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星曆志」에 수록된 중국역법 수용과 정약용의 역법관

        이난숙(Nan-Sook, Lee) 강원한국학연구원 2016 국제한국학저널 Vol.1 No.-

        본고에서는 한치윤(韓致奫)의 『해동역사(海東繹史)』· 성력지(星曆志) 에 수록된 한국의 중국 역법 수용과 중국역법에 대한 정약용의 문제의식 및 역법관을 고찰하였다. 한치윤은 한(韓)·중(中) 역사서 등을 근거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와 조선까지 한국에 수용된 중국역법을 정리하였는데, 필자는 이에 대한 변천 내용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정약용의 중국역법에 대한 역법관을 『중용강의보(中庸講義補)』·『시경강의보유(詩經講義補遺)』·『목민심서(牧民心書)』·『경세유표(經世遺表)』와 『역학서언(易學緖言)』에 실린 기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고대 중국은 새로운 왕조를 세운 황제가 역법을 제정하는 정치적 특권과 사명을 가지고있었다. 삼국시대부터 한국은 중국과 교류하며, 역법(曆法)을 전해 받아 역일(曆日)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삼국, 고려 조선에서 수용한 중국역법의 종류도 또한 다양하였다. 한국은 오래전부터 역법에서 기록된 오행(五行)과 간지(干支)를 중시하였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은 물리적 거리 차이가 있기 때문에 천문상수의 오차가 생겼고, 한국은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은 있었지만 정치적 관계로 인해서 중국역법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조선 세종 때에 비로소 이순지, 김담, 정인지, 장영실 등이 자주적인 역법 『칠정산(七政算)』· 내외편(內·外篇) 을 제정하였으며, 이것은 당시의 천문학과 수학 등의 과학적 연구를 토대로 한다. 반면 정약용은 다양한 중국역법의 수용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천문학에 포함된 추보(推步)와 점변(占變)의 두 요소가 가운데 점변과 관련된 이론에 오류가 있음을 비판하였다. 효진법(爻辰法), 점성술(占星術), 재이술(災異術) 등과 역법에 포함된 오행과 간지의 활용이 그것이다. 정약용은 이 이론들이 『역』의 근원사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고, 전통적인 역리사법(易理四法)의 해석법에도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다산의 역법관은 그의 역리(易理) 해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토대로 역법이론에 깃든 사상의 문제를 분석하고 비판하였다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 contents and types of the Chinese calendrical calculation system embraced in Korea from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up to Goryeo and Joseon dynasty period compiled in 『Headongyeoksa』·「Seongyeokji」. Furthermore, the problems and perspectives of Cheong Yag-Yong about Chinese calender system also has been scrutinized in this paper. The entire eigthy five volumes of 『Haedongyeoksa』 was compiled by Han Chi-Yun and his nephew Han Jin-Seo. Cheong Yag-Yong opined that Chinese calender system existed in 『Jungyongganguibo』, 『Sigyeongganguibo』, 『Monkminshimseo』 and 『Gyeongseyoufyo』. Cheong Yag-Yong criticized the analytical errors of Chinese calender system and theories included in it. The newly established dynasty emperor in ancient China had special political rights to implement the calendrical calculation system. From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itself, there were many illustrations when the calendrical dates and calendrical calculation system from China granted Korea. Korea embraced the five primary substance and sexagenary cycle in the similar form and it was included in the calendrical calculation system. Korea tried to recover the variations of astronomical constant caused due to geographical changes. However, Korea was politically influenced by China in fields like astronomy and mathematics and natural science was not much developed in Korea. Therefore, Koreans showed enormous interest in chinese calendrical system. During the Goryo dynasty, different kinds of Chinese calendrical calculation system were adopted. In the Joseon dynasty, with the contribution of astronomy scholars like Lee Soon-Ji, Kim Dam, Jeong In-Ji and Jang Yeong-Sil, sovereign calendar system called 『Chiljeongsan』 was enacted. Cheong Yag-Yong analyzed that Chinese astronomy consists of two elements, namely, weather & time prediction and future forecast method. Besides that, Cheong Yag-Yong criticized the elements of future forecast method such as yaochen, astrology, disaster & unexpected change. Cheong Yag-Yong also laid claim that there are discrepancies in the fundamental analysis of chinese calendrical system and it included five primary substances and the sexagenary cycle. Considering his logical perspectives of 『Zhouyi』 as basis, Cheong Yag-Yong proclaimed that it has features of posing questions of Yeokhak theories, trick and fortune not mentioned in 『Zhouyi』 interpretation and analysis method of Chinese astronomy.

      • KCI등재

        일본 儀鳳曆의 傳來 문제와 新羅

        고현정(Go Hyeonjeong)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5

        儀鳳曆은 일본사에서 두 번째로 채용된 曆法인데, 일본에 도입된 다른 中國曆과 비교하여 그 전래 과정이 분명치 않지만, 동시대 당에서 사용되고 있던 麟德曆의 별칭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런데 ‘의봉력’이라는 이름의 역법은 중국측 사서에는 전혀 전하지 않고 있으며 의봉력이 일본에서 채용된 690년은 당에서 ‘의봉’ 연호가 폐한 지 이미 11년이나 되었기 때문에 이 역법이 당에서 일본으로 직접 전래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또한 668년부터 700년대 초반까지 일본과 당은 실질적인 국교단절의 상태였지만 신라와는 매우 친밀한 관계에 있었다. 따라서 의봉력은 신라를 거쳐서 일본에 도입된 것으로 보는 게 합리적일 것이다. 실제로 의봉력이 채용되었다고 하는 690년 11월은 신라 사신들이 일본에 다녀가는 시점과 일치하므로 의봉력의 도입에 신라의 영향을 생각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일본측 사료에 남겨진 曆日을 검토하면 의봉력은 인덕력과 일치하는 것이 아니며 제3의 역법임을 알 수 있다. 일본이 의봉력을 채용한 690년 11월은 공교롭게도 당에서 측천무후가 음력 11월을 正月로 개정한 지 꼭 1년이 되는 시점이었다. 새로운 역법의 채용에 상당히 보수적이었던 일본의 경우를 생각하면, 신라사절을 통해 알게 된 측천무후의 정월 개혁 소식에 일본은 큰 자극을 받았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당시로서는 최신의 역법이었던 신라의 역법을 채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곧 ‘의봉력’은 당시 신라가 사용하고 있던 역법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당시 신라가 사용하고 있던 역법은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문무왕 14년(674)에 입당숙위 대나마 덕복이 당에서 배워온 역술로 제작한 역법이었다. 이 역법도 지금까지 당의 麟德曆으로 알려져 왔지만 당시의 나당관계는 긴장이 가장 고조되어 있던 시기여서 단순한 중국력의 도입이라 보기 어렵다. 특히 다른 나라의 사례와 비교할 때 단순한 ‘冊曆’의 도입이 아닌 ‘曆法’의 채용이란 점에서 구별되는데, 역법은 책력을 만들어낼 수 있는 이론공식이었기 때문이다. 곧 문무왕 14년의 역법 개용은 당의 頒賜가 아닌 신라 스스로의 필요에 의한 것이었다고 판단된다. ‘의봉력’이라는 이름과 관련하여, 우선 ‘의봉’ 연호(676~679)는 당에서 國泰民安의 瑞祥의 등장으로 제정되었는데 나당전쟁의 종결과 시기적으로 맞물리며 이후 대규모의 大赦 및 정치 쇄신이 뒤따랐다. 668년부터 703년까지 나당관계는 실질적인 국교단절의 상태였으나 경주 전역의 사찰과 궁성 터에서 대대적으로 발견되는 ‘儀鳳四年皆土’명 기와를 통해 신라도 당의 ‘의봉’ 연호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신라가 여전히 당의 위협을 의식하면서 전쟁 종식과 국태민안을 뜻하는 ‘의봉’ 연호를 받아들여 내치에 힘썼던 당시 상황이 반영된 것이 아닌가 한다. 곧 신라가 당과 정식 통교가 없는 가운데 ‘의봉’이라는 당 연호를 써 대외적으로 당 중심의 국제질서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대내적으로는 백제와 고구려 유민과 영토를 신라 왕권 아래에서 성공적으로 재편성한 것처럼, ‘의봉력’ 역시 중국의 연호로써 명칭하고 있으나 내용상은 중국 인덕력과는 다른 자주적인 운용방식이 있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역법(曆法)과 천문(天文) 정보로 본 『朴通事』

        서형국 국어사학회 2013 국어사연구 Vol.0 No.17

        이 논문은 朴通事 를 理解하기 위한 方法으로 天文과 曆法 情報를 適用해 보려는 데 目的이 있다. 朴通事 는 14세기 중반의 사실을 바탕으로 舊本{ 朴通事 가 처음 저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세기 말에 이 舊本{을 修訂하였다는 기록이 전하고, 언해를 곁들인 刪改本{ 계열의 現傳 {飜譯} 朴通事 는 늦어도 16세기 초까지는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刪改本{ 계열의 朴通事 에는 舊本{의 內容일 것과, 刪改 당시의 狀況일 것이 뒤섞여 있다. 또한 文面 그대로는 事實에 附合하지 않는 部分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現傳 最古本{인 刪改本{ 계열의 {飜譯} 朴通事 를 이해하기 위하여, 天文과 曆法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天文과 曆法 정보를 활용하면 朴通事 卷中 73話에 전하는 星占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 가능하고, 卷下 97話에 남아 있는 日字 記錄의 正誤도 바로잡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천문과 역법 정보를 이용하여 朴通事 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朴通事 에 담긴 사회・문화적 사실을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舊本{ 당시의 내용과 刪改된 부분을 정확히 갈라내어 이해할 수 있었다. 刪改 科程에서 一部 誤字와 脫字가 있은 채로 전해지고 있는 部分도 舊本{의 表\現을 復原하여 理解할 수 있게 되었다. 曆法과 關聯되어 있는 內容을 檢討함으로써 이 會話書의 登場人物은 現代 韓國의 文化와 꼭 같은 방식을 따랐음을 確認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read Bakthongsa from the perspectives of astronomy, calendar, and horoscope. The book Bakthongsa had been published in about 1355 AD, which is not present anymore. But the book has revised edition that was published from 1480 to 1517 AD. Therefore, the book Bakthongsa represent the uncertain time-depth, in some cases 14th century's, and in other cases 15th or 16th century's. In addition to this problem, in some text, there are some error that cannot be read reasonably. So it is needed that the book i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extual criticism. I compared the information of astronomy, calendar, horoscope. That information spans from 14th century to 16th century. As a result, it can be clearly divided the 14th century's contents from the 15th or 16th century's contents.

      • KCI등재

        연구논문 : 고려 중기 역법(曆法)과 金의 『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보기삭술(步氣朔術)” 검토 -『고려사(高麗史)』 「세가(世家)」 11월 삭일(朔日) 분석을 중심으로-

        서금석 ( Keum Suk Seo ),김병인 ( Byoung I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3 No.-

        고려는 여러 경로를 통해 曆을 받아들였다. 이글의 목적은 고려가 金으로부터 책명을 받은 시점부터 원나라의 공식 曆인 授時曆이 고려에 반포되기까지 금의 역법이 고려에서 실제 행용되었는지 여부를 11월 초하루 일자 계산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金史』 「曆志」에 편성된 (重修)大明曆의 氣朔術을 활용하였다. 금의 대명력 산술에 의해 계산된 11월 초하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루 정도 차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劉)宋의 祖沖之 대명력이 요나라 賈俊의 대명력에 영향을 주었고 송의 기원력은 楊級의 대명력과 趙知微 대명력[重修大明曆]에 기원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명력이라는 同名의 역법이 각기 서로 다른 氣朔術을 전개하였던 점에서 이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요나라 賈俊의 대명력과 금나라의 대명력은 동일한 역법이라고 볼 수 없다. 조지미의 대명력은 금 세종의 명에 따라 1171년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 역법은 곧바로 반포되지 않았다. 이 역법은 일월식의 징험을 거쳐 그로부터 10년 뒤에 시행되었다. 이로써 금나라는 멸망할 때까지 조지미의 (중수)대명력은 행용하였으며, 금을 멸망시킨 원에서도 처음에는 이 曆法을 이어 받아 사용하였다. 그리고 원은 고려에 이 曆을 하사하였다. 고려는 원의 수시력이 반포되기까지 금의 (重修)大明曆을 받아들였다고 보여 진다. 본론에서 살핀 10가지 사례를 분석하여 원의 수시력이 고려에 반포되기 이전에 고려는 金의 역법을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 글은 『고려사』 「세가」에 기록된 11월 초하루 기사를 중심으로 金의 (重修)大明曆의 氣朔術을 적용하여 이를 논증하였다. 금의 (重修)大明曆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루의 차이를 보이는 등 괴리를 발생시켰다. 이와 같은 계산상의 時差에 대해 고려는 선명력과 주변국들의 여러 曆을 참고하여 고려에 맞는 曆日을 계산해 냈을 것이다. Goryeo dynasty accepted the calenda system through various routes. This study is purposed to examine if the calenda of Jin dynasty was actually used in Goryeo from the time when Goryeo got the calenda from Jin till the Shoushi calendar, Yuan dynasty’s official calenda was promulgated in Goryeo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1st day of November of the lunar calendar. To confirm the fact, this study used ‘Gisagsul’, the (Rev)Daming calendar compiled in 「Yeokji」, 『History of Jin Dynasty』. There are several interpretations of why there happens time difference of around one day shown as the first day of November with time calculated by Jin’s Daming calenda arithmatic. Zu Chongzhi’s Daming calendar of Liu Song influenced on Gujun’s Daming calendar of Liao dynasty, and the Song calendar is considered having been the root of Yangji’s Daming calendar and Zhao Zhiwei’s Daming calendar, [Revised Daming Calendar], which can be said that the calendar systems of the same name called the Daming calendar developed different Gisaksul. Thus, Gujun’s Daming calendar of Liao and the Daming calendar of Jin can not be said to be the same calenda system. Zhao Zhiwei’s Daming calendar was made at King Sejong’s command during Jin dynasty in 1171. But, the calenda system was not promulgated right that time. It was enforced ten years from that time through experiencing solar and lunar eclipses. That is, Jin dynasty used Zhao Zhiwei’s (Rev)Daming calendar till the fall of Jin dynasty, and Yuan destroying Jin also used the calenda at first. In addition, Yuan granted the calenda to Goryeo dynasty. Goryo seems to have accepted the (Rev)Daming calendar of Jin till it promulgated the Shoushi calender of Yuan. Based on the analysis of ten cases, it is quite possible that Goryeo had introduced the calendar of Jin dynasty before the Shoushi calendar of Yuan was promulgated in Goryeo. This study proved that by applying Gisaksul, the (Rev)Daming calendar of Jin dynasty centering around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day of November recorded in 「Saega」, 『Goryeosa』. The (Rev)Daming calendar of Jin dynasty caused a gap such as time difference of a day as time goes by. For the time difference in calculation, Goryeo would have calculated a calenda day suitable for Goryeo by referring to the Xuanming calendar and various calendars from its neighboring countries.

      • KCI등재

        정조 연간 지식인들의 『春秋』 역법 이해와 『日知錄』의 영향

        신재식(Shin, Jae-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정조 연간의 『春秋』 역법 이해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日知錄』의 수용 사례를 검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정조 연간 『日知錄』 등과 같은 淸代 考證學 관련 서적이 대거 청나라에서 유입되면서 실증적 학풍이 학자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春秋』와 같은 역사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건의 시점을 확정짓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유사한 시기의 텍스트와 비교 검토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고증학적 연구방법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顧炎武의 설에 입각한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春秋』 역법 이해는 청대 고증학풍 수용의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에 정조 연간 학자들의 『春秋』 역법 이해에 대해 검토한 결과 『日知錄』의 견해를 대거 수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컨대 正祖, 成海應, 徐有榘 등은 『日知錄』을 통해 각국이 별도로 각자의 역법을 사용하였다는 설, 정삭을 고치면 계절과 월호도 바뀐다는 고염무의 설을 인지하였다. 이는 정조 연간 『春秋』 역법 이해에 있어 과거 胡安國의 주관적 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던 풍조를 비판하고 실증적 학풍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고염무의 『日知錄』이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조선 학계가 유연한 자세로 청대 실증적 학풍을 소화하여 기존 문제를 비판하고 보완해 나가는 과정을 검토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research Ri zhi Lu's influence with its focus on an academic tendency of chūnqiū's calendar in late Chosu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king Jung-jo, a trade between Chosun and Qing Dynasty became active and an enormous amount of academic books such as Ri zhi Lu flew into Chosun. Following this trend, scholars officially took much interest in a positive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To understand history books such as chūnqiū, the one most important fact is providing a single point of event. To do so, we have to contrast it with texts of a similar period. This way is closely related to bibliographical study of Qīng Dynasty. So, Chosun Scholars's understanding history books such as chūnqiū through Qing Dynasty scholar Gu Yan-Wu's theories are one of accept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After researching Chosun Scholars's understanding chūnqiū's calendar,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All country of Xia Shang Zhou period had each calender. If some dynasty amend former dynasty's calendar, season and month will be changed. This implies that scholars in late Chosun Dynasty, criticized non-critcal study attitudes such as Hu An-guo because of Ri zhi Lu. This an academic tendency is meaningful that scholars in late Chosun Dynasty had receptive to a scholarship of early Qing Dynasty and achieved a complete mastery.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전기 冊曆 및 曆法의 이용과 의미

        한정수(Han, Jung-Soo)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100

        본 연구에서는 나말려초 및 고려 전기 시간 기록 즉 冊曆 이용의 배경과 양상, 曆法의 필요성, 司天臺의 정비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宣明曆』의 이용과 다른 역법의 사용 가능성, 고려 나름의 수치 계산과 측량을 통한『선명력』의 보정 및 그 내용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고려는 중세 왕조로서 天命思想에 기초하여 시간 이해와 그 지배를 도모하였다. 그것은 紀年과 冊曆의 반포, 曆數와 刻漏등과 직접 관련되는 것이었지만 그 내용은 중농정책을 위한 ‘以時勸農’ 및 月令체제, 다양한 의례의 시간, 인사행정 등에 적용되었다. 고려는 천명사상을 실현하고 천하질서의 중심축으로서 신성화된 군주의 지배체제를 모색하였다. 책력의 반포는 그러한 군주의 위상을 보여주는 상징이었다. 이에 『선명력』을 역 계산의 중요 텍스트로 삼으면서 그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른 역법즉, 『대연력』이나 ‘대술역법’, 『구집력』, 『건흥력』 및 송의 역법, 『대명력』등을 활용하여 정확한 역일을 제공하고자 했던 것이다. 적어도 ‘일남지’등의 기록을 통해 볼 때 성종 대에는 『선명력』을 중심으로 고려의 실정에 맞는 역일계산을 추산하여 책력을 만들었다 여겨진다. 이상에서처럼 고려왕조는『선명력』등 다양한 역법을 이용한 책력의 편찬과 반포를 통하여 중세왕조로서 정확한 농시의 파악과 역일 계산 내용을 제공하고자 했다. 정치운영 면에 있어서 ‘敬授人時’?‘治曆明時’를 구현하여 의례, 조공, 조세, 관료제 운영 등 왕조 운영의 규칙성과 합리화, 통일성을 꾀하려 했다. 이를 보면 고려 전기의 역법이해와 적용은 한국사에 있어 중세왕조의 성격을 형성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고 하겠다. 그것은 단순히 중국의 역서를 받아서 썼다거나 개경을 중심으로 경도와 위도만 보정한 후 쓴 것으로 평가할 수 없을 것이다. 국제관계 상 중국의 역법과 역일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독자적 역일 계산을 해내고 이를 반포함으로써 고려왕조는 자주국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in which time record, i.e., the almanac, was used and the necessity for calendrical science,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Astronomy Office, and calendrical science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Xuanming calendar from end of Silla to early Goryeo period. As a dynasty of the Middle Ages that was grounded on the idea of Mandate of Heaven, Goryeo contrived to understand time and control it. This is directly related to calendar system and dissemination of almanac as well as numbers used in calculating a calendar and time measured with a clepsydra, the contents of which were applied toward "recommending work according to appropriate farming seasons" for important agricultural policies as well as monthly ordinance system, diverse ritual times,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Goryeo searched for a sacred ruling system of the sovereign through its realization of the idea of Mandate of Heaven and as the axis of universal order. To do so, almanacs, numbers for calculating a calendar, and clepsydra were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Xuanming calendar. It can be said that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the calendrical science in early Goryeo has contributed greatly toward the formation of Korea"s medieval dynasty. And one cannot evaluate this period as simply adopting China"s book on calendar or using information from this book by merely remeasuring longitude and latitude with Gaegyeong as the center. Ultimately, Goryeo dynasty was able to accurately provide established pattern of astronomy as well as grasp the farming seasons and calendrical days as a dynasty of the Middle Ages by compilation and dissemination of almanacs that used various calendrical sciences such as the Xuanming calendar. In statecraft, Goryeo was able to exert itself to inform its people the seasons, months, and days they should observe as well as to accurately reveal the seasons by correcting calculating the calendrical system so that it can plan regulations, rationalization, and unification of dynastic operations such as rituals, tributes, tax, and bureaucratic syst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Goryeo manifested its status as an independent kingdom by partially accepting China"s calendrical methods and calendrical days while calculating and disseminating its own calendrical days.

      • KCI등재

        고려 중기 曆法과 金의 『重修大明曆』“步氣朔術”검토- 『高麗史』 「世家」 11월 朔日 분석을 중심으로 -

        서금석,김병인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3 No.-

        고려는 여러 경로를 통해 曆을 받아들였다. 이글의 목적은 고려가 金으로부터 책명을 받은 시점부터 원나라의 공식 曆인 授時曆이 고려에 반포되기까지 금의 역법이 고려에서 실제 행용되었는지 여부를 11월 초하루 일자 계산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金史』 「曆志」에 편성된 (重修)大明曆의 氣朔術을 활용하였다. 금의 대명력 산술에 의해 계산된 11월 초하루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루 정도 차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劉)宋의 祖沖之 대명력이 요나라 賈俊의 대명력에 영향을 주었고 송의 기원력은 楊級의 대명력과 趙知微 대명력[重修大明曆]에 기원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명력이라는 同名의 역법이 각기 서로 다른 氣朔術을 전개하였던 점에서 이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요나라 賈俊의 대명력과 금나라의 대명력은 동일한 역법이라고 볼 수 없다. 조지미의 대명력은 금 세종의 명에 따라 1171년에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 역법은 곧바로 반포되지 않았다. 이 역법은 일월식의 징험을 거쳐 그로부터 10년 뒤에 시행되었다. 이로써 금나라는 멸망할 때까지 조지미의 (중수)대명력은 행용하였으며, 금을 멸망시킨 원에서도 처음에는 이 曆法을 이어 받아 사용하였다. 그리고 원은 고려에 이 曆을 하사하였다. 고려는 원의 수시력이 반포되기까지 금의 (重修)大明曆을 받아들였다고 보여 진다. 본론에서 살핀 10가지 사례를 분석하여 원의 수시력이 고려에 반포되기 이전에 고려는 金의 역법을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 글은 『고려사』 「세가」에 기록된 11월 초하루 기사를 중심으로 金의 (重修)大明曆의 氣朔術을 적용하여 이를 논증하였다. 금의 (重修)大明曆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루의 차이를 보이는 등 괴리를 발생시켰다. 이와 같은 계산상의 時差에 대해 고려는 선명력과 주변국들의 여러 曆을 참고하여 고려에 맞는 曆日을 계산해 냈을 것이다. Goryeo dynasty accepted the calenda system through various routes. This study is purposed to examine if the calenda of Jin dynasty was actually used in Goryeo from the time when Goryeo got the calenda from Jin till the Shoushi calendar, Yuan dynasty’s official calenda was promulgated in Goryeo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1st day of November of the lunar calendar. To confirm the fact, this study used ‘Gisagsul’, the (Rev)Daming calendar compiled in 「Yeokji」, 『History of Jin Dynasty』. There are several interpretations of why there happens time difference of around one day shown as the first day of November with time calculated by Jin’s Daming calenda arithmatic. Zu Chongzhi’s Daming calendar of Liu Song influenced on Gujun’s Daming calendar of Liao dynasty, and the Song calendar is considered having been the root of Yangji’s Daming calendar and Zhao Zhiwei’s Daming calendar, [Revised Daming Calendar], which can be said that the calendar systems of the same name called the Daming calendar developed different Gisaksul. Thus, Gujun’s Daming calendar of Liao and the Daming calendar of Jin can not be said to be the same calenda system. Zhao Zhiwei’s Daming calendar was made at King Sejong’s command during Jin dynasty in 1171. But, the calenda system was not promulgated right that time. It was enforced ten years from that time through experiencing solar and lunar eclipses. That is, Jin dynasty used Zhao Zhiwei’s (Rev)Daming calendar till the fall of Jin dynasty, and Yuan destroying Jin also used the calenda at first. In addition, Yuan granted the calenda to Goryeo dynasty. Goryo seems to have accepted the (Rev)Daming calendar of Jin till it promulgated the Shoushi calender of Yuan. Based on the analysis of ten cases, it is quite possible that Goryeo had introduced the calendar of Jin dynasty before the Shoushi calendar of Yuan was promulgated in Goryeo. This study proved that by applying Gisaksul, the (Rev)Daming calendar of Jin dynasty centering around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day of November recorded in 「Saega」, 『Goryeosa』. The (Rev)Daming calendar of Jin dynasty caused a gap such as time difference of a day as time goes by. For the time difference in calculation, Goryeo would have calculated a calenda day suitable for Goryeo by referring to the Xuanming calendar and various calendars from its neighboring countries.

      • KCI등재후보

        신라시대 설과 대보름 풍속의 재인식

        임재해(Lim Jae Hae)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0 民俗硏究 Vol.0 No.40

        설과 보름은 세시풍속과 역법, 천문학을 유기적으로 이해하는 긴요한 문화적 전통이다. 천문학에 입각한 역법은 해와 달의 주기를 근거로 태양력과 태음력이 공존하므로 과거에도 이중과세를 할 수밖에 없었다. 역법에 따라 양력과 음력 설 외에 동지설이 별도로 있었고 그 전통이 동지 풍속으로 남아 있다. 동지 풍속을 생활사료로 신라시대 세시풍속을 주목한 결과 동짓달을 한 해의 정월로 삼은 시기가 있었을 뿐 아니라, 동짓달 보름에 팔관회를 열어서 국가축제 수준의 명절을 즐겼다. 그러므로 신라시대에는 정월 설과 보름처럼 동지설과 보름도 새해맞이 전통으로 자리잡은 사실을 포착할 수 있다. 신라시대 최대의 축제는 팔관회와 한가위이다. 두 보름축제는 국중대회를 방불하게 하는 국가축제로서, 양수명절인 설과 달리 신라시대에 자생한 민족축제였다. 보름명절은 독자적 기원을 이루는 고유 풍속일 뿐 아니라 이웃나라에 견주어 시대적으로 앞선다. 신라시대에 동지설의 역사가 자리잡고 보름 명절의 축제가 특히 성행한 것은 해와 달의 운행을 관찰한 천문학과 역법의 발전이 뒷받침한 까닭이다. 천체와 역법의 언어를 비롯하여 천문학 관련 유물, 동지설에 관한 생활사료를 총체적으로 고려할 때 양력설과 음력설보다 동지설이 천문학적으로 더 정확하다. 신라시대에 형성된 동지설과 보름의 팔관회 풍속은 음력 역법이 중심을 이루면서 음력설과 대보름 풍속으로 정착되었다. 설과 대보름 풍속의 형성과 통시적 변화 양상은 왕조의 변화를 뛰어넘는 문화적 전통과 문헌기록에 의해 검증된다. 그러므로 문화 유전자 구실을 하는 생활사료로 현재에서 과거를 포착함으로써 설과 보름 풍속의 총체적 존재양식을 재인식할 수 있었다. Seol (New Year’s Day) and Boreum (Full-moon day) are vital cultural traditions of organic understanding of the seasonal customs, calendar and astronomy. The astronomy-based calendar system has forced to doubly celebrate in the past, as the solar and the lunar calendar coexisted on the basis of the cycles of the sun and moon. In addition to the solar and the lunar New Year’s Days according to the calendar system, there was a separate Dongji-seol (winter solstice), and its tradition remains as a Dongji custom. By examining the Dongji custom of the Silla Dynasty from the historical record of daily life, there was not only a time when Dongji-dal (the 11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was observed as Jeongwol (the 1st month of the year), but also held a Palwanhoe (Buddhist festival of Eight Vows) in the full-moon day of Dongji-dal and enjoyed as the national level festival. Therefore, it can be noted that in the Silla era, Dongji-seol and Boreum became the tradition for the New Year like Jeongweol-seol and Boreum. The biggest festivals of the Silla era were Palgwanhoe and Hangawi. The two full-moon festivals were national festivals that were almost like the dynastic grand convention. Unlike the New Year holiday, the double number day, they were national festivals native to the Silla era. The full moon holiday was not only an indigenous custom of its own origin, but it was also ahead of its time compared to neighboring countries. The history of Dongji-seol in the Silla Dynasty and the festival of Boreum was especially prevalent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astronomy and calendar systems that observed the operation of the sun and moon. Considering the language of celestial and calendar system, astronomy-related relics and its historical record of daily life in total, Dongji-seol is astronomically more accurate than solar or lunar Seol. The customs of Dongji-seol and Palgwanhoe of Boreum established during Silla Dynasty were settled as those of the Lunar New Year’s Day and Daeboreum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by the lunar calendar) due to the lunar calendar was taking the center. The formation of Seol and Daeboreum customs and the trends of their diachronic changes are verified by cultural traditions and documentary records that transcend the changes of the dynasty. Therefore, by capturing the past from the present with the historical record of daily life that serves as a cultural gene, it was possible to re-recognize the total mode of existence of Seol and Boreum.

      • KCI등재

        『交食推步法』 「假令」의 甲子年 曆元 제정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역법 편찬의 함의

        서금석(Seo, Geum-Seok)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1

        『交食推步法』 「假令」에서 보여준 甲子年역원은 조선 역법사의 중요한 한 장면이다. 따라서 이 글의 목적은 세종 대에 편찬된 『七政算』의 역사적 의의를 드러내기 위한 또 하나의 방편으로써 『交食推步法』「假令」에서 보여준 세종 26년(1444) 甲子年 역원의 의미를 드러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甲子年역원의 역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으며, 다음으로 이순지가 『交食推步法』「假令」에서 밝혀진 ‘38度少弱’이라는 한양의 북극출지 측정치에 대한 의미를 부각시켰다. 그리고 이로써 『交食推步法』으로 이어졌던 『七政算』의 편찬이 조선의 역법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컸음을 논증했다. 曆法史에서 보여주었던 역원의 제정은 역법 제정의 종주국만이 가능했으며, 그들의 영역이었고 재량이었다. 따라서 주변국들은 帝國이 제정한 역법의 역원을 따라야 했으며, 이를 기초로 역산했다. 그렇지만『交食推步法』 「假令」에서의 甲子年역원 제정의 정보는 표면에 드러난 역산 차원에서 벗어나 있었다. 甲子年역원은 조선 역법의 역원을 보여준 것이다. 선학 유경로는 『交食推步法』「假令」의 해제를 통해 “『交食推步法』은 세종 때에 이미 되어 있었고, 여기에 세조 때 ‘가령’과 ‘주해’를 붙인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그는『交食推步法』이 세종 단독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이순지 · 김담 등이 도와 만들어진 것이라고 보았다. 필자 또한 이에 동의하며, 본고를 통해 선학들의 연구를 한층 보충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Year of Gapja as the origin of calendar shown in 『Gyosikchubobeob』, 「Garyong」 is a significant event in the history of Joseon calendar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is purposed to present the implication of the 26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called Gapja Year (1444) as the origin of calendar shown in 『Gyosikchubobeob』「Garyong」, as a way to reveal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Chiljeongsan』 compiled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ng’s reign. For the research, the study show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apja Year as the origin of calenda first, and then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 measurements of Bukgeukchulji(meaning latitude) of Hanyang as ‘38do-soyak(38度少弱)’ meaning the 38th parallel north (latitude 38°)’ represented by Lee Sun-ji in 『Gyosikchubobeob』, 「Garyong」. Through the research, the study proved that the compilation of 『Chiljeongsan』, leading to 『Gyosikchubobeob』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art in history of Joseon calendar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he origin of calendar in almanac history could be made by the suzerain state that established the calenda system, at the mercy of the state. Thus, the neighboring countries should follow the almanac made by the empire, and computed their one based on the calendar. But, the information of establishing the origin of calendar, Gapja Year shown in 『Gyosikchubobeob』, 「Garyong」was out of the apparent computation of calendar. That is, Gapja Year as the origin of calendar shows the origin of Joseon calenda system. Scholar Yu Gyeong-ro mentioned, “『Gyosikchubobeob』 had been already completed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ng’s reign, and ‘Garyong’ and ‘Annotation’ were added to that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s reign”, in his footnote to 『Gyosikchubobeob』, 「Garyong」. In addition, he thought 『Gyosikchubobeob』 was made in cooperation with Lee Sun-ji and Kim Dam, not by King Sejong by himself. As the researcher, I agree his thought and expect this study to be a momentum to supplement the researches conducted by the former schol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