량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오염부하량은 강수량에 영향을 받지만 절대적이지 않으며, 경작자의 시비 시기와 조건 및 경작 패턴이 매년 조금씩 다르며, 강우량의 분포와 시기가 다른 이유로 생각된다.

      • 화성호 유입하천 오염부하량 산정

        최선화 ( Sunhwa Choi ),박구성 ( Kuseong Park ),김상진 ( Sangjin Kim ),홍대벽 ( Dae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화성호의 수질은 유역의 개발과 도시화로 인한 점오염부하량의 증가 및 강우 유출에 의한 비점오염원부하량의 증가로 수질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화성호 유역의 주 유입하천인 남양천, 자안천, 어은천에 대한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여 화성호의 수질오염 기여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한 유역내 오염원 자료는 2005년도 자료를 기초로 하여 산정하였다. 유기물(BOD) 오염부하량은 남양천이 202.4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201.5kg/day, 자안천 195.5kg/day, 기타 소유역 71.6kg/day 순으로 나타났다. 총질소(T-N)에 대한 점오염부하량은 남양천이 303.3kg/day로 다른 하천에 비해 아주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자안천, 기타 소유역이 각각 188.9kg/day, 166.5kg/day, 78.0kg/day로 나타났다. 총인(T-P) 부하량도 남양천이 32.8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자안천, 소유역이 각각 15.3kg/day, 9.5kg/day, 4.2kg/day로 나타났다. 화성호 유입하천의 유기물(BOD) 비점오염 부하량은 남양천이 127.3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116.6kg/day, 자안천 54.1kg/day, 소유역 56.3kg/day 순으로 나타났다. 총질소(T-N)에 대한 비점오염 부하량은 남양천이 41.7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소유역, 자안천이 각각 26.9kg/day, 7.3kg/day, 6.6kg/day로 나타났다. 총인(T-P)은 어은천이 19.8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안천, 남양천, 소유역이 각각 7.1kg/day, 6.4kg/day, 6.2kg/day로 나타나, 다른 항목들과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화성호 유입하천의 점오염부하량과 비점오염 부하량은 대부분 남양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자안천, 소유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양동의 도시화로 인구가 가장 밀집되어 있고, 어은천은 주변에 농경지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화성호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은 우기인 6월∼9월 기간에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유기물(BOD)과 총인(T-P) 항목은 다른 시기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오염부하량을 나타났다. 이는 화성호 유역내에 산재하고 있는 소규모 축산농가에서 나지에 방치하고 있는 축분과 유역 내 소규모 산업체시설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가 우기시 지천으로 유입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화성호의 수질오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축산폐수공공처리장, 하수종말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의 확충뿐 만아니라 주민들의 환경보전의식이 함께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보령호 유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이유진 ( Yujin Lee ),윤춘경 ( Chun-gyeong Yoon ),오희상 ( Heesang Oh ),류제하 ( Je-ha Ryu ),한대호 ( Dae Ho Han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보령방조제는 농업용수 확보, 농어촌 소득증대, 관개 및 배수개선, 편리한 영농기반 조성, 쾌적한 농어촌 생활환경조성, 육운 개선을 목적으로 대단위 농업종합개발 사업이 시행되어 2000년 완공되었다. 현재 상당수의 보령지역 주민들이 지하수를 이용한 마을상수도를 이용하고 있으나 지하수 오염에 따른 문제로 2012년까지 대부분 지역의 상수도원을 광역 상수도로 대체할 예정이다. 보령방조제 완공 이후 보령호의 수질악화 문제가 점차 대두되었는데, 보령호 유역에는 구항산업단지, 은하산업단지 이외에도 가축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등 오염원이 있고, 축산계 오염원이 증가하고 있어 수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다. 현재 보령호는 수질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수를 유입하여 순환시키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탈염과정을 통해 영양염류에 대한 유입을 차단하여야 하고 동시에 보령호로 유입되는 하천의 상류 유역의 하천 수질을 개선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수질개선을 위해 수계오염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하여 지역별로 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을 할당하여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수질개선을 통한 물 관리를 실행하기 전,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미리 예측하고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2단계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8)’을 토대로 홍성군, 보령시의 2010 전수조사자료(환경부)를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산정을 산정하였고, 그 중 비점오염 배출부하량을 구분하여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을 기초로 산정한 배출부하량은 BOD 2,730kg/d, T-N 1,824kg/d, T-P 236kg/d이고, 그 중비점오염 배출부하량은 BOD 2,124kg/d, T-N 1,329kg/d, T-P 150kg/d으로 BOD, T-N, T-P 비점오염 배출부하량은 각각 총 배출부하량의 77.8%, 72.9%, 63.6%를 차지했다. 축산계 부하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토지계 부하량이 그 다음으로 많이 차지하였다. 비점오염 부하량 점유율이 매우 높은 것을 볼 수 있는데, 비점오염원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팔당호 상류의 단위유역별 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을 통한 중점관리 오염원 선정

        김동우(Dong Woo Kim),장미정(Mi Jeong Jang),한인섭(Ihn Sup Han)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5

        국내 최대 상수원인 팔당호는 하천형 호소로 분류되며, 팔당호 수질은 외부오염원의 영향이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팔당호 상류지역의 오염원 분포와 오염물질 유출특성을 분석하여 BOD와 TP 관리를 위한 중점관리 오염원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개 단위유역에 대한 오염원별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을 조사하고, 74개 소하천의 수질.유량 측정결과를이용하여 유달부하량과 유역면적당 유달부하 밀도를 분석하였다. 오염원별 BOD, TP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유달부하량을 분석한 결과, BOD 발생부하량은 축산계가 66.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BOD 배출부하량은 생활계가 42.7%를차지하였으며, BOD 유달부하량은 축산계와 생활계가 각각 36.4%, 34.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P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유달부하량 모두 축산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각각 82.5%, 44.4%, 46.7%로 나타났다. 또한 BOD유달부하밀도는 인구밀도가 높은 경안천 유역이 14.6 kg/km2/d으로 가장 높았고, TP 유달부하밀도는 가축사육두수가 많은 청미천 유역이 1.23 kg/km2/d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팔당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생활오수와 가축분뇨를중심으로 오염원관리가 필요하며 경안천 유역은 생활오수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고 남한강 유역, 특히 청미천 유역은 가축분뇨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aldang lak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water resource in Korea is classified as a stream type reservoir and waterquality of Paldang lake can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ternal pollutant source. So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focusedcontrol BOD and TP sources of each unit watershed upper Paldang lake through analysis of pollutant source distribution andpollutant runoff characteristics. Generated load, discharge load, delivery load and each load density of 11 unit watersheds upperPaldang lake were calculated using data of water quality and flow rate from pollutant sources and 74 small streams. As a resultof generated load, discharge load and delivery load of BOD and TP from pollutant sources, the most BOD generated load was takenby livestock with 66% of total BOD discharge load and domestic had the most BOD discharge load, 42.7%. The ratio of deliveryload of livestock and domestic was 36.4% and 34.3%, respectively. Livestock occupied high ratio of TP generated load, dischargeload and delivery load with 82.5%, 44.4% and 46.7%, respectively. Gyeongan watershed which had high population density showedthe highest BOD delivery load density of 14.6 kg/km2/d and the highest TP delivery load density with 1.23 kg/km2/d was analyzedin Cheongmi watershed including the biggest number of livestock. From these results, management of domestic sewer and livestockexcrement was determined as a focused control pollutant source. And intensive management about domestic sewer in Gyeongan streamand livestock excrement in Cheongmi stream is required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Paldang lake.

      • KCI등재

        CN의 변화에 따른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계획의 비점오염부하 저감효과 분석

        권헌각,정강영,김신,신석호,안정민,김경훈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4

        낙동강수계에 속하는 안동시는 안동댐, 임하댐을 포함하여 낙동강이 흐르는 도시로 경상북도 신 도청 이전과, 지속적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강우 시 유출량 증가 및 비점오염원 부하가 증가되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선도도시에 선정된 도시 중 안동시를 대상으로 개발에 따른 유출량과 비점오염부하량을 비교・평가 하였다.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계획(안)에 대해 시・공간적 변화를 고려한 CN값을 이용한 직접 유출량과 BOD, T-N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을 평가한 결과, 옥상녹화 및 투수포장 교체, 물순환 공원 및 거리 조성, 도심지 불투수층 개선 사업 등 4가지 scenario 모두 적용되어 개발될 경우 연간 직접유출이 10.41%, BOD 비점오염부하량이 20.56%, T-N 9.55%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이 14.29% 저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가지의 개발 scenario 중 저감률이 가 장 높은 것은 도시지역 불투수면 개선 사업으로 조사되었으며 개발 이전 대비 연간 직접유출이 6.25%, BOD 비점오염 부하량이 11.84%, T-N 비점오염부하량이 4.46%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이 10.20% 저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ndong belongs to the Nakdong River Basin, Nakdong River is flowing through the city, including Andong dam and Imha dam. The runoff due to provincial transfer and impervious area has been increasing by urbanization increases and nonpoint source load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runoff and nonpoint pollution load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targeted at selected urban water cycle leading to Andong city. Andong city leading to the water cycle plan to evaluate the directly runoff and BOD, T-N and T-P nonpoint pollutant loads using the CN into accoun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Evaluation, direct runoff per year is 10.41 % if the green roof and a water permeable pavement replacement, water cycle parks and streets compositions, City impermeable layer improvements to be business including four kinds of scenario is applied to both the development and the BOD non-point pollutant loads 20.56%, T-N 9.55% and T-P pollution and nonpoint loads was investigated to be reduced 14.29%. Four kinds of low lapse rate of the development scenario of the highest thing urban impervious surface was investigated by improving business development prior year annual direct runoff is 6.25 %, BOD nonpoint pollution loads are 11.84%, T-N nonpoint pollution loads are 4.46 % and T-P was investigated by reducing pollutant loads to be 10.20%.

      • KCI등재후보

        영산강 상류의 오염총량관리제를 위한 배출 부하량 산정

        임제열 ( Je-yuel Lim ),송재준 ( Jee-june Song ),이지은 ( Ji-eun Lee ),박인호 ( In-ho Park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2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3 No.4

        본 논문에서는 영산강 상류 수계를 대상으로 하여 최근 개정된 기술지침을 적용하여 이를 생활계점오염원에 따른 배출부하량 산정에 적용함에 있어 나타내게 되는 제도적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비점오염원은 강우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여러 연구가 있으며, 이에 따라 기준년도의 강우 패턴은 비점오염원 할당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그 외에 나타나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산강 수계 3개 지역에 대하여 연도별 오염원 및 발생 및 배출 부하량 검토를 통하여 균형적인 수질오염총량제가 시행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나주시의 전체 발생부하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7년도에 BOD발생부하량 6,119.1㎏/day이었으나 2010년도 5,941.3㎏/day로 2.9% 감소하고 있으며, T-N발생부하량은 2.5% 감소하고 있다. T-P발생부하량은 2.73%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며, 이는 인구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라남도 담양군의경우 2007년도에 BOD발생부하량 2,896.2㎏/day이었으나 2010년도 2,810.6㎏/day로 2007년도 대비 3% 감소하였다. T-N발생부하량은 2.8%감소하며, T-P발생부하량은 2.7%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생활계 발생부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인구가 5.0%감소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전라남도 화순군의 전체 발생부하량은 연도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7년도에 BOD발생부하량 4,498.3㎏/day이었으나, 2010년도 4,644.7㎏/day로 2007년도 대비 3.2%증가하였다. T-N발생부하량은 4.1%증가하며, T-P발생부하량은 3.5%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며, 생활계 발생부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구는 2.9% 감소하였으나, 물 사용량의 증가로 수질오염원이 증가하여 발생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화순군을 제외한 나주시와 담양군은 인구감소로 인해 배출부하량이 감소하였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횟수 및 강우량 증가로 비점오염원에 대한 추가산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n this study the institutional problem should be improved that living system point source applied to calculate emission loading volume intended Youngsangang upstream water system. Pollution can be divided point pollution source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 that affected by rainfall, so rainfall pattern affects greatly nonpoint pollution source allotment. To solute the several problem accept that, the proposal to execute balanced water quality pollution total amount system according to yearly pollution source, occurrence and emission loading mount about Youngsangang water system three areas. The total occurrence loading amount of Naju has been decreased. BOD occurrence loading amount decreased 2.9% from 6,119.1kg/day in 2007 to 5,941.3kg/day in 2010. T-N occurrence loading amount decreased 2.5% and T-P occurrence loading amount decreased 2.73%. The reason was considered as population decrease. In Damyang, BOD occurrence loading amount decreased 3% from 2,896.2kg/day in 2007 to 2,810.6kg/day in 2010. T-N occurrence loading amount decreased 2.8% and T-P occurrence loading amount decreased 2.7%. The effect of living occurrence loading amount was considered 5% population decrease. The total occurrence loading amount of Hwansun has been increased. BOD occurrence loading amount increased 3.2% from 4,498.3kg/day in 2007 to 4,644.7kg/day in 2010. T-N occurrence loading amount increased 4.1% and T-P occurrence loading amount increased 3.5%. The population affected directly living occurrence loading amount decreased 2.9% but water quality pollution increase by water use amount increase caused occurrence loading amount increase. In Naju and Damyang accept Hwasun, the population decrease caused emission loading amount. But it was considered that addition calculation about nonpoint pollution source should be essential because rainfall times and volume increased by climate chage.

      • KCI등재

        관측간격에 따른 COD 오염부하 추정오차 분석

        조홍연(Cho, Hong-Yeon),조범준(Cho, Beom-Jun),김영호(Kim, Young-H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7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9 No.3

        낙동강 하구둑 지점의 1일 수량 및 COD 농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오염부하량을 기준(기준 오염부하량)으로 하여 관측간격에 따른 월별 및 연별 COD 추정 오염부하 변화와 수량 및 수질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량 및 수질 변화비율을 이용한 영향인자 분석결과, 오염부하 양상은 흐름 강주도형(오염부하 추정에 흐름의 영향이 매우 큰 경우)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관측간격 변화에 따른 추정 오염부하를 분석한 결과, 평균은 관측간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으나, 표준편차가 관측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증가양상을 보인다. 월평균 수량 및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오염부하량은 평균적으로 100% 정도, 특히 하계에는 300~400% 정도의 추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월평균 자료를 이용한 오염부하 추정은 신뢰수준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적어도 10~20일 이내의 관측간격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것이 권장되며, 하계의 수량은 1일 간격이 필수적이며, 수질농도는 5~7일 정도의 관측간격이 요구된다. The change patterns of the water quanity, water quality(WQ, exclusively COD in this study) and monthly / annual pollutant loads(PL) estimated using the daily effluent discharges and WQ measurement data are analyzed in the Nakdong river estuarine seadike. The contribution factor defined by the ratio of the water quantity range and WQ range shows that the PL pattern in this estuary is classified as the strongly flow(water quantity)-dominated situation. The estimated PL(EPL)s with respect to the increasing sampling periods, e.g., 2-days, 5-days, 7-days, and so on, show that the mean values of the EPLs remain nearly same, whereas the standard deviations of the EPLs have an obvious increasing trend. The PL values using the monthly-averaged water quantity and WQ measurement data could have approximately 100% estimation error in annual mean and 300~400% estimation errors in summer season because its confidence level is relatively low. It is recommended that the PL should be estimated using at least 10~20 day interval data sets and also the water quantity(river discharges) and WQ should be measured at the intervals of at least 1 day interval and 5 to 7 days, respectively in summer.

      • 비우량 방법 및 모델을 이용한 도시 지역 오염부하량 비교

        최재호 ( Jae-ho Choi ),윤춘경 ( Chun-gyeong Yoon ),이한필 ( Han-pil Rhee ),손영권 ( Yeongkwon S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도시 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은 불투수층 면적비율이 높고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가 크기 때문에 수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점오염의 관리를 위하여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정량적 평가가 필요하므로 비점오염 원단위를 사용하여 발생 부하량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비점오염원은 기후, 지형, 일시, 수문조건에 따라 배출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정확한 원단위의 산정을 위해서는 각각의 토지이용에 대한 실측자료를 필요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 초부터 비점오염 원단위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제한적인 토지이용분류에 대한 원단위만 사용되므로 현재는 다양한 토지이용 특성에 맞는 비점오염유출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측한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자료를 통하여 수문유출 모형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기존 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목별 원단위와 ‘수계오염총량관리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단위를 이용하여 발생 부하량 산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모니터링 자료는 2008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도시지역의 지목별 주요 비점오염원을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사용한 모형은 비점오염원 분석 및 도시지역 유출모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SWMM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측한 모니터링의 수문ㆍ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기존 문헌과 총량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값과 비교ㆍ검토를 통한 원단위 부하량 산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토지이용 형태에 따른 염소이온 부하량 평가

        범진아 ( Jina Beom ),박현규 ( Hyunkyu Park ),정민혁 ( Minhyuk Jeung ),김영석 ( Youngsuk Kim ),윤광식 ( Kwangsik Yoo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비점오염원은 시간적·공간적 특성에 따른 발생오염에 대한 정량화가 매우 어렵고 토지이용 형태별로 유출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비점오염물질은 특성상 발생지역, 발생상황 등 많은 요인에 따라 유출 현상이 달라지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적절하게 규명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의 경우 염소가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규명되고 있으며, 도시개발 등 영향으로 염소이온의 비점부하 증가와 저감 대책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대부분의 비점오염 연구는 유기물, 질소, 인 중심으로 이루어져왔고 Cl-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영정천 유역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강우 및 무강우시 현장에서 측정한 유량에서 분리해 낸 기저유출량을 통해 각 강우사상 오염부하량을 WHAT system을 이용하여 Cl-의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풍영정천 유역에서의 Cl-의 직접 및 기저 유출 부하량 평균값은 농촌 소유역(WJ)에서 57.62, 30.98 kg/ ㎢, 도시 소유역(JS)에서 104.67, 45.88 kg/ ㎢, 유역 말단(PYJ)은 113.76, 56.21 kg/ ㎢로 유역 말단(PYJ) > 도시소유역(JS) > 농촌소유역(WJ) 순으로 나타났다. 풍영정천 유역 내의 모든 강우사상에서 직접유출 부하량이 기저유출 부하량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는 강우시 풍영정천 유역에서 염소이온은 점오염원보다 비점오염원의 비율이 더 큰것으로 판단된다. 염소이온의 농촌 소유역(WJ), 도시 소유역(JS) 그리고 유역 말단(PYJ)의 연간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2,462.6, 5,140.5, 4,984.6 kg/ ㎢/yr로 나타났고, 농촌 소유역(WJ)에 비하여 도시 소유역(JS)과 유역 말단(PYJ)에서 약 2배정도 높은 값을 보여 도시 비율이 높을수록 연간 오염부하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